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7688A - 휴대용 의자 - Google Patents

휴대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7688A
KR20030077688A KR1020020016514A KR20020016514A KR20030077688A KR 20030077688 A KR20030077688 A KR 20030077688A KR 1020020016514 A KR1020020016514 A KR 1020020016514A KR 20020016514 A KR20020016514 A KR 20020016514A KR 20030077688 A KR20030077688 A KR 20030077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chair
coupling
seat plate
uni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7439B1 (ko
Inventor
정현
Original Assignee
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 filed Critical 정현
Priority to KR10-2002-0016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439B1/ko
Publication of KR20030077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10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 A47C9/105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having several foldable or detachable legs converging in one poi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2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balancing device, e.g. by spring,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야외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된 좌판과,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하나의 다리를 포함하는 의자가 제공된다. 상기 다리는 상기 좌판과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된 좌판과, 상기 좌판을 지지하며 상기 좌판과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하나 또는 2 이상의 다리를 포함하는 의자가 제공된다. 상기 좌판은 출몰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의자 {HANDY STOOL}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야외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야외활동시 때때로 상당한 시간을 서서 대기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특히, 보통 서울랜드, 에버랜드, 디즈니랜드 등 놀이공원에서 놀이기구를 이용하거나, 각종 공연 등을 관람하기 위해 서서 기다리는 경우에 장시간이 소요되기도 한다. 이런 경우 오랜 시간동안 피곤하게 선 채로 계속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휴대용 의자이다.
통상, 휴대용 의자라고 하면 고강도, 경량의 지지다리들을 'X'자 형태로 교차시켜, 그곳을 핀으로 힌지 고정함으로서, 상기 핀을 중심으로 하여 지지다리들이 안쪽으로 모아질 수 있게 구성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의자는, 보통 휴대하기 간편하게 하기 위해 소형으로 만들어져 높이가 낮아 불편하였다. 또한, 자리를 옮겨야 하는 경우 의자를 접고 새 자리에서 다시 펴야하는 점도 불편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이면서 편안하도록 충분한 높이를 갖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앉을 수 있는 상태로 위치를 쉽게 옮길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콤팩트하게 접혀지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 경량으로서, 휴대하기 쉽고 신속히 이동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의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좌판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의 휴대용 의자의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좌판과 다리의 일부를 절단하여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도1의 휴대용 의자의 좌판과 다리의 고정부분의 정면도로서, 걸림부재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도1의 휴대용 의자의 다리가 좌판으로부터 분리되고 다리의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5의 (a)와 (b)는 각각 도1의 휴대용 의자의 접혀진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배면도로서, 도5(a)에서는 좌판을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의 다리의 단면도로서, 좌판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제외하고 도시한 도면
도7은 도6의 다리의 제1 부재, 결합부재, 제2 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의 다리의 정면도로서, 좌판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제외하고 도시한 도면
도9는 도8의 다리의 제1 부재, 결합부재, 제2 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의 다리의 정면도로서, 제1 다리부재를 절개하여 내부를 도시하되 결합부재를 잘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11의 (a)는 도10의 결합부재의 사시도이고, (b)는 (a)의 결합부재를 절개하여 그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좌판과 다리의 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의자 20 : 좌판
28 : 손잡이 30 : 휴대용 손잡이끈
39 : 고정띠 40 : 다리
50 : 제1 다리부재 51 : 고정부재
53 : 결합홈 60 : 삽입부재
70 : 걸림레버 72 : 걸림돌기
80 : 제2 다리부재 90 : 결합부재
94 : 결합레버 95 : 결합나사
97 : 압축스프링 99 : 고무줄
100 : 링크 343 : 홈
345 : 결합봉 512 : 높이 조절부
711 : 보조돌기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된 좌판과,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하나의 다리를 포함하는 의자가 제공된다.
상기 다리는 상기 좌판과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된 좌판과,
상기 좌판을 지지하며 상기 좌판과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하나 또는 2 이상의 다리를 포함하는 의자가 제공된다.
상기 좌판은 그 하부에 마련된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제1 걸림부가 마련되며,
상기 다리에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걸림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레버에는 상기 제1 걸림부에 걸리는 제1 걸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4)는 좌판 아래로 돌출되며,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돌출된 고정부(34)의 일측부에 형성된 홈(343)에 의해 마련되며,
상기 제1 걸개부는 상기 걸림레버(70)의 일단부에 돌출된 걸림돌기(72)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걸림레버는 상기 제1 걸림부와 제1 걸개부 사이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회전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걸림레버는 상기 제1 걸개부가 상기 제1 걸림부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상기 다리의 상단이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고정부를 미는 보조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에는 제2 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다리에는 상기 제2 걸림부에 걸리는 제2 걸개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2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개부를 결합한 후 상기 제1 걸림부와 제1 걸개부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부는 고정부에 구비된 결합봉(345)이며, 상기 제2 걸개부는 다리의 본체에 마련된 결합홈(52)일 수 있다.
