KR200300786Y1 - 건강체크 단말기 일체형의 벨트 - Google Patents

건강체크 단말기 일체형의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86Y1
KR200300786Y1 KR20-2002-0031111U KR20020031111U KR200300786Y1 KR 200300786 Y1 KR200300786 Y1 KR 200300786Y1 KR 20020031111 U KR20020031111 U KR 20020031111U KR 200300786 Y1 KR200300786 Y1 KR 200300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time
belt
health check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국
Original Assignee
에버그린엠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그린엠에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버그린엠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1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5Buckl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with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1User's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7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calorie expenditure

Landscapes

  • Measurement Of Distances Traversed On The Grou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지에 적용되는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벨트의 버클부위에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스텝(만보기 기능)과 속도는 물론 거리와 그에따른 칼로리의 소모량 및 시간표시 기능을 가지는 건강체크 단말기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므로서, 건강체크 단말기의 화면표시부(LCD)를 통해 사용자가 수시로 움직임에 따라 측정된 스텝과 속도 체크는 물론, 그 체크된 스텝과 속도로 부터 파생되는 신체의 변화 즉 칼로리 소모량을 체크할수 있도록 하는 한편, 종래 분리형에 따른 착용의 거부감을 해소할수 있도록 하는 건강체크 단말기 일체형의 벨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강체크 단말기 일체형의 벨트{Belt with terminal for checking Physical health}
본 고안은 바지에 적용되는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벨트의 버클부위에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스텝(걸음 수)과 속도는 물론 거리와 그에따른 칼로리의 소모량 및 시간표시 기능을 가지는 건강체크 단말기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는 한편, 그 건강체크 단말기의 화면표시부(LCD)를 통해 사용자가 수시로 움직임에 따른 신체의 변화 즉, 칼로리 소모량을 체크할수 있도록 하는 건강체크 단말기 일체형의 벨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벨트는 현재 단순한 기능 즉, 허리부위를 조여 바지의 흘러 내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걷기 운동의 일환으로 만보기라는 것이 제공되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하루동안 움직인 스텝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만보기의 경우 스텝 측정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들고 다니거나 또는 바지의 벨트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클립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만보기는 클립이 형성된 단말기 형태로 제공되어 벨트로 그 착용이 이루어지는 분리형인 관계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러한 분리형의 착용에 상당한 거부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이에따라 종래에는 만보기의 사용이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현대 사회는 보다 간편하고 보다 실용적인 제품을 선호하는데, 종래 만보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그 사용을 원할 경우라 하더라도 벨트로의 착용에 대한 거부감으로 인해 대중화가 극히 제한적일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벨트의 버클부위에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스텝(만보기 기능)과 속도는 물론 거리와 그에따른 칼로리의 소모량 및 시간표시 기능을 가지는 건강체크 단말기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므로서, 건강체크 단말기의 화면표시부(LCD)를 통해 사용자가 수시로 움직임에 따라 측정된 스텝과 속도 체크는 물론, 그 체크된 스텝과 속도로 부터 파생되는 신체의 변화 즉 칼로리 소모량을 체크할수 있도록 하는 한편, 종래 분리형에 따른 착용의 거부감을 해소할수 있도록 하는 건강체크 단말기 일체형의 벨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벨트의 버클부위에 건강체크 단말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건강체크 단말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건강체크 단말기의 내부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벨트 띠 2 ; 버클
3 ; 힌지축 10; 건강체크 단말기
11; 모드설정키이 12; 조정키이
13; 리셋키이 14; 메모리
15; 스텝측정기 16; 제어부
17; LCD 100; 벨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벨트의 버클부위에 건강체크 단말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건강체크 단말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건강체크 단말기의 내부 블럭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벨트 띠(1)와 버클(2)로 이루어지는 벨트(100)에 있어서,
상기 버클(2)은 가장자리의 지지프레임으로만 구성하되,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힌지축(3)을 중심으로 결합되어 미회전시에는 버클기능을 수행하되, 회전시에는 착용자의 시야가 도달하는 각도로 회전하는 건강체크 단말기(10)를 일체형으로 결합하고,
상기 건강체크 단말기(10)에는 스텝(걸음 수)과 거리 및 칼로리는 물론 시간표시 기능의 모드를 설정하면서 시간의 시(時) 조정값을 설정하는 모드설정키이(11),
상기 모드설정키이(11)에 의해 거리 모드나 칼로리 모드로 설정될 때 착용자의 보폭값은 물론 칼로리 모드로 설정될때 착용자의 체중값을 조정하고 시간의 분(分) 조정값을 설정하는 조정키이(12),
상기 모드설정키이(11)에 의해 설정된 각 모드의 조정값을 초기화함은 물론 설정된 시간을 세팅하는 리셋키이(13),
상기 조정키이(12)로 부터 설정된 착용자의 보폭 및 체중의 조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14),
착용자의 걷기운동이 이루어질 때 그 스텝을 측정하는 스텝측정기(15),
상기 스텝측정기(15)에 의해 측정된 착용자의 스텝과 메모리(14)에 저장된 착용자의 보폭 및 체중 조정값을 근거로 연산동작을 수행하여 착용자의 걷기운동에 따른 이동거리 및 스텝의 속도와 칼로리 소모량을 측정하는 제어부(16) 및,
상기 각 키이(11)(12)(13)에 의해 설정된 조정값은 물론, 스텝측정기(15)에 의해 측정된 스텝과 상기 제어부(16)에 의해 측정된 이동거리 및 스텝의 속도와 칼로리 소모량을 착용자가 열람할수 있도록 이중 표시하는 LCD(17)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건강체크 단말기(1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소형의 배터리에 의해 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더불어, 상기 LCD(17)에 의해 이중 표시되는 정보는 스텝과 속도, 스텝과 거리, 스텝과 칼로리 소모량, 스텝과 시계로 구분하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벨트(100)의 버클(2)은 가장자리의 지지프레임으로만 구성한 후,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힌지축(3)을 중심으로 결합되어 미회전시에는 버클기능을 수행하되, 회전시에는 착용자의 시야가 도달하는 각도로 회전하는 건강체크 단말기(10)를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둔다.
