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7464A - 내의 살균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내의 살균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7464A
KR20030067464A KR1020020066818A KR20020066818A KR20030067464A KR 20030067464 A KR20030067464 A KR 20030067464A KR 1020020066818 A KR1020020066818 A KR 1020020066818A KR 20020066818 A KR20020066818 A KR 20020066818A KR 20030067464 A KR20030067464 A KR 20030067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sterilization
temperature
air
steriliz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달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글로벌
Priority to KR1020020066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7464A/ko
Publication of KR20030067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46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1/06Type o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Landscapes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의 살균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조/살균시키고자 하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건조/살균실(100); 건조/살균실(100)을 수용함과 동시에 도어(210)가 장착된 하우징(200); 도어(21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300); 사용자가 옷감 재질 및 바람 세기 모드와 살균 모드를 선택하면 이에 따른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 조작부(400); 건조/살균실(100)의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투입하는 건조기(500); 건조/살균실(100)의 내부로 살균제인 오존(O3)을 투입하는 살균기(600); 버튼 조작부(400)의 선택 신호에 따라 건조기(500) 또는 살균기(600)를 제어하여 건조/살균실(100) 내부의 내용물을 설정된 습도 및 온도 임계치 이하까지 건조/살균시키는 주 제어부(700); 및 현재의 각종 살균/건조 상태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8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속옷을 세탁할 때 그 속옷의 건조/살균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고, 여성의 경우 속옷 건조시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해 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실내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의 살균 건조 장치{DEVICE FOR DRYING AND STERILIZING OF UNDERWEAR}
본 발명은 내의 살균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장치에서 온도 및 습도량을 고려한 내의의 자동 건조 처리와 오존(O3)을 이용한 자동 살균 처리가 모두 가능하도록 해줌과 동시에 장시간의 살균 보관까지도 가능하도록 해주는 내의 살균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팬티(panty), 브래지어(brassiere), 거들(girdle) 등과 같은 내의를 세탁한 이후 내의를 건조시킬 때 옥외의 건조대를 이용하여 태양열로 건조시키거나, 아니면 옥내의 거실이나 방에 널어 건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속옷의 살균 방법으로는 속옷의 세탁 전에 속옷을 고온에서 삶거나, 아니면 세탁시 분말 살균제를 첨가하여 살균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건조 방법은 자연적인 기상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함으로 흐리거나 비가 오는 날씨에서는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여성의 경우 자신의 속옷을 옥내/외에 널어야 되므로 프라이버시(privacy)의 보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내의 살균 방법은 속옷을 일일이 고온에서 삶아야 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자칫 잘못하면 화상의 위험도 있고, 살균 세탁제를 사용할 경우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속옷 세탁 후 건조 및 살균을 마쳤다 하더라도 옷장이나 서랍장에 보관해야 되므로 인체에 해로운 균이 속옷에 침투할 여지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속옷의 살균 및 건조를 수행할수 있도록 해주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내의 살균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속옷을 세탁한 후 건조시킬 때 속옷의 외부 노출을 방지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해 주고, 속옷의 건조 이후 장시간의 속옷 무균 보관이 가능하도록 해주기 위한 내의 살균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다른 목적으로는 속옷을 살균시키기 위한 오존(O3) 살균제를 외부로 방출시켜 실내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주는 내의 살균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내의 살균 건조 장치는, 상부에 습도 센서가 장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후면에는 다수개의 공기 삽입홀이 형성되어, 건조 및 살균시키고자 하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건조/살균실;
