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5688A -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5688A
KR20030075688A KR1020020015042A KR20020015042A KR20030075688A KR 20030075688 A KR20030075688 A KR 20030075688A KR 1020020015042 A KR1020020015042 A KR 1020020015042A KR 20020015042 A KR20020015042 A KR 20020015042A KR 20030075688 A KR20030075688 A KR 20030075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ce
home appliance
home
networ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7044B1 (ko
Inventor
오기태
이상균
이연경
김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5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044B1/ko
Publication of KR20030075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홈네트워킹 시스템을 위하여 구축된 내부 네트워크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내부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송된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가 이루어지는 가전기기에 해당 가전기기가 위치하는 장소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장소별로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정 장소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가전기기로 동시에 동일한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사용자가 외부에서도 가정 내에 존재하는 가전기기가 어느 장소에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어 특정 장소의 가전기기만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Home Appliance Network System and the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홈네트워킹 시스템의 내부 네트워크망과 연동되는 복수개의 가전기기를 장소별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네트워킹 시스템은 복수개의 가전기기를 네트워크망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가정이나 건물 내에 LAN등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네트워크망을 구축하고 상기 내부 네트워크망을 통해 복수개의 가전기기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상기 홈네트워킹 시스템의 내부 네트워크망은 상기 건물 또는 가정 외부의 네트워크망과 연결되기도 한다. 따라서, 홈네트워킹 시스템의 사용자는 가정 내에서도 상기 홈네트워킹 시스템을 통해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정 외에서도 상기 홈네트워킹 시스템을 통해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홈네트워킹 시스템과 같은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고 연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내부 네트워크망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가전기기에 로지컬 주소를 부여하여야 하며, 상기 내부 네트워크망에서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게이트웨이 등은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로 부여된 로지컬 주소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외부 네트워크망에서 상기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가전기기로 전송되는 제어명령을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여 가전기기가 제어되도록 하는 동시에 경우에 따라 제어된 가전기기가 생성한 상태정보를 상기 외부 네트워크망으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에서도 가정 내의 가전기기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로는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가 내부 네트워크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로지컬 주소만 부여되고 상기 로지컬 주소에 관한 정보만 해당 가전기기에 내장되어 있어, 가전기기 네트워크망 시스템의 사용자는 상기 로지컬 주소만 가지고는 어떠한 가전기기가 어느 장소에 위치하는 가전기기인지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가정의 거실이나 부엌 등 특정 장소에 위치하는 가전기기를 한번에 오프시켜야 하는 경우 일일이 각 가전기기로 제어명령을 입력하여야 하므로 사용자는 불편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복수개의 가전기기가 내부 네트워크망으로 연동되어 구성되는 홈네트워킹 시스템에서 각 가전기기를 상기 가전기기가 위치하는 장소별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2는 도 1에서 가전기기와 게이트웨이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장소별 제어방법이 도시된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H1~Hn : 가전기기C1~Cn : 연산장치
10 : 로지컬 주소 저장부20 : 정보 저장부
30 : 제품 컨트롤러40 : 키조작부
50 : 인터페이스 저장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특징에 따르면, 홈네트워킹 시스템을 위하여 구축된 내부 네트워크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내부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동되는 복수개의 가전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상기 내부 네트워크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사용하도록 부여된 로지컬 주소가 저장되는 로지컬 주소 저장부와, 상기 가전기기가 위치하는 장소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장소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장소별 제어방법은 홈네트워킹 시스템을 위한 내부 네트워크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가전기기에 해당 가전기기가 위치한 장소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장소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복수개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이 상기 내부 네트워크망으로 전송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전송된 제어명령에 포함된 장소에 관한 정보에 따라 해당 장소에 위치하는 가전기기가 제어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이나 건물 내에 설치된 내부 네트워크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내부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송된 바에 따라 제어되는 동시에 상기 내부 네트워크망으로 상태정보 등을 전송하는 복수개의 가전기기(H1~Hn)와,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H1~Hn)로 로지컬 주소를 부여하고 각 가전기기의 로지컬 주소를 맵(Map)형식으로 저장하여 외부에서 수신된 제어명령을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내부 네트워크망과 가정 또는 건물 외부 네트워크망(I)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G)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자는 상기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외부 네트워크망(I)과 연결된 PC 등의 연산장치(C1~Cn)를 이용하여 상기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가전기기(H1~Hn)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입력된 제어명령은 내부 네트워크망을 통해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해당 가전기기는 상기 내부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송된 제어명령에 제어될 뿐 아니라, 상기 전송된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되는 경우에 그에 대한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내부 네트워크망으로 전송하기도 한다. 상기 게이트웨이(G)는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H1~Hn)가 전송하는 상태정보를 상기 외부 네트워크망(I)을 전송함으로써 제어명령을 입력한 연산장치로 상기 상태정보가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H1~Hn)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기기로 부여된 로지컬 주소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로지컬 주소 저장부(10)와, 해당 가전기기가 위치하는 장소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장소 저장부(20)와, 해당 가전기기의 제반 사항을 제어하는 제품 컨트롤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외에도,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H1~Hn)는 상기 장소 저장부(20)로 해당 가전기기가 위치하는 장소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조작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조작부(40)를 통해 입력된 바는 상기 장소 저장부(20)에 저장된다.
