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7764A - 렌티큘라 스크린 - Google Patents

렌티큘라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7764A
KR20030077764A KR1020020016633A KR20020016633A KR20030077764A KR 20030077764 A KR20030077764 A KR 20030077764A KR 1020020016633 A KR1020020016633 A KR 1020020016633A KR 20020016633 A KR20020016633 A KR 20020016633A KR 20030077764 A KR20030077764 A KR 20030077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xternal light
lenticular screen
image
ref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일
황규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6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7764A/ko
Publication of KR20030077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76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2Modifying the appearance of television pictures by optical filters or diffusing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Abstract

후면 투사 프로젝터에 사용되는 렌티큘라 스크린이 개시된다. 복수의 광출사면은 영상정보를 가지는 광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확산시켜 영상을 구현하며 엠보형상을 갖는다. 돌출부는 광출사면 사이에 형성된다. 광흡수면은 돌출부의 표면이 경면을 이루도록 도포된 블랙 잉크에 의해 외부광을 흡수한다. 또한, 돌출부에는 삼각형 단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부가 돌출부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광의 출사각은 광출사면의 엠보형상에 의해 확장되며, 광흡수면에서 반사되는 외부광은 돌출부의 표면은 경면을 이룸으로써 정반사된다. 이에 의해 구현되는 영상의 콘트라스트는 향상되며, 영상이 뿌옇게 처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렌티큘라 스크린 {Lenticular screen}
본 발명은 후면 투사 스크린(Rear Projection Screen)에 사용되는 렌티큘라 스크린(Lenticular Screen)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광을 흡수하는 블랙 스트라이프면은 경면 반사(Specular Reflection) 특성을 가지며, 또한, 돌출부에 삼각형 단면을 갖는 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외부광의 반사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렌티큘라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대화면 고화질 영상의 요구가 증가됨에 따라 소형의 영상을 투사렌즈를 이용해 확대 투사하는 투사형 장치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투사형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프로젝터(projector)를 들 수 있으며, 프로젝터는 투사 방식에 따라 전면 투사(Front Projection) 및 후면 투사(Rear Projection)로 구분된다.
전면 투사는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방식이다. 전면 투사를 이용하는 프로젝터는 극장, 회의실 등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반면, 후면 투사는 스크린의 뒤 즉,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와 대향하는 방향에서 영상을 투사하는 방식이다. 후면 투사를 이용하는 프로젝터는 프로젝션 TV의 형태로 보편화 되어 있다. 또한, 후면 투사는 주위 환경이 밝은 곳에서도 밝은 화면을 볼 수 있으므로 전면 투사에 비해 더욱 많이 이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후면 투사 스크린이 적용된 프로젝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후면 투사 스크린이 적용된 프로젝션 시스템(100)은 광원으로서 CRT(Cathode Ray Tube : 음극선 발광 튜브)(110), CRT 형광막(120)과 다른 광학계로서 투사 렌즈(130), 미러(140) 및 투사 스크린(150)을 갖는다. 광원이 되는 CRT(110)는 광원으로서 영상 소스를 CRT 형광막(120)에 형성시키며, 투사 렌즈(130)는 CRT 형광막(120)에 형성된 영상을 소정의 배율로 확대하여 미러(140)로 출사한다. 미러(140)는 확대된 영상을 투사 스크린(150)의 후면으로 전반사한다. 전반사된 영상은 투사 스크린(150) 상에 결상되며, 사용자는 투사 스크린(150)에 결상된 영상을 시청한다.
도 2는 종래의 후면 투사 스크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렌티큘라 렌즈를 부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후면 투사 스크린(200)은 도 1의 투사 스크린(150)에 해당하며, 프레넬 렌즈(Fresnel Lens)(210) 및 렌티큘라 렌즈(Lenticular Lens)(220)를 갖는다. 프레넬 렌즈(210)는 도 1의 투사 렌즈(130)로부터 확대된 영상 즉, 영상정보를 가지고 있는 광을 평행광원화한다. 평행광원화된 광은 넓은 시야각에서도 거의 균일한 휘도를 갖는 영상으로 구현된다.
