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7506A - 어깨보호대 - Google Patents
어깨보호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77506A KR20030077506A KR1020030062310A KR20030062310A KR20030077506A KR 20030077506 A KR20030077506 A KR 20030077506A KR 1020030062310 A KR1020030062310 A KR 1020030062310A KR 20030062310 A KR20030062310 A KR 20030062310A KR 20030077506 A KR20030077506 A KR 200300775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ulder
- support
- user
- pad
- guide slo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깨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내부면(1) 및 배낭과 접촉되는 외부면(3)을 갖추고서, 착용자의 뒷목하부와 어깨상부 및 배후면에 부합되는 형태를 하고서 미끄럼방지수단이 형성된 어깨지지부(5)가 좌우로 2분할 형성되고, 이들 어깨지지부(5)의 간격이 조절수단을 매개로 조절되도록 된 어깨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어깨지지부(5)에 주 지지수단과 보조 지지수단 및 조절부(43)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수단이, 지지부(49)의 좌우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돌출형성된 2쌍의 수용부(47)를 갖추고서, 이 수용부(47)상에서 상기 조절부(43)를 이동시키면서 어깨지지부(5)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고, 착용한 상태에서도 배낭 무게 및 사용자의 다양한 착용조건에 따라 수시로 지지점을 보정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어깨가 구속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최적상태로 착용할 수 있어 착용감 및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낭등에 착탈시키면서 사용하는 어깨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어깨부위로 전달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착용감과 활동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어깨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가활동인구가 증가하면서 각종 일용품을 간편하게 수납하여 들고 다닐 수 있는 가방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 같은 용도로 쓰이는 가방중에 어깨에 메는 형태의 배낭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추세이다. 이 배낭은 등산이나 하이킹용으로 사용되는 외에도 학생들의 책가방 대용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특수한 용도, 예를 들어 군인들이 개인장비를 휴대하는 데에도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 배낭에는 하중을 분배시키기 위해 대개 두개의 어깨끈이 채용되고 사용자가 어깨끈을 어깨에 걸어주는 형태로 착용하게 됨에 따라 경량의 물건을 수납한 상태에서 이동할 때에는 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장시간 또는 중량(重量)의 물건을 수납하고서 이동할 때에는 사용자의 어깨부에 심한 통증과 척추의 이상, 두통 등을 야기시킬 수 있다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중 가장 보편적인 것으로는 사용자의 어깨부위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한 근육통을 들 수 있는데, 이 근육통은 어깨끈이 신체의 일부분만을 지속적으로 눌러주기 때문에 안정되지 못한 자세로 장시간 메고 있게 되면 어깨통증 외에도 척추통증까지도 유발시킬 수 있으며,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두통도 함께 유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어깨끈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상기한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이 2000년 1월 4일자로 특허출원하여 2001년 10월 2일에 제 6,295,655 B1호로 미합중국에 등록된 어깨보호대가 있는 바, 이 어깨보호대는 도 13과 도 14에 각각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를 이루고 있다.
즉,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내부면(201) 및 가방과 접촉되는 외부면(203)을 갖추고서 사용자의 뒷목부위를 지지하게 되는 목부(205)와, 이 목부(205)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의 양쪽 어깨를 각각 지지하게 되는 어깨부(207)가 구비된 구조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보호대(209)가 목부(205)를 중심으로 1쌍의 어깨부(211)로 분할되고, 이들 어깨부(211)사이에 간격조절수단이 설치된 것이 있는데, 이 간격조절수단은 복수의 고정구멍(217)을 갖추고서 어깨부(211)의 분할면에 매설된 조절판(219)과, 이 조절판(219)과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조절판(219)이 수용되도록 형성된 채널(221)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판(219)을 채널(221)내에서 미끄럼 이동시키다가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킨 다음 핀(223)과 같은 체결부재를 고정구멍(217)에 끼워 상대이동을 규제하므로써 어깨부(211)사이의 간격이 인위적으로 