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5857A -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 - Google Patents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5857A
KR20030075857A KR1020020015325A KR20020015325A KR20030075857A KR 20030075857 A KR20030075857 A KR 20030075857A KR 1020020015325 A KR1020020015325 A KR 1020020015325A KR 20020015325 A KR20020015325 A KR 20020015325A KR 20030075857 A KR20030075857 A KR 20030075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mount
pulse
input line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진
Original Assignee
박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진 filed Critical 박상진
Priority to KR1020020015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5857A/ko
Publication of KR20030075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85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16Adaptations of counters to electricity 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12Bandpass or bandstop filters with adjustable bandwidth and fixed centre frequ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산전력량계에 통신모듈을 설치하여 전기에너지의 사용량을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 원거리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전력 계량의 편리성과 관리의 효율 및 구조의 간략화를 제공하는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발명의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는, 사용 소비전력에 따른 전압코일과 전류코일의 자속에 기인하여 회전하는 워엄휠 또는 회전원판 중에서 어느 하나에 적외선 신호를 송출 및 수신하여 상기 워엄휠 또는 회전원판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이를 펄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펄스검출수단과, 이 펄스검출수단에서 얻어진 펄스 신호를 적산하며 그 적산된 값을 전력량으로 환산하여 출력하는 전력량 환산수단과, 전력량 환산수단에서 얻어진 사용 전력량을 변조시켜 전원입력선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하는 송신수단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전기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회전원판 또는 워엄휠의 회전수를 검출할 때 채터링 현상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사용 전력량을 전원입력선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검침원이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원거리에서 사용 전력량을 보다 편리하게 검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APPARATUS FOR REMOTE READING OF POWER METER}
본 발명은 예컨대, 일반가정 또는 사무실, 공장 등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계량하는 기계식 적산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산전력량계에 통신모듈을 설치하여 전기에너지의 사용량을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 원거리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전력 계량의 편리성과 관리의 효율 및 구조의 간략화를 양립하도록 하는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수용가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계식 적산전력량계는 전원입력선을 통해 공급되어 부하전원선을 통해 흘러나가는 전기의 공급경로에 전압코일과 전류코일을 연결하여 그 전압코일과 전류코일에서 유기된 자속에 의해 회전원판의 회전력이 발생하게 하고, 이 회전원판의 회전수를 아날로그식 카운터기와 같은 계수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전력량을 표시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계식 적산전력량계를 검침하기 위해서는 검침원이 일일이 가가호호를 방문하여 각 수용가에 설치된 전력량계의 계량 수치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노트에 적어 검침부를 작성한 다음, 검침부의 내용을 고지서 발부를 위한 전산시스템에 입력시키는 방식으로 행하여 지고 있었다. 이러한 원시적인 검침방법에 의하면, 많은 검침원이 필요로 하므로 인건비상승뿐 아니라 검침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더욱이 검침원을 가장한 방범 행위가 늘고 있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검침원이 가정에 방문하지 않고도 원거리에서 전력 사용량을 검침할 수 있는 기계식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가 많이 안출되어 제품화되고 있다.
도 1은 그와 같은 일반적인 기계식 적산전력량계를 간략하게 나타내어 보인 횡단면도이다.