상기 좌판에는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다리와 상기 좌판의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궤도를 구비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궤도에 맞물리도록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판과 상기 다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리는 다수의 막대형 단위 다리부재가 일렬로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인접한 두 단위 다리부재 중 하나는 그 끝 부분이 다른 하나의 내부에 끼워지되 끝단의 일정한 부분 이상은 삽입되지 않도록 멈춤부가 마련되며,
상기 다수의 단위 다리부재의 중앙을 통과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다수의 단위 다리부재 중 양끝의 두 단위 다리부재 사이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양끝의 두 단위 다리부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단위 다리부재 중 하나는 다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단위 다리부재는 인접한 다른 단위 다리부재에 대해 출몰 가능하되,
상기 인접하는 두 단위 다리부재를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단위 다리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단위 다리부재의 끝부분은 나사산이 형성된 다수의 갈래들로 갈라지고, 상기 결합부재로서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는 너트를 구비하되,
상기 너트는 상기 갈래들을 안쪽으로 밀어 상기 수용되는 단위부재와 갈래들이 밀착하도록 일부분의 내경이 상기 다른 단위 다리부재를 수용하는 단위 다리부재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단위 다리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단위 다리부재의 끝부분은 다수의 갈래들로 갈라지고, 상기 결합부재로서 상기 갈래들을 감싸는 고리형태의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의 내경을 줄이는 레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위 다리부재 중 상기 좌판에 결합되는 단위 다리부재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다른 단위 다리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단위 다리부재 안에 삽입되는 기둥형 부재로서, 다수의 갈래로 분리시키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틈새와,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대부가 마련되고 직경이 작아지기 전까지의 구간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길이방향으로 뚫린 관통구멍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 다리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다른 단위 다리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결합부재의 관통구멍에 끼워져 상기 결합부재를 벌리도록 하는 벌림막대가 고정되되, 상기 벌림막대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관통구멍에 형성된 암나사에 대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에 마련된 원뿔대부에 대응하는 원뿔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벌림막대와, 상기 벌림막대가 고정되는 상기 단위 다리부재 사이에는 완충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플랜지를 구비하는 일단부는 상기 벌림막대에 고정되고 반대편 단부는 상기 단위 다리부재에 대해 출몰가능하되 이탈하지 않도록 결합되는 지지축과,
일단부는 상기 플랜지에 구속되고 반대편 단부는 상기 단위 다리부재의 단부에 구속되도록 상기 지지축에 끼워지는 압축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판은 출몰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의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휴대용 의자(10)는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된 사각형의 판 형태인 좌판(20)과, 좌판(20)의 밑면 중앙으로부터 아래로 길게 연장된 다리(40)를 구비한다. 좌판(20)은 편평한 평판부(22)와, 평판부(22)의 전단부와 후단부로부터 각각 아래로 약간 연장되어 형성된 마주보는 전/후방벽(24,25)을 포함한다.
도1, 도2, 도5(b)를 참조하면, 좌판(22)의 양측에는 각각 손잡이(28)가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가는 원형봉 부재로 만들어진 손잡이(28)는 손잡이대(283)와, 손잡이대(283)의 양끝으로부터 각각 평행하게 연장된 두 결합부(281, 282)를 구비한다. 손잡이부(283)의 양끝은 각각 아래로 꺾여 약간 연장된 후 결합부(281, 282)와 연결된다. 따라서, 손잡이대(283)는 두 결합부(281, 282)보다 약간 위에 위치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손잡이대(283)를 보다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두 결합부(281, 282)의 끝은 각각 안쪽으로 꺾여져 약간 연장되어 멈춤부(284, 285)를 형성한다. 이 멈춤부(284, 285)가 후술하는 결합부재(26)에 걸려 손잡이(28)가 좌판(2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두 결합부(281, 282)는 좌판(20)의 전/후방벽(24, 25)과 평행하며 좌판(20)의 밑면에 결합된 결합부재(26)에 의해 출몰이동이 안내된다. 하나의 결합부에 두 개씩 마련되는 결합부재(26)는 결합부(281, 282)를 감싸도록 마련된 곡선부(261)와, 곡선부(261)의 양끝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 직선부(262)를 구비한다. 결합부재(26)는 직선부(262)에 끼워지는 결합나사못(263)에 의해 좌판(2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손잡이(28)는 손잡이대(283)가 좌판(20)의 양측단에 걸릴 때까지 넣을 수 있고, 멈춤부(284, 285)가 결합부재(261)에 걸릴 때까지 뺄 수 있다. 사용자는 앉아있는 상태에서 이 손잡이(28)를 적당한 위치까지 뺀 후 손잡이대(283)를 잡고 쉽게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좌판(20)의 일측단의 모서리 부분에는 휴대용 손잡이끈(30)이 묶이도록 마련된 고리(32)가 마련된다. 사용자는 의자를 접은 후 이 고리(32)에 묶여진 손잡이끈(30)을 잡고 간편하게 의자(10)를 들고 다닐 수 있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좌판(20)의 평판부(22) 밑면 중앙에는 후술하는다리(40)가 고정되는 다리 고정부(34)가 구비된다. 다리 고정부(34)의 양쪽에는 각각 제1 다리 받침대(36)와 링크 연결부(38)가 구비되고, 링크 연결부(38)의 옆에는 제2 다리 받침대(37)가 구비된다(도5의 (b) 함께 참조). 제1 다리 받침대(36)와 고정부(34) 사이에는 고정띠(39)의 일단부가 고정된다. 다리 고정부(34)는 평판부(22)의 밑면으로부터 사각형태로 낮게 돌출된 기초부(341)와, 기초부(34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나란히 배치된 측벽(342)을 구비한다. 두 측벽(342)은 좌판(20)의 전/후방벽(24, 25)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측벽(342)이 마련되지 않은 기초부(341)의 일측에는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된 길이방향 쪽으로 들어간 홈(343)이 형성된다. 이 홈(343)에는 후술하는 걸림부재(70)의 걸림돌기(72)가 삽입된다. 홈(343)의 반대측에는 두 측벽(342) 사이를 연결하는 가느다란 원형의 결합봉(345)이 마련된다. 이 결합봉(345)에는 후술하는 다리(40)의 결합홈(52)이 끼워진다.