증감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이와는 별개로 상기 각각의 어깨부(도 12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어깨끈이 어깨부에 올려졌을 때 불필요하게 이동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수단(225)이 구비되고, 한쪽 어깨부 소정위치에 플래시조명(227) 및 스피커(229)가 부설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신체조건에 맞추어 어깨부간의 간격이 조절된 보호대를 먼저 사용자의 어깨에 얹혀놓은 다음 각각의 어깨부로 배낭의 어깨끈이 놓여지도록배낭을 메면, 미끄럼방지수단에 의해 어깨끈이 어깨부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배낭의 하중이 어깨보호대를 매개로 어깨전체로 균일하게 분산되므로 어깨끈이 직접 사용자의 어깨부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불균일하게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도 자유로와질 수 있어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된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어깨보호대는 사용자의 어깨넓이에 대략적으로 맞추어 조절할 수 있을 뿐 사용자가 가장 편한 상태로 착용하도록 하는데에 문제가 있고, 사용자의 어깨부에 밀착시킬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어깨부가 사용자의 양 어깨를 감싸주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배낭을 멘 상태에서 행동을 하는데에 제약을 받게 되어 상대적으로 행동반경이 큰 용도, 예컨대 등산용이나 군사용 배낭으로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의 어깨에서 이탈될 가능성이 높고, 1개의 조절판과 채널을 매개로 어깨부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어서 배낭이 중량일 때에는 착용상태에서 간격조절수단이 뒤틀려 사용자의 어깨에 편하중이 가해질 염려가 있을 뿐 아니라, 이로 인해 조절판과 채널 설치부위가 파손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간격조절수단 사이 즉, 각각의 어깨부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의복이 말려들어 접혀질 가능성도 있어 장시간 배낭을 메는 경우 배낭 자체의 하중외에도 접혀진 의복부위에서 국부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결과적으로, 어깨보호대를 착용하지 않은 것에 비교하면 하중이 분산되어 사용자가 느끼는 어깨통증을 어느정도 해소시킬 수 있으나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데에 문제가 있고, 무엇보다 사용자의 어깨에 밀착되지 못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안락한착용감을 주는데에 효과적이지 못하며,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상 제약을 받게 되어 사용성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고, 착용한 상태에서도 배낭 무게 및 사용자의 다양한 착용조건에 따라 수시로 지지위치를 보정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어깨가 구속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최적상태로 착용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어깨부위로 전달되는 하중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체감으로 느끼는 배낭무게를 최소화시키므로써 착용감과 활동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도록 된 어깨보호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내부면 및 배낭과 접촉되는 외부면을 갖추고서, 착용자의 뒷목하부와 어깨상부 및 배후면에 부합되는 형태를 하고서 미끄럼방지수단이 형성된 어깨지지부가 좌우로 2분할 형성되고, 이들 어깨지지부의 간격이 조절수단을 매개로 조절되도록 된 어깨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어깨지지부에 주 지지수단과 보조 지지수단 및 조절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수단이, 지지부의 좌우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돌출형성된 2쌍의 수용부를 갖추고서, 이 수용부상에서 상기 조절부를 이동시키면서 어깨지지부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깨보호대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어깨보호대의 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의 주 지지수단 및 보조 지지수단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에서의 간격조절수단의 부분확대도,
도 5는 도 3의 개략 정면도,
도 6은 도 5에서의 Ⅰ-Ⅰ선 단면도,
도 7은 도 3에서의 주 지지수단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어깨보호대의 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9은 도 8에서의 어깨부의 부분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 어깨보호대의 3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서의 보조기구설치수단의 부분 확대도,
도 12는 도 11에서의 보조기구설치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분확대도,
도 13는 종래 사용예에 따른 어깨보호대의 개략사시도,
도 14은 종래 사용예에 따른 어깨보호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부면, 3 --- 외부면,
5 --- 어깨지지부, 7 --- 가이드슬롯,