상기 기계식 전산전력량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 내의 중앙에 제1축(21)이 설치되어 있고, 제1 축(21)에는 제1 내지 제3 숫자 회전체(22 내지 2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제1 축(21)의 후방에는 제2 축(25)이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제2 축(25)에는 제1 내지 제3 숫자 회전체(22 내지 24)를 회전시켜 주는 송차(26)가 축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1 축(21)의 구동축(27) 일단에는 워엄(28)과 맞물리며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전력량계의 회전원판과 연결되는 워엄 휠(29)이 축 결합되어 있고, 구동축(27)의 타단에는 프레임(20)의 외측에 위치되게 구동기어(30)가 축결합되어 있으며, 구동축(27)의 근방에는 중간축(31)이 프레임(20)의 외측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중간축(21)의 일단에는 프레임(20) 외측에 위치되게 구동기어(30)에 맞물리도록 종동기어(32)가 결합되어 있으며, 중간축(21)의 타단에는 프레임(20)의 내측에 위치되게 종동기어(33)가 제1 숫자 회전체(22)에 맞물려 있다. 여기서 프레임(20) 내에 설치된 펄스검출용 발신수단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 숫자회전체(22)의 내부에는 레디얼(Radial) 방향으로 착자된 자석(34)이 삽입되어 있고, 플라스틱 안내부재(35)로서 적당한 숫자에 위치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제1 숫자 회전체(22)와 맞닿지 않는 인접한 거리의 프레임(20)에는 제1 숫자 회전체(22)와 교차되는 수평방향으로 리드스위치(36)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숫자 회전체(22 내지 24)는 워엄 휠(29)의 회전 운동에 따라 제1 숫자 회전체(22)의 1회전 때 10개의 펄스가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리드스위치(36)의 단자(CA)(DB)를 통하여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부하 전력소비에 따라 워엄(9)에 축결합된 상기 회전원판이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에 따라 워엄 휠(29)로 회전력이 전달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력은 구동축(27) 및 이에 연결된 구동기어(30)와 종동기어(32)에 차례로 전달되어 상기 종동기어에 결합된 중간축(31) 및 종동기어(33)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종동기어(33)가 회전함에 따라 이에 결합된 제1 숫자 회전체(22)가 회전하게 되고, 제1 숫자 회전체(22) 내부에 고정된 자석(34)의 자계에 의해 자석이 접근할 때는 리드스위치(36)가 도통(on)상태가 됨과 함께 멀어질 때에는 차단(off)상태가 되므로 계량치에 비례한 펄스 신호가 출력되어 원격 검침용 카플러(도면에 미 도시)에 적산되는데, 이때 제1 숫자 회전체(22)의 1회전 때 10개의 펄스가 발생하게 되어 출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기계식 적산전력량계의 펄스 검출장치는 부하 소비전력에 따른 펄스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자석 및 착자를 상기 회전체의 크기에 따라 제작하여야 함으로 원가부담 및 상기와 같이 회전체의 좁은 공간 내에 고정하여야 함으로 조립의 어려움이 있으며, 상기 자석과 자석사이의 간격이 좁아 회전체가 상기 리드스위치에 근접할 때 채터링 현상이 발생되어 펄스가 불안정하게 감지될 뿐 아니라 이로 인하여 전력량의 원격검침 결과에 신뢰성이 없어 민원발생 소지가 많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상기 펄스 검출장치에서 검출한 펄스를 대부분 무선망을 통하여 통신하거나 또는 전화라인을 통해 통신하게 되는데, 이때 통신 장애에 의해서 원격 검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무선통신 중계기 또는 모뎀 등의 설치에 따른 비용이 경제적으로 큰 부담으로 작용되는 문제점 등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치유하면서도 비용 면에서는 보다 저가의 기계식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를, 그리고 신뢰성 면에서는 사용 전력량을 펄스검출 오류 및 통신장애 없이 보다 정확하게 검침하여 전송할 수 있는 기계식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의 기계식 적산전력량계에 유선통신수단을 설치하여 현장방문 없이도 원거리에서 사용 전력량을 보다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원격 검침장치는 전력량 사용에 따른 회전원판의 회전수를 펄스검출부에서 검출하고 그 검출된 회전수를 전력량 환산부에서 전력량으로 환산하여 송신부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펄스 검출 때 채터링(Chattering) 현상 없이 보다 정확한 검출을 유도하고, 또한 사용전력량을 통신장애 없이 전송하도록 하는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원격 검침장치는 전력량 사용에 따른 회전원판의 회전수를 적외선을 이용하여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전력량을 전력선으로 전송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기계식 적산전력량계를 간략하게 나타내어 보인 횡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어 보인 구성도로서,