링크 연결부(38)는 평판부(22)의 밑면으로부터 사각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링크 연결부(38)에서 좌판(20)의 전/후방벽(24, 25)을 바라보는 두 측면에는 각각 후술하는 링크(100)의 일단부가 힌지(10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결합된다. 제1 다리 받침대(36)와 제2 다리 받침대(37)는 평면부(22)의 밑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40)를 접었을 때 다리가 받쳐진다. 도5를 참조하면, 고정띠(39)는 다리(40)를 접었을 때 분리된 다리(40)의 두 부재(50, 80)를 고정시키도록 그 끝이 분리가능한 결합부재(예를 들면, 벨크로, 스냅단추 등)에 의해 좌판(20)의 밑면과 결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띠(39)의 분리가능한 결합부재로 벨크로 테이프를 사용한다. 즉, 벨크로 테이프의 대응하는 두 부재를 고정끈(39)의 끝과 좌판(20)의 밑면에 각각 고정시켜 사용한다. 본 발명은 고정띠의 결합부재를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분리가능한 결합부재이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다리(40)는 일단부가 좌판(20)에 결합되는 제1 다리부재(50)와, 일단부가 제1 다리부재(50)와 결합되고 그 반대편 단부가 지면에 닿는 제2 다리부재(80)를 구비한다. 제1 다리부재(50)는 좌판(20)의 고정부(34)에 결합되는 고정부재(51)와, 고정부재(51)에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부재(60)를 구비한다.
고정부재(51)는 상하로 연장된 사각기둥 형태인 결합부(511)와, 결합부(511)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원형관 형태인 높이 조절부(512)를 구비한다. 결합부(511)의 끝 부분의 일측에는 결합홈(52)이 마련되고, 반대편 측면에는 힌지장착부(518)와 스프링홈(515)이 마련된다. 힌지장착부(518)는 결합부(511)의 외측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마련되는데, 이 힌지장착부(518)에 후술하는 걸림레버(7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힌지장착부(518) 아래에는 스프링홈(515)이 마련된다. 스프링홈(515)은 내부에 압축스프링(519)을 수용하도록 마련된 공간으로서 후술하는 걸림레버(70)의 가압돌기(732)가 삽입되도록 개방된다. 압축스프링(519)의 일단부에는 가압돌기(732)와 접하도록 마련된 보조판(517)이 결합된다. 결합부(511)는 그 끝단이 좌판(20)에 있는 고정부(34)의 두 측벽(342) 사이로 삽입되며 결합부(511)의 결합홈(52) 안으로 좌판(20) 하측의 고정부(34)의 결합봉(345)이 끼워진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고정부재(51)의 힌지장착부(518)에 힌지(514)로 결합된 걸림레버(70)는 힌지(514)를 중심으로 결합부(511)의 끝단쪽으로 연장된작용부(71)와, 작용부(71)의 반대쪽으로 연장된 조작부(73)를 구비한다. 작용부(71)는 그 끝단이 결합부(511)의 끝단보다 약간 더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작용부(71)는 끝단에 마련되는 걸림돌기(72)와, 걸림돌기(72)와 힌지(514) 사이에 마련되는 보조돌기(711)를 구비한다. 걸림돌기(72)는 좌판(20) 하측의 고정부(34)의 홈(343)에 끼워져 고정부재(51)가 고정부(34)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보조돌기(711)는 결합부(511)를 감싸도록 그 외측면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2개가 형성된다. 보조돌기(711)는 걸림돌기(72)와 마주보는 측이 고정부(34)의 측벽(342)의 끝단과 인접하도록 위치한다. 보조돌기(711)는 고정부재(51)를 고정부(34)로부터 분리할 때 작용한다. 그 작용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조작부(73)는 결합부(511)와 마주보는 경사면(731)을 구비하는데 끝단으로 갈수록 결합부(511)의 외측면과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 경사면(731) 쪽에는 결합부(511)의 스프링홈(515) 안으로 삽입되는 가압돌기(732)가 마련된다. 가압돌기(732)의 끝단은 스프링홈(515) 내의 보조판(517)과 접한다. 압축스프링(519)은 가압돌기(732)를 바깥쪽으로 민다. 이 힘은 걸림돌기(72)가 고정부(34)의 홈(343)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여, 결국 다리(40)는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며 좌판(20)에 고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리와 좌판의 결합 분리 구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결합구조도 사용할 수 있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고정부재(51)의 높이 조절부(512)는 원형관으로서 그 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높이 조절부(512)에는 상하로 위치하는 다수의 높이조절용 고정구멍(513)들이 일렬로 마련된다. 이 다수의 고정구멍(513)들 중 하나에 후술하는 삽입부재(60)의 고정용 돌기(61)가 끼워져 삽입부재(60)와 고정부재(51)가 결합된다. 고정용 돌기(61)가 끼워지는 고정구멍(513)의 위치에 따라 의자(10) 전체의 높이가 결정된다.