9 --- 몸체, 11,107 --- 탄력지지부,
13 --- 지지몸체, 15,25 --- 패드,
17 --- 반원형 홈, 21 --- 지지축,
23 --- 관통구멍, 30 --- 어깨끈,
33 --- 클립, 35 --- 종이형스피커,
41 --- 고정구멍, 43 --- 조절부,
45 --- 패드, 47 --- 수용부,
49 --- 지지부, 71 --- 끼움부,
61,73 --- 어깨보호대, 91 --- 착탈구멍,
93,101 --- 보조기구설치부, 95 --- 파스너,
97 --- 미끄럼방지돌기, 103 --- 개방부,
105 --- 스프링, 109 --- 휴대폰,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깨보호대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어깨 보호대의 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써,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내부면(1) 및 배낭과 접촉되는 외부면(3)을 갖추고서, 착용자의 뒷목하부와 어깨상부 및 배후면에 부합되는 형태를 갖는 어깨지지부(5)가 좌우로 2분할 형성되고, 이 어깨지지부(5)는 조절수단을 매개로 간격이 자유롭게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어깨지지부(5)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 지지수단과 보조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바, 여기서 상기 주 지지수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슬롯(7)을 갖추고 소정각도로 절곡된 상태에서 몸체(9)의 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탄력지지부(11)와, 상기 가이드슬롯(7)에 힌지설치된 지지몸체(13), 이 지지몸체(13) 아래쪽에 부착된 패드(15)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패드(15)는 중앙부가 개방된 도우넛형태로 하고 지지몸체(13)는 패드(15)의 원주면이 균일하게 지지되도록 원형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슬롯(7)의 내측면에는 도 5와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반원형 홈(17)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원형지지몸체(13)에는 땀배출수단이 구비되는 한편, 몸체(13)의 중앙부에는 끝부분이 원형단면을 갖는 지지축(21)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반원형 홈(17)에 안정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가이드슬롯(7)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땀배출수단은, 원형지지몸체(13)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패드(15)중앙부의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멍(23)으로 구성되는 바, 이 땀배출수단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패드(15)의 원주면을 따라 복수의 구멍을 형성시키므로써 땀배출이 보다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지지수단은 몸체(9)의 종방향 끝부분 아래쪽으로 설치되며, 상기 주지지수단에 설치되는 패드(15)와 동일한 형태로 된 소형의 또 다른 패드(25)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들 패드(15,25)는 젤이 충만된 고무 또는 소프트한 수지계통으로 하는 것이 착용감을 향상시키면서 하중을 경감시키는데에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몸체(9)의 소정위치 즉, 탄력지지부(11)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어깨끈(30)이 끼워지는 클립(33)이 설치되고 탄력지지부(11)가 연장형성되는 부분과 클립(33)사이 공간에는 종이형스피커(3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즉, 복수의 고정구멍(41)을 갖추고서 어깨지지수단의 다른쪽 끝부분에 소정길이로 돌출 형성된 1쌍의 조절부(43)와, 일측면에 패드(45)를 갖추고서상기 조절부(43)가 각각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양쪽에 1쌍의 수용부(47)를 갖춘 지지부(49)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47) 소정위치에는 나사화된 구멍(51)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47)의 길이방향을 따라 조절부(43)를 미끄럼이동시켜 고정구멍(41)과 나사화된 구멍(51)으로 예컨대 스크류(53)와 같은 고정수단을 끼워주므로써어깨지지부(5)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조절되게 되는데, 상기 지지부(49)는 알루미늄과 같이 내구성이 있으면서 경량인 재질로 제조되고, 상기 수용부(47)는 중공의 파이프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조절부(43)의 미끄럼이동을 유도하는데에 효과적이다.
이 같은 구조로 된 1실시예에 따른 어깨보호대(61)는 조절수단을 매개로 어깨지지부(5)간의 간격을 1차로 조절한 다음 착용한 상태에서 다시 가이드슬롯(7)을 따라 원형지지몸체(13)를 이동시켜 패드(15)가 사용자의 어깨 윗쪽에 완전하게 얹혀지도록 하면 보다 더 안정되게 보호대(61)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어깨보호대(61)를 대략적으로 조절하고서 배낭을 메면 주 지지수단과 보조 지지수단이 사용자의 어깨부를 2위치에서 동시에 지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배낭을 멘 상태에서 상체를 앞으로 굽히더라도 보조 지지수단으로 인해 어깨보호대(61)의 한쪽으로 무게중심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고 지지점이 그대로 유지되므로, 어떠한 조건에서도 배낭의 하중을 보호대 전체에 균분시킬 수 있다.
