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1920A - Dct계산량을 감소시키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Dct계산량을 감소시키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1920A
KR20030071920A KR1020020011180A KR20020011180A KR20030071920A KR 20030071920 A KR20030071920 A KR 20030071920A KR 1020020011180 A KR1020020011180 A KR 1020020011180A KR 20020011180 A KR20020011180 A KR 20020011180A KR 20030071920 A KR20030071920 A KR 20030071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ct
sad
error signal
valu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혁
김재호
문용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1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1920A/ko
Publication of KR20030071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92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DCT(Discrete Cosine Transform)의 계산량을 감소시키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전 영상 신호와 현재 영상 신호간의 오차신호를 추출하는 과정, 추출된 오차 신호를 부호에 따라 분리한 후 각각의 절대합을 더하여 SAD값을 산출하는 과정, 산출된 SAD값과 소정의 임계값의 비교에 따라 각기 다른 DCT 연산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DCT 계산량을 감소시키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encoding motion image having reduced DCT complexity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동화상 부호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DCT(Discrete Cosine Transform)의 계산량을 감소시키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의 CPU(Central Processor Unit) 성능이 향상되고 고성능의 미디어 프로세서들이 개발됨에 따라 기존에 하드웨어로 구현해왔던 동영상 부호화 기술들이 점차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압축하고 복원하기 위해서는 계산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n-스텝 탐색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H.263 동영상 인코더에서 탐색 영역에 따른 모듈별 연산 계산량을 비교하면 DCT/IDCT 모듈 및 움직임 추정 모듈이 인코더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적은 계산량이 요구되는 실시간 어플리케이션 환경에서 시스템은 DCT/IDCT 모듈 및 움직임 추정 모듈에서의 계산량 감소를 필요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DCT 계산량을 감소하는 동영상 부호화 장치를 설명하면, DCT부(110)는 현재 블록(Current Block)과 예측 블록(Predicted Block)간의 오차 블록(e(i,j))에 대해 DCT를 수행한다. 양자화부(Q:120)는 DCT부(110)에서 생성된 DCT 계수(주파수 성분)를 양자화한다. 역양자화부(140)는 양자화부(120)에서 양자화된 영상 데이터를 역양자화한다. IDCT부(150)는 역양자화부(140)에서 역양자화된 영상 데이터를 역 DCT한다. 움직임추정부(160)는 압축할 현재 블록과 가장 유사한 예측블록을 이전 프레임에서 구하고 그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움직임 벡터와 블록 정합 오차(block matching error)에 해당하는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를 추정한다. VLC(Variable Length Coding)부(130)는 양자화된 DCT 계수를 움직임 추정부(160)에서 추정된 움직임벡터(MV)에 따라 가변장코딩한다. 프리-디텍터(170)는 움직임추정부(160)로부터 입력된 SAD에 따라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SAD와 주어진 임계값을 비교한다. 이때 SAD값이 임계값보다 적으면 모든 DCT계수가 제로가 되므로 제1,제2스위치(SW1 및 SW2)에 오프신호를 인가하여 DCT부(110) 및 양자화부(120)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동시에 VLC부(130) 및 움직임추정부(160)로 블록의 모든 계수가 제로임을 알린다. 이에 따라 VLC부(130)는 블록의 모든 계수가 제로임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압축 과정을 수행하고, 움직임 추정부(160)는 단지 예측 블록만을 저장한다. 또한 SAD값이 임계값보다 같거나 크면 비-제로 계수가 존재하므로 제1,제2스위치(SW1 및 SW2)에 온신호를 인가하여 DCT부(110) 및 양자화부(120)를 동작시킨다. 동시에 VLC부(130) 및 움직임추정부(160)로 올-제로(all-zero)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알린다. 이에 따라 VLC부(130)는 양자화부(120)로부터 DCT 계수값을 입력받아 가변장코딩을 수행하고, 움직임 추정부(160)는 IDCT된 블록과 예측 블록을 저장한다.