도 2는 상기 원격 검침장치가 설치된 적산전력량계를 간략하게 나타내어 보인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원격 검침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어 보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2 : 전원입력선 44 : 부하전원선
50 : 전압코일 52 : 전류코일
60 : 회전원판 70 : 펄스검출부
72 : 발광소자 74 : 수광소자
80 : 전력량 환산부 82 : 계수부
84 : 배율부 86 : 타임스위치
90 : 송신부 91 : 변조부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에 의하면, 전원입력선에 연결된 전압코일과 전류코일의 자속에 기인하여 회전하는 회전원판과,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력을 워엄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워엄휠과, 상기 구동축과 결합된 제1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 전력량을 숫자로 표시하는 제1 내지 제3 숫자 회전체를 포함하는 기계식 적산전력량계에 있어서: (1) 회전하는 상기 워엄휠 또는 상기 회전원판 중에서 어느 하나에 적외선 신호를 송출 및 수신하여 상기 워엄휠 또는 회전원판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이를 펄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펄스검출수단; (2) 상기 펄스검출수단에서 얻어진 상기 회전수에 따른 펄스 신호를 적산하며 그 적산된 값을 전력량으로 환산하여 출력하는 전력량 환산수단; 및 (3) 상기 전력량 환산수단에서 얻어진 사용 전력량을 변조시켜 상기 전원입력선으로 전송하는 송신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전력량 환산수단은 (1) 상기 펄스검출수단에서 검출된펄스 신호를 하나씩 가산하는 계수부; (2) 일정주기 마다 칩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타임스위치; 및 (3) 상기 계수부의 카운트 값을 전력량으로 환산하여 상기 타임스위치의 칩선택 신호에 따라 일정주기별로 출력하는 배율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송신수단은 (1) 상기 전력량 환산수단에서 얻어진 전력량을 반송파 발생부에서 발생된 반송파에 혼합시켜 출력하는 변조부; (2) 상기 변조부에서 변조된 전력량을 대역필터링 하여 상기 전원입력선을 통해 전송하는 대역통과 필터부; (3) 상기 변조부로부터 전력량이 변조되어 출력될 때마다 일정 주기의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부; 및 (4) 상기 펄스발생부에서 얻어진 일정 주기의 펄스를 저역필터링하여 상기 전원입력선을 통해 전송하는 저역통과 필터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기계식 적산전력량계에 원격 검침장치를 설치하여, 각 가정에서의 사용 전력량에 따른 회전원판의 회전수를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검출하고 그 검출된 회전수를 적산함과 아울러 이를 전력량으로 환산하여 전원입력선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전기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회전원판 또는 워엄휠의 회전수를 검출할 때 채터링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또한 사용전력량을 전원입력선으로 전송함으로써, 통신장애가 일어나지 않을 뿐 아니라 검침원이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원거리에서 사용 전력량을 보다 편리하게 확인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예시할 목적으로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를 가지고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각 도면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과 같은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검침장치가 설치된 적산전력량계를 간략하게 나타내어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산전력량계의 접속부(40)에 각각 접속된 부하전원선(42), 전원입력선(44)과, 상기 전원입력선 및 부하전원선에 연결되어 사용 전원에 따라 자속을 유기시키는 전압코일(50), 전류코일(52)과, 상기 전압코일 및 전류코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기된 자속에 기인하여 회전하는 회전원판(60)과, 구동축(27)에 결합되어 회전원판(60)의 회전력을 워엄(28)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워엄휠(29)과, 구동축(27)과 결합된 제1 축(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 전력량을 숫자로 표시하는 제1 내지 제3 숫자 회전체(22 내지 24)와, 제1 축(21)에 결합된 제1 회전체(22)와 맞물려 회전시켜 주는 종동기어(33)와, 제1 축(21)의 후방에 설치된 제2 축(25)에 설치되어 제1 내지 제3 숫자 회전체(22 내지 24)를 회전시켜 주는 송차(26)를 구비한 기계식 적산전력량계에서 있어서, 회전하는 워엄휠(29)에 적외선 신호를 송출 및 수신하여 그 워엄휠(29)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이를 펄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발광소자(72) 