특히, 상기 제품 컨트롤러(30)는 내부 네트워크망과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바를 제어하며 상기 내부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한다. 즉, 내부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명령에 포함된 로지컬주소 또는 장소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바에 따라 로지컬 주소 또는 장소에 관한 정보가 상기 로지컬 주소 저장부(10) 또는 장소 저장부(20)에 저장된 바와 동일한 경우 전송된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G)에는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H1~Hn)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입력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 데이터가 저장된 인터페이스 저장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 네트워크망(I)에 연결된 연산장치(C1)가 상기 게이트웨이(G)에 인증 절차 등을 통해 접속한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G)는 상기 인터페이스 저장부(50)에 저장된 유저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상기 연산장치(C1)로 전송한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연산장치(C1)에서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데이터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한 제어명령 입력창 등이 실행되어 모니터 등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입력창 등에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기기에 해당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게 된다. 상기 입력된 제어명령은 게이트웨이(G)를 통해 가전기기로 전송된다.
특히, 상기 게이트웨이는 내부 네트워크망과 연결된 복수개의 가전기기의 로지컬 주소와 장소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실행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어떠한 가전기기가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지 알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가전기기 중 특정 장소에 위치하는 가전기기만을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부엌이나 거실에 위치하는 가전기기를 모두 오프시키기 위하여 부엌 또는 거실을 선택하고 상기 장소에 위치하는 가전기기를 모두 오프시키는 명령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시킬 수 있다.
이렇듯, 상기 연산장치를 통해 입력된 명령은 상기 게이트웨이를 거쳐 복수개의 가전기기로 전송되며, 상기 전송된 명령에 포함된 장소에 관한 정보에 따라 해당 장소에 위치하는 가전기기만 제어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장소별 제어방법이 도시된 도이다.
먼저, 제1 단계에서 내부 네트워크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제어되는 복수개의 가전기기로 사용자가 장소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S1)
제2 단계에서 사용자가 외부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가전기기로 전송하고자 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한다. (S2)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는 거실에 위치하는 가전기기를 모두 오프시키는 제어명령을 입력하였다고 가정한다.