렌티큘라 렌즈(220)는 프레넬 렌즈(210)의 전면에 배치되며, 프레넬 렌즈(210)로부터 출사된 평행광을 수평방향으로 확장하여 사용자에게 넓은 수평시야각을 제공한다. 이는 렌티큘러 렌즈(220)의 양면이 실린더형 렌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능하다. 렌티큘라 렌즈(220)의 내부는 광확산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광확산제에 의해 영상은 수평, 수직방향으로 확장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렌티큘라 렌즈(220)는 광입사면(222), 광출사면(224), 돌출부(226) 및 블랙 스트라이프면(228)을 갖는다. 광입사면(222)으로 입사된 평행광은 광출사면(224)에서 결상된다. 광출사면(224)은 결상된 광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확산시켜 출사한다. 이를 위해 광출사면(224)에는 광확산제(세모 무늬로 도시됨)가 내재,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광확산제에 의해 광출사면(224) 표면에는 엠보형상(224a)이 형성된다. 이 외에도 렌티큘라 렌즈(220)에는 금형의 엠보가 전사되어 엠보 형상이 형성되기도 한다.
돌출부(226)는 광출사면(224)과 광출사면(224)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부(226)의 전면에는 블랙 스트라이프면(Black Stripe)(228)이 형성된다. 블랙 스트라이프면(228)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 예를 들면, 형광등 또는 태양광을 흡수한다. 외부광이 도 1의 투사 스크린(150)에 입사하면 블랙 스트라이프면(228)은 외부광의 일정량을 흡수하여 소실시킨다. 프로젝션 시스템(100)에서 구현되는 영상의 콘트라스트(Contrast)는 블랙 스트라이프면(228)에 의해 외부광이 흡수됨으로써 향상된다.
그런데, 종래의 블랙 스트라이프면(228)은 돌출부(226)의 전면에 블랙 잉크를 인쇄 또는 도포하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이 때, 블랙 스트라이프면(228)은 엠보 형상(228a)을 갖는 거친 표면을 갖는다. 즉, 엠보형상(228a)은 렌티큘라 렌즈에 광확산제를 형성시킬 때와 블랙 잉크를 도색하는 과정에서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 스트라이프면(228)에서 흡수되지 못한 외부광(실선으로 도시된 화살표)(410)은 프로젝션 tv(420)의 표면에서 점선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여러 방향으로 산란 반사(Diffuse Reflection)된다. 이는 도 4의 렌티큘라 스크린(220)의 일부(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원)를 확대한 표면이 도 3과 같은 표면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블랙 스트라이프면(228)에서 반사된 외부광은 영상이 구현되는 화면에서 분산되어 영상을 뿌옇게 열화시킨다. 또한, 산란 반사된 외부광에 의해 영상의 콘트라스트는 저하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블랙 스트라이프면에 형성된 엠보 형상을 제거하여 외부광의 흡수율을 향상시키며 반사되는 외부광의 산란 반사를 방지하는 렌티큘라 스크린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후면 투사 스크린이 적용된 프로젝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후면 투사 스크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렌티큘라 렌즈를 부분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후면 투사 스크린에서 반사되는 외부광의 난반사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렌티큘라 스크린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렌티큘라 스크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렌티큘라 스크린에서 반사되는 외부광의 정반사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홈부가 형성된 돌출부를 갖는 렌티큘라 스크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단면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홈부가 형성된 돌출부를 갖는 렌티큘라 스크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500, 800, 900 : 렌티큘라 스크린510 : 광입사면
520, 810, 910 : 광출사면530 : 돌출부
540 : 광흡수면710 : 외부광
720 : 프로젝션 tv820, 920 : 광흡수부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렌티큘라 스크린은 영상정보를 가지는 광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확산시켜 영상을 구현하는 복수의 광출사면; 및 상기 광출사면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표면에는 경면(specular)을 이루도록 블랙 잉크가 도포되어 외부광을 흡수하는 광흡수면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외부광은 상기 광흡수면에서 정반사(Specular Reflection)된다. 특히, 상기 광출사면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서 입사되는 상기 외부광 중, 상기 광흡수면에서 반사되는 상기 외부광은 지면을 향하여 정반사된다.
