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8106A -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first rain - Google Patents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first r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8106A
KR20030068106A KR1020030051728A KR20030051728A KR20030068106A KR 20030068106 A KR20030068106 A KR 20030068106A KR 1020030051728 A KR1020030051728 A KR 1020030051728A KR 20030051728 A KR20030051728 A KR 20030051728A KR 20030068106 A KR20030068106 A KR 20030068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water
rainwater
flow rate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7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61092B1 (en
Inventor
전양근
박효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주식회사 포모나환경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주식회사 포모나환경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Priority to KR1020030051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092B1/en
Publication of KR20030068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1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092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PURPOSE: A nonpoint pollution source purification device of initial rain water effluent is provided to prevent water pollution. CONSTITUTION: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 purification device(100) of initial rain water effluent comprises a main manhole(110) where rain water flows in, an inlet pipe(120) making rain water flow in the main manhole(110), a storage manhole(130) separating impurities and floating matters from rain water flew in the main manhole(110), a rain water separation unit(140) draining the stream flow by the water level of the main manhole(110) spontaneously, a clean water inlet pipe(150) making the rain water flew from the main manhole(110) to the rain water separation unit(140) flow in the storage manhole(130), a treated water discharge pipe(160)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flew from the storage manhole(130) to the rain water separation unit(140), and an outlet pip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rain water separation unit(140) to discharge the effluent discharged from the rain water separation unit(140) to a drainage system.

Description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first rain}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first rain}

본 발명은 우천시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우천시 초기우수유출수에 상당량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의 농도를 저하시켜 공공수역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purifying nonpoint pollutants in rainwater initial runoff, and more specifically, the discharge area is reduced to a concentration of nonpoint pollutants contained in the initial rainwater runoff during rainfall from a wide range of nonpoint sources. It relates to a non-point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of the initial excellent runoff water that can be discharged.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원(點汚染源)으로부터 배출되는 점오염물질과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벌채지, 폐기물처리장, 쓰레기매립장, 도심지,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로 나눌 수 있다.In general, pollutants include point pollutants and agricultural lands, grasslands, forest lands, construction sites, mines, logging sites, waste disposal plants, garbage, etc., which are discharged from defined and limited point sources such as domestic sewage, industrial wastes, and livestock wastes. Discharge areas such as landfills, urban areas, roads and industrial sites can be divided into nonpoint pollutants emitted from a wide range of nonpoint sources.

전술한 바와 같은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로는 중금속, 병원성 미생물, 유기화합물, 방사성물질, 유독물질 및 기타 염류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들은 통상 우천시에 빗물에 쓸려 빗물과 함께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흘러 들어가게 되어 수질오염을 야기시킴은 물론, 이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와 함께 최종적으로는 인간에게까지 매우 큰 폐해를 주게 된다.Contaminants emitted from the pollutant as described above are distributed in a variety of forms such as heavy metals, pathogenic microorganisms, organic compounds, radioactive materials, toxic substances and other salts. These pollutants are usually swept away in rainy weather and flow into public waters such as rivers, bays and lakes, or underground waters, causing water pollution, and eventually destroying ecosystems. It causes great harm.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오염물질 가운데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가정이나 공장, 축산농가 등에 별도의 정화장치나 폐수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오염물질의 정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비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배출지역이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지표면에 잔존해 있다가 우천시 빗물과 함께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유입되어 수질오염을 야기시키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oint pollutants having a clear discharge point among the pollutants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purification device or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is installed in a home, factory, or livestock farm, but the pollutant is purified to some extent. In the case of pollutants, the discharge area is not only extensive but mostly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earth, and it is the main cause of water pollution by entering the public water or groundwater such as rivers, bays and lakes with rainwater during rainy weather.

특히, 비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우천시 특히 초기우수시 내리는 빗물과 함께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유입되므로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정화없이 흘려보내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non-point pollutants, as described above, the rainwater that falls during rainy weather, especially during the initial rain, flows into public waters or groundwater such as rivers, bays, and lakes. It is of utmost importance not to let it flow into public waters or underground water without purification.

전술한 바와 같은 오염물질 중의 비점오염물질은 우리 나라의 경우 수량적인 측면에서는 홍수로 또한 수질적인 측면에는 강우시 비점오염물질 유출로 인한 공공수역의 수질악화가 초래되고 있다. 특히, 도시지역은 불투수성 포장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강우시 피크 유출량도 커지고, 이에 따라 비점오염물질의 이동력도 증가하여 수질과 수량적인 측면에서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As mentioned above, non-point pollutants in the pollutants are caused by flooding in the quantitative aspect of Korea and water quality deterioration in public waters due to non-point pollutant outflow during rainfall. In particular, in urban areas, as the impermeable pavement ratio increases, the peak runoff during rainfall increases, and thus the mobility of non-point pollutants increases, requiring management in terms of water quality and quantity.

그리고, 전술한 비점오염원이란 점오염원의 상대적 개념으로 공장, 생활하수 등 고정된 오염원이 아닌데서 발생되는 오염원을 말하는 것으로, 통상 강우시에 빗물과 같이 유출되는 오염원을 일컫는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은 4대강 오염부하의 22∼37%에 달할 뿐만 아니라 팔당상수원의 경우 오염부하의 약 절반인 44.5%가 비점오염원으로 조사되는 등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non-point source described above refers to a pollution source generated from a non-fixed source such as a factory or domestic sewage as a relative concept of a point source, and generally refers to a pollution source that flows out as rainwater during rainfall. These nonpoint sources account for 22-37% of the pollutant loads of the four rivers, and in the case of Paldang Water, 44.5% of the pollutant loads are irradiated as nonpoint sources.

한편, 전술한 우수유출수 중의 오염물질 유출특성은 초기우수유출수에서 비교적 높은 오염농도를 나타내므로 약 20mm의 강우에 대한 우수유출수 처리시설 용량만으로도 전체 강우 사상의 80% 이상을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연구 보고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llutant outflow characteristics in the stormwater runoff show relatively high pollution concentrations in the initial stormwater runoff, so that only 80% of the rainfall can be treated with the stormwater treatment facility capacity for about 20mm of rainfall. It is becoming.

