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6755A -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6755A
KR20030076755A KR1020020015242A KR20020015242A KR20030076755A KR 20030076755 A KR20030076755 A KR 20030076755A KR 1020020015242 A KR1020020015242 A KR 1020020015242A KR 20020015242 A KR20020015242 A KR 20020015242A KR 20030076755 A KR20030076755 A KR 20030076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mouse
integrated
computer main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수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5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6755A/ko
Publication of KR20030076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75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의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하여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입력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호선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쾌적한 컴퓨터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는 각각 키보드와 마우스 신호 입력 포트를 갖는 다수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통합 키보드; 하나의 통합 마우스 및 상기 각각의 컴퓨터 본체의 키보드와 마우스 신호 입력 포트와 연결되는 출력 포트, 사용자로부터 상기 컴퓨터 본체중 사용을 원하는 컴퓨터 본체를 선택받는 기기 선택 수단, 상기 통합 키보드와 상기 통합 마우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선택된 컴퓨터 본체에 대응되는 상기 출력 포트로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수단을 갖는 분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통합 키보드와 통합 마우스는 무선 키보드 및 무선 마우스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 상기 분배기에는 상기 통합 키보드와 상기 통합 마우스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복조부를 더 구비되어야 한다.

Description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UNITARY INPUT APPARATUS FOR SEVERAL COMPUTER MAIN FRAME}
본 발명은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일의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하여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입력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 처리를 깔끔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반도체 기술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컴퓨터가 개인용 및 업무용으로 없어서는 안될 기기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더욱이, 인터넷의 비약적인 보급과 함께 전자 상거래나 원격 대상물을 관리하고 감시하는 분야도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자 상거래나 관리 감시 분야에 있어서, 정보 제공자가 웹서버나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컴퓨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지만, 고립된 환경에서 사용될 때와는 달리 통상 한 사람이 다수의 컴퓨터를 관리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입력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참조 번호 10은 컴퓨터 본체를 나타내고, 12는 모니터를 나타내며, 14와 16은 각각 입력 장치로서의 키보드와 마우스를 나타낸다. 한편, 도 1에서는 키보드(14)와 마우스(16)가 유선으로 컴퓨터 본체(10)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근래에 들어서는 무선 키보드와 무선 마우스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에 한 사람이 다수 컴퓨터 본체를 사용하는 환경에 있어서는 각각의 컴퓨터 본체에 입력 장치로서의 키보드와 마우스가 일대일로 대응되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신호선이 사용되게 되고 이에 따라 컴퓨터 사용 환경이 지저분해지고 어수선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무선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점이 많이 완화될 수 있더라도, 다수의 무선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함으로 인해 어수선한 느낌은 지울 수가 없으며, 더욱이 조작하고자 하는 컴퓨터 본체와 대응되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찾는데 혼란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일의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하여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입력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호선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쾌적한 컴퓨터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구성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는 각각 키보드와 마우스 신호 입력 포트를 갖는 다수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통합 키보드; 하나의 통합 마우스 및 상기 각각의 컴퓨터 본체의 키보드와 마우스 신호 입력 포트와 연결되는 출력 포트, 사용자로부터 상기 컴퓨터 본체중 사용을 원하는 컴퓨터 본체를 선택받는 기기 선택 수단, 상기 통합 키보드와 상기 통합 마우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선택된 컴퓨터 본체에 대응되는 상기 출력 포트로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수단을 갖는 분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통합 키보드와 통합 마우스는 무선 키보드 및 무선 마우스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 상기 분배기에는 상기 통합 키보드와 상기 통합 마우스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복조부를 더 구비되어야 한다.
더욱이, 상기 분배기에는 상기 선택된 컴퓨터 본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부를 더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의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입력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의 사용 상태에 따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컴퓨터 본체,12: 모니터,
14: 키보드,16: 마우스,
20, 20': 분배기,21: 무선 수신부,
22: 복조부,23: 스위치,
23': 스위칭 부,24: 출력 포트,
25: 제어부,26: 표시부,
27: 전원부,28: 기기 선택부,
30: 통합 키보드,40: 통합 마우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는 크게 다수의 컴퓨터 본체(10)와 각각의 컴퓨터 본체(10)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다수의 모니터(12), 통합 입력 장치로서의 단일의 키보드(30)와 마우스(40) 및 키보드(30)와 마우스(4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컴퓨터 본체(10)에 공급하는 분배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통합 키보드(30)와 마우스(40)는 무선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그 입력 신호의 캐리어 수단으로는 잘 알려진블루투스(Bluetooth) 프로토콜에 따른 고주파 신호나 적외선 신호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분배기(20)는 통합 키보드(30)와 마우스(40)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21) 및 무선 수신부(21)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컴퓨터 본체(10)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복조부(22), 각각의 컴퓨터 본체(10)로부터 연장된 키보드와 마우스 신호선이 결합되는 다수의 출력 포트(24) 및 복조부(22)의 출력단을 출력 포트(24)에 택일적으로 연결시키는 스위치(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위치(23)로는 예를 들어 직접 접촉식의 슬라이드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의 블록 구성도인 바, 도 2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복조부(22)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사용자가 선택한 출력단에 연결함에 있어서 도 2에서의 직접 접촉식 스위치와는 달리 전자적인 스위칭 수단,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 집적회로로 이루어진 스위칭부(23')를 통해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그 구성도 사용자로부터 사용을 원하는 컴퓨터 본체(10)의 번호 등을 입력받는 기기 선택부(28), 현재 선택된 컴퓨터 본체(10)의 번호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26), 복조부(22)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기기 선택부(28)에서 입력된 컴퓨터 본체(10) 번호에 해당하는 출력 포트(24)에 전달하도록 스위칭부(23')를 제어함과 동시에 이에 상응하여 표시부(26)를 구동하는 제어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표시부(26)는 발광 다이오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기기 선택부(28)는 통상의 숫자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제어부(25)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27은 분배기(20')의 각 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의 사용 상태에 따른 사시도인 바, 표시부(26)가 분배기(20') 박스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고, 기기 선택부(28)가 분배기(20') 박스의 상부에 배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합 입력 장치에 따르면, 비록 3대의 컴퓨터 본체를 사용하더라도 하나씩의 키보드(30)와 마우스(40) 및 분배기(20')만 있으면 되고 나아가 키보드(30)와 마우스(40)를 연결하는 신호선이 없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환경에 비해 책상 위가 훨씬 깔끔하게 정돈되어 있음을 알 수가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키보드(30)와 마우스(40)가 각각 하나씩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에 사용하고자 하는 컴퓨터 본체(10)에 대응되는 키보드(30)와 마우스(40)를 찾는데서 오는 혼란이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통합 키보드와 마우스를 무선식으로 하여 설명을 진행하였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유선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에 따르면, 단일의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하여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입력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호선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쾌적한 컴퓨터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각각 키보드와 마우스 신호 입력 포트를 갖는 다수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통합 키보드;
    하나의 통합 마우스 및
    상기 각각의 컴퓨터 본체의 키보드와 마우스 신호 입력 포트와 연결되는 출력 포트, 사용자로부터 상기 컴퓨터 본체중 사용을 원하는 컴퓨터 본체를 선택받는 기기 선택 수단, 상기 통합 키보드와 상기 통합 마우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선택된 컴퓨터 본체에 대응되는 상기 출력 포트로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수단을 갖는 분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키보드와 통합 마우스는 무선 키보드 및 무선 마우스이며,
    상기 분배기에는 상기 통합 키보드와 상기 통합 마우스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복조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에는 상기 선택된 컴퓨터 본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
KR1020020015242A 2002-03-21 2002-03-21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 KR20030076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242A KR20030076755A (ko) 2002-03-21 2002-03-21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242A KR20030076755A (ko) 2002-03-21 2002-03-21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755A true KR20030076755A (ko) 2003-09-29

