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6484A -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6484A
KR20030076484A KR1020030054513A KR20030054513A KR20030076484A KR 20030076484 A KR20030076484 A KR 20030076484A KR 1020030054513 A KR1020030054513 A KR 1020030054513A KR 20030054513 A KR20030054513 A KR 20030054513A KR 20030076484 A KR20030076484 A KR 20030076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pping
rope
exercise
rot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4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민
Original Assignee
최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민 filed Critical 최영민
Priority to KR1020030054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6484A/ko
Publication of KR20030076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4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20Skipping-ropes or similar devices rotating in a vertic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가 개시된다.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는 발판체와, 발판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판체를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빔을 회전시켜 출사하는 회전빔 출사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에 의하면, 광선의 회전방식에 의해 운동 타이밍을 조절하여 줄넘기와 동일한 방식의 운동을 실내에서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간상의 제약요건을 완화시키고, 운동에 대한 흥미도 유발시켜 운동 기회를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sporting equipment for rope-skipping exercise}
본 발명은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줄 대신 광선을 이용하여 줄넘기와 같은 방식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줄넘기대체용 뜀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줄넘기 기구는 통상 양측 손잡이와, 손잡이 각각을 상호 연결하되 손잡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줄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줄넘기 기구는 손잡이 부분을 돌리면서 회전되는 줄이 다리에 걸리지 않도록 도약하는 과정을 통해 운동을 수행한다. 줄넘기 운동은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체력단련에 유용하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키 높이 보다 높게 회전되는 줄에 의해 천정이 낮거나 등기구 등이 설치된 가정 내에서 수행하기 어렵다. 또한, 뛰는 과정을 통해 발생되는 진동이 건물 또는 소음공해를 일으킬 수 있어 실외에서 통상 수행한다. 따라서, 종래의 줄너기 기구는 실내에서 운동을 수행할 수 없는 제약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실외공간이 시멘트 또는 아스팔트로 포장 처리되어 있어 뛰는 과정에서 무릎 또는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강도가 높아 신체에 무리를 일으킬 수 있는 사용 환경상의 제약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실내에서도 줄넘기 방식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줄이 없이도 줄넘기 방식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하여 일부를 나타?보인 단면도 이고,
도 3은 도 2의 뜀 검출부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부분 분리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1의 회전빔 출사부의 케이스 내에 내장된 요소를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이고,
도 5는 도1의 손잡이 회전봉체의 개략적인 단면도 이고,
도 6은 도 1의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 이고,
도 7은 도 1의 조작패널을 확대 도시한 정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뜀 운동기구 110: 프레임
120: 뜀틀 구조체 140: 회전빔 출사부
150: 조작패널 160: 음향 출력부
180: 메인 제어부 200: 회전봉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는 발판체와; 상기 발판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체를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빔을 회전시켜 출사하는 회전빔 출사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판체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수직상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뜀틀 구조체와; 상기 뜀틀 구조체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뜀틀 구조체에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한 접촉/비접촉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뜀검출부;가 내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뜀 검출부는 상호 연결되되 상방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하부로 회동될 수 있게 어레이된 다수의 터치 패드가 형성된 제1도전 플레이트와; 상기 제1도전플레이트의 상기 터치 패드가 통과될 수 있게 상기 터치 패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 절연 플레이트와; 상기 절연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터치 패드가 상기 절연플레트의 홀을 통해 접촉되는지의 유무에 따라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결선된 제2도전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회전빔 출사부는 광원과; 상기 광원이 지지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빔 출사부의 빔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손에 파지할 수 있게 소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된 손잡이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회동체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동체의 회전을 검출하여, 검출결과를 상기 메인제어부에 무선으로 송출하는 손잡이 회전봉체;를 더 구비한다.
상기 메인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결정된 빔회전 속도에 대응되는 패턴으로 순차적으로 발광되도록 어레이된 순차 발광표시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발판구조체의 뜀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뜀 속도와 상기 빔회전속도가 설정된 에러 범위를 초과하면 표시부를 통해 줄걸림 표시를 한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는 설정된 운동시간이 종료되면 적산된 뜀 횟수와 줄걸림횟수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처리한다.