따라서, 초기우수유출수를 처리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기존 도시지역의 경우에는 토지수용의 어려움으로 넓은 토지면적을 필요로 하는 우수유출수 처리시설은 설치하기 어려우므로 비교적 토지이용에 제한이 적은 침투형시설이나 Stormceptor 등의 장치형시설 그리고 빗물펌프장의 유수지를 이용하는 방안, 신규 도시의 조성시에는 지역의 불투수율 증가에 따른 수문 유출특성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도시의 불투수율 면적비를 일정수준으로 제한하거나 개발전후의 우수유출량의 변화를 비교하여 개발전보다 유출량이 많을 경우에는 이를 조절하기 위한 침투 및 저류시설 등을 설치케 하는 방안 및 도시지역의 토지이용계획시 수변지역은 하천수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역이므로 가급적 이용 및 훼손을 억제하고 수변지역을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완충녹지대로 이용하는 방안 등이 보고되고 있다.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nstall rainwater treatment facilities requiring large land area due to the difficulty of land acceptance in the existing urban areas. In order to use the device-type facilities such as the rainwater pumping st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a new city, in order to prevent the drastic change in the hydrologic discharge characteristics due to the increase in the impermeability rate of the area, the ratio of the impermeability rate of the city to a certain level or the excellent before and after development Compared with changes in runoff, if there is more runoff than before development, it is recommended to install infiltration and storage facilities to control the runoff, and the waterside area is an area that can directly affect river water quality when planning land use in urban areas. Restrain water and damage, It has been reported to use a buffer zone for reducing salt substances.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우수유출수 처리시설의 조속한 도입뿐만 아니라 주기적인 도시청소의 실시, 장마전 맨홀 및 우수관거설비의 점검 및 청소, 유수지 바닥의 퇴적물 준설, 건설지역의 우수유출수 방지턱 설치 등을 통해 도시지역에 산재해 있는 각종 비점오염원을 사전에 제거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In addition to the rapid introduction of storm water runoff treatment facilities as described above, periodical city cleaning, inspection and cleaning of manholes and storm drainage facilities before the rainy season, dredging of sediment at the bottom of the reservoir, installation of storm drains in construction areas, etc. The plan to remove various nonpoint sources scattered in urban areas is also under consideration.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초기우수유출수를 처리하기 위한 여러 방안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적용되어 실효성을 거두기란 토지수용에 따른 어려움 등의 제한적인 요소가 너무 많아 사실상 어려운 상태이다.However, despite the various measures to treat the initial excellent runoff as described above, it is actually difficult because there are too many limiting factors such as difficulties due to land acceptanc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우천시 특히 초기우수시 내리는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유입시켜 우수와 이물질 및 부유물질의 분리한 후 우수만을 배수시설로 배출시킴으로써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 등의 수질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injecting non-point pollutants introduced with rainwater during rainy weather, especially during the initial rain, by separating the rainwater and the foreign matter and suspended solids to discharge only the rainwater to the drainage facil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point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for initial excellent runoff that can prevent water pollution in public waters such as rivers, bays, lakes, and groundwat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수분리 유닛의 구성을 통해 메인 맨홀의 만수위 이하의 저수위 유량, 만수위 유량 및 만수위 이상의 유량에 따라 유입량이 달라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인 맨홀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의 유량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tively cope with the flow of rainwater flowing into the main manhole by allowing the inflow rate to vary according to the low water flow rate, the high water level flow rate, and the high water level flow rate below the water level of the main manhole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It is in making it possible.

나아가, 본 발명은 우천시 초기우수유출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정화하여 배수시설로 배출시킴으로써 비점오염물질로 인한 수질오염의 방지를 통해 자연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최종소비자인 인간에게까지 미치는 폐해를 보다 줄일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urifies the non-point pollutants contained in the initial excellent runoff during rainy season and discharges them to the drainage facility to protect the natural ecosystem through the prevention of water pollution caused by the non-point pollutants, as well as to the end consumer. Its purpose is to make it possible to reduce the harmful effects even furthe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n-point contaminant purification device of the initial excellent runoff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의 우수 배수관 어댑터를 보인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 excellent drain pipe adapter of the non-point contaminant purification device of the initial excellent runoff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를 보인 측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non-point contaminant purification device of the initial excellent runoff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를 보인 평면도.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non-point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initial excellent runoff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측단면도.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non-point contaminant purification device of the initial excellent runoff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other angle.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에서 만수위 이하의 유량(Low Flow)일 경우 유량의 흐름을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Figure 6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ow of the flow rate when the flow rate (Low Flow) below the full water level in the non-point contaminant purification device of the initial excellent outflow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에서 만수위의 유량(Maximum Treatment Flow)일 경우 유량의 흐름을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Figure 7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ow in the case of the maximum water flow (Maximum Treatment Flow) in the non-point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initial excellent outflow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에서 만수위이상의 유량(Peak Design Flow)일 경우 유량의 흐름을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8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ow of the flow rate when the flow rate (Peak Design Flow) above the full water level in the non-point contaminant purification device of the initial excellent outflow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110. 메인 맨홀100. Non-point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110. Main manhole

112. 저수공간 114. 맨홀공112. Reservoir 114. Manhole

120. 인렛 파이프 130. 스토리지 맨홀120. Inlet Pipe 130. Storage Manhole

132. 저수공간 134. 맨홀공132. Reservoir 134. Manhole Ball

140. 우수분리 유닛 142. 우수 배수관140. Rainwater separation unit 142. Rainwater drainage pipe

144. 유량 분리 배수부재 144a. 설치공144. Flow separation drain member 144a. Installer

144b. 저수위 유량 유입구 146. 만수위 유량 배수관144b. Low Water Flow Inlet 146. High Water Flow

150. 상등수 유입관 160. 처리수 배출관150. Supernatant inlet 160. Treated water outlet

170. 아웃렛 파이프170. Outlet Pip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는 내부에 일정크기로 형성되는 저수공간과 상부측에 관통 형성되는 맨홀공이 형성되어 지면에 매설되는 메인 맨홀; 우수 유입시설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메인 맨홀의 저수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메인 맨홀 일측의 일정높이에 설치되는 인렛 파이프; 내부에 일정크기의 저수공간이 형성되어 메인 맨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의 상등수에 포함된 이물질(침전)과 부유물질을 우수와 분리하는 스토리지 맨홀; 메인 맨홀의 우수유입구 타측에 설치되어 메인 맨홀의 상등수와 스토리지 맨홀의 처리수를 배수시설로 배출시키되 메인 맨홀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 이하인 경우의 적은 유량과 만수위인 경우의 유량 및 만수위 이상의 유량에 대처하여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우수분리 유닛; 우수분리 유닛의 하부로부터 스토리지 맨홀로 연결되어 메인 맨홀의 상등수를 스토리지 맨홀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상등수 유입관; 스토리지 맨홀로부터 우수분리 유닛의 하부로 연결되어 스토리지 맨홀의 처리수를 우수분리 유닛으로 배출시키는 처리수 배출관; 및 우수분리 유닛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우수분리 유닛의 후단에 설치되는 한편 우수분리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수를 배수시설로 배출시키는 아웃렛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That is, the apparatus for purifying non-point contaminants of the initial excellent effluent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manhole which is formed in the ground and a manhole hole formed through the upper side is formed with a water storage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 inlet pip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one side of the main manhole to allow the rainwater flowing from the rainwater inflow facility to flow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main manhole; A storage manhol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f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to separate foreign matter (sedimentation) and suspended solids contained in the rainwater supernatant flowing from the main manhole from the rainwater; It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rainwater inlet of the main manhole to discharge the upper water of the main manhole and the treated water of the storage manhole to the drainage facility, but to cope with the small flow rate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main manhole is below the full water level, the flow rate when the water level is below the full water level, and the flow rate above the full water level Storm water separation unit for draining; A supernatant inlet pipe connected to the storage manhole from the bottom of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to introduce the supernatant of the main manhole into the storage manhole; A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from the storage manhole to discharge the treated water of the storage manhole to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And an outlet pipe formed at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and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to discharge the discharged water discharged from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to a drainage system.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처리수 배출관의 스토리지 맨홀측 단은 우수분리 유닛측 단에 비해 하부측에 위치되어 스토리지 맨홀 매부의 수위가 우수분리 유닛측 단에 비해 높아야지만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storage manhole-side end of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is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than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side end,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storage manhole part may be discharged only when it is higher than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side end.