상기 외부광의 입사각이 20° 인 경우 상기 광흡수면의 광택지수(Gloss)는 1이상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외부광의 입사각이 60°인 경우 상기 광흡수면의 광택지수는 10 이상의 크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광은 상기 광출사면에 형성된 확산제에 의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확산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렌티큘라 스크린은 영상정보를 가지는 광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확산시켜 영상을 구현하는 복수의 광출사면; 및 상기 광출사면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에 삼각형 단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부가 상기 돌출부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표면에는 경면(specular)을 이루도록 블랙 잉크가 도포되어 외부광을 흡수하는 광흡수부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광흡수부는 상기 홈부에 의해 외부광을 적어도 한 번 이상 정반사(Specular Reflection)시킨다.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상기 홈부의 상기 단면은 이등변 삼각형이며, 상기 홈부는 삼각 이등변 프리즘 형상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상기 홈부의 상기 단면은 직각 삼각형이며, 상기 홈부는 삼각 부등변 프리즘 형상이다. 상기 광은 상기 광출사면에 형성된 확산제에 의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확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렌티큘라 스크린을 이용함으로써, 렌티큘라 스크린의 블랙스트라이프면에서 반사되는 외부광은 지면을 향하여 반사되며, 이로 인해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며 영상이 뿌옇게 구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렌티큘라 스크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렌티큘라 스크린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렌티큘라 스크린(Lenticular Screen)(500)은 광입사면(510), 광출사면(520), 돌출부(530) 및 광흡수면(540)을 갖는다.
렌티큘라 스크린(500)은 영상정보를 가지고 있는 입사광을 수평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렌즈이다. 렌티큘라 스크린(500)에 의해 사용자의 관찰 영역 즉, 수평시야각은 180°로 확장된다. 영상정보를 가지고 있는 입사광은 광입사면(510)에 의해 광출사면(520)으로 집속된다. 광출사면(520)은 집속된 입사광을 수평 방향으로 확산시켜 출사한다. 광입사면(510) 및 광출사면(520)은 볼록 렌즈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집속된 입사광을 수직방향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렌티큘라 스크린(500)에는 확산제가 도포된다. 확산제는 렌티큘라 스크린(500) 중 입사광이 출사되는 부분에 도포되며, 입사광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확장하여 출사시킨다. 확산제로는 SiO2(이산화규소), CaCO3(탄산칼슘), TiO3(산화티타늄), BaSO4(중정석), ZnO(산화아연), Al(OH)3(수산화알루미늄), 또는, 폴리머 비드(Polymer Bead), 유리 비드(Glass Bead), Tint제 등을 이용한다.
이러한 확산제는 도 5의 세모 무늬로 도시된 부분과 같이 광출사면(520)에 집중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돌출부(530)에도 형성된다. 이에 의해 광출사면(520)은 엠보형상(520a)을 갖는다.
또한, 확산제는 도 6의 세모 무늬로 도시된 부분과 같이 렌티큘라 스크린(500)의 내부 특히, 광출사면(520) 방향으로 혼합되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도 광출사면(520)과 돌출부(530)에는 엠보형상이 구현되며, 광투과율이 저하될 수 있다.
광출사면(520)과 광출사면(520) 사이에는 돌출부(530)가 형성된다. 돌출부(530)의 전면은 광출사면(520)의 볼록한 전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 이는 블랙 잉크의 도포시 돌출부(530)에만 수월하게 도포하기 위해서이다.
광흡수면(540)은 블랙 잉크가 도포된 돌출부(530)의 표면이다. 광흡수면(540)은 태양광, 조명 등의 외부광을 흡수하여 영상의 콘트라스트 저하를 방지하거나 또는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킨다. 이하에서는 광흡수면(540)은 블랙 스트라이프면(Black Stripe)(540)이라 칭한다.
블랙 잉크는 돌출부(530)의 표면 즉, 블랙 스트라이프면(540)이 엠보형상과 같은 거친 면이 아닌 매끄러운 평면 즉, 경면(specular)을 이루도록 도포된다. 즉, 광출사면(520)에는 확산제에 의해 엠보형상(520a)이 형성되며, 블랙 스트라이프면(540)에는 엠보형상이 형성되지 않는다.