고정부재(51)와 좌판(20)은 링크(100)로 연결되어 있다. 링크(100)의 양단부는 각각 좌판(20)의 링크 연결부(38)와 고정부재(51)의 결합부(511) 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로 결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고정부재(51)와 좌판(20)의 결합을 링크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체인과 같은 다른 형태의 결합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고정부재(51)로 상부의 일부가 끼워지는 삽입부재(60)는 원형관 형태로서 양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삽입부재(60)는 상부 측면에 마련된 고정용 돌기(61)를 구비한다. 이 고정용 돌기(61)는 삽입부재(60)에 설치되며 누르면 안으로 들어가고 놓으면 밖으로 돌출하는 구성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를 위하여 고정용 돌기(61)는 출몰 가능하도록 압축스프링으로 삽입부재(60)와 결합되는데 그 구성은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삽입부재(60)의 아래 끝 부분은 약간 벌어져 있다. 이것은 이 벌어진 부분을 통해 제2 부재(8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삽입부재(60)는 고정용 돌기(61)가 마련되는 단부가 고정부재(51)의 높이조절부(512) 안으로 삽입된다. 삽입된 삽입부재(60)는 고정용 돌기(61)가 높이조절부(512)의 다수의 고정구멍(513)들 중 하나에 끼워져 고정된다. 고정용 돌기(61)가 끼워지는 고정구멍(513)의 위치에 따라 의자(10)의 높이가 변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제2 부재(80)는 원형관 형태로서, 상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하단부는 덮개(82)로 막혀있다. 제2 다리부재(80)의 상부는 약간 안쪽으로 오므려져 있다. 안쪽으로 모아진 제2 다리부재(80)의 상부가 내부가 벌어진 삽입부재(60)의 아래로 삽입된다. 그리고, 제2 다리부재(80)의 오므려진 상부의 외측면과 삽입부재(60)의 경사진 하부의 내측면이 접하면 더 이상 제2 다리부재(80)가 안으로 삽입되지 않는다. 다리(40)의 비어있는 내부에는 인장력을 받는 탄성부재(99)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로서 고무줄을 사용한다. 고무줄(99)의 일단부는 제2 다리부재(80)의 덮개(82)에 고정되며, 반대편 단부는 고정부재(51)의 높이조절부(512)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이 고무줄(99)의 당기는 힘에 의해 제1 다리부재(50)와 제2 다리부재(80)는 쉽게 결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탄성부재로서 고무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스프링과 같이 탄성을 갖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고무줄(99)의 힘은 사람의 힘으로 제1 다리부재(50)로부터 제2 다리부재(80)를 분리할 수 있을 정도면 적당하다.
이제, 도3, 도4, 도5를 참조하여 상기 휴대용 의자의 접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레버(70)의 조작부(73)를 누르면 작용부(71) 끝의 걸림돌기(72)가 고정부(34)의 홈(343)으로부터 이탈한다. 동시에 작용부(71)의 보조돌기(711)가 고정부(34)의 끝단면을 밀게되고 상대적으로 다리(40)가 고정부(34)의 결합봉(345)을 중심으로 약간 회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리(40)를 결합봉(345)으로부터 분리하면 도4와 같이 다리(40)가 좌판(2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또한, 도2에서 다리(40)의 제2 다리부재(80)를 잡아당기면 다리(40) 내부의 고무줄(99)이 늘어나면서 제2 다리부재(80)가 제1 다리부재(50)로부터 빠지게 되어 도4와 같이 분리된다. 도3 및 도4의 과정을 통해 완전히 분리된 다리(40)를 링크(100)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질 수 있다. 도5의 (a)와 (b)를 참조하면, 다리(40)의 제1 다리부재(50)와 제2 다리부재(80)는 나란히 좌판(20)과 평행하게 접혀져 있다. 제1 다리부재(50)와 제2 다리부재(80)의 일측은 좌판(20)의 제1 다리받침대(36)에 지지되며 제2 부재(80)의 반대편측은 제2 다리 받침대(37)에 지지된다. 또한, 제1 부재(50)와 제2 부재(80)는 접혀진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벨크로 테이프를 구비하는 고정띠(39)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도4 내지 도5에서는 편리하게 각 부재들을 도시하기 위해 제1 다리부재와 제2 다리부재를 떨어져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고무줄(99)의 작용에 의해 두 다리부재(50, 80)는 서로 붙어있게 된다.