Family

ID=3222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242A KR20030076755A (ko) 2002-03-21 2002-03-21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67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485B1 (ko) * 2006-05-10 2008-01-28 (주) 지비테크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을 이용한 무선 키보드 컨트롤 방법및 그 장치
KR100808883B1 (ko) * 2006-02-21 2008-03-03 이형태 컴퓨터 공유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883B1 (ko) * 2006-02-21 2008-03-03 이형태 컴퓨터 공유 모듈
KR100798485B1 (ko) * 2006-05-10 2008-01-28 (주) 지비테크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을 이용한 무선 키보드 컨트롤 방법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2512B1 (en) Selectively coupling an upstream terminal to a USB hub circuit in accordance with a video sync signal
US10013051B2 (en) Modular apparatus and system for reconfigurable user inputs
EP0860771B1 (en) An apparatus for selectively operating a plurality of computers with a single set of data input device and monitor
US20080165129A1 (en) Computer mouse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a left-handed mode and a right-handed mode
US9224555B2 (en) Light emitting diode illuminated keyboard
JP2007188148A (ja) 切替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8500641A (ja) 監視システムワークステーション
KR20030076755A (ko) 다수 컴퓨터 본체에 대한 통합 입력 장치
US6910055B2 (en) Calculator device for enabling a keypad to function as both a keypad and a calculator
CA2870914C (en) Modular apparatus and system for reconfigurable user inputs
US10306716B1 (en) Control signal switching system
JPH1185339A (ja) ワイヤレスマウス装置
US7454534B2 (en) Input circuit shared by multi signal sources
JP2003177858A (ja) 外部入力装置
US20090058808A1 (en) Computer mouse device
KR20040009134A (ko) 자판배열이 자유로운 키보드장치
KR200242089Y1 (ko) 포트를 구비한 키보드
KR200230692Y1 (ko) 프리젠테이션용 포인터 겸용 무선 화면전환 장치
KR20040105503A (ko) 키보드를 이용한 정보전달장치 및 방법
JPS5858635A (ja) デイスプレイ画面でのキ−表示操作方式
KR100808883B1 (ko) 컴퓨터 공유 모듈
KR200228186Y1 (ko) 휴대용키보드
KR200212554Y1 (ko) 개인용 피씨 통합시스템
KR100471078B1 (ko) 휴대용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11755A (ko) 인텔리전트 마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