매끄러운 평면으로 형성된 블랙 스트라이프면(540)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 특히, 블랙 스트라이프면(540)의 상단보다 높은 곳에서 입사되는 외부광에대해 지향성(Directivity)을 갖는다. 지향성은 광이 일정한 방향으로 직진하는 정도를 말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 스트라이프면(540)에서 반사되는 외부광(실선으로 도시됨)(710)은 블랙 스트라이프면(540)이 구비된 프로젝션 tv(720)의 하단과 맞닿은 지면으로 반사된다. 이는 렌티큘라 스크린(500)의 매끄러운 평면을 갖는 블랙 스트라이프면(540)이 지향성 및 경면 반사(Specular Reflection)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경면 반사는 빛이 물체의 표면에 닿았을 때 입사각과 동일한 각도로 반사되는 것을 말한다. 경면 반사는 빛이 물체의 표면에 스치듯이 입사하는 경우 빛의 색으로 반사하며, 빛이 물체의 표면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경우 물체의 표면에 흡수된다. 이는 빛이 스치듯이 입사할수록 표면에서 흡수되는 빛의 양이 적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블랙 스트라이프면(540)에서 흡수되지 못 한 외부광의 표면 산란반사(Diffuse Reflection)는 현저히 감소한다. 또한, 표면 산란반사가 감소함으로써 사용자의 눈높이로 반사되는 외부광도 감소한다.
[표 1]에는 종래의 렌티큘라 스크린(220)의 출사측 및 본 발명에 의한 지향성 렌티큘라 스크린(500)의 출사측의 광택지수(Gloss)가 기재된다.
종래의 렌티큘라스크린의 광택지수 본 발명에 의한 지향성 렌티큘라스크린의 광택지수
입사각 20° 60° 20° 60°
1축방향 0.3 4 3.9 13
2축방향 0.7 8.2 5.8 19.8
[표 1]의 광택지수는 글로스미터(Glossmeter)를 이용하여 측정기준이 되는 표준판과 비교측정한다. 1축방향 및 2축방향은 광택지수를 측정하고자 하는 시험판 즉, 렌티큘라 스크린(220, 500)의 블랙스트라이프(228, 540)와 직교한 방향 및 블랙스트라이프(228, 540)와 수평한 방향이다.
[표 1]을 참고하면, 종래의 렌티큘라 스크린(220)에 20° 및 60°의 입사각으로 외부광을 입사시키는 경우, 출사측의 광택지수는 1 및 10 이하의 수치를 갖는다. 반면, 본 발명에 의한 렌티큘라 스크린(500)에 20° 및 60°의 입사각으로 외부광을 입사시키는 경우, 출사측의 광택지수는 1 및 10 이상의 수치를 갖는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블랙 스트라이프면(540)에서의 표면 산란 반사가 종래의 블랙 스트라이프(228)에서의 표면 산란 반사에 비해 감소하였음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렌티큘라 스크린(500)에서 구현되는 영상을 사용자의 위치에서 시청시, 영상이 뿌옇게 처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콘트라스트비도 [표 2]와 같이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콘트라스트 비율(%) 종래의 렌티큘라 스크린 지향성 렌티큘라 스크린
Full Black & White(단, Day Light) 100 115
[표 2]에 의하면, 풀 블랙 & 화이트(Full Black & White)에서 종래의 렌티큘라 스크린(220)이 갖는 콘트라스트 비율을 100%라고 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지향성 렌티큘라 스크린(500)이 갖는 콘트라스트 비율은 115%를 나타낸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지향성 렌티큘라 스크린의 콘트라스트가 종래에 비해 15% 향상되었음을의미한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홈부가 형성된 광흡수부를 갖는 렌티큘라 스크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홈부가 형성된 렌티큘라 스크린(800)은 광출사면(810) 및 광흡수부(820)를 갖는다. 광출사면(810)은 영상정보를 담고 있는 입사광을 수평방향으로 확산시켜 출사한다. 광출사면(810)에는 확산제가 도포되며 이에 의해 광출사면(810)에는 엠보 형상이 구현된다.
확산제는 입사광을 수직방향으로 확산시키며, 내부 산란과 표면 산란을 함께 수행하므로 시야각 증대에 효율적이다. 이러한 확산제는 광출사면(810)에 집중하여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머 비드(Polymer Bead), 유리 비드(Glass Bead), 또는 틴트(Tint)제 등을 사용한다.
광흡수부(820)는 블랙 스트라이프면(824)이 형성된 돌출부(822)이다. 돌출부(822)는 광출사면(810)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부(822)는 삼각형 단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부가 돌출부(822)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홈부에 의해 돌출부(822)는 제1면(점선으로 도시됨)(1_surface) 및 제2면(점선으로 도시됨)(2_surface)을 갖게 된다. 또한, 돌출부(822)의 표면은 블랙 잉크가 도포되어 블랙 스트라이프면(점선 및 사선으로 도시된 표면)(824)을 이룬다. 블랙 스트라이프면(824)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 예를 들면, 태양광, 조명광 등을 흡수한다.