접혀진 의자를 전개하기 위해서는 상기 설명한 접는 과정을 반대로 실시하면 된다. 즉, 도5에 도시된 접혀진 상태에서 고정띠(39)를 풀고 제1 부재(50)를 링크(100)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 도4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도4의 상태가 되기 이전 또는 이후에 제2 다리부재(80)를 제1 다리부재(50)와 결합시키면 다리가 완성된다. 그 다음,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40)의 결합홈(52) 안에 고정부(34)의 결합봉(345)을 끼운다. 마지막으로 걸림레버(70)의 걸림돌기(72)를 고정부(34)의 홈(343)에 끼우면 좌판(20)과 다리(40)가 고정되어 의자(10)는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의 다리를 도시한 것이다.도6을 참조하면, 다리(40a)는 상부의 제1 다리부재(50a)와 하부의 제2 다리부재(80a)를 구비한다. 제1 다리부재(50a)와 제2 다리부재(80a)는 결합부재(90)에 의해 결합된다. 제1 다리부재(50a)는 상부의 고정부재(51a)와, 하부의 삽입부재(60a)를 구비한다. 고정부재(51a)와 삽입부재(60a)는 결합너트(620)에 의해 결합된다. 고정부재(51a)는 완충부(550)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완충부(550)의 위에 위치하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이 결합부는 제1 실시예의 제1 다리부재(50)의 결합부(511)와 같은 구조로서,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완충부(550)에는 상부는 막혀있고 하부는 개방되어 있는 홈이 마련된다. 완충부(550)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결합너트(620)가 결합된다. 완충부(550)의 안에는 압축스프링(552)이 설치된다. 압축스프링(552)의 일단부는 완충부(550)의 바닥면에 구속되고, 반대편 단부는 후술하는 삽입부재(60a)의 일단부에 구속되어 삽입부재(60a)를 강하게 민다. 이 압축스프링(552)은 지면과 좌판에 전달되는 충격을 줄여 준다.
삽입부재(60a)는 상하로 연장된 원형관 형태로서, 상부에는 외측면이 돌출된 고리형 플랜지부(62)가 형성되고 하부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의 플랜지부(62)는 완충부(550) 홈 안에 삽입되어 그 단부가 압축스프링(552)에 접한다. 이 상태에서 삽입부재(60a)는 결합너트(620)에 의해 완충부(550)의 내부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결합된다. 결합너트(620)의 일단부는 내경이 좁아지도록 마련된 단턱부(621)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너트(620)는 단턱부(621)가 완충부(550)의 개방된 단부와 접하도록 완충부(550)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완충부(550) 안에 삽입된 삽입부재(60a)의 플랜지부(62)는 결합너트(620)의 단턱부(621)에 걸려 이탈되지 않는다. 도7을 참조하면, 삽입부재(60a)의 하단부에는 상하방향(삽입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틈새에 의해 갈라진 다수의 갈래(601)가 구비된다. 갈래(601)의 상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각 갈래(601)는 틈새에 의해 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고, 이 분리 상태는 끝 부분까지 그대로 이어진다. 따라서, 각 갈래(601)들을 안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면 각 갈래(601) 사이의 틈새가 좁아지면서 내경이 좁아질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제2 다리부재(80a)는 상하로 연장된 원형관 형태로서 상부는 삽입부재(60a) 안에 끼워져 고정되고 하단부는 덮개(82a)로 폐쇄된다. 제2 다리부재(80a)의 외경은 삽입부재(60a)의 내경보다 다소 작게 하여 삽입 가능하도록 한다. 도6과 도7을 참조하면, 삽입부재(60a)와 제2 다리부재(80a)는 결합부재(90)에 의해 결합된다. 결합부재(90)는 상기 설명한 결합너트(620)와 유사한 형태이다. 다만, 내측면은 중간부분부터 아래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들도록 오므라들며 이 구간에는 나사산이 없다. 이것은 결합부재(90)가 위로 올라감에 따라 작은 내경을 갖는 내측면이 삽입부재(60a)의 각 갈래(601)를 안쪽으로 밀어 갈래(601)와 제2 다리부재(80a)를 밀착시키기 위함이다. 이렇게 밀착된 제2 다리부재(80a)와 삽입부재(60a)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결합부재(90)를 풀면 제2 다리부재(80a)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다리부재(80a)를 알맞은 위치에서 두고 다시 결합부재(90)를 조여 결합함으로써 의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의자를 접을 때에는 제2 다리부재(80a)를 완전히 삽입부재(60a) 안으로 밀어 넣은 후 결합부재(90)를 조여 다리의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의 다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을 참조하면, 다리(40b)는 상부의 제1 다리부재(50b)와 하부의 제2 다리부재(80b)를 구비한다. 제1 다리부재(50b)와 제2 다리부재(80b)는 결합부재(90a)에 의해 결합된다. 제1 다리부재(50b)는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2 실시예에서의 제1 다리부재(50a)(도6과 도7 참조)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다리부재(80b) 역시 상기 제2 실시예에서의 제2 다리부재(80a)(도6과 도7 참조)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8과 도9를 참조하면, 결합부재(90a)는 고리형태의 링부재(92)와, 레버(94)와, 레버(94)와 고리부재(92)를 연결하는 연결봉(96)을 구비한다. 