바람직하게는 운동하고자 하는 목표 뜀수, 운동시간, 운동속도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할 수 있는 키가 마련된 키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값에 대응되는 설정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처리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제어부는 설정된 빔회전속도에 대응되게 상기 발판체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뜀틀구조체를 승하강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에 제어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기;를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100)는 발판체와, 발판체에 설치된 회전빔 출사부(140)를 구비한다. (150)은 조작패널이고, (200)은 회전봉체이다. 발판체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내에 삽입되게 설치된 튐틀 구조체(120)를 구비한다. 참조부호 (113)은 직립 상태의 운동자에게 정보제공 및 조작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높이로 조작패널(15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프레임(110)에 설치된 지지봉 이다. 조작패널(150)은 프레임(110)에 분리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무선방식에 의해 후술하는 메인제어부(도 6참조; 180)와 교신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뜀틀 구조체(120)는 운동자가 도약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완충체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뜀틀 구조체(120)는 줄넘기 방식의 뜀 운동에 대한 리듬을 운동자가 보다 용이하게 감지하면서 도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프레임(120)에 대해 승하강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뜀틀 구조체를 나타내 보인 도 2를 참조하면, 뜀틀 구조체(120)는 하부 지지체(121), 완충체(122), 상부 지지체(123), 뜀검출부(124), 마감재층(125)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하부 지지체(121)는 일 측에서 힌지(127)에 의해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완충체(122)는 다공성 소재 예컨대 스폰지 소재, 스프링 등 충격 흡수력이좋은 소재로 형성된다.
상부 지지체(123)는 운동자의 하중을 완충체(122)에 분산시킬 수 있도록 개재되었다.
뜀검출부(124)는 뜀틀 구조체(120) 위에서 줄넘기 방식의 운동을 하는 운동자의 뜀 횟수 및 뜀 시기를 검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뜀 검출부(124)의 일 예가 도시된 도 3을 참조하면, 뜀 검출부(124)는 상호 중첩되게 어레이 된 제1도전 플레이트(124c), 절연 플레이트(124b) 및제2도전 플레이트(124a)를 구비한다.
제1도전 플레이트(124c)는 도전성 소재로 상호 연결되되 상방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하부로 회동될 수 있게 다수의 터치패드(124c1)가 어레이 되어 있다.
절연 플레이트(124b)는 절연소재로 형성되되 제1도전플레이트(124c)의 터치 패드(124c1)가 통과될 수 있게 터치 패드(124c1)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홀(124b1)이 형성되어 있다.
제2도전 플레이트(124a)는 도전성 소재로 절연플레이트(124b)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1도전 플레이트(124c)와 제2도전 플레이트(124a)는 터치패드(124c1)가 절연 플레이트(124b)의 홀(124b1)을 통해 상호 접촉되는지의 유무에 따라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회로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뜀 검출부(124)는 운동자가 뜀틀 구조체(120) 위에 지지된 상태로 있을 때에는 제1도전 플레이트(124c)와 제2도전플레이트(124a)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전압(Vcc)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운동자가 뜀틀 구조체(120)로부터 도약하여 이탈된 상태가 될 때는 제1도전 플레이트(124c)와 제2도전플레이트(124a)가 상호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오픈 신호를 출력한다. 제1도전플레이트(124c)와 제2도전플레이트(124a) 상호간은 등가적으로 스위치 소자의 기능을 하고 있고, 제1도전플레이트(124c)와 제2도전플레이트(124a)의 접촉 유무에 따라 하이신호와 로우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방식 등 도시된 예와는 다르게 회로가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회로 결선방식은 교과서적인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감재층(125)은 미관과 뜀 검출부(124)의 보호를 고려하여 적절한 소재로 형성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마감재층(125)은 완충성과 절연성이 있는 고무소재로 형성된다.
뜀틀 구조체를 승하강 구동시키는 뜀틀 승하강 수단인 뜀틀 구동부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뜀틀 구동부(130)는 편심캠(131) 및 편심캠(131)을 구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한다.