이와 같이 도 1과 같은 종래의 동영상 부호화 장치는 SAD값에 따라 DCT 및 양자화과정의 스킵 여부를 결정하고 이에 맞는 제어 신호들을 생성한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종래의 동영상 부호화 장치는 블록의 모든 계수들이 동시에 제로가 되는 충분 조건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성능상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즉, 종래기술은 이전 블록과 현재 블록간의 차이가 거의 없는 배경 화면의 경우 SAD<임계값을 만족하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동영상의 경우 블록의 일부 계수가 저주파수에 해당하는 직류(DC)값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도 1의 장치를 적용할 경우 여전히 DCT/양자화 과정을 수행하게 되어 계산량 감소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SAD값의 범위에 따라 각기 다른 유형의 DCT를 수행함으로써 기존 방식에 비해 우수한 DCT 계산량 감소를 갖는 동화상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동영상 부호화 방법은,
(a) 이전 영상 신호와 현재 영상 신호간의 오차신호를 추출하는 과정;
(b) 상기 (a)과정에서 추출된 오차 신호를 부호에 따라 분리한 후 각각의 절대합을 더하여 SAD값을 산출하는 과정;
(c) 상기 (b)과정에서 산출된 SAD값과 소정의 임계값의 비교에 따라 DCT 연산 복잡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동영상 부호화 장치는
현재 영상 신호와 예측 영상 신호간의 오차 신호에 대해 SAD값의 범위에 따라 다른 유형으로 이산 코사인 변환하는 이산코사인변환부;
이전 영상 신호와 현재 영상 신호간의 오차신호를 부호에 따라 분리한 후 각각의 절대합을 더하여 SAD값을 생성하는 움직임 추정부;
상기 움직임 추정부에서 발생하는 SAD값과 임계치의 비교에 따라 상기 이산 코사인변환부에서 DCT 스킵과 특정 성분의 DCT를 선택적으로 수행시키는 모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DCT 계산량을 감소하는 동영상 부호화 장치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CT 계산량을 감소시키는 동영상 부호화 장치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움직임 추정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2의 모드제어부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부호화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CT 계산량을 감소시키는 동영상 부호화 장치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DCT부(210)는 현재 블록(Current Block)과 예측 블록(Predicted Block)간의 오차 블록(Error Block)(e(i,j))에 대해 DCT를 수행한다. 그리고 DCT부(210)는 모드제어부(270)에서 발생하는 타입 신호에 따라 각기 다른 DCT 동작을 수행한다. 즉, Type=1이면 기존의 DCT 연산을 수행하고 Type=0이면 감축된 DCT 연산을 수행한다.
양자화부(Q:220)는 DCT부(110)에서 생성된 DCT 계수(주파수 성분)를 양자화한다. 역양자화부(240)는 양자화부(220)에서 양자화된 영상 데이터를 역양자화한다.
IDCT부(250)는 역양자화부(240)에서 역양자화된 영상 데이터를 역 DCT한다. 그리고 DCT부(210)는 모드제어부(270)에서 발생하는 타입 신호에 따라 각기 다른 IDCT 동작을 수행한다. 즉, Type=1이면 기존의 IDCT 연산을 수행하고 Type=0이면 감축된 IDCT 연산을 수행한다.
VLC(Variable Length Coding)부(230)는 양자화된 DCT 계수를 모드제어부(270)에서 발생하는 계수특성신호(All-Zero)과 움직임 추정부(260)에서 추정된 움직임벡터(MV)에 따라 가변장코딩한다.
움직임추정부(260)는 압축할 현재 블록과 가장 유사한 예측블록을 이전 프레임에서 구하고 그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움직임 벡터와 블록정합오차(block matching error)에 해당하는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를 추정한다. 이때 움직임추정부(260)는 다음과 같이 개선된 SAD 계산방식이 적용된다. 즉, 기존의 수학식 1은 임의의 N×N 블록에 대한 SAD 정의식이다.