또한, 배낭의 하중이 어깨보호대(61)에 가해지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원형지지몸체(13)가 가이드슬롯(7)을 따라 미끄럼이동되면서 최적위치로 자체보정하게 되고, 원형지지몸체(13)가 지지축(21)을 중심으로 가이드슬롯(7)상에서 축선회되므로 배낭을 착용한 상태에서 어깨의 행동반경을 크게 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활동성이 유지되며, 이 같이 사용자가 자유롭게 행동한다 해도 어깨와 밀착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9)가 좌우대칭되는 위치에서 각 조절부(43)들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배낭이 중량이어도 지지부(49)에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지지부(49)에 부착된 패드(45)가 착용자의 경추상부를 동시에 눌러주게 되어 편하중으로 인해 척추통증이 야기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등뒤쪽에서 불쾌감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써 더 안락감을 주는 위치로 주 지지수단을 이동시킬 수도 있는데, 즉,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9)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끼움부(71)가 설치되고, 이 끼움부(71)를 매개로 탄력지지부(11)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끼움부(71)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면 배낭의 하중과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보행각도등에 맞추어 최적위치로 어깨 보호대(73)의 지지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배낭을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끼움부(71)를 간단하게 위치이동시켜 지지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한편, 상기 끼움부(71)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써 도 2에 도시된 1실시예 또는 도 8에 도시된 2실시예(도 10에는 1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도시)에서 끼움부(71)위에 어깨끈을 보유지지하면서 보조기구설치공간을 제공하도록 된 보조기구설치수단이 부가된 것으로,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끼움부(71)와 탄력지지부(11)사이 소정위치에 착탈구멍(91)이 형성되고, 이 착탈구멍(91)을 매개로 보조기구설치부(93)를 선택적으로 탈착시키면서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이 보조기구설치부(93) 일측으로 원추형 파스너(95)가 연장형성되고, 하부면으로 복수의 미끄럼방지돌기(97)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착탈구멍(91)에 파스너(95)를 끼우면 파스너(95)가 오무라지면서 탄력적으로 끼워져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이같이 구성된 보조기구설치부(93)는 상기 미끄럼방지돌기(97)로 인해 어깨끈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예컨대 플래시 라이트등을 부착시키게 되면 야간이동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기구설치부(93)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2내지 도 7에 도시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은 도 10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보조기구설치부 윗쪽에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보조기구설치부(101)에 개방부(103)가 형성되고, 이 개방부(103) 내측 양쪽으로 복수의 스프링(105)을 매개로 탄력지지부(107)가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103)에 휴대폰(109)을 끼우면 탄력지지부(107)에 의해 개방부(103)로 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한 어깨보호대의 구성부에서 재료에 관해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중량은 가벼우나 상대적으로 견고한 물성치를 갖는 플라스틱이나 수지계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목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당해분야의 전문가라면 상기 설명과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로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변경실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고, 착용한 상태에서도 배낭 무게 및 사용자의 다양한 착용조건에 따라 수시로 지지위치를 보정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어깨가 구속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최적으로 착용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어깨부위로 전달되는 하중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착용감과 사용성 및 운동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Claims (13)
-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내부면 및 배낭과 접촉되는 외부면을 갖추고서, 착용자의 뒷목하부와 어깨상부 및 배후면에 부합되는 형태를 하고서 미끄럼방지수단이 형성된 어깨지지부가 좌우로 2분할 형성되고, 이들 어깨지지부의 간격이 조절수단을 매개로 조절되도록 된 어깨보호대에 있어서,상기 각각의 어깨지지부에 주 지지수단과 보조 지지수단 및 1쌍의 조절부가 구비되고,상기 조절수단이, 지지부의 좌우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돌출형성된 2쌍의 수용부를 갖추고서, 이 수용부상에서 상기 조절부를 이동시켜 어깨지지부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보호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이 주 지지수단을 매개로 부착된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호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지지수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슬롯을 갖추고서 몸체에서 연장형성된 탄력지지부와, 땀배출수단을 갖추고서 상기 가이드슬롯에 힌지설치된 지지몸체 및, 이 지지몸체 하부에 중앙이 개방된 형태의 패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호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수단이 어깨지지부의 끝부분에 설치되는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호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소정위치에 나사화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에는 복수의 고정구멍이 형성되어, 이 고정구멍과 나사화된 구멍으로 고정수단을 끼워 어깨지지부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호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지지수단이 끼움부를 매개로 몸체상에서 위치이동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호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지지부에 착탈구멍이 형성되고, 이 착탈구멍을 매개로 보조기구설치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호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롯의 내측면에 반원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몸체의 중앙부에는 끝부분이 원형단면을 갖는 지지축이 돌출형성되어, 지지몸체가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이드슬롯을 따라 미끄럼이동됨과 동시에 지지축을 중심으로 축선회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호대.