또한, 처리수 배출관의 스토리지 맨홀측 단은 스토리지 맨홀 내부의 침전된 이물질과 부유된 부유물질 사이의 이물질과 부유불질이 분리된 우수만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의 스토리지 맨홀 일측에 연결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torage manhole-side end of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orage manhole at the site where only the rainwater separated from the foreign matter and suspended impurities between the precipitated foreign matter and the suspended suspended matter inside the storage manhole can be discharged.

한편, 전술한 구성에서 우수분리 유닛은 메인 맨홀의 우수유입구 타측에 설치되어지되 상등수 유입관과 처리수 배출관의 상단이 하부에 연결되어 메인 맨홀의 상등수와 스토리지 맨홀의 처리수를 배수시설로 배출시키는 우수 배수관; 우수 배수관의 메인 맨홀 연결단측 내부의 하부 반원에 설치되어지되 우수 배수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대수 개의 설치공과 메인 맨홀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 이하인 저수위 유량이 유입되어 상등수 유입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설치공 사이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선단부의 저수위 유량 유입구로 이루어진 유량 분리 배수부재; 및 메인 맨홀의 일정깊이로부터 다수 개의 설치공 각각을 관통하여 설치되어지되 메인 맨홀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인 경우의 만수위 유량이 유입되어 우수 배수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만수위 유량 배수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rainwater inlet of the main manhole, the upper end of the supernatant inlet pipe and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bottom to discharge the supernatant of the main manhole and the treated water of the storage manhole to the drainage Storm drains; It is installed in the lower semicircle inside the main manhole connection end side of rainwater drainage pipe, and the number of installation hol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rainwater drainage pipe and low water flow rate with the water level inside the main manhole is below the full water level flows into the upper water inflow pipe. A flow rate separating drain member consisting of a low water flow rate inlet formed at a lower side between the two installation holes; And it is installed through each of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from a predetermined depth of the main manhole, but the water level flow rate can be made to flow through the water level flow rate when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level inside the main manhole is discharged through the rainwater drain pipe.

전술한 유량 분리 배수부재의 후단은 상등수 유입관과 처리수 배출관의 사이를 차단하여 메인 맨홀 내부의 만수위 이하인 저수위 유량이 저수위 유량 유입구를 통해 유입될 때 유입된 저수위 유량이 우수 배수관으로 곧바로 배수되지 않고 상등수 유입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rear end of the above-described flow separation and drainage member blocks the gap between the supernatant inlet pipe and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so that when the low water flow rate that is below the full water level inside the main manhole flows through the low water flow inlet, the low water flow rate is not immediately drained to the excellent drainage pipe. It is configured to be introduced into the supernatant inlet pipe.

그리고, 전술한 유량 분리 배수부재의 상부인 메인 맨홀 연결단측 내부의 상부 반원으로는 메인 맨홀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 이상인 경우의 유량이 유입되어 우수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upper semicircle inside the main manhole connection end side, which is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 separation and drainage member, is configured to discharge a flow rate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main manhole is more than the full water level and discharged through the rainwater drain pipe.

따라서, 메인 맨홀의 수위가 만수위 이하인 저수위 유량일 경우에는 저수위 유량 유입구로만 배수가 이루어지고, 만수위일 경우에는 우수가 저수위 유량 유입구와 만수위 유량 배수관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며, 만수위 이상일 경우에는 저수위 유량 유입구와 만수위 유량 배수관 및 유량 분리 배수부재의 상부측인 메인 맨홀 연결단측 내부의 상부 반원으로 배수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main manhole is low water level below the full water level, the drainage is made only to the low water flow inlet. In the case of high water level, the drainage is made through the low water flow inlet and the high water level drainage pipe. It can be seen that the drainage is made to the upper semicircle inside the main manhole connection end side, which is the upper side of the inlet, the full water level flow drain pipe, and the flow separation drain membe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를 보인 일부절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의 우수 배수관 어댑터를 보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측단면도이다.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n-point contaminant purification device of the initial excellent outflow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 excellent drainage pipe adapter of the non-point contaminant purification device of the initial excellent runoff water, Figure 3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non-point contaminant purification device of the initial excellent runo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non-point contaminant purification device of the initial excellent runo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other non-point contaminant purification device of the initial excellent runo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de cross-sectional view seen at an angle.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100)는 우수가 유입되는 메인 맨홀(110), 메인 맨홀(110)로 우수를 유입시키는 인렛 파이프(120), 메인 맨홀(110)로부터 유입되는 우수의 이물질(침전물)과 부유물질을 우수로부터 분리시키는 스토리지 맨홀(130), 메인 맨홀(110)의 수위에 따른 유량을 능동적으로 배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우수분리 유닛(140), 메인 맨홀(110)로부터 우수분리 유닛(140)으로 유입된 우수를 스토리지 맨홀(130)로 유입시키는 상등수 유입관(150), 스토리지 맨홀(130)로부터 유입되는 처리수를 우수분리 유닛(150)으로 배출시키는 처리수 배출관(160) 및 우수분리 유닛(140)의 선단에 설치되어 우수분리 유닛(14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수를 배수시설로 배출시키는 아웃렛 파이프(17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6 non-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100 of the initial excellent outflow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let pipe 120 for introducing rainwater into the main manhole 110, the main manhole 110, the rainwater is introduced. ), The rainwater that is configured to actively drain the flow rat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storage manhole 130, the main manhole 110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sediment) of the rainwater flowing from the main manhole 110 and the suspended matter from the rainwater Superior water inlet pipe 150 for introducing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140 from the separation unit 140, the main manhole 110 to the storage manhole 130, the treated water flowing from the storage manhole 130 It is composed of an outlet pipe 170 installed at the discharging water discharge pipe 160 for discharging to the separation unit 150 and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d from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140 to the drainage facility. .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100)는 우천시 인렛 파이프(120)를 통해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유출수가 메인 맨홀(110)로 유입되면 메인 맨홀(110)에서 1차적으로 이물질을 침전시키고, 메인 맨홀(110)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상등수인 1차 처리수는 우수분리 유닛(140)과 상등수 유입관(150)을 통해 스토리지 맨홀(130)의 내부로 유입된다.Non-point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100 of the initial excellent outflow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e main manhole (1) when the initial excellent outflow water containing the non-point pollutant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120 during rain As the foreign matter is first precipitated in the 110, and the water level of the main manhole 110 is increased, the primary treated water, which is the supernatant, of the storage manhole 130 through the rainwater separating unit 140 and the supernatant inlet pipe 150. Flows inside.