여기서 c(i,j)는 현재 블록이고, p(i,j)는 예측 블록이다.
수학식 1은 수학식2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if e(i,j)≥0, ep(i,j)=e(i,j)
else en(i,j)=e(i,j) 이다.
수학식 2는 오차신호(e(i,j))를 부호에 따라 +성분, -성분으로 나누어 각각을 계산하고 그 계산된 두값을 더하여 SAD를 계산할 수 있음을 보인다. 따라서 움직임추정부(260)는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수학식 3과 같이 2개의 SAD 관련 파라메터(Sp, Sn)를 구한다.
이러한 2개의 SAD 관련 파라메터(Sp, Sn) 발생 과정을 도 3의 상세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절대값계산기(310)는 입력되는 오차신호(e(i,j))의 절대값을 계산한다. 부호검출기(320)는 입력되는 오차신호(e(i,j))의 부호를 검출한다. 제1누적기(350)는 선택신호가 1일 경우 오차신호를 누적하여 SAD를 발생하고, 선택신호가 0일 경우 -성분의 오차신호를 누적하여 Sn을 발생한다. 제2누적기(360)는 선택신호가 0일 경우 +성분의 오차신호를 누적하여 Sp를 발생한다. 선택기(340)는 부호검출기(320)에서 발생하는 부호검출신호와 외부에서 선택되는 선택신호를 논리합(330)한 신호에 따라 제1,제2누적기(350,360)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선택신호가 1이면 기존의 SAD값이 제1누적기(350)에서 계산되고, 선택신호가 0이면 부호검출기(320)에서 검출되는 오차 신호의 부호(1 또는 0)에 따라 절대값계산기(310)에서 계산된 오차신호의 절대값이 Sp 및 Sn을 계산하는 제1누적기(350) 및 제2누적기(360)에 선택적으로 누적시킨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모드제어부(270)는 움직임 추정부(260)에서 발생하는 Sp, Sn을 이용하여 DCT부(210) 및 IDCT부(250)에 타입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모드제어부(270)는 다음과 같은 이론에 근거하여 SAD(Sp+Sn)<임계값 적용 방식을 적용한다. 먼저, 개별적인 주파수 성분에 대해 제로가 되는 충분 조건을 분석해보면 각 성분(즉, DCT계수)마다 제로가 되는 최대 한도값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학식 4는 이를 이론적으로 유도한 것이다.
여기서 N은 블록 사이즈이고,는 특정 주파수 또는 특정 DCT 계수()에서 DCT 커널(kernel)의 절대값을 취한 함수의 최대 상수값이다.
수학식 4는 각 주파수 성분에 따라가 서로 다른 값을 가짐을 보여준다. 따라서 특정 주파수 성분이 제로로 될 조건은 수학식 5와 같다.
, 여기서 g(Qp(0))는 양자화 팩터(Qp)에서 제로로 양자화되는 최대 계수값을 의미한다.
수학식 5는 각 DCT 계수마다 제로가 되는 범위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수학식 5에 착안하여 Sp, Sn의 값에 따라 블록의 모든 계수가 제로가 되는지 일부 계수만 비-제로인지, 그리고 모든 계수가 비-제로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각각의 경우에 대해 각각 다른 유형의 DCT 및 IDCT를 수행하게 한다. 즉, 1) 모든 계수가 제로인 경우: DCT를 스킵, 2) 일부 계수만 비-제로인 경우: 감축된 DCT를 수행, 3) 모든 계수가 비-제로인 경우: 일반적인 DCT를 수행. 여기서 감축된 DCT는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일부 주파수 성분들에 대해서만 DCT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DCT 연산에 본 발명에서 실시되는 감축된 DCT를 적용해보면,
일반적인 DCT의 일 실시예를 보면
32번의 벡터 연산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만약 A5, A7, A13, A15의 성분만을 계산한다면 다음 연산 식과 같이 간략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감축된 DCT는 총 12번의 벡터 연산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모드제어부(270)의 동작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산기(410)는 움직임추정부(260)에서 발생하는 SAD 관련 파라메터인 Sp와 Sn을 더한다.