상기 건조/살균실을 수용함과 동시에 전면부에 상기 건조/살균실을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한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도어와 맞닿는 지점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건조 및 살균시키고자 하는 내용물의 재질에 따른 옷감 및 바람 세기 모드를 선택하거나, 내용물의 살균만을 위해 살균 모드을 선택하거나, 또는 공기 정화 모드를 선택하면 이에 따른 선택 신호를출력하는 버튼 조작부;
상기 하우징의 후측에 장착되어 상기 건조/살균실의 온도 또는 과열 상태를 측정한 후 이에 따른 온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한편, 상기 건조/살균실의 다수개의 공기 삽입홀로 가열된 공기를 투입하는 건조기;
상기 하우징의 후측에 장착되어 상기 건조/살균실의 다수개의 공기 삽입홀로 살균제인 오존(O3)을 투입하는 살균기;
상기 버튼 조작부의 선택 신호에 따라 건조기 또는 살균기를 제어하여 건조/살균실 내부의 내용물을 설정된 습도 및 온도 임계치 이하까지 건조/살균시키거나, 설정된 시간 동안 살균만시키거나, 또는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주 제어부; 및
상기 버튼 조작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현재의 각종 살균/건조 상태 및 에러 상태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의 살균 건조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내의 살균 건조 장치의 앞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내의 살균 건조 장치의 뒷 모습을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내의 살균 건조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내의 살균 건조 장치에서 도어가 오픈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따른 내의 살균 건조 장치에서 건조기 및 살균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따른 내의 살균 건조 장치에서 버튼 조작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1에 따른 내의 살균 건조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도 1에 따른 내의 살균 건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내의 살균 건조 장치에서 주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11은 도 1에 따른 내의 살균 건조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도 12는 도 11에 따른 플로우챠트에서 제 300 단계(S300)의 세부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건조/살균실 101 : 폐수 배출홀
102 : 오존 방출 홀 103 : 공기 삽입홀
104 : 습도 센서 200 : 하우징
210 : 도어 300 : 도어 스위치
400 ; 버튼 조작부 410 : 옷감 선택 버튼부
411 : 면 선택 버튼 412 : 혼방 선택 버튼
413 : 씰크 선택 버튼 420 : 바람세기 선택 버튼부
421 : 보통 모드 선택 버튼 422 : 쾌속 모드 선택 버튼
430 : 취소 버튼 440 : 살균 버튼
450 : 전원 버튼 460 : 공기 정화 버튼
500 : 건조기 501 : 팬
502 : 히터 503 : 공기 투입 관
504 : 과열온도 감지센서 505 : 온도 센서
506 : 과열방지 온도 퓨즈 600 : 살균기
601 : 오존 발생기 700 : 주 제어부
701 : 전원부 702 : 온도 감지용 A/D 변환부
703 : 습도 감지용 A/D 변환부 704 : CPU
705 : 센서 구동부 706 : 건조기 구동부
707 : 살균기 구동부 708 : 제 1 포토 커플러
709 : 제 2 포토 커플러 800 : 디스플레이부
801 : 제 1 LED 802 : 제 2 LED
803 : 제 3 LED 804 : 제 4 LED
805 : 제 5 LED 806 : 에러 표시 LED
900 : 살균/건조 내용물 보관함 1000 : 옷걸이 지지대
1001 : 옷걸이 1200 : 다리
1300 : 건조/살균 대상물 감지 센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의 살균 건조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도 3,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의 살균 건조 장치의 사시도, 정면도, 배면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의살균 건조 장치에서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살균/건조 내용물 보관함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의 살균 건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의 살균 건조 장치는 건조/살균실(100), 하우징(housing)(200), 도어 스위치(door switch)(300), 버튼 조작부(400), 건조기(500), 살균기(600), 주 제어부(700), 디스플레이부(800), 살균/건조 내용물 보관함(900), 옷걸이 지지대(1000), 물받이(1100), 다수개의 다리(1200), 및 건조/살균 대상물 감지 센서(13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건조/살균실(100)은 하부에 바닥으로 관통하는 폐수 배출홀(101)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부 일측에는 내부의 오존(O3)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오존 방출 홀(102)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는 다수개의 공기 삽입홀(10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일측에는 습도 센서(104)가 장착되어 내부의 습도량을 상기 주 제어부(700)로 출력하는 한편, 건조 및 살균시키고자 하는 내용물(예를 들어, 팬티, 브래지어, 거들 등과 같은 속옷류와 턱받침, 가재 수건 등과 같은 아기 의류, 등등)을 수용한다. 