한편, 스토리지 맨홀(130)로 유입된 1차 처리수의 이물질은 하부로 침전되고 부유물질은 상부로 부유하여 이물질과 부유물질이 우수(이물질과 부유물질이 분리된 상태의 처리수)와 분리된다. 이때, 스토리지 맨홀(130) 내부의 수위가 높아져 처리수 배출관(160)의 우수분리 유닛(140)에 연결된 상단보다 높게 되면 처리수 배출관(160)을 통해 처리수만이 배출되어 우수분리 유닛(140)을 거쳐 우수로부터 분리하여 이물질과 부유물질이 분리된 처리수만이 우수분리 유닛(140)과 아웃렛 파이프(170)를 거쳐 배수시설로 배수된다.On the other hand, foreign matters of the primary tre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storage manhole 130 are precipitated to the bottom and the suspended solids are suspended at the top, and the foreign matters and the suspended solids are excellent (separated from the foreign matter and the suspended solids treated water). . At this time,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storage manhole 130 is higher than the upper end connected to the rainwater separating unit 140 of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160, only the treat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160, thereby separating the rainwater separating unit 140. Only the treated water separated from the rainwater and the foreign matter and suspended matter separated through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140 and the outlet pipe 170 is drained to the drainage facility.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작용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은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메인 맨홀(110)과 스토리지 맨홀(130)을 통해 처리하여 보다 비점오염물질의 농도가 저하된 우수를 배수시설이나 공공수역으로 배수함으로써 수지오염을 줄일 수 있다.Through the ac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treats the non-point pollutants included in the initial excellent through the main manhole 110 and the storage manhole 130 to further improve the excellent concentration of non-point pollutants. Resin contamination can be reduced by draining to drainage or public waters.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 맨홀(110)은 우천시 초기우수를 유입 저수하여 1차적으로 이물질을 침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메인 맨홀(110)은 내부에 일정크기로 형성되는 저수공간(112)과 상부측에 관통 형성되는 맨홀공(114)이 형성되어 지면에 매설된다.Referring to the non-point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100 of the initial excellent outflow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First, the main manhole 110 is intended to settle the foreign matter primarily by inflowing the initial rainfall during rain, the main manhole 110 is formed through the storage space 112 and the upper sid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size therein. Manhole hole 114 is formed is embedded in the ground.

전술한 바와 같은 메인 맨홀(110)은 매설지역의 우수처리 용량에 관계하는 크기로 제작 설치되며, 맨홀공(114)은 메인 맨홀(110)의 저수공간(112) 하부면에 쌓인 침전물(10)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The main manhole 110 as described above is manufactured and installed in a size related to the rainwater treatment capacity, the manhole hole 114 is a sediment 10 accumulat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2 of the main manhole 110. It is formed to be able to process.

한편, 메인 맨홀(110)의 저수공간(112)에서 1차적으로 이물질이 침전된 상태의 상등수인 1차 처리수는 메인 맨홀(110)의 일측에 설치된 우수분리 유닛(140)으로 배출된다. 이때, 우수분리 유닛(140)으로 배출되는 유량은 메인 맨홀(110)의 저수공간(112)에 저수된 유량에 관계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imary treated water, which is the supernatant of the state in which the foreign matter is first deposited in the storage space 112 of the main manhole 110 is discharged to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14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manhole 110. At this time, the flow rate discharged to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140 is related to the flow rat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2 of the main manhole 110.

인렛 파이프(120)는 우천시 메인 맨홀(110)의 설치 지역으로부터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초기우수유출수를 메인 맨홀(110)의 저수공간(112)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인렛 파이프(120)는 메인 맨홀(110)의 일측면 상부측에 설치되어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초기우수유출수를 메인 맨홀(110)로 유입시킨다.The inlet pipe 120 is for introducing the initial excellent outflow water containing non-point pollutants generated from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main manhole 110 during rainy weather into the storage space 112 of the main manhole 110. )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one side of the main manhole 110 to introduce the initial excellent outflow water containing non-point pollutants into the main manhole (110).

스토리지 맨홀(130)은 1차적으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메인 맨홀(110) 내부의 상등수인 1차 처리수를 유입 저수하여 상등수에 포함된 이물질과 부유물질을 우수(이물질과 부유물질이 분리된 상태의 처리수)와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스토리지 맨홀(130)은 내부에 일정크기의 저수공간(132)이 형성되어 메인 맨홀(1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지면에 매설된다. 이때, 스토리지 맨홀(130)에도 역시 스토리지 맨홀(130)의 저수공간(132)에 쌓인 침전물(12)이나 부유물질을 처리할 수 있도록 맨홀공(134)이 형성된다.The storage manhole 130 flows in primary storage water, which is the supernatant water inside the main manhole 110, in which the foreign matter is first removed, thereby providing excellent foreign matter and suspended solids contained in the supernatant water. The storage manhole 130 is a storage space 132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rein and is buried in the ground spaced apart from the main manhole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t this time, the manhole hole 134 is also formed in the storage manhole 130 so as to process deposits 12 or suspended matter accumulated in the storage space 132 of the storage manhole 130.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스토리지 맨홀(130)은 우수분리 유닛(14)과 상등수 유입관(150)을 통해 메인 맨홀(110)의 저수공간(112)으로부터 유입된 1차 처리수를 저수하여 1차 처리수에 포함된 이물질과 부유물질을 우수(이물질과 부유물질이 분리된 상태의 처리수)를 분리한다. 이처럼 1차 처리수에 포함된 이물질과 부유물질을 우수와 분리함으로써 이물질은 스토리지 맨홀(130)의 하부에 침전되고,부유물질은 스토리지 맨홀(130)의 상부에 부유하게 된다. 따라서, 이물질과 부유물질이 분리된 2차 처리수는 침전된 이물질과 부유된 부유물질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The storage manhole 1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tores the primary treated water introduced from the reservoir space 112 of the main manhole 110 through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14 and the supernatant inlet pipe 150. Separate the foreign matter and suspended solids contained in the treated water (treated water with the foreign matter and suspended matter separated). As such, by separating the foreign matter and suspended matter contained in the primary treated water from the rainwater, the foreign matter is deposi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manhole 130, and the floating substance float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manhole 130. Therefore, the secondary treatment water in which foreign matter and suspended matter are separated is located between the precipitated foreign matter and the suspended suspended matter.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의 침전과 부유물질의 부유에 의해 분리된 2차 처리수는 스토리지 맨홀(130) 내부의 저수공간(132) 수위가 올라가 그 수위가 처리수 배출관(160)의 우수분리 유닛(140)측 단의 높이보다 높게되면 스토리지 맨홀(130) 내부의 2차 처리수는 처리수 배출관(160)과 우수분리 유닛(140)을 통해 배수시설로 배출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ary treated water separated by the sedimentation of the foreign matter and the floating of the suspended solids, the water level of the storage space 132 inside the storage manhole 130 rises, and the water level is separated from the rainwater discharge pipe 160. When the height of the unit 140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tage, the secondary treated water in the storage manhole 130 is discharged to the drainage through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160 and the rainwater separating unit 140.