편심캠(131)은 튐틀 구조체(120)의 힌지(127)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상에서 뜀틀 구조체(120)의 하부를 지지하되 편심을 갖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편심캠(131)은 구동원인 모터(134)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게 기어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참조부호 132는 편심캠의 회전축에 형성된 제1기어이고, 133은 모터의 회전축에 형성된 기어(135)와 제1기어(132)를 중계 결합하는 중계기어이다. 또한, 참조부호 111은 뜀틀 구조체(120)의 하강거리 제한용 스토퍼이다.
뜀틀 구조체(12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수단은 도시된 캠구동 방식 이외에도 신축되는 피스톤 방식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전빔 출사부(140)는 광원과, 광원에서 출사되는 빔을 회전시키는 빔회전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회전빔 출사부(140)에 의한 회전 광빔은 줄을 돌리는 것과 동일한 시각적 느낌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빔 출사부(140)는 운동자의 양안에 광이 직접 도달되는 것을 억제시키고, 인체의 시야각을 고려하여 소정 각도의 범위 예컨대 인체의 시야각 정도로 회전되는 광의 출사되는 출사각을 제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회전빔 출사부(140)의 케이스는 설정된 빔출사 제한각에 대응되게 형성된 투광창(140a)을 구비한? 케이스의 투광창(140a)을 제외한 부분은 광을 차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광원은 발광다이오드,레이저 다이오드, 할로겐램프 등 각종 광원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광원은 하나 또는 다수가 어레이 되어 빔을 집적 또는 소정 각도로 확산시켜 출사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회전빔 출사부(140)의 빔회전 수단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1예로서, 빔회전 수단은 광원을 회동시키는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이 경우의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빔 출사부(140)는 광원(141a), 광원(141a)이 지지되는 지지체(141b), 지지체(141b)와 결합되어 지지체(141b)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 구동원인 모터(145)를 구비한다. 모터(145)의 회전축(146)을 광원(141a)이 설치된 지지체(141b)에 고정되도록결합하면, 모터(145)의 회전구동에 연동되어 광원(141a)이 회전된다.
이 경우, 지지체(141b)내에 배터리 수납하여 광원(141a)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손전등에 채용되는 방식의 배터리 수납구조가 지지체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지지체(141b) 외부 전력선(148b)이 지지체의 회전에 관계없이 광원(141a)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결선 되게 형성하면된다. 일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41b)상에 회전축(146)을 따라 회전축(146) 외측에 소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된 봉형 단자부(142)에 상호 전기적으로 분리되게 광원(141a)의 각 단자와 결선된 링형 단자(143)(144)를 형성하고, 외부 전력선(148b)과 연결된 전력공급 중계단자(148a)는 대응되는 링형 단자(143)(144)와 접촉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전력 공급 중계 단자(148a)는 링형 단자(143)(144)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적절한 텐션이 인가되도록 강성 도전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탄성을 갖는 도전 소재로 여러 가닥이 상호 전기적으로 통전 되게 묶음 처리된 브러쉬 형태의 단자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참조부호 149는 전력공급 중계단자(148a)를 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이다.
한편,회전빔 출사부(140)의 제2예로서, 고정 설치된 광원(미도시)과, 광원에서 출사되는 빔을 회전시키는 회전반사경(미도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반사경은 모터(미도시)와 같은 구동원의 회전에 의해 입사빔의 입사각도가 점진적으로 변동되도록 설치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회전봉체(200)는 줄넘기 운동 방식에 대한 재현감도를 높일 수 있도록 파지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전봉체(200)는 사용자가 손에 파지 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연장되게 형성된 손잡이부와, 손잡이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게 결합된 회동체를 구비한다.
회동체에는 줄이 연결된 종래의 줄넘기를 사용자가 회전시킬 때 사용자가 느끼는 무게감을 그대로 느낄수 있는 정도의 무게를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1)에 수직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체(203)내에는 상대적으로 무게가 더 나가는 무게추(204)를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내장시킨다.