이 때, 상기 건조/살균실(100)의 후면에는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옥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건조/살균실(100)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전면부에 상기 건조/살균실(100)을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한 도어(door)(210)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어 스위치(300)는 상기 하우징(200)의 도어(210)와 맞닿는 지점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21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한 후 그 감지 데이터를 상기 주 제어부(7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버튼 조작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건조 및 살균시키고자 하는 내용물의 재질에 따른 옷감 및 바람 세기 모드를 선택하거나, 내용물의 살균만을 위해 살균 모드을 선택하거나, 또는 공기 정화 기능을 선택하면 이에 따른 선택 신호를 상기 주 제어부(7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건조 및 살균시키고자 하는 옷감, 즉 면, 혼방, 씰크 등과 같은 재질을 선택하면 이에 따른 선택 신호를 상기 주 제어부(700)로 출력하는 옷감 선택 버튼부(410)와, 사용자가 건조 바람의 세기, 즉 보통 또는 쾌속 모드 등과 같은 모드를 선택하면 이에 따른 선택 신호를 상기 주 제어부(700)로 출력하는 바람세기 선택 버튼부(420)와, 사용자가 건조 및 살균 모드를 정지시키기 위해 취소를 선택하면 이에 따른 선택 신호를 상기 주 제어부(700)로 출력하는 취소 버튼(430)과, 사용자가 살균만을 위해 살균 모드를 선택하면 이에 따른 선택 신호를 상기 주 제어부(700)로 출력하는 살균 버튼(440)과, 사용자가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 버튼(450)과, 사용자가 공기 정화 모드를 선택하면 이에 따른 선택 신호를 상기 주 제어부(700)로 출력하는 공기 정화 버튼(4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옷감 선택 버튼부(410)는 사용자가 건조 및 살균시키고자 하는 옷감을 면으로 선택하면 이에 따른 선택 신호를 상기 주 제어부(700)로 출력하는면 선택 버튼(411)과, 사용자가 건조 및 살균시키고자 하는 옷감을 혼방으로 선택하면 이에 따른 선택 신호를 상기 주 제어부(700)로 출력하는 혼방 선택 버튼(412)과, 사용자가 건조 및 살균시키고자 하는 옷감을 씰크로 선택하면 이에 따른 선택 신호를 상기 주 제어부(700)로 출력하는 씰크 선택 버튼(41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밖에도 옷감의 다양한 재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버튼의 추가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바람세기 선택 버튼부(420)는 사용자가 건조 바람의 세기를 보통 모드로 선택하면 이에 따른 선택 신호를 상기 주 제어부(700)로 출력하는 보통 모드 선택 버튼(421)과, 사용자가 건조 바람의 세기를 쾌속 모드로 선택하면 이에 따른 선택 신호를 상기 주 제어부(700)로 출력하는 쾌속 모드 선택 버튼(421)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밖에도 바람의 세기를 보다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조기(500)는 상기 하우징(200)의 후측에 장착되어 상기 건조/살균실(100)의 온도 또는 과열 상태를 측정한 후 이에 따른 온도 데이터를 상기 주 제어부(700)로 출력하는 한편, 상기 건조/살균실(100)의 다수개의 공기 삽입홀(103)로 가열된 공기를 투입하는 역할을 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두 개의 팬(fan)(501)과, 상기 주 제어부(7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두 개의 팬(501)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일정 온도로 각각 가열시키는 두 개의 히터(heater)(502)와, 상기 두 개의 히터(502)를 수용하며 상기 두 개의 히터(502)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건조/살균실(100)의 다수개의 공기 삽입홀(103)로 이송시키는 공기 투입 관(503)과, 상기 두 개의 팬(501) 하측의 공기 투입 관(503) 내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팬(501)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한 후 이에 상응한 데이터를 상기 주 제어부(700)로 각각 출력하는 두 개의 과열온도 감지센서(504)와, 상기 공기 투입 관(503)과 상기 건조/살균실(100)의 공기 삽입홀(103)이 맞닿는 지점에 장착되어 상기 건조/살균실(100)로 투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한 후 이에 상응한 데이터를 상기 주 제어부(700)로 출력하는 온도 센서(505)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건조기(500) 내에 장착된 두 개의 히터(502)는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자동 오프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를 사용하고, 상기 두 개의 팬(501)은 저음 고성능 블로우(blow) 방식의 팬을 사용한다. 또한, 건조기(500) 내 두 개의 과열온도 감지센서(504)는 상기 팬(501)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 자동 단선되는 두 개의 과열방지 온도 퓨즈(fuse)(506)로 대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살균기(600)는 상기 하우징(200)의 후측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주 제어부(700)의 제어하에 구동하여, 상기 건조/살균실(100)의 다수개의 공기 삽입홀(103)로 살균제인 오존(O3)을 투입하는 역할을 하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건조기(500)와 동일한 위치에 장착된 오존 발생기(601)이다.