제1,제2비교기(420,430)는 가산기(410)에서 발생하는 SAD 관련 파라메터(Sp+Sn)와 제1,제2임계치(Threshold1, Threshold2)를 비교한다. 논리조합부(440)는 AND 게이트, NOT게이트를 통해 제1,제2비교기(420,430)에서 비교된 결과치를 논리 조합하여 각 제어 신호(Type, On/Off, All-Zero)를 생성한다. 표 1는 도 4의 동작 관계를 나타낸다.
< 표 1 >
(Sp+Sn)<Th1 Th1≤(Sp+Sn)<Th2 Th2≤(Sp+Sn)
Type 0 0 1
On/Off 0 1 1
All-Zero 1 0 0
표 1에서 All_Zero 신호는 DCT 과정이 필요없을 경우 인에이블되고, On/Off 신호는 All_Zero 신호가 발생할 때 DCT 및 양자화를 제어하는 제1,제2스위치(SW1, SW2)를 단속한다. 그리고 Type 신호는 기존의 DCT를 수행할 것인지, 감축된 DCT를 수행할 것인지를 나타낸다.
이어서, 표 1를 참조하여 SAD 관련 파라메터(Sp+Sn)와 임계치(Threshold1, Threshold2)간의 비교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1) (Sp+Sn)<Th1 인 경우
:모든 DCT 계수가 제로이다.
:제1,제2스위치(SW1, SW2)에 오프 신호를 입력하여 DCT 및 양자화를 스킵한다.
:VLC부(230) 및 움직임 추정부(260)에 블록의 모든 계수가 제로임을 알린다.
2) Th1 ≤(Sp+Sn)<Th2 인 경우
:일부 DCT 계수가 비-제로(Non-Zero)이다.
:제1,제2스위치(SW1, SW2)에 온 신호를 입력하여 오차 블록(e(i,j))에 대한 DCT 및 양자화를 수행하도록 한다.
:DCT부(210) 및 IDCT부(250)에 Type신호(0)를 전송하여 감축된 DCT/IDCT를 수행하도록한다.
:VLC부(230) 및 움직임 추정부(260)에 모든 계수가 제로가 아님을 알린다(All_Zero=0).
3) Th2 ≤(Sp+Sn) 인 경우
:모든 DCT 계수가 비-제로(Non-Zero)이다.
:제1,제2스위치(SW1, SW2)에 온 신호를 입력하여 오차 블록(e(i,j))에 대한 DCT 및 양자화를 수행하도록한다.
:DCT부(210) 및 IDCT부(250)에 Type신호(1)를 전송하여 DCT/IDCT를 수행하도록한다.
:VLC부(230) 및 움직임 추정부(260)에 모든 계수가 제로가 아님을 알린다(All_Zero=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부호화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먼저, 이전 영상 신호와 현재 영상 신호간의 오차신호를 추출한다(505과정).
이어서, +성분 및 -성분의 오차신호를 분리한 후 각각의 절대값을 누적함으로서 각각 SAD관련 파라메터들(Sp 및 Sn)을 생성한다(510과정).
이어서, 상기 각각의 파라메터들(Sp 및 Sn)을 더하여 최종 SAD값을 생성한다(520과정).
이어서, SAD와 임계치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른 DCT 동작을 수행한다 즉, SAD가 제1임계치(Th1)보다 적으면(530과정) DCT를 스킵하고(540과정), SAD가 제1임계치(Th1)보다 크거나 제2임계치(Th2)보다 적으면(550과정) 감축된 DCT를 수행하고(560과정), SAD가 제2임계치(Th1)보다 크거나 같으면 DCT를 수행한다(570과정).