또한, 회동체(203)의 회전을 검출할 수 있는 회전 검출수단이 회전봉체(2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검출수단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에 의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서 참조부호 (231)을 간섭용 돌기로, (232)를 간섭용 돌기에 의해 간섭될 수 있도록 설치된 간섭검출 센서를 적용하여 회전 검출수단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220)은 간섭검출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되는 회전검출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회전봉 제어부의 회로기판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231 및 232는 후술하는 회전수 검출부에 대응된다.
또 다르게는 회전검출 수단은 발광부재와 수광부재를 각각 회동체(203)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일측 및 손잡이부(201)의 대응되는 타측에 설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회전 검출수단은 그 밖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수 있음은 물론이다.
조작패널(150)에는 키입력부와 표시부가 함께 일체로 마련되어 있고,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러한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의 블럭도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는 메인제어부(180), 조작패널(150), 수신부(170), 음향 출력부(160)를 구비한다.
조작패널(150)이 무선방식으로 적용되는 경우 수신부(170) 외에도 송신부(미도시)가 메인제어부(180)에 접속된다.
조작패널(150)상에 마련된 키입력부(150)에는 운동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다양한 키가 마련되어 있다.
키입력부(151)의 일 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키입력부(151)는 운동시간 설정키(151a), 레벨 설정키(151b), 목표 뜀수 설정키(151c), 업/다운 키(151d)(151e), 전원 온/오프 키(151f), 리셋키(151g), 스타트/스톱키(151h)를 구비한다.
운동시간 설정키(151a)는 운동하고자 하는 시간을 선택할때 이용하고, 시간 조정은 업/다운 키(151d)(151e)를 이용하여 조정한다.
레벨 설정키(151b)는 운동속도 즉, 빔회전 속도에 대해 다단계 예컨대 10단계로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레벨을 선택하고자 할 때 이용하고, 레벨조정은 업/다운 키를 이용한다.
목표 뜀수 설정키(151c)는 운동하고자 하는 목표 뜀수를 선택하고자 할 때 이용한다. 업/다운 키(151d)(151e)는 운동시간, 레벨조정, 목표뜀수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리셋키(151g)는 운동을 다시 시작하고자 할 때 이전에 설정된 운동 조건을 리셋시킬 때 이용한다.
그 밖에 조작패널(150) 측면에 설치되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음향출력부온/오프 키, 빔회전 출사부 온/오프 키 및 모드 선택키가 더 구비된다.
음향 출력부 온/오프키는 음향 출력을 원치 않을 때 사용하도록 마련된 것이고, 빔회전 출사부 온/오프 키는 빔 출사를 원치 않을 때 사용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모드 선택키는 지원되는 복수의 모드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키이다.
바람직하게는 운동자의 운동 에러 즉, 도약 주기가 설정된 회전속도와 맞지 않는 경우 운동자의 도약주기에 맞게 빔회전속도 또는 발판 승하강 속도, 또는 후술하는 순차 발광표시기의 점멸 속도를 내부적으로 자동 조정하는 제1모드와, 제1모드의 기능중 사용자의 운동속도에 맞춰 속도를 조정하는 자동속도 조정기능 생략하되 사용자가 설정한 운동조건에 따라서만 기구를 동작시키는 제2모드와, 디폴트로 설정된 운동조건에 따라 스타트 버튼이 눌려지면 이후 진행되는 운동 시간의 누적 카운트 및 뜀수만 카운트하여 처리하는 제3모드를 지원한다.
스톱버튼 조작시 또는 설정된 운동조건에 따른 운동 종료시에는 산출된 정상 뜀수 및 에러 뜀수를 표시부(153)를 통해 표시한다.
표시부(153)는 메인제어부(180)에 제어되어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53)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확대 도시된 도 7을 참조하면, 표시부(153)는 문자 또는 숫자를 표시하는 표시창(153a)(153b)과, 순차 발광표시부(153c)를 구비한다.
복수의 표시창(153a)(153b)중 상단의 표시창(153a)은 운동 결과 또는 그 밖의 정보를 표시하고, 하단의 표시창(153b)는 사용자가 설정된 운동조건을 키 위치에 대응되게 구획 표시한다.