또한, 상기 주 제어부(700)는 본 장치의 이상 유무 상태를 비롯한 각종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 프로세서로써, 상기 버튼 조작부(400)의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건조기(500) 또는 살균기(600)를 제어하여 상기 건조/살균실(100) 내부의 내용물을 설정된 습도 및 온도 임계치 이하까지 건조 및 살균시키거나, 설정된 시간 동안 살균만시키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건조/살균실(100) 내부에 내용물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상기 살균기(600)를 제어하여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주 제어부(7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 제어부(700)의 각 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01)와, 상기 건조기(500)의 과열온도 감지센서(504) 및 온도 센서(505)로부터 상기 건조/살균실(100) 내부 온도 또는 과열 온도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CPU(704)로 출력하는 온도 감지용 A/D 변환부(702)와, 상기 건조/살균실(100) 내에 설치된 습도 센서(104)로부터 습도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CPU(704)로 출력하는 습도 감지용 A/D 변환부(703)와, 상기 건조/살균실(100)에 내용물이 존재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200)의 도어(210)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버튼 조작부(400)로부터 옷감 및 바람 세기 선택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옷감 재질에 따라 이미 설정된 온도 임계치를 세팅한 후 상기 건조/살균실(100)의 온도 및 습도 상태를 실시간적으로 파악하면서 이에 상응한 건조기 또는 살균기 구동 신호를 상기 건조기(500) 또는 살균기(600)로 출력하고 상기 버튼 조작부(400)로부터 살균 선택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살균기(600)로 살균기 구동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버튼 조작부(400)의 공기 정화 버튼(460)으로부터 공기 정화 선택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살균기(600)로 살균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현재의 건조 및 살균 상태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디스플레이부(800)로 출력하는 CPU(704)와, 상기 CPU(704)의 제어하에 상기 건조/살균실(100) 또는 건조기(500) 내 각 센서 및 상기 도어 스위치(300)를 구동시키는 센서 구동부(705)와, 상기 CPU(704)의 제어하에 상기 건조기(500)를 구동시키는 건조기 구동부(706)와, 상기 CPU(704)의 제어하에 이미 세팅된 시간 동안 상기 살균기(600)를 구동시키는 살균기 구동부(707)와, 상기 건조기 구동부(706)로부터 역류되는 AC 노이즈가 상기 CPU(704)로 입력되지 못하도록 차단시키는 제 1 포토 커플러(708)와, 상기 살균기 구동부(707)로부터 역류되는 AC 노이즈가 상기 CPU(704)로 입력되지 못하도록 차단시키는 제 2 포토 커플러(709)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80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버튼 조작부(4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현재의 각종 살균/건조 상태 및 에러 상태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 제어부(700)로부터 건조 상태 디스플레이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현재 건조/살균실(100) 내부에 존재하는 내용물의 습도량에 의한 현재의 건조 상태를 단계별로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1 내지 5 LED(Light Emitting Diode)(801∼805)와, 상기 주 제어부(700)로부터 에러 상태 디스플레이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에러 상태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에러 표시 LED(80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살균/건조 내용물 보관함(9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살균실(100)의 하부에 착탈이 가능한 서랍식으로 설치되어, 건조 및 살균시키고자 하는 내용물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옷걸이 지지대(10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살균실(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옷걸이(100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 때 상기 옷걸이(1001)는 본 장치에 맞도록 특수 제작되었다.
또한, 상기 물받이(1100)는 상기 하우징(200)의 바닥면에 서랍식으로 장착되어, 상기 건조/살균실(100)의 폐수 배출홀(101)을 통해 배출되는 폐수를 담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200)의 바닥면 네 모퉁이에는 상기 하우징(200)을 지지하기 위한 일정 높이의 다수개의 다리(120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건조/살균 대상물 감지 센서(1300)는 상기 건조/살균실(100) 내에 장착되어, 상기 건조/살균실(100) 내부에 건조 및 살균시키고자 하는 내용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한 후 그 결과 데이터를 상기 주 제어부(7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의 살균 건조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 도 11, 도 12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주 제어부(700)내 CPU(704)는 전원이 온(ON)됨과 동시에 도어(210)가 닫혀진 상태이면, 상기 건조/살균실(100)에 건조 및 살균시킬 내용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0). 여기서, 상기 제 100 단계(S100)는 상기 건조/살균 대상물 감시 센서(1300)의 센싱 동작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건조 및 살균시킬 내용물은 속옷, 아기 의류, 수건 등등이다.