및 수광소자(74)로 이루어진 펄스검출부(70)와, 펄스검출부(70)에서 검출되어 출력되는 펄스 신호를 적산하고 그 적산된 값을 전력량으로 환산하여 출력하는 전력량 환산부(80)와, 전력량 환산부(80)에서 입력되는 사용 전력량을 변조시켜 접속부(40)의 전원입력선(44)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하는 송신부(9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전력량 환산부(8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펄스검출부(70)의 수광소자(74)를 통해 출력된 펄스 신호를 순차적으로 카운트하는 계수부(82)와, 일정한 주기 마다 칩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타임스위치(86)와, 계수부(82)에서 카운트한 값을 전력량으로 환산하며 타임스위치(86)의 칩선택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일정주기 별로 상기 환산된 전력량을 출력하는 배율부(8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계식 적산전력량계에 설치된 송신부(90)는 전력량 환산부(80)의 배율부(84)에서 일정주기 별로 출력되는 전력량을 반송파 발생부(92)에서 발생된 반송파에 혼합시켜 출력하는 변조부(91)와, 이 변조부에서 변조된 전력량을 대역필터링 하여 접속부(40)에 접속된 전원입력선(44)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하는 대역통과 필터부(93)와, 변조부(91)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력량이 변조되어 출력될 때 일정 주기의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펄스발생부(94)와, 이 펄스발생부에서 발생된 일정 주기의 펄스 신호를 저역필터링하여 접속부(40)의 전원입력선(44)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하는 저역통과 필터부(9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를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이하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기계식 적산전력량계의 접속부(40)에 연결된 전원입력선(44) 및 부하전원선(42)을 통하여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전력소비에 따라 전원입력선(44) 및 부하전원선(42)에 연결된 전압코일(50)과 전류코일(52) 사이에서 자속이 유기되어 회전원판(60)을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원판(60)이 전력소비에 따라 회전하게 되면 이에 축 결합된 워엄(28)과 워엄휠(29)이 회전하여 그 회전력을 구동축(27) 및 제2 축(25)에 전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2 축(25)에 설치된 송차(26)에 의해서 제1 내지 제3 숫자 회전체(22 내지 24)가 회전하면서 사용 전력량을 숫자로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원판(60)의 회전수는 워엄휠(29)의 치차 비에 따라 회전하게 되며, 이때 워엄휠(29)의 일측에 설치된 펄스검출부(70)의 발광소자(72)가 적외선 신호를 워엄휠(29)에 조사하게 된다. 그리고 워엄휠(29)을 통과한 적외선 신호는 수광소자(74)로 입사되어 그로부터 펄스 신호가 출력된다. 즉 워엄휠(29)이 1회전할 때마다 펄스검출부(70)에서는 하나의 펄스 신호가 출력되어 전력량 환산부(80)에 제공된다.
전력량 환산부(80)의 계수부(82)는 펄스검출부(70)로부터 펄스 신호가 제공될 때마다 적산하여 배율부(84)에 제공하며, 배율부(84)는 계수부(82)에서 적산한 값을 전력량으로 환산한 후에 타임스위치(86)의 칩선택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일정주기, 예컨대 15분 또는 30분 또는 60분 단위로 상기 환산된 전력량을 송신부(90)에 구비된 변조부(91)에 제공한다.
송신부(90)의 변조부(91)는 전력량 환산부(80)의 배율부(84)에서 제공되는 전력량을 반송파 발생부(92)에서 발생된 반송파 신호에 혼합시켜 대역통과 필터부(93)에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변조된 전력량을 출력할 때마다 펄스발생부(94)를 인에이블시키 된다.
이에 따라 펄스발생부(94)는 변조부(91)에 의해서 일정 주기의 펄스 신호를 발생하여 저역통과 필터부(95)를 통해 저역 필터링한 후에 전원입력선(44)을 통해 원격지로 송출하게 되고, 또한 대역통과 필터부(93)는 변조부(91)에서 반송파 신호에 변조되어 입력되는 전력량을 대역 필터링하여 전원입력선(44)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함으로써, 원격지에서 사용자의 소비전력을 간편하게 확인·검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펄스검출부(70)를 워엄휠(29) 측 이외에 회전원판(60)의 일측에 설치하여 사용 소비전력에 따른 회전원판(60)의 회전수 검출로 상기와 같은 동일 조건을 얻을 수가 있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부하 소비전력에 따른 펄스를 얻기 위해 자석 및 착자를 회전체의 크기에 따라 제작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또한 검출된 사용 전력량을 통신장애가 빈번한 무선망 및 전화라인을 통해 전송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회전원판의 회전수를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검출함과 아울러 사용 전력량을 전원입력선을 통해 통신장애 없이 원격지로 전송하여 주게 됨을 알 수가 있다.