이후, 상기 건강체크 단말기(10)에 전원공급용 배터리를 수납한 후, 상기 벨트(100)를 이용하여 바지를 입는다.
더불어, 상기 벨트(100)의 착용자가 버클(2)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건강체크 단말기(10)를 힌지축(3)을 중심으로 회전(예; 90°)시켜 착용자의 시야에 상기 건강체크 단말기(10)의 전면 패널 즉, 여러개의 키이(11)(12)(13)는 물론 LCD(17)가 보여지도록 한다.
이후, 상기 건강체크 단말기(10)에 형성된 모드설정키이(11)를 눌러 거리모드 또는 칼로리모드로 설정한 후 리셋키이(13)를 눌러 초기화 작업을 실시하면, 상기 LCD(17)의 화면에는 기준이 되는 보폭값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착용자가 조정키이(12)를 눌러 상기 표시된 보폭값(예; 35∼150㎝의 범위내)을 증가시키면서 착용자의 보폭값을 조정하면, 상기 LCD(17)의 화면에는 착용자에 의해 조정된 보폭값이 표시됨은 물론, 그 표시된 보폭값은 제어부(16)에 의해 메모리(14)에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착용자의 보폭값 조정은 스텝 즉 걸음수를 10으로 나누었을때 나타는 것으로, 이는 착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되는 값이다.
한편, 상기 건강체크 단말기(10)에 형성된 모드설정키이(11)를 눌러 칼로리모드로 설정한 후 리셋키이(13)를 눌러 초기화 작업을 실시하면, 상기 LCD(17)의 화면에는 기준이 되는 체중값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착용자가 조정키이(12)를 눌러 상기 표시된 체중값(예; 30∼140㎏의 범위내)을 증가시키면서 착용자의 체중값을 조정하면, 상기 LCD(17)의 화면에는 착용자에 의해 조정된 체중값이 표시됨은 물론, 그 표시된 체중값은 제어부(16)에 의해 메모리(14)에 저장된다.
이후, 상기 건강체크 단말기(10)를 회전시켜 버클(2)로 수납시킨 상태에서, 벨트(100)의 착용자가 걷기를 실시하는 경우, 상기 걷기에 따른 스텝 즉 걸음수는 상기 건강체크 단말기(10)내에 구성된 제어부(16)의 제어동작에 따라 스텝측정기(15)가 측정하고, 그 측정된 걸음수는 LCD(17)에 의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는 스텝측정기(15)에 의해 측정된 착용자의 스텝 즉 걸음 수와 상기 메모리(14)에 저장된 착용자의 보폭 및 체중 조정값을 근거로 연산동작을 수행하여 착용자의 걷기운동에 따른 이동거리와 스텝의 속도 및 칼로리 소모량을 측정하는 한편, 그 측정값을 LCD(17)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는 스텝과 속도 또는, 스텝과 거리, 또는 스텝과 칼로리 소모량, 또는 스텝과 시계를 이중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상기 LCD(17)를 제어하였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LCD(17)에 디스플레이되는 측정값은 모두 착용자가 열람할수 있는데, 이를 위해 착용자는 다시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버클(2)로 수납된 건강체크 단말기(10)를 힌지축(3)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LCD(17)가 착용자의 시양에 들어오도록 한다.
이후, 착용자가 모드설정키이(11)를 순차적으로 눌러 원하는 모드 즉, 스텝(걸음 수)과 거리 및 칼로리 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모드 설정에 의해 상기 LCD(17)에는 측정값들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에따라, 착용자는 상기 LCD(17)를 통해 현재 자신의 걸음수는 물론 이동거리와 속도 및 칼로리 소모량을 모두 열람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건강체크 단말기(10)에는 시간 표시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모드설정키이(11)를 눌러 시간의 시(時) 조정값을 설정한 후, 상기 리셋키이(13)를 누르면, 시간의 시에 대한 조정값 세팅이 완료된다.
더불어, 상기 조정키이(12)를 눌러 시간의 분(分) 조정값을 설정한 후, 상기 리셋키이(13)를 누르면, 시간의 분에 대한 조정값 세팅이 완료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시간과 분이 모두 세팅된 후, 착용자가 원하는 때에 모드설정키이를 시간표시모드로 전환시키면, 상기 LCD(17)에는 세팅 완료된 시간이 표시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의 바지에 사용되는 벨트(100)의 버클(2)에 만보기의 기능 및 그 스텝에 따른 속도와 이동거리는 물론 칼로리 소모량을 체크하는 건강체크 단말기(10)를 일체로 구성하므로서, 종래 만보기의 착용에 따른 거부함을해소함은 물론, 상황에 따라 수시로 건강체크를 진행할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벨트의 버클부위에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스텝(만보기 기능)과 속도는 물론 거리와 그에따른 칼로리의 소모량 및 시간표시 기능을 가지는 건강체크 단말기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므로서, 건강체크 단말기의 화면표시부(LCD)를 통해 사용자가 수시로 움직임에 따라 측정된 스텝과 속도 체크는 물론, 그 체크된 스텝과 속도로 부터 파생되는 신체의 변화 즉 칼로리 소모량을 체크할수 있도록 하는 한편, 종래 분리형에 따른 착용의 거부감을 해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벨트 띠와 버클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벨트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가장자리의 지지프레임으로만 구성하되,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결합되어 미회전시에는 버클기능을 수행하되, 회전시에는 착용자의 시야가 도달하는 각도로 회전하는 건강체크 단말기를 일체형으로 결합하고,
    상기 건강체크 단말기에는 스텝(걸음 수)과 거리 및 칼로리는 물론 시간표시 기능의 모드를 설정하면서 시간의 시(時) 조정값을 설정하는 모드설정키이, 상기 모드설정키이에 의해 거리 모드나 칼로리 모드로 설정될 때 착용자의 보폭값은 물론 칼로리 모드로 설정될때 착용자의 체중값을 조정하고 시간의 분(分) 조정값을 설정하는 조정키이, 상기 모드설정키이에 의해 설정된 각 모드의 조정값을 초기화함은 물론 설정된 시간을 세팅하는 리셋키이, 상기 조정키이로 부터 설정된 착용자의 보폭 및 체중의 조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착용자의 걷기운동이 이루어질 때 그 스텝을 측정하는 스텝측정기, 상기 스텝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착용자의 스텝과 메모리에 저장된 착용자의 보폭 및 체중 조정값을 근거로 연산동작을 수행하여 착용자의 걷기운동에 따른 이동거리와 스텝의 속도 및 칼로리 소모량을 측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각 키이에 의해 설정된 조정값은 물론, 스텝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스텝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측정된 이동거리 및 스텝의 속도와 칼로리 소모량을 착용자가 열람할수 있도록 이중 표시하는 LCD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체크 단말기 일체형의 벨트.
KR20-2002-0031111U 2002-10-18 2002-10-18 건강체크 단말기 일체형의 벨트 KR2003007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111U KR200300786Y1 (ko) 2002-10-18 2002-10-18 건강체크 단말기 일체형의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111U KR200300786Y1 (ko) 2002-10-18 2002-10-18 건강체크 단말기 일체형의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6Y1 true KR200300786Y1 (ko) 2003-01-14