우수분리 유닛(140)은 메인 맨홀(110) 내부의 유량에 따라 유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이 우수분리 유닛(140)은 메인 맨홀(110)의 상등수(1차 처리수)와 스토리지 맨홀(130)의 2차 처리수를 배수시설로 배출시키는 우수 배수관(142), 우수 배수관(142)의 선단 내부에 설치되어 메인 맨홀(110) 내부의 수위에 따른 배출 유량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 분리 배수부재(144) 및 메인 맨홀(110)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인 경우의 만수위 유량이 유입되어 우수 배수관(14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만수위 유량 배수관(146)으로 이루어진다.Rainwater separation unit 140 is to control the flow rate according to the flow rate inside the main manhole 110,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140 is the supernatant (primary treatment water) and storage manhole 130 of the main manhole 110 Is installed inside the tip of the rainwater drainage pipe 142 and the rainwater drainage pipe 142 to discharge the secondary treated water of the drainage to the drainage facility to actively cope with the discharge flow rat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 the main manhole 110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drain member 144 and the main manhole 110 is full water level, the water level flow rate is introduced to the water level flow drain pipe 146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rainwater drain pipe 142.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우수분리 유닛(140)은 메인 맨홀(110) 내부의 저수공간(112)에 저수된 우수의 수위가 만수위 이하인 저수위 유량, 만수위인 만수위 유량 및 만수위 이상의 유량에 따라 배출량을 달리하여 메인 맨홀(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량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1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varies the discharge according to the low water flow rate, the low water level flow rate and the high water level flow rate and the high water level flow rate of the rain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space 112 inside the main manhole 110. Actively cope with the flow rate flowing into the main manhole 110.

전술한 우수분리 유닛(14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우수분리 유닛(140)은 메인 맨홀(110)의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유입구 타측에 설치되어지되 상등수 유입관(150)과 처리수 배출관(160)의 상단이 하부에 연결되어 메인 맨홀(110)의 상등수(1차 처리수)와 스토리지 맨홀(130)의 2차 처리수를 배수시설로 배출시키는 우수 배수관(142), 우수 배수관(142)의 메인 맨홀(110) 연결단측 내부의 하부 반원에 설치되어지되 우수 배수관(14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대수 개의 설치공(144a)과 메인 맨홀(110)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 이하인 저수위 유량이 유입되어 상등수 유입관(15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설치공(144a) 사이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선단부의 저수위 유량 유입구(144b)로 이루어진 유량 분리 배수부재(144) 및 메인 맨홀(110)의 일정깊이로부터 다수 개의 설치공(144a) 각각을 관통하여 설치되어지되 메인 맨홀(110)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인 경우의 만수위 유량이 유입되어 우수 배수관(14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만수위 유량 배수관(146)으로 이루어진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ainwater separating unit 140 is as follows. That is,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14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rainwater inlet through which the rainwater of the main manhole 110 flows, but the upper end of the upper water inlet pipe 150 and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160 ar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manhole 110. Drainage pipe 142 for discharging the supernatant water (primary treatment water) and secondary treatment water of the storage manhole 130 to the drainage facility, and the lower semicircle inside the connection end side of the main manhole 110 of the rainwater drain pipe 142. To be installed, but the number of installation holes (144a)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nwater drainage pipe 142 and the low-level flow rate of the water level inside the main manhole 110 is below the full water level flows into the upper water inlet pipe 150 Each of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144a is formed from a predetermined depth of the flow separation drain member 144 and the main manhole 110 formed of the low water flow rate inlet 144b of the tip portion formed at the lower side between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144a. Installed through the main Is the flow rate of the water level when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level inside the hole 110, the inlet comprises a water level flow water pipe 146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solid waste pipe 142. The

우수 배수관(142)은 메인 맨홀(110)로부터 유입되는 1차 처리수를 저수위 유량일 경우에는 스토리지 맨홀(130)로 유입되도록 하고, 만수위나 만수위 이상의 유량일 경우에는 일부는 스토리지 맨홀(130)로 유입시키는 한편 나머지는 곧바로 배수시설로 배출시키는 배수관이다.The storm drain pipe 142 allows the primary treated water flowing from the main manhole 110 to flow into the storage manhole 130 in the case of the low water flow rate, and part of the rainwater drainage pipe 142 into the storage manhole 130 in the case of the high water level or the flow rate above the full water level. The inlet, while the rest is a drainpipe, is discharged directly to the drainage system.

유량 분리 배수부재(144)는 만수위 유량 배수관(146)을 설치 고정시키는 한편 메인 맨홀(110)의 수위가 만수위 이하인 저수위 유량, 만수위 유량 및 만수위 이상의 유량에 따른 배출량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 이 유량 분리 배수부재(144)는 우수 배수관(142)의 내측 하부반원에 관계하여 선후단이 형성되고, 선후단에는 동일선상에 우수 배수관(142)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설치공(144a)이 형성되며, 다수의 설치공(144a) 사이의 하부측에는 메인 맨홀(110)의 수위가 만수위 이하인 저수위 유량이 유입되는 저수위 유량 유입구(144b)가 형성된다.The flow rate separating and draining member 144 installs and fixes the high water level flow drain pipe 146 and actively copes with the discharge due to the low water level, the high water level, and the high water level above the water level of the main manhole 110. The flow rate separating drain member 144 has a front and rear end formed in relation to the inner lower semicircle of the rainwater drain pipe 142, and a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144a ar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rainwater drain pipe 14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ame line. On the lower side between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144a, a low water flow rate inlet 144b through which a low water flow rate at which the water level of the main manhole 110 is below the full water level is introduced.

전술한 유량 분리 배수부재(144)의 후단은 상등수 유입관(150)과 처리수 배출관(160) 사이를 차단하여 저수위 유량 유입구(144b)를 통해 유입된 메인 맨홀(110)의 저수위 유량이 상등수 유입관(150)을 통해 스토리지 맨홀(1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우천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우수의 량이 적은 경우 또는 초기우수유출수는 메인 맨홀(110)의 저수공간(112)으로 유입되는 우수의 유입속도가 작고, 또한 그 유입량도 적기 때문에 메인 맨홀(110)의 저수공간(112)으로 유입되는 우수는 그 수위가 서서히 불어나게 된다. 따라서, 이물질의 침전이 이루어진 후의 1차 처리수는 저수위 유량 유입구(144b)로만 유입되어 상등수 유입관(150)을 통해 스토리지 맨홀(130)의 내부로 유입되어 이물질과 부유물질의 분리가 이루어진다.The rear end of the above-described flow separation and drainage member 144 blocks the upper water inflow pipe 150 and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160 so that the low water flow rate of the main manhole 110 introduced through the low water flow rate inlet 144b is introduced into the top water.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storage manhole 130 through the pipe (150). Therefore, when the amount of rainwater containing non-point pollutants generated during rainy weather or the initial excellent outflow water flows into the storage space 112 of the main manhole 110, the inflow rate of the rainwater is small, and the inflow rate is also small, the main manhole Rainwater flowing into the reservoir space 112 of the 110 is the water level is gradually blown. Therefore, the primary treated water after the sedimentation of the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only into the low water flow rate inlet 144b and introduced into the storage manhole 130 through the supernatant inlet pipe 150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and the suspended matter.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우수유출수는 메인 맨홀(110)과 스토리지 맨홀(130)의 내부에서 1차 및 2차적인 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부분의 비점오염물질이 처리되어 배수시설로 배수된다. 물론, 초기우수유출수의 유입이 이루어져 처리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 후에 유입되는 우수유출수는 비점오염물질의 농도가 희박하기 때문에 배수시설로 곧바로 배수되어도 공공수역의 오염도로 그리 상승되지는 않는다.As described above, the initial excellent effluent is treated with primary and secondary treatments inside the main manhole 110 and the storage manhole 130, and most of the nonpoint pollutants are treated and drained to the drainage facility. Of course, the rainwater runoff that is introduced after the initial stormwater runoff has been treated to some extent has a low concentration of non-point pollutants, so that even if drained directly to the drainage system, the pollution level of the public water is not so elevated.