이 때, 상기 100 단계(S100)에서 상기 건조/살균실(100)에 건조 및 살균시킬 내용물이 존재하지 않으면(NO) 상기 CPU(704)는 다시 상기 제 100 단계(S100)로 진행하는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및 살균시킬 내용물이 존재하면(YES), 사용자가 상기 버튼 조작부(400)를 통해 옷감 재질 및 바람 세기 모드를 동시에 선택했는지, 아니면 살균 모드만을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0). 여기서, 상기 버튼 조작부(400)를 통해 옷감 재질 및 바람 세기, 또는 살균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은 이미 언급했음으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200 단계(S200)에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 조작부(400)를 통해 옷감 재질 및 바람 세기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CPU(704)는 상기 건조/살균실(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량을 토대로 옷감 재질에 따라 달라지는 온도 임계치의 이하까지 건조기(500)를 온시켜 내용물을 건조시키면서 그 건조 상황을 단계별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킨 후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건조기(500)를 정지시킨다(S300).
이하, 하기에서는 상술한 제 300 단계(S300)의 세부 동작 과정에 대해 도 12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버튼 조작부(400)를 통해 면, 혼방, 또는 씰크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옷감 재질이 선택되면, 상기 CPU(704)는 그 옷감 재질에 해당하는 기설정된 온도 임계치를 세팅한다(S301). 이 때, 상술한 옷감 재질에 따른 온도 임계치는 예를 들어, 면일 경우 65°, 혼방일 경우 50°, 씰크일 경우 40°로 세팅하며 이는실험 결과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그런후, 상기 CPU(704)는 상기 버튼 조작부(400)의 바람 세기 모드가 보통 모드로 선택되었는지, 아니면 쾌속 모드로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2).
이 때, 상기 제 302 단계(S302)에서 바람 세기 모드가 보통 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CPU(704)는 상기 건조기(500) 내 팬(501)의 분당 회전수(RPM : Revolutions Per Minute)를 보통 모드의 설정값으로 세팅한 후 건조기(500)를 온시킨다(S303). 여기서, 보통 모드에 해당하는 팬(501)의 RPM은 실험에 의해 최적의 속도로 결정된다.
이어서, 상기 CPU(704)는 현재 상기 건조/살균실(100) 내부의 습도값이 10%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4).
상기 제 304 단계(S304)에서 현재 건조/살균실(100) 내부의 습도값이 10% 미만이면(YES), 상기 CPU(704)는 상기 건조기(500)의 히터(502)를 오프시킨다(S305).
그런후, 상기 CPU(704)는 현재 건조/살균실(100) 내부 온도가 기설정된 상온 온도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6). 여기서, 상술한 기설정된 상온 온도란 사용자가 본 장치의 도어(210)를 열고 내용물을 꺼낼 때 뜨겁지 않을 정도의 온도를 의미하며, 대략 20°로 세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 306 단계(S306)에서 현재 건조/살균실(100) 내부 온도가 기설정된 상온 온도 이상이면(NO) 상기 CPU(704)는 다시 상기 제 306 단계(S306)로 진행하는 한편, 현재 건조/살균실(100) 내부 온도가 기설정된 상온 온도 미만이면(YES) 상기 건조기(500)의 팬(501)을 오프(OFF)시켜 건조 모드를 완료시킨다(S307).
한편, 상기 제 304 단계(S304)에서 현재 건조/살균실(100) 내부의 습도값이 10% 이상이면(NO), 상기 CPU(704)는 현재 건조/살균실(100) 내부의 습도량이 건조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음을 인식한 후, 상기 건조기(500)의 히터(502)를 온시켜 건조시키면서 현재 건조/살균실(100) 내부의 습도량을 상기 제 1 내지 5 LED(801, 802, 803, 804, 805)의 온/오프(ON/OFF)를 통해 사용자에게 단계별로 디스플레이시킨다(S308). 이 때, 상술한 건조 범위는 10∼90%까지의 습도 범위를 의미하며, 상기 제 1 내지 5 LED(801, 802, 803, 804, 805)의 온/오프(ON/OFF)를 통한 습도량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알고리즘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그런후, 상기 CPU(704)는 현재 건조/살균실(100) 내부 온도가 면, 혼방 또는 씰크 등의 옷감 재질에 맞도록 기설정된 온도 임계치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9).