블랙 스트라이프면(824)은 거울과 같은 경면 반사(Specular Reflection) 특성을 갖도록 공정된다. 이러한 공정은 블랙 스트라이프면(824)에 도포되는 블랙 잉크에 형성된 엠보 형상을 제거하거나 또는 엠보 형상이 형성되지 않도록 블랙 잉크를 도포함으로써 가능하다. 경면 반사는 빛이 물체의 표면에 닿았을 때 입사각과 동일한 각도로 반사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블랙 스트라이프면(824)은 지향성을 갖는다. 블랙 스트라이프면(824)에서 흡수되지 못한 외부광은 경면 반사 및 지향성에 의해 산란되지 않고 한 방향으로 반사되어 영상이 뿌옇게 보이는 것을 방지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돌출부(822)에 형성된 홈부의 단면은 이등변 삼각형이며, 홈부는 삼각 이등변 프리즘 형상을 갖는다. 도 8b에서, 블랙 스트라이프면(824)은 굵은 실선, 입사되는 외부광은 굵은 실선의 화살표, 제1차 흡수되는 외부광은 굵은 점선의 화살표, 제1차 반사되는 외부광은 점선의 화살표, 제2차 흡수되는 외부광은 굵은 일점쇄선의 화살표, 제2차 반사되는 외부광은 일점쇄선의 화살표로 도시된다.
형광등과 같은 외부광이 블랙 스트라이프면(824)으로 입사하는 경우, 외부광은 제1면(1_surface)에서 제1차 흡수되며 흡수되지 못 한 외부광은 제2면(2_surface)으로 제1차 반사된다. 반사된 외부광은 제2면(2_surface)에서 제2차 흡수되며 흡수되지 못한 외부광은 제2차 반사된다. 제2차 반사되는 외부광은 블랙 스트라이프면(824)의 경면 반사 특성 및 지향성에 의해 산란 반사되지 않으며 한 방향으로 반사된다.
또한, 블랙 스트라이프면(824)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1면에 입사하는 외부광은 제1면에서 제1차 흡수되며, 흡수되지 못한 외부광은 제1면에서 제2면으로 제1차 반사된다. 제1차 반사된 외부광은 제2면에서 제2차 흡수되며, 흡수되지 못한 외부광은 제2면에서 초기 입사한 외부광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2차 반사된다. 이 때 수직으로 입사한 외부광은 경면 반사 특성에 의해 블랙 스트라이프면(824)에 거의 흡수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홈부가 형성된 광흡수부를 갖는 렌티큘라 스크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홈부가 형성된 광흡수부(920)를 갖는 렌티큘라 스크린(900)은 광출사면(910) 및 광흡수부(920)를 갖는다. 광출사면(910) 및 광흡수부(920)는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 광출사면(910) 및 광흡수부(920)와 기능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광흡수부(920)의 구조에 대해 도 8b와 다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9에서 광흡수부(920)는 블랙 스트라이프면(924)이 형성된 돌출부(922)이다. 돌출부(922)에 형성된 홈부의 단면은 직각 삼각형이며, 홈부는 삼각 부등변 프리즘 형상을 갖는다. 도 9에서, 입사되는 외부광은 굵은 실선의 화살표, 제1차 흡수되는 외부광은 굵은 점선의 화살표, 제1차 반사되는 외부광은 점선의 화살표, 제2차 흡수되는 외부광은 굵은 일점쇄선의 화살표, 제2차 반사되는 외부광은 일점쇄선의 화살표, 제3차 흡수되는 외부광은 굵은 이점쇄선의 화살표, 제2차 반사되는 외부광은 이점쇄선의 화살표로 도시된다.
광흡수부(920)의 표면은 블랙 잉크가 도포되어 블랙 스트라이프면(924)을 이룬다. 블랙 스트라이프면(924)은 형광등과 같은 외부광을 흡수하여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킨다. 홈부에 의해 돌출부(922)의 블랙 스트라이프면(924)은 제1면(사선으로 도시됨)(1_surface) 및 제2면(역사선으로 도시됨)(2_surface)을 갖는다.