이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회전원판 또는워엄휠의 회전수를 검출할 때 채터링 현상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사용 전력량을 전원입력선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검침원이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원거리에서 사용 전력량을 보다 편리하게 검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발명의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에 의하면, 기계식 적산전력량계에 원격 검침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전기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회전원판 또는 워엄휠의 회전수를 검출할 때 채터링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전력량을 모뎀 또는 무선통신장비가 아닌 전원입력선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통신장애가 발생되지 않으며, 그리고 설치에 따른 가격 부담이 경제적으로 해결됨과 아울러 검침원이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원거리에서 사용 전력량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원입력선에 연결된 전압코일과 전류코일의 자속에 기인하여 회전하는 회전원판과,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력을 워엄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워엄휠과, 상기 구동축과 결합된 제1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 전력량을 숫자로 표시하는 제1 내지 제3 숫자 회전체를 포함하는 기계식 적산전력량계에 있어서;
    (1) 회전하는 상기 워엄휠 또는 상기 회전원판 중에서 어느 하나에 적외선 신호를 송출 및 수신하여 상기 워엄휠 또는 회전원판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이를 펄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펄스검출수단;
    (2) 상기 펄스검출수단에서 얻어진 상기 회전수에 따른 펄스 신호를 적산하며 그 적산된 값을 전력량으로 환산하여 출력하는 전력량 환산수단; 및
    (3) 상기 전력량 환산수단에서 얻어진 사용 전력량을 변조시켜 상기 전원입력선으로 전송하는 송신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 환산수단은,
    (1) 상기 펄스검출수단에서 검출된 펄스 신호를 하나씩 가산하는 계수부;
    (2) 일정주기 마다 칩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타임스위치; 및
    (3) 상기 계수부의 카운트 값을 전력량으로 환산하여 상기 타임스위치의 칩선택 신호에 따라 일정주기별로 출력하는 배율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은,
    (1) 상기 전력량 환산수단에서 얻어진 전력량을 반송파 발생부에서 발생된 반송파에 혼합시켜 출력하는 변조부;
    (2) 상기 변조부에서 변조된 전력량을 대역필터링 하여 상기 전원입력선을 통해 전송하는 대역통과 필터부;
    (3) 상기 변조부로부터 전력량이 변조되어 출력될 때마다 일정 주기의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부; 및
    (4) 상기 펄스발생부에서 얻어진 일정 주기의 펄스를 저역필터링하여 상기 전원입력선을 통해 전송하는 저역통과 필터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
KR1020020015325A 2002-03-21 2002-03-21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 KR20030075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325A KR20030075857A (ko) 2002-03-21 2002-03-21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325A KR20030075857A (ko) 2002-03-21 2002-03-21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433U Division KR200278950Y1 (ko) 2002-03-21 2002-03-21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857A true KR20030075857A (ko) 2003-09-26

Family

ID=32225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325A KR20030075857A (ko) 2002-03-21 2002-03-21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58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056B1 (ko) * 2006-08-11 2008-04-24 주식회사 탑시스템 계량검침모듈 구조
KR101007343B1 (ko) * 2010-09-08 2011-01-13 대민산업개발(주) 수위관측기
CN112258827A (zh) * 2020-10-16 2021-01-22 杭州百富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便于抄表的电表箱及抄表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056B1 (ko) * 2006-08-11 2008-04-24 주식회사 탑시스템 계량검침모듈 구조
KR101007343B1 (ko) * 2010-09-08 2011-01-13 대민산업개발(주) 수위관측기
CN112258827A (zh) * 2020-10-16 2021-01-22 杭州百富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便于抄表的电表箱及抄表方法
CN112258827B (zh) * 2020-10-16 2021-08-24 杭州百富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便于抄表的电表箱及抄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26596C (en) Self-powered fluid meter
Ali et al. Smart energy meters for energy conservation & minimizing errors
GB2138609A (en) Electronic counter for mechanical drive
US4264897A (en) Meter register encoder including electronics providing remote reading capability
KR20030075857A (ko)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
KR200278950Y1 (ko) 적산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장치
KR100559087B1 (ko) 유량검출용 계량기
KR20090030737A (ko) 디지털 요금표시장치
JPS5841559B2 (ja) 発電式テレメ−タにおける作動確認方式
KR100212443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도 및 개스검침회로
CN101620689A (zh) 容栅远程计数器读数装置
JP2004233309A (ja) 電力量計の回転数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S61202119A (ja) 水道メ−タ点検装置
JP3084305B2 (ja) 水道メータ隔測検針システム
KR20000065933A (ko) 계량기 숫자휠의 회전검출센서와 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
KR200409912Y1 (ko)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전력량 측정 모니터
KR900000982B1 (ko) 전자식 원격 검침 장치
JPH0338655Y2 (ko)
Agarwal Power Theft Prevention Techniques
KR200210092Y1 (ko) 적산전력량계
JPH0996553A (ja) 水道メータ
KR20000013920U (ko) 자동 검침 계량기
JPH0515061Y2 (ko)
KR100219847B1 (ko) 전력량 계의 카운터
KR20130048506A (ko) 컴팩트 모듈을 이용한 계량 검침 신호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