이 때, 상기 제 309 단계(S309)에서 현재 건조/살균실(100) 내부 온도가 온도 임계치 이하이면(YES) 상기 CPU(704)는 상기 히터(502)를 온시킨 후 상기 제 304 단계(S304)로 진행하는 한편, 현재 건조/살균실(100) 내부 온도가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면(NO) 상기 히터(502)를 오프시킨 후 상기 제 304 단계(S304)로 진행한다(S310).
또한, 상기 제 302 단계(S302)에서 바람 세기 모드가 쾌속 모드로 선택되면,상기 CPU(704)는 상기 건조기(500) 내 팬(501)의 RPM을 쾌속 모드의 설정값으로 세팅하여 상기 건조기(500)를 온시킨 후 상기 제 304 단계(S304)로 진행한다(S311). 여기서, 쾌속 모드란 보통 모드보다 빠르게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내용물을 보다 빠른 시간내에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모드로써, 쾌속 모드에 해당하는 팬(501)의 RPM은 실험에 의해 최적의 속도로 결정된다.
상술한 제 300 단계(S300) 이후, 상기 CPU(704)는 상기 살균기(600)를 통해 오존(O3)을 상기 건조/살균실(100)로 발생시켜 내용물을 설정 시간 동안 살균시킨 후 상기 살균기(600)를 오프시킨다(S400). 이 때, 상기 설정된 살균 시간은 대략 10분 정도이며, 이는 초기 세팅값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200 단계(S200)에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 조작부(400)를 통해 살균 버튼(440)을 선택하면, 상기 CPU(704)는 상기 살균기(600)를 통해 오존(O3)을 상기 건조/살균실(100)로 발생시켜 내용물을 설정 시간 동안 살균만시킨 후 상기 살균기(600)를 오프시켜 종료한다(S500).
한편, 상술한 제 100 단계(S100)에서 제 500 단계(S500)의 동작 과정 중에, 사용자가 상기 버튼 조작부(400)를 통해 취소 버튼(430)을 선택하거나, 현재 건조기(500)의 팬(501)의 고장으로 상기 과열온도 감지센서(504)에 의해 과열온도가 감지되면, 상기 CPU(704)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켜 현재의 건조 또는 살균 모드를 강제로 종료시킨다.
또한, 상기 CPU(704)는 상기 버튼 조작부(400)의 공기 정화 버튼(460)으로부터 공기 정화 선택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살균기(600)를 제어하여 일정 시간 동안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내의 살균 건조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속옷을 세탁할 때 그 속옷의 건조 및 살균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줌과 동시에 세탁 후 속옷의 살균 보관이 가능하도록 해주고, 여성의 경우 속옷 건조시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해 줄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한 농도의 오존(O3)을 외부로 방출시켜 실내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상부에 습도 센서가 장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후면에는 다수개의 공기 삽입홀이 형성되어, 건조 및 살균시키고자 하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건조/살균실;
    상기 건조/살균실을 수용함과 동시에 전면부에 상기 건조/살균실을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한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도어와 맞닿는 지점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건조 및 살균시키고자 하는 내용물의 재질에 따른 옷감 및 바람 세기 모드를 선택하거나, 내용물의 살균만을 위해 살균 모드을 선택하거나, 또는 공기 정화 모드를 선택하면 이에 따른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 조작부;
    상기 하우징의 후측에 장착되어 상기 건조/살균실의 온도 또는 과열 상태를 측정한 후 이에 따른 온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한편, 상기 건조/살균실의 다수개의 공기 삽입홀로 가열된 공기를 투입하는 건조기;
    상기 하우징의 후측에 장착되어 상기 건조/살균실의 다수개의 공기 삽입홀로 살균제인 오존(O3)을 투입하는 살균기;
    상기 버튼 조작부의 선택 신호에 따라 건조기 또는 살균기를 제어하여 건조/살균실 내부의 내용물을 설정된 습도 및 온도 임계치 이하까지 건조/살균시키거나,설정된 시간 동안 살균만시키거나, 또는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주 제어부; 및
    상기 버튼 조작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현재의 각종 살균/건조 상태 및 에러 상태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의 살균 건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살균실의 하부에는 착탈이 가능한 서랍식의 살균/건조 내용물 보관함이 추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의 살균 건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살균실의 상부에는 옷걸이를 통해 살균/건조 내용물을 걸기 위한 옷걸이 지지대가 추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의 살균 건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살균실의 하부에는 바닥으로 관통한 폐수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건조/살균실의 폐수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폐수를 담기 위한 물받이가 서랍식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의 살균 건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네 모통이에는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기 위한 일정 높이의 다수개의 다리가 추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의 살균 건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살균실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건조/살균실 내의 오존(O3)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외부로 관통된 오존 방출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의 살균 건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조작부는, 사용자가 건조 및 살균시키고자 하는 옷감, 즉 면, 혼방, 씰크 등과 같은 재질을 선택하면 이에 따른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옷감 선택 버튼부;