시청자의 눈높이보다 높은 곳에서 외부광은 블랙 스트라이프면(924)의 제2면(2_surface)으로 입사한다. 이러한 경우, 외부광은 제2면(2_surface)에서 제1차 흡수되며 흡수되지 못한 외부광은 제2면(2_surface)으로 제1차 반사된다. 제1차 반사된 외부광은 제1면(1_surface)에서 제2차 흡수되며 흡수되지 못한 외부광은 제2면(2_surface)으로 제2차 반사된다. 제2차 반사된 외부광은 제2면(2_surface)에서 제3차 흡수되며, 흡수되지 못한 외부광은 삼점쇄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제3차 반사된다. 외부광은 블랙 스트라이프면(924)의 경면 반사 특성에 의해 난반사되지 않는다.
또한, 블랙 스트라이프면(924)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1면에 입사하는 외부광은 제1면에서 제1차 흡수되며, 흡수되지 못한 외부광은 제1면에서 제2면으로 제1차 반사된다. 제1차 반사된 외부광은 제2면에서 제2차 흡수되며, 흡수되지 못한 외부광은 제1면으로 제2차 반사된다. 제2차 반사된 외부광은 제1면에서 제3차 흡수되며, 흡수되지 못한 외부광은 외부로 초기 입사한 외부광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3차 반사된다. 그러나, 블랙 스트라이프면(924)으로 수직 입사한 외부광은 경면 반사 특성에 의해 블랙 스트라이프면에서 거의 흡수되며 반사되는 양은 미세하다.
[표 3]은 평면, 이등변 프리즘 형상의 홈부 및 부등변 프리즘 형상의 홈부로 형성된 블랙 스트라이프면(540, 824, 924)에서 반사되어 외부로 출사되는 외부광의광량을 비교한 것이다.
평면 블랙스트라이프의 렌티큘라 스크린 이등변 프리즘 형상을갖는 블랙스트라이프의 렌티큘라 스크린 부등변 프리즘 형상을 갖는 블랙 스트라이프의 렌티큘라 스크린
반사 광량(%) 100 52 57
[표 3]에 의하면, 매끄러운 평면 즉, 경면으로 형성된 블랙 스트라이프면(540)을 갖는 렌티큘라 스크린(500)에서의 반사 광량이 100%인 경우, 이등변 프리즘 형상의 홈부를 갖는 렌티큘라 스크린(800)에서의 반사 광량은 52%로 감소한다. 또한 부등변 프리즘 형상의 홈부를 갖는 렌티큘라 스크린(900)에서의 반사 광량은 57%로 감소한다. 즉, 이등변 프리즘 형상의 홈부를 갖는 렌티큘라 스크린(800)의 외부광 흡수율이 가장 뛰어나다.
본 발명에 따른 렌티큘라 스크린에 의하면, 영상이 구현되는 렌티큘라 스크린의 표면은 엠보 형상(embossment)을 갖는다. 엠보 형상은 영상 정보를 가지는 입사광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확산시킨다. 이에 의해, 입사광은 렌티큘라 스크린에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확산되며 시청자의 시야각은 향상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 예를 들어, 조명광 또는 태양광을 흡수하는 블랙 스트라이프면은 엠보 형상을 갖지 않으며 매끄러운 평면을 갖도록 공정된다. 이러한 블랙 스트라이프면은 지향성 및 정반사(Specular Reflection) 특성을 갖는다. 이에 의해 블랙 스트라이프면에서 반사되는 외부광은 정반사되어 영상이 뿌옇게 구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블랙 스트라이프면의 단면이 삼각형 홈부의 형상을 갖도록 구현함으로써 외부광의 흡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영상의 콘트라스트는 향상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은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영상정보를 가지는 광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확산시켜 영상을 구현하는 복수의 광출사면; 및
    상기 광출사면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표면에는 경면(specular)을 이루도록 블랙 잉크가 도포되어 외부광을 흡수하는 광흡수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라 스크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광은 상기 광흡수면에서 정반사(Specular Reflecti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라 스크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면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서 입사되는 상기 외부광 중, 상기 광흡수면에서 반사되는 상기 외부광은 지면을 향하여 정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라 스크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광의 입사각이 20° 인 경우 상기 광흡수면의 광택지수(Gloss)는 1이상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외부광의 입사각이 60°인 경우 상기 광흡수면의 광택지수는 10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라 스크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상기 광출사면에 형성된 확산제에 의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라 스크린.