제3 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제어명령이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과하여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로 전송된다. (S3)
제4 단계에서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는 상기 내부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송된 제어명령에 포함된 장소에 관한 정보가 상기 장소 저장부에 저장된 장소에 관한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S4)
만일, 상기 제4 단계에서 일치한다고 확인된 경우, 상기 일치가 확인된 가전기기가 제5 단계에서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된다. (S5)
한편, 상기 제4 단계에서 일치하지 않는다고 확인된 경우, 상기 일치가 확인 안된 가전기기는 제6 단계에서 상기 전송된 제어명령을 무시한다. (S6)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가 일일이 제어명령에 포함된 장소에 관한 정보가 내장된 장소 저장부에 저장된 장소에 관한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없이,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어명령에 포함된 장소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바에 따른 장소에 존재하는 가전기기로만 상기 제어명령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게이트웨이에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로 부여된 로지컬 주소에 관한 정보 및 주소에 관한 정보를 맵형식으로 저장하여 놓음으로써 상기 게이트웨이가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함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에 걸리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시스템 및 그 방법은 홈네트워킹 시스템을 위하여 구축된 내부 네트워크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내부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송된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가 이루어지는 가전기기에 해당 가전기기가 위치하는 장소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장소별로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정 장소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가전기기로 동시에 동일한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사용자가 외부에서도 가정 내에 존재하는 가전기기가 어느 장소에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어 특정 장소의 가전기기만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홈네트워킹 시스템을 위하여 구축된 내부 네트워크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내부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동되는 복수개의 가전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상기 내부 네트워크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사용하도록 부여된 로지컬 주소가 저장되는 로지컬 주소 저장부와; 상기 가전기기가 위치하는 장소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장소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상기 장소 저장부로 상기 가전기기가 위치하는 장소에 관한 정보가 입력 가능한 키조작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홈네트워킹 시스템의 외부 네트워크망과 상기 내부 네트워크망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외부 네트워크망을 통해 입력되는 가전기기의 제어명령을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를 위치별로 제어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 데이터가 저장된 인터페이스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5. 홈네트워킹 시스템을 위한 내부 네트워크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가전기기에 해당 가전기기가 위치한 장소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장소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복수개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이 상기 내부 네트워크망으로 전송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전송된 제어명령에 포함된 장소에 관한 정보에 따라 해당 장소에 위치하는 가전기기가 제어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장소별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가 상기 전송된 제어명령에 포함된 장소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과정과; 상기 분석된 정보에 따른 장소가 해당가전기기가 위치하는 장소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가전기기가 제어되는 제어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장소별 제어방법.
KR10-2002-0015042A 2002-03-20 2002-03-20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37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042A KR100437044B1 (ko) 2002-03-20 2002-03-20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042A KR100437044B1 (ko) 2002-03-20 2002-03-20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688A true KR20030075688A (ko) 2003-09-26
KR100437044B1 KR100437044B1 (ko) 2004-06-23

Family

ID=32225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042A KR100437044B1 (ko) 2002-03-20 2002-03-20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70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795B1 (ko) * 2003-02-07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품 제어방법
KR100684158B1 (ko) * 2004-12-20 2007-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홈 네트워크의 홈 맵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 방법
KR20210054313A (ko) * 2019-11-05 2021-05-13 조현상 가전 제품의 물리 공간 가상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행동 패턴 분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732B1 (ko) * 1999-10-01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에서 사설망 내부와 통신하는 인터넷 통신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795B1 (ko) * 2003-02-07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품 제어방법
KR100684158B1 (ko) * 2004-12-20 2007-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홈 네트워크의 홈 맵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 방법
KR20210054313A (ko) * 2019-11-05 2021-05-13 조현상 가전 제품의 물리 공간 가상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행동 패턴 분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7044B1 (ko)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5099B2 (en) Home applianc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7032018B2 (en) Home appliance network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695646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KR100424297B1 (ko)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U2002248061B2 (en) Home network system
JP3112761U (ja) 家電機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050076150A1 (en)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040139210A1 (en)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149324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utomation system
KR100423808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437044B1 (ko) 장소별 제어가 가능한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52362B1 (ko)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KR100425129B1 (ko) 통신선로를 공유하는 다수의 홈 네트워크 구분방법
US20060148444A1 (en)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s
CN110726208B (zh) 一种多台空调器的控制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KR100424299B1 (ko) 가전기기의 위치인식 방법
KR20060001903A (ko) 실시간 연동서버를 이용한 지역단위 홈네트워크시스템 및이의 제어시스템
KR20030060639A (ko) 전력선을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주소 셋팅방법
KR100712922B1 (ko) 네트워크 통합시스템
JP2004229148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CN211603925U (zh) 一种智能家居控制系统
KR100424298B1 (ko)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KR100381173B1 (ko) 가전기기 주소 설정방법
JP2000047717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ラシステム
KR100437796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통합 제어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