한편, 전술한 유량 분리 배수부재(144)의 설치공(144a)으로는 메인맨홀(110)의 수위가 만수위인 경우 만수위 유량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만수위 유량 배수관(146)이 메인 맨홀(110)의 일정깊이로부터 설치공(144a)을 통해 우수 배수관(142)의 길이방향으로 설치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as the installation hole (144a) of the above-mentioned flow separation and drainage member 144, when the water level of the main manhole 110 is the full water level, the high water level flow drain pipe 146 to discharge the high water level flow rate is the main manhole 110. It is installed and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nwater drain pipe 142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144a) from a certain depth of.

전술한 만수위 유량 배수관(146)의 구성은 초기우수유출수를 처리하고 난 후의 메인 맨홀(110)로 유입되는 우수의 양에 많아지는 경우에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 이 만수위 유량 배수관(146)은 메인 맨홀(110) 내부의 유량이 만수위 이하인 저수위 유량을 넘어 만수위 유량에 도달하게 되면 메인 맨홀(110) 내부의 1차 처리수가 저수위 유량 유입구(144b)는 물론 만수위 유량 배수관(146)으로도 유입되어 보다 많은 양의 1차 처리수가 메인 맨홀(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만수위 유량 배수관(146)으로 유입되는 1차 처리수는 우수 배수관(142)을 통해 곧바로 배수시설로 배수가 이루어진다.The above-described high water level flow drain pipe 146 is configured to cope with the case where the amount of rainwater flowing into the main manhole 110 after the initial excellent outflow water has been processed, and the high water level flow rate drain pipe 146 is the main manhole. When the flow rate inside the water reaches a high water level beyond the low water level which is below the high water level, the primary treated water in the main manhole 110 flows into the low water flow rate inlet 144b as well as the high water level flow drain pipe 146 to provide more water. Positive primary treatment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manhole (110). At this time, the primary treated water flowing into the full water level flow drain pipe 146 is drained directly to the drainage facility through the storm drain pipe 142.

그리고, 전술한 유량 분리 배수부재(140)의 상부인 메인 맨홀(110) 연결단측 내부의 상부 반원으로는 메인 맨홀(110)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 이상인 경우의 유량이 유입되어 우수 배수관(142)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도 물론, 저수위 유량 유입구(144b)와 만수위 유량 배수관(146)을 통해서도 메인 맨홀(110)의 1차 처리수가 배출된다.In addition, the upper half circle inside the main manhole 110 connected end side of the flow separation and drainage member 140 described above flows in the case where the water level inside the main manhole 110 is higher than the full water level, thereby providing the rainwater drain pipe 142. Is discharged through. At this time, of course, the first treatment water of the main manhole 110 is discharged through the low water flow rate inlet 144b and the high water level flow drain pipe 146.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유량 분리 배수부재(144)는 메인 맨홀(110)의 수위가 만수위 이하인 저수위 유량일 경우 저수위 유량 유입구(144b)로만 배수가 이루어지고, 만수위일 경우에는 1차 처리수가 저수위 유량 유입구(144b)와 만수위 유량 배수관(146)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며, 만수위 이상일 경우에는 저수위 유량유입구(144b)와 만수위 유량 배수관(146) 및 유량 분리 배수부재(144)의 상부측인 메인 맨홀(110) 연결단측 내부의 상부 반원으로 배수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flow separation and drainage member 144 is drained only to the low water flow rate inlet 144b when the water level of the main manhole 110 is below the full water level, and in the case of the full water level, the primary treated water may have a low water flow rate. Th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144b and the high water level drainage pipe 146, and when the water level is higher than the high water level, the main manhole (the upper side of the low water level flow inlet 144b and the high water level drainage pipe 146 and the flow separation drain member 144). 110) It can be seen that the drainage is made to the upper semicircle inside the connection end side.

상등수 유입관(150)은 메인 맨홀(110) 내부의 저수공간(112)에 저수된 1차 처리수를 스토리지 맨홀(130)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상등수 유입관(150)은 유량 분리 배수부재(144)의 선후단 사이의 우수 배수관(142) 하부로부터 스토리지 맨홀(130)의 일측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등수 유입관(150)의 우수 배수관(142)측 단이 스토리지 맨홀(130)측 단에 비해 상부에 위치한다.The supernatant inlet pipe 150 is for introducing primary treat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2 inside the main manhole 110 into the storage manhole 130, and the supernatant inlet pipe 150 separates the flow rate. I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orage manhole 130 from the bottom of the storm drain pipe 142 betwee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drain member 144. At this time, the water drain pipe 142 side end of the supernatant inlet pipe 150 is located above the storage manhole 130 side end.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등수 유입관(150)은 저수위 유량 유입구(144b)를 통해 유입된 메인 맨홀(110)의 1차 처리수를 스토리지 맨홀(130)의 내부로 유입시키게 된다.The upper supernatant inlet pipe 1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troduces the primary treatment water of the main manhole 110 introduced through the low water flow rate inlet 144b into the storage manhole 130.

처리수 배출관(160)은 스토리지 맨홀(130)의 내부에서 2차적으로 처리된 2차 처리수를 배수시설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처리수 배출관(160)은 스토리지 맨홀(130)의 일측으로부터 유량 분리 배수부재(144) 후단의 우수 배수관(142) 하부로 연결된다. 이때, 처리수 배출관(160)의 스토리지 맨홀(130)측 단은 우수분리 유닛(140)의 우수 배수관(142)측 단에 비해 하부측에 위치되어 스토리지 맨홀(130) 내부의 수위가 우수 배수관(142)측 단에 비해 높아야만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160 is for discharging the secondary treated water that has been treated secondly in the storage manhole 130 to the drainage facility, and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160 flows from one side of the storage manhole 130. It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rainwater drain pipe 142 at the rear end of the separation drain member 144. At this time, the storage manhole 130 side end of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160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compared to the rain end pipe 142 side end of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140, the water level inside the storage manhole 130 is excellent drain pipe ( It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only when it is higher than the side end.

또한, 처리수 배출관(160)의 스토리지 맨홀(130)측 단은 스토리지 맨홀(130) 내부의 침전된 이물질과 부유된 부유물질 사이의 이물질과 부유불질이 분리된 우수만(2차 처리수)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의 스토리지 맨홀(130) 일측에 연결구성된다.In addition, the storage manhole 130 side end of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160 is only rainwater (secondary treated water) is separated from the foreign matter and suspended impurities between the precipitated foreign matter and suspended suspended matter inside the storage manhole 130 I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orage manhole 130 of the portion to be discharged.