참조부호 153d는 표시창(153a)에 정상적으로 뛴 수를 표시할 때 이를 알리기 위한 통과 표시수 표시용 알림 표시등이고, 153e는 표시창(153a)에 에러뜀수를 표시할 때 이를 알리기 위한 에러 통과 표시수 표시용 알림 표시등이다.
순차 발광 표시부(153c)는 회전빔 출사부(140)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메인제어부(180)에 제어되어 설정된 회전속도에대응되는 패턴으로 소정각도 범위 예컨대 전방 180도 회전각도 부분에 대해 회전속도에 맞춰 상단부터 하단까지 열을 짖게 배열된 발광등이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점멸 되게 구동된다. 이러한 순차 발광 표시부(153c)는 어레이되어 열을 짓는 방향을 따라 순차 발광되는 광에 의해 줄을 돌리는 것과 동일한 시각적 느낌을 제공한다. 따라서, 순차 발광 표시부(153c)의 작동은 회전빔 출사부(140)의 구동을 중단시킨 상태에서도 운동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음향출력부(160)는 메인제어부(180)에 제어되어 기록된 다양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향 출력부(160)는 줄넘기 효과음을 제공할 수 있도록 메인제어부(180)에 제어되어 줄이 회전하면서 바닥에 부딧칠 때 발생되는 음향, 줄이 회전할 때 발생되는 바람소리등이 빔회전시 마다 출력된다.
또한, 메인제어부(180)는 에러 뜀상태가 검출될 때 음향출력부(160)를 통해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신부(170)는 회전봉체(200)로부터 수신된 회전검출신호를 메인제어부(180)로 출력한다.
회전봉체(200)의 회전수 검출부(230)는 앞서 도 5를 통해 설명된 회전 검출수단이고, 회전봉 제어부(220)는 회전수 검출부(230)에서 회전검출신호를 수신되면 이에 대응되는 신호를 송신부(210)를 통해 출력한다.
메인제어부(180)는 키입력부(141)를 통해 선택된 키입력신호에 따라 설정된 운동 조건 및/또는 모드에 따라 각 요소를 제어하고, 뜀검출부(124)를 통해 검출된 신호 및/또는 회전봉체(200)에서 출력되는 회전신호를 이용하여 운동 에러여부를 산출하고, 산출결과를 표시부(153)를 통해표시처리한다.
예를 들면, 메인제어부(180)는 뜀검출부(124)를 통해 검출된 뜀 속도와 빔회전속도가 일치하면 정상 뜀으로 판정하고, 설정된 에러 범위를 초과하면 에러로 카운트한다.
또한, 메인제어부(180)는 운동이 종료되면,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처리결과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메인제어부(180)는 제2모드로 설정된 경우, 적산된 뜀 횟수와, 적산된 뜀 횟수에서 에러횟수를 차감한 정상 뜀횟수 즉 통과횟수와 에러횟수 즉, 줄걸림횟수를 표시부(153)를 통해 표시처리 한다.