Family

ID=4939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111U KR200300786Y1 (ko) 2002-10-18 2002-10-18 건강체크 단말기 일체형의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4301B2 (ja) フィットネスモニター
JP6282611B2 (ja) 運動用時計
CN104793482B (zh) 运动手表
US7255437B2 (en) Eyeglasses with activity monitoring
US7543934B2 (en) Eyeglasses with activity monitoring and acoustic dampening
EP1998666B1 (en) Indication of the condition of a user
JP2016533256A (ja) フィットネスモニター
US5912865A (en) Watch case with positioning means
US68050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maximum speed of a runner over a prescribed distance including a transmitter and receiver
KR200300786Y1 (ko) 건강체크 단말기 일체형의 벨트
JP2019526329A (ja) 身体組成解析装置
KR200212489Y1 (ko) 보행거리 계수기가 부착된 신발
JP2008018148A (ja) 心拍計
KR102485580B1 (ko) 스마트 골프 어드레스 자세 교정장치
JP2001029323A (ja) 歩数計
KR102476431B1 (ko) 스마트 골프 어드레스 자세 교정장치
KR200243673Y1 (ko) 만보기를 갖는 걸이형 골프시계
KR200311264Y1 (ko) 회중시계
KR20200097393A (ko) 이어폰 겸용 체지방 측정기
ITBG970010A1 (it) Supporto per strumenti ad uso atletico, particolarmente cardio frequenzimetri e cronometri
GB2434222A (en) Watch with surface input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