    사용자가 건조 바람의 세기, 즉 보통 또는 쾌속 모드 등과 같은 모드를 선택하면 이에 따른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바람세기 선택 버튼부;
    사용자가 건조 및 살균 모드를 정지시키기 위해 취소를 선택하면 이에 따른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취소 버튼;
    사용자가 살균만을 위해 살균 모드를 선택하면 이에 따른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살균 버튼;
    사용자가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 버튼; 및
    사용자가 공기 정화 모드를 선택하면 이에 따른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공기 정화 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의 살균 건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두 개의 팬;
    상기 주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두 개의 팬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일정 온도로 각각 가열시키는 두 개의 히터;
    상기 두 개의 히터를 수용하며, 상기 두 개의 히터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건조/살균실의 다수개의 공기 삽입홀로 이송시키는 공기 투입 관;
    상기 두 개의 팬 하측의 공기 투입 관 내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팬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한 후 이에 상응한 데이터를 상기 주 제어부로 출력하는 두 개의 과열온도 감지센서; 및
    상기 공기 투입 관과 상기 건조/살균실의 공기 삽입홀이 맞닿는 지점에 장착되어 상기 건조/살균실로 투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한 후 이에 상응한 데이터를 상기 주 제어부로 출력하는 온도 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의 살균 건조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히터는 PTC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의 살균 건조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과열온도 감지센서는, 상기 팬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 자동 단선되는 두 개의 과열방지 온도 퓨즈로 대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의 살균 건조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기는, 상기 주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공기 투입 관으로 오존(O3)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의살균 건조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건조/살균실 내부에 건조 및 살균시키고자 하는 내용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한 후 그 결과 데이터를 상기 주 제어부로 출력하는 건조/살균 대상물 감지 센서가 더 추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의 살균 건조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부는,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건조기로부터 상기 건조/살균실 내부 온도 또는 과열 온도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온도 감지용 A/D 변환부;
    상기 건조/살균실로부터 습도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습도 감지용 A/D 변환부;
    상기 건조/살균실에 내용물이 존재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버튼 조작부로부터 옷감 및 바람 세기 선택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옷감 재질에 따라 이미 설정된 온도 임계치를 세팅한 후 상기 건조/살균실의 온도 및 습도 상태를 실시간적으로 파악하면서 이에 상응한 건조기 또는 살균기 구동 신호를 상기 건조기 또는 살균기로 출력하는 한편, 상기 버튼 조작부로부터 살균 선택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살균기로 살균기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현재의 건조 및 살균 상태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CPU;
    상기 CPU의 제어하에 상기 건조/살균실 또는 건조기 내 각 센서 및 상기 도어 스위치를 구동시키는 센서 구동부;
    상기 CPU의 제어하에 상기 건조기를 구동시키는 건조기 구동부; 및
    상기 CPU의 제어하에 이미 세팅된 시간 동안 상기 살균기를 구동시키는 살균기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의 살균 건조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건조기 구동부로부터 역류되는 AC 노이즈가 상기 CPU로 입력되지 못하도록 차단시키는 제 1 포토 커플러; 및
    상기 살균기 구동부로부터 역류되는 AC 노이즈가 상기 CPU로 입력되지 못하도록 차단시키는 제 2 포토 커플러가 추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의 살균 건조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주 제어부로부터 건조 상태 디스플레이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현재 건조/살균실 내부에 존재하는 내용물의 습도량에 의한 현재의 건조 상태를 단계별로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1 내지 5 LED; 및
    상기 주 제어부로부터 에러 상태 디스플레이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에러 상태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에러 표시 LE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의 살균 건조 장치.