메인 제어부(180)의 운동에러 판정은 뜀검출 유무, 뜀 검출이 확인될 때의 회전빔의 회전각도, 뜀틀 구동부의 승하강 위치, 회전봉체의 회전신호발생유무와 같은 조건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운동 에러조건을 결정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뜀틀 구동부의 승하강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 회전빔의 현재 출사각도를 검출하는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는 광선의 회전방식에 의해 운동 타이밍을 조절하여 줄넘기와 동일한 방식의 운동을 실내에서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간상의 제약요건을 완화시키고, 운동에 대한 흥미도 유발시켜 운동 기회를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4)

  1. 발판체와;
    상기 발판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발판체를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빔을 회전시켜 출사하는 회전빔 출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체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수직상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뜀틀 구조체와;
    상기 뜀틀 구조체를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3. 사용자의 하중에 의한 접촉/비접촉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뜀검출부;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4. 상호 연결되되 상방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하부로 회동될 수 있게 어레이된 다수의 터치 패드가 형성된 제1도전 플레이트;
    상기 제1도전플레이트의 상기 터치 패드가 통과될 수 있게 상기 터치 패드와대응되는 위치에다수의 홀이 형성된 절연 플레이트와;
    상기 절연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터치 패드가 상기 절연플레이트의홀을 통해 접촉되는지의 유무에 따라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결선된 제2도전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5. 일단은 힌지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대해 회동되게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자유 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승하강 수단은 상기 튐틀 구조체의 상기 프레임과의 힌지결합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상의 상기 뜀틀 구조체의 하부를 지지하게 설치되되 편심을 갖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빔 출사부는
    광원과;
    상기 광원이 지지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빔 출사부의 빔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에 파지할 수 있게 소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된 손잡이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회동체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동체의 회전을 검출하여, 검출결과를 상기 메인제어부에 무선으로 송출하는 손잡이 회전봉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결정된 빔회전 속도에 대응되는 패턴으로 순차적으로 발광되도록 어레이 된 순차 발광표시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발판구조체의 뜀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뜀 속도와 상기 빔회전속도가 설정된 에러 범위를 초과하면 표시부를 통해줄걸림표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설정된 운동시간이 종료되면 적산된 뜀 횟수와 줄걸림횟수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12. 제7항에 있어서,
    운동하고자 하는 목표 뜀수, 운동시간, 운동속도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할 수 있는 키가 마련된 키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값에 대응되는 설정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설정된 빔회전속도에 대응되게 상기 발판체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뜀틀구조체를 승하강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에 제어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KR1020030054513A 2003-08-07 2003-08-07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KR20030076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513A KR20030076484A (ko) 2003-08-07 2003-08-07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513A KR20030076484A (ko) 2003-08-07 2003-08-07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149U Division KR200287137Y1 (ko) 2002-03-19 2002-03-19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484A true KR20030076484A (ko) 2003-09-26

Family

ID=32227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513A KR20030076484A (ko) 2003-08-07 2003-08-07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648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991B1 (ko) * 2006-09-20 2008-02-12 장진식 유산소 운동기구
KR100825517B1 (ko) * 2007-06-18 2008-04-25 이경노 줄넘기용 운동머신
KR100885886B1 (ko) * 2008-05-28 2009-02-26 (주)디자인파크개발 전자식 줄넘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991B1 (ko) * 2006-09-20 2008-02-12 장진식 유산소 운동기구
KR100825517B1 (ko) * 2007-06-18 2008-04-25 이경노 줄넘기용 운동머신
WO2008156291A1 (en) * 2007-06-18 2008-12-24 Kyung No Lee Exercise equipment for jumping rope
KR100885886B1 (ko) * 2008-05-28 2009-02-26 (주)디자인파크개발 전자식 줄넘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202B1 (ko)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TWI637768B (zh) 控制台定位
US7604570B2 (en) Exercise device having position verification feedback
US8734297B2 (en) Flash spinner trampoline
JP2008284320A (ja) バランス運動トレーナー
TW201821131A (zh) 於操作期間抵銷跑步機的平台之重量
US4813665A (en) Aerobic skipping exercise device
EP2505235A1 (en) Trampoline with feedback system
US20030073541A1 (en) Game and exercise device and method
JP2010253236A (ja) 瞬発力測定及びトレーニング装置
KR100996592B1 (ko)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KR101132699B1 (ko) 무선 줄넘기 세트
KR101188136B1 (ko)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KR20180031234A (ko) 비접촉 또는 간접 타격식 터치 게임 장치
KR200295803Y1 (ko) 줄넘기/런닝용 운동기구
KR20030076484A (ko)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KR200287137Y1 (ko) 줄넘기 대체용 뜀 운동기구
WO2007068908A1 (en) Skipping simulator
KR101188137B1 (ko)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CN209809386U (zh) 一种用于跳绳运动的游戏装置
US20080255479A1 (en) Therapy apparatus
KR20040012619A (ko) 줄넘기/런닝용 운동기구
GB2502083A (en) Multi-function exercise apparatus
JP2010172377A (ja) 運動装置
WO2013160859A2 (en) An abdominal muscles tr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