도9를 참조하면, 링부재(92)는 이격된 틈으로 약간 벌어져 있는 원형부(921)와, 원형부(921)의 양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나란히 직선으로 연장된 두 직선부(922, 923)를 구비한다. 두 직선부(922, 923)는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다. 연결봉(96)은 두 직선부(922, 923)를 관통한다. 연결봉(96)의 일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너트(961)와 결합되고 반대측은 후술하는 레버(94)와 힌지(962)로 결합되어 있다. 즉, 두 직선부(922) 중 하나(922)는 너트(961)와 접하고 다른 하나(923)는 레버(94)와 접한다. 레버(94)는 연결봉(96)과 회전가능하도록 힌지(962)로 결합되어 있다. 레버(94)의 힌지(962) 주위의 테두리는 직선부(923)와 접한다. 레버(94)에서 힌지(962) 주위의 테두리 부분은 대체로 둥근 형상인데, 힌지(962)에서 레버(94)의길이 방향 테두리(941)까지의 길이가 힌지(962)에서 레버(94)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테두리(942)까지의 길이보다 크다. 이는 레버(94)의 회전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즉, 도9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힌지(962)로부터 길이가 짧은 테두리(942)가 직선부(923)와 접하기 때문에, 두 직선부(922, 923)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링부재(92)를 제1 다리부재(50b)에 끼우고 제2 다리부재(80b)를 제1 다리부재(50b) 안으로 삽입한 후 레버(94)를 화살표 방향으로 돌리면, 힌지(962)로부터 길이가 긴 테두리가 직선부(923)에 접하게 되면서 두 직선부(922, 923)가 밀착되고 동시에 원형부(921)의 내경이 작아진다. 이렇게 되면 제1 다리부재(50b) 하부의 각 갈래(601b)가 안으로 밀리면서 제2 다리부재(80b)와 밀착하게 되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다. 제2 다리부재(80b)를 적당한 위치에 두고 결합부재(90a)의 레버(94)를 조여줌으로써, 의자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의자를 접을 때 제2 다리부재(80b)를 제1 다리부재(50b) 안으로 완전히 삽입한 후 고정시켜 다리의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레버(94)의 손잡이 쪽은 둥글게 곡선을 이루는데 이는 고정시 링부재(92)의 원형부(921)와 형상이 맞도록 하기 위함이다. 링 부재는 갈래(601b) 중 하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6 ~ 도9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2 다리부재가 완전히 빠지지 않게 하는 구성이 가능함은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의 다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을 참조하면, 다리(40c)는 상부의 제1 다리부재(50c)와 하부의 제2다리부재(80c)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리부재(50c)와 제2 다리부재(80c)는 제2 다리부재(80c)의 상부가 제1 다리부재(50c) 안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제1 다리부재(50c)는 내부가 빈 원통형 부재로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단부가 의자의 좌판과 결합된다.
제2 다리부재(80c)는 원통형의 본체(81c)와, 본체(81c)의 상단에 마련되는 완충부(85c)와 결합부(87c)를 구비한다. 완충부(85c)는 코일 스프링(851)과, 지지축(852)을 구비한다. 코일 스프링(851)의 일단부는 본체(81c)의 상단에 접하고 반대편 단부는 후술하는 지지축(852)의 플랜지(853)에 접한다. 지지축(852)은 본체(81c)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이다. 지지축(852)은 코일 스프링(851) 안에 끼워진다. 지지축(852)의 일단부는 본체(81c)의 상단에 삽입되고 단대편 단부에는 코일 스프링(851)을 구속하도록 마련된 플랜지(853)가 구비된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축(852)은 그 일단부가 본체(81c)의 내부에서 걸려 빠지지 않는데 안쪽으로 삽입되는 것은 가능하다. 즉 본체(81c)에 대해 출몰은 가능하되 이탈되지는 않도록 결합된다. 당업자라면 이러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완충부(85c)의 구성에 의해, 코일 스프링(852)은 항상 지지축(852)의 플랜지(853)와 본체(81c)가 서로 멀어지도록 힘을 가한다.
결합부(87c)는 벌림막대(871)와, 벌림막대(871)에 끼워지는 결합부재(875)를 구비한다. 벌림막대(871)는 지지축(852)의 플랜지(853)가 마련된 일단부로부터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벌림막대(871)의 중간에는 경사면(872)을 구비하는 원뿔대부가 구비된다. 원뿔대부의 아래는 직경이 크고 경사면(872) 위는직경이 작다. 또한, 원뿔대부 아래쪽 부분에는 나사산(873)이 형성되어 있다. 벌림막대(871)의 끝에는 걸림부 플랜지부(873)가 마련된다. 이 걸림 플랜지부(873)에 후술하는 결합부재(875)의 관통구멍(876)에 마련된 단턱부(8761)가 걸려 한번 조립된 결합부재(875)가 벌림막대(871)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막는다.