KR1020020066818A 2002-10-31 2002-10-31 내의 살균 건조 장치 KR20030067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818A KR20030067464A (ko) 2002-10-31 2002-10-31 내의 살균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818A KR20030067464A (ko) 2002-10-31 2002-10-31 내의 살균 건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186U Division KR200274969Y1 (ko) 2002-02-08 2002-02-08 내의 살균 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464A true KR20030067464A (ko) 2003-08-14

Family

ID=3222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818A KR20030067464A (ko) 2002-10-31 2002-10-31 내의 살균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746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380B1 (ko) * 2003-11-10 2011-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84481B1 (ko) * 2011-09-05 2014-04-10 이지영 속옷살균장치가 설치된 옷장 서랍
US20150192466A1 (en) * 2014-01-07 2015-07-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ponent measuring apparatus and moving body
GB2484009B (en) * 2010-09-27 2018-10-17 Emma Louise Pauline Crane Method and apparatus for vending clothes
WO2020023019A1 (en) * 2018-07-24 2020-01-30 Surgical Safety Systems, Llc Sterilization management device and methods for operating same
CN114084085A (zh) * 2021-11-22 2022-02-2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车门误夹提醒系统
WO2022169091A1 (ko) * 2021-02-02 2022-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기 및 의류관리기의 제어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380B1 (ko) * 2003-11-10 2011-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GB2484009B (en) * 2010-09-27 2018-10-17 Emma Louise Pauline Crane Method and apparatus for vending clothes
KR101384481B1 (ko) * 2011-09-05 2014-04-10 이지영 속옷살균장치가 설치된 옷장 서랍
US20150192466A1 (en) * 2014-01-07 2015-07-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ponent measuring apparatus and moving body
US9322716B2 (en) * 2014-01-07 2016-04-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ponent measuring apparatus and moving body
WO2020023019A1 (en) * 2018-07-24 2020-01-30 Surgical Safety Systems, Llc Sterilization management device and methods for operating same
US11497823B2 (en) 2018-07-24 2022-11-15 Surgical Safety Systems, Llc Sterilization management device and methods for operating same
WO2022169091A1 (ko) * 2021-02-02 2022-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기 및 의류관리기의 제어방법
CN114084085A (zh) * 2021-11-22 2022-02-2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车门误夹提醒系统
CN114084085B (zh) * 2021-11-22 2023-09-2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车门误夹提醒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32102A (ja) 衣類を乾燥させ且つ衛生的にする衣類ケア装置
US10188761B2 (en) Garment sanitizer
CN202235005U (zh) 杀菌消毒防潮烘干冷藏一体化语音浴室柜
KR100928466B1 (ko) 위생복 소독기
CN109303924A (zh) 一种消毒柜
KR20070053051A (ko) 자외선 살균 옷장식 건조기
KR20200068114A (ko) 능동적 탈취 및 건조 살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신발 보관 시스템
KR20030067464A (ko) 내의 살균 건조 장치
CN201167692Y (zh) 智能鞋柜
KR200274969Y1 (ko) 내의 살균 건조 장치
KR200434403Y1 (ko) 전기 식기 소독고
KR102197117B1 (ko) 건조 및 살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신발 보관 시스템
KR100485101B1 (ko) 내의 살균 건조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84481B1 (ko) 속옷살균장치가 설치된 옷장 서랍
KR101299900B1 (ko) 속옷살균기
KR20150061152A (ko) 의류 건조기의 구조
CN210446945U (zh) 洗碗机
JP2015073787A (ja) 食器洗浄機
CN218605741U (zh) 一种智能镜柜
KR101419169B1 (ko) 속옷살균기
KR200438002Y1 (ko) 식기 소독기
KR20080035936A (ko) 다목적용 건조기
KR100830201B1 (ko) 욕실용 슬리퍼 걸이 및 신발의 건조, 살균 장치
CN110251022A (zh) 洗碗机及清洗方法
CN214803337U (zh) 一种玄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