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땀배출수단이, 원형지지몸체상에서 상기 패드의 개방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호대.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가 도우넛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호대.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가 파이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호대.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구설치부 하부면에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이 미끄럼방지돌기를 매개로 어깨끈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호대.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구설치부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이 개방부 내측에 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지지부가 설치되어 상기 탄력지지부를 매개로 휴대폰을 끼워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호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62310A KR20030077506A (ko) | 2003-09-05 | 2003-09-05 | 어깨보호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62310A KR20030077506A (ko) | 2003-09-05 | 2003-09-05 | 어깨보호대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28748U Division KR200341580Y1 (ko) | 2003-09-06 | 2003-09-06 | 어깨보호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77506A true KR20030077506A (ko) | 2003-10-01 |
Family
ID=3238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62310A KR20030077506A (ko) | 2003-09-05 | 2003-09-05 | 어깨보호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07750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90033A1 (en) * | 2011-12-16 | 2013-06-20 | Wilderness Comfort, Ptl, Llc | Adjustable cushioning system for shoulder strap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41922A (ja) * | 1992-09-21 | 1994-05-24 | Yoichi Endo | プロテクタ |
KR940021758U (ko) * | 1993-03-18 | 1994-10-19 | 이재열 | 조끼형 책가방 |
KR200226239Y1 (ko) * | 2000-05-31 | 2001-06-15 | 송석달 | 하중받이 어깨걸이가 부착된 가방 |
US6295655B1 (en) * | 2000-01-04 | 2001-10-02 | Joon Hee Johe | Shoulder protection guard |
KR200264757Y1 (ko) * | 2001-11-13 | 2002-02-20 | 조윤칠 | 가방용 어깨 보호대 |
-
2003
- 2003-09-05 KR KR1020030062310A patent/KR20030077506A/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41922A (ja) * | 1992-09-21 | 1994-05-24 | Yoichi Endo | プロテクタ |
KR940021758U (ko) * | 1993-03-18 | 1994-10-19 | 이재열 | 조끼형 책가방 |
US6295655B1 (en) * | 2000-01-04 | 2001-10-02 | Joon Hee Johe | Shoulder protection guard |
KR200226239Y1 (ko) * | 2000-05-31 | 2001-06-15 | 송석달 | 하중받이 어깨걸이가 부착된 가방 |
KR200264757Y1 (ko) * | 2001-11-13 | 2002-02-20 | 조윤칠 | 가방용 어깨 보호대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90033A1 (en) * | 2011-12-16 | 2013-06-20 | Wilderness Comfort, Ptl, Llc | Adjustable cushioning system for shoulder strap |
US8708207B2 (en) | 2011-12-16 | 2014-04-29 | Wilderness Comfort, Ptl, Llc | Adjustable cushioning system for shoulder strap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35925B2 (en) | Back brace | |
CA1334528C (en) | Load support | |
US4264987A (en) | Goggles | |
EP2605730B1 (en) | Configurable subshell components in orthopedic devices | |
US20060135890A1 (en) | Adjustable goggle for eye massagers | |
US20070282240A1 (en) | Glide sleeve brace | |
ATE390104T1 (de) | Rückenstützunterlage | |
US5302977A (en) | Eyewear having self-adjusting ear stems | |
CN111700720A (zh) | 躯干矫形器 | |
US10757987B2 (en) | Knee pad device | |
US3700149A (en) | Umbrella holder | |
KR200341580Y1 (ko) | 어깨보호대 | |
US6295655B1 (en) | Shoulder protection guard | |
KR20030077506A (ko) | 어깨보호대 | |
KR102018367B1 (ko) | 목 견인 고정기 | |
KR20230135147A (ko) | 백팩 | |
KR20170005173A (ko) | 척추측만증 보조기 | |
US20120022421A1 (en) | Shoulder stabilising device | |
AU2011203968A1 (en) | Eyewear earstem devices and methods | |
KR200279878Y1 (ko) | 척추측만증 교정기 | |
CN213849030U (zh) | 一种鞋子防滑装置 | |
KR200270641Y1 (ko) | 어깨보호대 | |
KR20170004273U (ko) | 착용식 척추보호장치 | |
CN220987958U (zh) | 一种新型减压背包 | |
CN217429293U (zh) | 一种具有肩带的服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