이어서, 이어서, 입력되는 동영상의 인코딩이 종료될 때 까지 상기 과정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590과정).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가적인 계산량의 증가없이 기존 SAD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그 SAD를 바탕으로 저전송률 부호화 상황에 맞는 DCT 계산 방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의 방식에 비해 DCT 계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동영상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a) 이전 영상 신호와 현재 영상 신호간의 오차신호를 추출하는 과정;
    (b) 상기 (a)과정에서 추출된 오차 신호를 부호에 따라 분리한 후 각각의 절대합을 더하여 SAD값을 산출하는 과정;
    (c) 상기 (b)과정에서 산출된 SAD값과 소정의 임계값의 비교에 따라 각기 다른 DCT 연산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동영상 부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과정은 오차 신호를 포지티브(+)성분과 네거티브(-)성분으로 분리하여 SAD값을 산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부호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과정의 SAD =로 정의되고, 이때 e(i,j)는 오차신호이고, ep(i,j)는 +성분의 오차신호이고, en(i,j)은 -성분의 오차신호이고, 그리고 if e(i,j)≥0, ep(i,j)=e(i,j), else en(i,j)=e(i,j)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부호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과정은
    (c-1) +성분의 오차신호의 절대합(Sp)와 -성분의 오차신호의 절대합(Sn)을 더한 SAD값과 임계치를 비교하는 과정;
    (c-2) 상기 (c-1)과정에서 비교 결과에 따른 블록내 계수 특성을 근거로 각기 다른 유형의 DCT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부호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2)과정은 상기 SAD값이 제1임계치보다 적으면 해당 블록의 모든 계수가 제로인 경우로 판정하여 DCT를 스킵하고, 상기 SAD값이 제1임계치보다 크거나 제2임계치보다 적으면 해당 블록의 일부 계수가 제로인 경우로 판정하여 특정 주파수 성분들을 DCT 하고, 상기 SAD값이 제2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해당 블록의 모든 계수가 비-제로인 경우로 판정하여 DCT를 수행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부호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각 DCT 계수마다 특정 주파수(u_m ,υ_n )가 제로가 될 조건은
    이며, 여기서 N은 블록사이즈, g(Qp(0))는 양자화 계수(Qp)에서 제로로 양자화되는 최대 계수값,는 특정 주파수()에서 DCT 커널(kernel)의 절대값을 취한 함수의 최대 상수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부호화 방법.
  7. 동영상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현재 영상 신호와 예측 영상 신호간의 오차 신호에 대해 SAD값의 범위에 따라 다른 유형으로 이산 코사인 변환하는 이산코사인변환부;
    이전 영상 신호와 현재 영상 신호간의 오차신호를 부호에 따라 분리한 후 각각의 절대합을 더하여 SAD값을 생성하는 움직임 추정부;
    상기 움직임 추정부에서 발생하는 SAD값과 임계치의 비교에 따라 상기 이산 코사인변환부에서 DCT 스킵과 특정 성분의 DCT를 선택적으로 수행시키는 모드제어부를 포함하는 동영상 부호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추정부는
    입력되는 오차신호의 절대값을 계산하는 절대값계산기;
    포지티브 성분의 오차신호를 누적하는 제1누적기;
    네거티브 성분의 오차신호를 누적하는 제2누적기;
    상기 입력되는 오차신호의 부호를 검출하는 부호검출기;
    상기 부호검출기에서 검출되는 오차 신호의 부호에 따라 상기 제1,제2누적기에 상기 해당 성분의 오차신호의 절대값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부호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추정부에서 발생하는 부호 성분 별 오차신호의 절대합을 더하여 SAD를 생성하는 가산기;
    상기 가산기에서 계산된 SAD값과 제1임계치를 비교하는 제1비교기;
    상기 가산기에서 계산된 SAD값과 제2임계치를 비교하는 제2비교기;
    상기 제1,제2비교기에서 출력되는 비교치를 논리조합하여 DCT 연산 복잡도 타입을 결정하는 타입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논리조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부호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조합기는 성분별로 분리하여 계산된 SAD<제1임계치(Th1)이면 모든 DCT 계수가 제로이고 DCT 및 양자화 연산을 디세이블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제1임계치 ≤성분별로 분리하여 계산된SAD<제2임계치 인 경우 일부 DCT 계수가 비-제로이고 DCT 및 양자화 연산을 인에블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함과 함께 특정 주파수의 DCT 연산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제2임계치 ≤성분별로 분리하여 계산된 SAD 인 경우 모든 DCT 계수가 비-제로이고 DCT 및 양자화 연산을 인에블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논리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부호화 장치.