아웃렛 파이프(170)는 우수분리 유닛(14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수를 배수시설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아웃렛 파이프(170)는 우수분리 유닛(140)의 우수 배수관(142)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우수 배수관(142)의 후단에 설치된다.Outlet pipe 170 is for discharging the discharged water discharged from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140 to the drainage facility, the outlet pipe 170 i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ainwater discharge pipe 142 of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140 It is formed and installed in the rear end of the rainwater drain pipe 142.

전술한 바와 같이 우수분리 유닛(140)의 우수 배수관(142)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아웃렛 파이프(170)는 우수 배수관(142)으로 배출되는 유량이 좁아진 아웃렛 파이프(170)를 통과하는 가운데 수압이 발생되어 배수시설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outlet pipe 170 formed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rainwater discharge pipe 142 of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140 passes through the outlet pipe 170 having a narrow flow rate discharged to the rainwater discharge pipe 142. Water pressure is generated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quickly to the drainage system.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에서 만수위 이하의 유량(Low Flow)일 경우 유량의 흐름을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FIG.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 rate of a low flow below a full water level in an apparatus for purifying non-point contaminants of initial excellent outflow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저수위 유량의 배출을 보인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맨홀(110) 내부의 저수공간(112)에 저수된 우수의 양이 만수위 이하인 저수위 유량일 경우 1차 처리수가 저수위 유량 유입구(144b)를 통해 유입되어 상등수 유입관(150)을 경유하여 스토리지 맨홀(130)의 저수공간(132)으로 유입되는 것을 알 수 있다.FIG. 6 illustrates the discharge of the low water flow rate, and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amount of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2 inside the main manhole 110 is a low water flow rate equal to or less than a full water level, the primary treated water may be a low water flow rate inlet ( 144b may be introduced into the storage space 132 of the storage manhole 130 via the supernatant inlet pipe 150.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에서 만수위의 유량(Maximum Treatment Flow)일 경우 유량의 흐름을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ow of the flow in the case of the maximum water flow (Maximum Treatment Flow) in the non-point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initial excellent outflow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만수위 유량의 배출을 보인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맨홀(110) 내부의 저수공간(112)에 저수된 우수의 양이 만수위인 경우 1차 처리수가 저수위 유량 유입구(144b)는 물론, 만수위 유량 배수관(146)을 통해 유입되어 일부(저수위 유량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1차 처리수)는 상등수 유입관(150)을 경유하여 스토리지 맨홀(130)의 저수공간(132)으로 유입되고, 만수위 유량 배수관(146)을 통해 유입된 유량은 우수 배수관(142)을 통해 곧바로 배수시설로 배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7 illustrates discharge of the high water level flow rate, and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amount of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2 inside the main manhole 110 is the high water level, the primary treated water may have a low water flow rate inlet 144b. Of course, a portion (primary treatment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low water flow inlet) that is introduced through the high water level flow inlet 146 is introduced into the storage space 132 of the storage manhole 130 via the supernatant inlet 150. , The flow rate introduced through the full water level flow drain pipe 146 is discharged directly to the drainage facility through the rainwater drain pipe 142.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에서 만수위 이상의 유량(Peak Design Flow)일 경우 유량의 흐름을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8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ow of the flow rate when the flow rate (Peak Design Flow) above the full water level in the non-point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initial excellent outflow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메인 맨홀(110)의 만수위 이상인 유량의 배출을 보인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맨홀(110) 내부의 저수공간(112)에 저수된 우수의 양이 만수위 이상인 경우 1차 처리수가 저수위 유량 유입구(144b)와 만수위 유량 배수관(146)을 통해 유입됨은 물론, 유량 분리 배수부재(144)의 상부인 우수 배수관(142)의 상부반원으로 유입되어 일부(저수위 유량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1차 처리수)는 상등수 유입관(150)을 경유하여 스토리지 맨홀(130)의 저수공간(132)으로 유입되고, 만수위 유량 배수관(146)과 유량 분리 배수부재(144)의 상부인 우수 배수관(142)의 상부반원으로 유입된 유량은 우수 배수관(142)을 통해 곧바로 배수시설로 배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FIG. 8 illustrates discharge of a flow rate above the full water level of the main manhole 110. When the amount of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2 inside the main manhole 110 is greater than the full water level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1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semicircle of the rainwater discharge pipe 142, which is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 separation drain member 144, as well as being introduced through the low water flow rate inlet 144b and the high water level flow drain pipe 146. The primary treatment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reservoir space 132 of the storage manhole 130 via the supernatant inflow pipe 150, and the rainwater drain pipe 142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high water level flow drain pipe 146 and the flow separation drain member 144. It can be seen that the flow rate introduced into the upper semicircle is discharged to the drainage facility immediately through the rainwater drain pipe 142.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우천시 특히 초기우수시 내리는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유입시켜 우수와 이물질 및 부유물질의 분리한 후 우수만을 배수시설로 배출시킴으로써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 등의 수질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troducing non-point pollutants introduced with rainwater during rainy weather, especially in the early rainy season, the rainwater, sewage, and lakes are discharged by separating only rainwater and foreign matters and suspended solids into the drainage facility. It is effective to prevent water pollution such as water bodies and groundwater.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는 우수분리 유닛의 구성을 통해 메인 맨홀의 만수위 이하의 저수위 유량, 만수위 유량 및 만수위 이상의 유량에 따라 유입량이 달라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인 맨홀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의 유량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tively flow to the rainwater flow into the main manhole by varying the inflow rate according to the low water flow rate, the water level flow rate and the water level above the water level of the main manhole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Can cope

나아가, 본 발명은 우천시 초기우수유출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정화하여 배수시설로 배출시킴으로써 비점오염물질로 인한 수질오염의 방지를 통해 자연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최종소비자인 인간에게까지 미치는 폐해를 보다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urifies the non-point pollutants contained in the initial excellent runoff during rainy season and discharges them to the drainage facility to protect the natural ecosystem through the prevention of water pollution caused by the non-point pollutants, as well as to the end consum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harm to even more.

Claims (6)