  6. 영상정보를 가지는 광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확산시켜 영상을 구현하는 복수의 광출사면; 및
    상기 광출사면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에 삼각형 단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부가 상기 돌출부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표면에는 경면(specular)을이루도록 블랙 잉크가 도포되어 외부광을 흡수하는 광흡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라 스크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부는 상기 홈부에 의해 외부광을 적어도 한 번 이상 정반사(Specular Reflecti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라 스크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상기 홈부의 상기 단면은 이등변 삼각형이며, 상기 홈부는 삼각 이등변 프리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라 스크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상기 홈부의 상기 단면은 직각 삼각형이며, 상기 홈부는 삼각 부등변 프리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라 스크린.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상기 광출사면에 형성된 확산제에 의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라 스크린.
KR1020020016633A 2002-03-27 2002-03-27 렌티큘라 스크린 KR200300777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633A KR20030077764A (ko) 2002-03-27 2002-03-27 렌티큘라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633A KR20030077764A (ko) 2002-03-27 2002-03-27 렌티큘라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764A true KR20030077764A (ko) 2003-10-04

Family

ID=3237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633A KR20030077764A (ko) 2002-03-27 2002-03-27 렌티큘라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77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5116A1 (en) * 2012-08-06 201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reen for front projection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3764A (en) * 1983-12-30 1986-03-04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Rear projection screen
JPH05124320A (ja) * 1991-10-31 1993-05-21 Oki Electric Ind Co Ltd インクリボン駆動機構及びその駆動方式
KR0134330B1 (ko) * 1993-11-12 1998-04-20 배순훈 배면 투사형 음극선관의 스크린구조
KR19990085647A (ko) * 1998-05-20 1999-12-15 윤종용 프로젝션 텔레비젼 스크린
JP2000147668A (ja) * 1998-08-05 2000-05-26 Kuraray Co Ltd レンチキュラ―レンズシ―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3764A (en) * 1983-12-30 1986-03-04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Rear projection screen
JPH05124320A (ja) * 1991-10-31 1993-05-21 Oki Electric Ind Co Ltd インクリボン駆動機構及びその駆動方式
KR0134330B1 (ko) * 1993-11-12 1998-04-20 배순훈 배면 투사형 음극선관의 스크린구조
KR19990085647A (ko) * 1998-05-20 1999-12-15 윤종용 프로젝션 텔레비젼 스크린
JP2000147668A (ja) * 1998-08-05 2000-05-26 Kuraray Co Ltd レンチキュラ―レンズシ―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5116A1 (en) * 2012-08-06 201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reen for front projection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7966B1 (en) Rear projection screen using internal reflection
US6502942B2 (en) Rear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and translucent screen for use therein
EP0732615B1 (en) Rear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US6597417B1 (en) Optical panel having black material between apexes of serrations on the inlet face
EP0978758B1 (en) Lenticular lens sheet and rear projection screen
KR19990023874A (ko) 렌티큘러 렌즈 시트
US6844969B2 (en) Front projection type screen
JP2008506154A (ja) 全反射フレネルレンズおよび装置
KR100258057B1 (ko) 렌티큐라렌즈시트와 디스플레이용 전면판 및 투과형 스크린
US7139124B2 (en) Wide viewing angle screen and projection television comprising the same
KR100660786B1 (ko) 투과형 스크린
JPH11338056A (ja) 映像表示装置
JPS63110422A (ja) 透過形液晶表示装置
JP4025432B2 (ja) 背面投射型スクリーン
KR20030077764A (ko) 렌티큘라 스크린
US7061676B2 (en) Rear projection screen and rear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US5146342A (en) Rear projection television set with lenticular sheet and fresnel lens
KR19980035455A (ko) 후면투사 스크린의 렌티큘러 렌즈
JPH05289176A (ja) 透過型スクリーン
KR100294218B1 (ko) 프로젝터용배면투사스크린_
KR100612220B1 (ko) 프로젝션 스크린
JPH0572631A (ja) 前面投写装置
KR100461299B1 (ko) 렌티큘라 스크린이 적용된 프로젝션 스크린
JP2004258632A (ja)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背面投射型画像表示装置
JPH02196281A (ja) プロジェク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