도10과 도11을 참조하면, 결합부재(875)는 원기둥 형태로서, 중심에는 관통구멍(876)이 마련된다. 관통구멍(876)의 중간에는 경사면(877)이 마련된 원뿔대부가 있고 경사면(877) 아래는 직경이 크고 나사산(878)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면(877) 위는 직경이 작은 관통구멍이 있으며, 그 바로위에는 직경이 약간 커지도록 단턱부(8761)가 마련된다. 이 단턱부(8761)에 벌림막대(871)의 걸림 플랜지부(873)가 걸려 결합부재(875)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도3의 (a)를 참조하면, 결합부재(875)를 두 갈래로 나누도록 상단으로부터 하부까지 형성된 제1 틈새(879)와, 결합부재(875)를 두 갈래로 나누도록 하단으로부터 상부까지 형성된 제2 틈새(880)가 마련된다. 제1 틈새(879)와 제2 틈새(880)는 직각을 이룬다. 결합부재(875)의 상부는 제1 틈새(879)에 의해 상부의 화살표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 결합부재(875)의 하부는 제2 틈새(880)에 의해 하부의 화살표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 결합부재(875)의 외경은 제1 다리부재(50c)의 안쪽 구멍에 헐겁게 끼워지는 정도의 크기이다.
도10을 참조하면, 결합부재(875)를 제2 다리부재(80c)의 벌림막대(871)에 밀어 넣어 끼운다. 그 후 제2 다리부재(80c)를 밀어 넣는다. 이때, 결합부재(875)의 외측면은 제1 다리부재(50c)의 내면과 약간씩 닿으면서 들어가게 된다. 적절한 위치에서 제2 다리부재(80c)를 회전시키면 결합부재(875)는 외면의 마찰력으로 제자리에 있고 벌림막대(871) 나사산의 작용에 의해 전진하여 결국, 벌림막대(871)의 경사면(872)과 결합부재(875)의 경사면(877)이 만나게 되고 벌림막대(871)를 더 돌려 넣으면 벌림막대(871)의 경사면(872)이 결합부재(875)의 경사면(877)을 지나면서 결합부재(875)를 벌리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결합부재(875)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도11의(a)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벌어진 결합부재(875)는 제1 다리부재(50c)의 내측면과 완전히 밀착하게 되어 제2 다리부재(80c)를 제1 다리부재(50c)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완충부(85c)와 결합부(87c)의 구성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고 다리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좌판과 다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를 참조하면, 좌판(20d)의 밑면에는 다리(40d)가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34d)가 마련된다. 고정부(34d)는 높이가 낮은 원형관 형태이다. 고정부(34d)의 끝에는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세 개의 돌출부(3411)가 마련된다. 본 발명은 돌출부(3411)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리(20d)의 상부 외측면에는 세 개의 짧은 나사산(450, 도면에는 두 개만 도시됨)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나사산의 개수가 세 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고정부(34d)에 형성된 돌출부의 개수와 동일하면 된다.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이 이격된 부분(451)으로 고정부(34d)의 돌출부(3411)를 끼운 후 다리(20d)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세 돌출부(3411)가 각각 세 나사산(450)에 끼워져 고정된다. 다리(40d)와 좌판(20d)은 연결끈(10)으로 연결된다.
이상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두 다리가 2개의 다리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다리가 3개 또는 그 이상의 다리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의한 다리의 구성(접는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좌판과 하나의 다리로 구성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든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리가 하나인 의자가 제공된다. 다리가 하나인 의자는 구조가 간단하고 휴대성이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다리와 좌판의 분리조립이 가능한 의자가 제공된다. 이 분리조립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충분한 높이를 가질 뿐만 아니라, 그 높이가 조절되는 휴대용 의자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의자를 사용하면 앉은 상태에서 그대로 위치를 쉽게 옮길 수 있으며,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덜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의자는 휴대하기 편하도록 콤팩트하게 접혀진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2)

  1.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된 좌판과,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하나의 다리를 포함하는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상기 좌판과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의자.
  3.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된 좌판과,
    상기 좌판을 지지하며 상기 좌판과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하나 또는 2 이상의 다리를 포함하는 의자.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은 그 하부에 마련된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제1 걸림부가 마련되며,
    상기 다리에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걸림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레버에는 상기 제1 걸림부에 걸리는 제1 걸개부가 마련된 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4)는 좌판 아래로 돌출되며,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돌출된 고정부(34)의 일측부에 형성된 홈(343)에 의해 마련되며,
    상기 제1 걸개부는 상기 걸림레버(70)의 일단부에 돌출된 걸림돌기(72)에 의해 마련되는 의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레버는 상기 제1 걸림부와 제1 걸개부 사이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회전력을 받는 의자.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레버는 상기 제1 걸개부가 상기 제1 걸림부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다리의 상단이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고정부를 미는 보조돌기를 구비하는 의자.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제2 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다리에는 상기 제2 걸림부에 걸리는 제2 걸개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2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개부를 결합한 후 상기 제1 걸림부와 제1 걸개부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의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는 고정부에 구비된 결합봉(345)이며, 상기 제2 걸개부는 다리의 본체에 마련된 결합홈(52)인 의자.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에는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다리와 상기 좌판의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궤도를 구비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궤도에 맞물리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의자.
  1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과 상기 다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하는 의자.