KR1020020011180A 2002-03-02 2002-03-02 Dct계산량을 감소시키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71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180A KR20030071920A (ko) 2002-03-02 2002-03-02 Dct계산량을 감소시키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180A KR20030071920A (ko) 2002-03-02 2002-03-02 Dct계산량을 감소시키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920A true KR20030071920A (ko) 2003-09-13

Family

ID=32223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180A KR20030071920A (ko) 2002-03-02 2002-03-02 Dct계산량을 감소시키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19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398B1 (ko) * 2005-11-26 2007-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영상 신호의 부호화 방법
KR100809013B1 (ko) * 2005-06-29 2008-03-0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잡도 가변형 동영상 부호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311143B1 (ko) * 2012-03-28 2013-09-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속영상처리를 위한 부호화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013B1 (ko) * 2005-06-29 2008-03-0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잡도 가변형 동영상 부호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751398B1 (ko) * 2005-11-26 2007-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영상 신호의 부호화 방법
KR101311143B1 (ko) * 2012-03-28 2013-09-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속영상처리를 위한 부호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228B1 (ko) 고정 연산량을 갖는 동영상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RU2332809C2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д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для предсказания сдвиг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огласования поворота
KR100453714B1 (ko) Mpeg 영상 압축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에서의 움직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0846769B1 (ko) 고정 연산량을 갖는 동영상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US8059713B2 (en) Video coding apparatus
KR20030014716A (ko) 미디어 프로세서에서 mpeg2 디코딩의 동적인 복잡도예측 및 조절
JPH06311506A (ja) フレーム間符号化処理方式及びフレーム間符号化処理方法及び符号化制御方式
US11197021B2 (en) Coding resolution control method and terminal
EP1755341A1 (en) Method of quantization of transform coefficients
KR20050089838A (ko) 선택된 매크로블록에 대한 스킵 모션 추정으로 비디오인코딩하는 방법
JP2003244707A (ja) 動きベクトル検索領域の適応的決定方法
JP5613319B2 (ja) 映像符号化装置、映像符号化方法および映像符号化プログラム
US7804900B2 (en) Method for fast SATD estimation
US9712828B2 (en) Foreground motion detection in compressed video data
KR20050065517A (ko) 비디오 인코더에서 연산 복잡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2004215275A (ja) 動き補償に基づいた改善されたノイズ予測方法及びその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動画符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30071920A (ko) Dct계산량을 감소시키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JP2012104969A (ja) 動きベクトル生成装置、動きベクトル生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60104352A1 (en) Block matching in frequency domain for motion estimation
JP2002218475A (ja) ビデオ画像モーション評価の計算減量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635009B1 (ko) 화면 전체의 움직임을 고려한 움직임예측방법 및 그 장치
KR20070056229A (ko) 영상 부호기 및 이의 관심 영역 검출방법
KR100286220B1 (ko) 영상 부호화기의 적응 양자화 장치 및 그 방법
JP2007129662A (ja) 画像符号化装置
KR20000037945A (ko) 영상의 윤곽선을 고려한 효율적인 움직임 추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