내부에 일정크기로 형성되는 저수공간과 상부측에 관통 형성되는 맨홀공이 형성되어 지면에 매설되는 메인 맨홀;A main manhole which is form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and a manhole hole formed through the upper side and is embedded in the ground; 우수 유입시설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상기 메인 맨홀의 저수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맨홀 일측의 일정높이에 설치되는 인렛 파이프;An inlet pip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one side of the main manhole to allow the rainwater flowing from the rainwater inflow facility to flow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main manhole; 내부에 일정크기의 저수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 맨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의 상등수에 포함된 이물질(침전)과 부유물질을 우수와 분리하는 스토리지 맨홀;A storage manhol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f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to separate foreign matter (sedimentation) and suspended solids contained in the rainwater supernatant flowing from the main manhole from the rainwater; 상기 메인 맨홀의 우수유입구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맨홀의 상등수와 스토리지 맨홀의 처리수를 배수시설로 배출시키되 상기 메인 맨홀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 이하인 경우의 적은 유량과 만수위인 경우의 유량 및 만수위 이상의 유량에 대처하여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우수분리 유닛;It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rainwater inlet of the main manhole to discharge the upper water of the main manhole and the treated water of the storage manhole to a drainage facility, but the small flow rate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main manhole is below the full water level, the flow rate when the water level is below the full water level, and the flow rate above the full water level Rainfall separation unit to be able to cope with the drainage; 상기 우수분리 유닛의 하부로부터 상기 스토리지 맨홀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 맨홀의 상등수를 상기 스토리지 맨홀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상등수 유입관;A supernatant inlet pipe connected to the storage manhole from a lower portion of the rainwater separating unit to introduce the supernatant of the main manhole into the storage manhole; 상기 스토리지 맨홀로부터 상기 우수분리 유닛의 하부로 연결되어 상기 스토리지 맨홀의 처리수를 상기 우수분리 유닛으로 배출시키는 처리수 배출관; 및A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from the storage manhole to discharge the treated water of the storage manhole to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And 상기 우수분리 유닛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우수분리 유닛의 후단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우수분리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수를 배수시설로 배출시키는 아웃렛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Purification of non-point contaminants of the initial excellent effluent water formed of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and an outlet pipe for discharging the discharged water discharged from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to the drainag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 배출관의 스토리지 맨홀측 단은 우수분리 유닛측 단에 비해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스토리지 맨홀 매부의 수위가 상기 우수분리 유닛측 단에 비해 높아야지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rage manhole side end of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compared to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side end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storage manhole sheet por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side end to be discharged. Non-point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of the initial excellent runoff wat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 배출관의 스토리지 맨홀측 단은 상기 스토리지 맨홀 내부의 침전된 이물질과 부유된 부유물질 사이의 우수만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의 상기 스토리지 맨홀 일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The storage manhole side end of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manhole at a portion such that only rainwater between the precipitated foreign matter and the suspended floating material in the storage manhole can be discharged. Nonpoint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of the initial excellent runoff wate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분리 유닛은 상기 메인 맨홀의 우수유입구 타측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상등수 유입관과 처리수 배출관의 상단이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맨홀의 상등수와 스토리지 맨홀의 처리수를 배수시설로 배출시키는 우수 배수관;The rainwater separation unit is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rainwater inlet of the main manhole,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water inlet pipe and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to drain the treated water of the upper water of the main manhole and the storage manhole. Storm drains to the facility; 상기 우수 배수관의 상기 메인 맨홀 연결단측 내부의 하부 반원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우수 배수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대수 개의 설치공과 상기 메인 맨홀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 이하인 저수위 유량이 유입되어 상기 상등수 유입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다수 개의 설치공 사이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선단부의 저수위 유량 유입구로 이루어진 유량 분리 배수부재; 및It is installed in the lower semi-circle inside the main manhole connection end side of the rainwater drainage pipe, the number of installation hol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nwater drainage pipe and the low water flow rate in which the water level inside the main manhole is below the full water level flows into the upper water inflow pipe. A flow rate separating drain member consisting of a low water flow rate inlet of a tip portion formed at a lower side between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to be introduced; And 상기 메인 맨홀의 일정깊이로부터 상기 다수 개의 설치공 각각을 관통하여 설치되어지되 상기 메인 맨홀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인 경우의 만수위 유량이 유입되어 상기 우수 배수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만수위 유량 배수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It is installed through each of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from a predetermined depth of the main manhole, but the water level flow rate drain pipe which flows into the water level flow rate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main manhole is full water level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rainwater drainage pipe Non-point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of the initial excellent runoff wat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분리 배수부재의 후단은 상기 상등수 유입관과 처리수 배출관의 사이를 차단하여 상기 메인 맨홀 내부의 만수위 이하인 저수위 유량이 상기 저수위 유량 유입구를 통해 유입될 때 유입된 저수위 유량이 상기 우수 배수관으로 곧바로 배수되지 않고 상기 상등수 유입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5. The low level flow rate of claim 4, wherein a rear end of the flow rate separating and draining member blocks the gap between the upper water inlet pipe and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so that a low level flow rate of less than or equal to a full water level in the main manhole flows through the low water flow rate inlet. The non-point contaminant purification device of the initial excellent outflow w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upper water inlet pipe without draining straight to the rainwater drain pip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분리 배수부재의 상부인 상기 메인 맨홀 연결단측 내부의 상부 반원으로는 상기 메인 맨홀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 이상인 경우의 유량이 유입되어 상기 우수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The upper semicircle inside the main manhole connecting end, which is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 rate separating drain member, has a flow rate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main manhole is above the full water level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rainwater drain pipe. Non-point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of the initial excellent runoff.
KR1020030051728A 2003-07-26 2003-07-26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first rain KR1005610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728A KR100561092B1 (en) 2003-07-26 2003-07-26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first r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728A KR100561092B1 (en) 2003-07-26 2003-07-26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first rai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185U Division KR200333408Y1 (en) 2003-07-26 2003-07-26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first ra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106A true KR20030068106A (en) 2003-08-19
KR100561092B1 KR100561092B1 (en) 2006-03-20

Family

ID=3222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728A KR100561092B1 (en) 2003-07-26 2003-07-26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first r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09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631B1 (en) * 2007-02-27 2007-08-02 (주)이엠엔씨코리아 Primary stage rainwater management system using chloride ion
CN104831777A (en) * 2015-02-12 2015-08-12 广西风向标环保科技有限公司 Initial rain water recover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192B1 (en) * 2013-06-26 2013-11-28 하보경 Early rainwater filtration and skimming device
KR101642075B1 (en) 2015-03-10 2016-07-25 (주)테라생태환경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KR102654697B1 (en) 2023-07-06 2024-04-03 환경시설관리 주식회사 Rainwater drain system capable of purifying non-point source pollutant
KR102634268B1 (en) 2023-07-06 2024-02-05 환경시설관리 주식회사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first rai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631B1 (en) * 2007-02-27 2007-08-02 (주)이엠엔씨코리아 Primary stage rainwater management system using chloride ion
CN104831777A (en) * 2015-02-12 2015-08-12 广西风向标环保科技有限公司 Initial rain water recover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1092B1 (en) 2006-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269B1 (en)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s of non-point sources by the early-stage storm runoff
KR100718719B1 (en)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non-point sources by the early-stage storm runoff
KR100681408B1 (en) A structure of purification using curved road
KR100959161B1 (en) Treating System of Rainwater
KR200452222Y1 (en) Non-point pollution natural purification system
KR101332781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for bridge or manhole
KR20080000501A (en) Removal apparatu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for rainwater drain pipe
KR101564083B1 (en) A non-point pollution source filtration equipment
KR100491866B1 (en)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first rain
KR20110018760A (en)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KR100533326B1 (en) Draining system for purifying the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KR100976348B1 (en) Non-point source contaminant decreasing device with a rotation-door for prevention a sand
KR100561092B1 (en)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first rain
KR100786511B1 (en) a carbide the first control rain
KR100491867B1 (en)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KR100980412B1 (en) Storm water treatment device
KR200359724Y1 (en) Treatment system of incipient rainwater with pollutant
KR100952117B1 (en)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KR200333408Y1 (en)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first rain
KR102634268B1 (en)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first rain
KR101912323B1 (en)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using precipitation and filtering
KR101092245B1 (en)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KR102654697B1 (en) Rainwater drain system capable of purifying non-point source pollutant
KR102611173B1 (en) The suspended material processing unit of the rainwater manhole pre-processor
KR102227500B1 (en)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