  12.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다수의 막대형 단위 다리부재가 일렬로 결합되어 마련되는 의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두 단위 다리부재 중 하나는 그 끝 부분이 다른 하나의 내부에 끼워지되 끝단의 일정한 부분 이상은 삽입되지 않도록 멈춤부가 마련되며,
    상기 다수의 단위 다리부재의 중앙을 통과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다수의 단위 다리부재 중 양끝의 두 단위 다리부재 사이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양끝의 두 단위 다리부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의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위 다리부재 중 하나는 다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장치가 마련된 의자.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다리부재는 인접한 다른 단위 다리부재에 대해 출몰 가능하되,
    상기 인접하는 두 단위 다리부재를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구비하는 의자.
  16. 제15항에 있어서, 다른 단위 다리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단위 다리부재의 끝부분은 나사산이 형성된 다수의 갈래들로 갈라지고, 상기 결합부재로서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는 너트를 구비하되,
    상기 너트는 상기 갈래들을 안쪽으로 밀어 상기 수용되는 단위부재와 갈래들이 밀착하도록 일부분의 내경이 상기 다른 단위 다리부재를 수용하는 단위 다리부재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의자.
  17. 제15항에 있어서, 다른 단위 다리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단위 다리부재의 끝부분은 다수의 갈래들로 갈라지고, 상기 결합부재로서 상기 갈래들을 감싸는 고리형태의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의 내경을 줄이는 레버를 구비하는 의자.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다리부재 중 상기 좌판에 결합되는 단위 다리부재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의자.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다른 단위 다리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단위 다리부재 안에 삽입되는 기둥형 부재로서, 다수의 갈래로 분리시키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틈새와,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대부가 마련되고 직경이 작아지기 전까지의 구간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길이방향으로 뚫린 관통구멍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 다리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다른 단위 다리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관통구멍에 끼워져 상기 결합부재를 벌리도록 하는 벌림막대가 고정되되, 상기 벌림막대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관통구멍에 형성된 암나사에 대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에 마련된 원뿔대부에 대응하는 원뿔대부가 마련되는 의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벌림막대와, 상기 벌림막대가 고정되는 상기 단위 다리부재 사이에는 완충부가 더 구비되는 의자.
  21. 제20항에 있어서, 플랜지를 구비하는 일단부는 상기 벌림막대에 고정되고 반대편 단부는 상기 단위 다리부재에 대해 출몰가능하되 이탈하지 않도록 결합되는 지지축과,
    일단부는 상기 플랜지에 구속되고 반대편 단부는 상기 단위 다리부재의 단부에 구속되도록 상기 지지축에 끼워지는 압축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의자.
  22.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은 출몰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하는 의자.
KR10-2002-0016514A 2002-03-26 2002-03-26 휴대용 의자 KR100467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514A KR100467439B1 (ko) 2002-03-26 2002-03-26 휴대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514A KR100467439B1 (ko) 2002-03-26 2002-03-26 휴대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688A true KR20030077688A (ko) 2003-10-04
KR100467439B1 KR100467439B1 (ko) 2005-01-24

Family

ID=3237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514A KR100467439B1 (ko) 2002-03-26 2002-03-26 휴대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4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4150A (zh) * 2019-08-30 2019-11-19 杭州临安赛美家具有限公司 组合式酒吧座椅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279Y1 (ko) * 1982-04-16 1984-02-23 홍성우 분해조립식 회전의자
JPH10327968A (ja) * 1997-05-28 1998-12-15 Bunso Ra 椅子昇降制御装置
JPH11290157A (ja) * 1998-04-07 1999-10-26 Satoshi Sugimoto 正座椅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4150A (zh) * 2019-08-30 2019-11-19 杭州临安赛美家具有限公司 组合式酒吧座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7439B1 (ko) 2005-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7466B1 (ko) 절첩식 놀이터 및 이에 사용되는 잠금장치
US6467843B1 (en) Collapsible seat
US7404601B2 (en) Light-weight foldable chair for leisure
AU2014329248B2 (en) Collapsible chai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5451095A (en) Juvenile cradle bouncer apparatus
US6418577B1 (en) Portable hammock
US6634609B2 (en) Universal accessory adapter for collapsible outdoor furniture
WO2015013342A1 (en) Umbrella anchoring system and method
US5411313A (en) Portable seating device
EP3922127B1 (en) A foldable chair
KR100467439B1 (ko) 휴대용 의자
KR101696299B1 (ko) 간이 침대
KR20120067609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
KR101683754B1 (ko) 의자 겸용 지팡이
KR20090095167A (ko) 다용도 휴대용 독서대
JP2004344609A (ja) 携帯椅子兼用杖
KR100573606B1 (ko) 낚시의자 일체형 받침대 장착기구
KR200293682Y1 (ko) 파라솔 지지장치
KR101325560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접철식 등산용 스틱
KR100329846B1 (ko) 높낮이가 개별적으로 조절되는 의자
US6871912B1 (en) Highchair
KR101510733B1 (ko) 휴대용 의자
KR102466527B1 (ko) 폴딩타입 좌대를 갖는 낚시의자
KR200472049Y1 (ko) 의자 기능을 갖는 지팡이
KR200334026Y1 (ko) 도약식 놀이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