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7437A - 종방향 압축의자 - Google Patents

종방향 압축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7437A
KR20030067437A KR1020020008276A KR20020008276A KR20030067437A KR 20030067437 A KR20030067437 A KR 20030067437A KR 1020020008276 A KR1020020008276 A KR 1020020008276A KR 20020008276 A KR20020008276 A KR 20020008276A KR 20030067437 A KR20030067437 A KR 20030067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folding
chairs
compression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권하
Original Assignee
정권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권하 filed Critical 정권하
Priority to KR1020020008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7437A/ko
Publication of KR20030067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4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4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 A47C3/045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with tipping-up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방향으로 의자를 두 개이상 연속적으로 연결하며, 상기의 두 개 이상의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의자를 절첩수단에 의하여 절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의자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의 의자는 단독으로 접을 수가 있는 접의자를 이용하거나, 종방향으로 많은 의자를 쌓을 수가 있는 스톡형의자를 이용한다. 필요에 따라서 의자에 책상부를 구성하거나 팔걸이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종방향 압축의자{chair}
본 발명은 종방향으로 의자를 두 개이상 연속적으로 연결하며, 상기의 두 개 이상의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의자를 절첩수단에 의하여 절첩시켜 압축되게 구성함으로써 의자의 보관에서 공간을 극소화시킬 수가 있도록 하며, 또한 다수의 의자를 이동할 때, 압축하여 이송을 함으로써 이송의 용이성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나의 의자를 절첩하는 기술은 접의자 등에서 많이 알려진 기술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나의 의자를 절첩하는 것에서 발전하여 두 개 이상의 많은 의자를 종방향으로 절첩하여 압축할 수가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발명이다.
두 개 이상의 다수개의 의자를 종을로 연결하며, 상기 종으로 연결이 되어진 다수개의 의자를 절첩할 수가 있도록 하는 기술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이다. 본 발명에서는 압축의자에 책상을 절첩할 수가 있는 구조로 구성을 하여 책상의 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게 한다.
제 1 도와 제 2 도는 절첩프레임의 구성도이다.
제 3 도는 3점지지 관절부재의 절첩수단의 구성도이다.
제 4 도는 제 3 도의 압축 구성도이다.
제 5 도 및 제 6 도는 접의자에 절첩수단을 형성한 압축의자의 구성도이다.
제 7 도는 종방향 스톡의자에 절첩수단을 형성한 압축의자의 구성도이다.
제 8 도는 회전좌판을 가진 종방향 스톡의자의 구성도이다.
제 9 도는 종방향 압축의자를 수납하는 캐리어의 구성도이다.
제 10 도는 종방향 압축의자의 안내레일의 구성도이다.
제 11,12,13,14 도는 또다른 절첩수단의 실시예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절첩프레임 2:수직부재 3:프레임 연결부재 4:의자연결부재 5:수평부재
6,7,8,9,10:절첩프레임 11:전방관절부재 13:후방관절부재 14:연결자
15,16:절첩프레임 17:3점지지 관절부재 18:의자연결부재 19:절첩프레임
20:절첩수단 21,22,23:접의자 24:스톡의자 25:돌출다리 26:절첩수단
27:절첩프레임 28:좌판고정부재 29,30:회전좌판 31:캐리어 32:레일가이드
33:바퀴축 34:바닥 35:레일 36:절첩프레임 37:스프링 38:4점지지 관절구조
39:절첩프레임 40:3점지지 관절구조 41:연결자 42:3점지지 관절구조
43:절첩프레임 44:장공 45:슬라이드 46:X자 절첩구조 47:절첩프레임
48:X자 절첩구조
본 발명은 종방향으로 의자를 두 개 이상 연속적으로 연결하며, 상기의 두 개 이상의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의자는 절첩수단에 의하여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의자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의 의자는 단독으로 접을 수가 있는 접의자를 이용하거나, 종방향으로 많은 의자를 쌓을 수가 있는 스톡형의자를 이용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술토록 하겠다.
제 1 도와 제 2 도는 절첩프레임의 구성도이다. 절첩프레임(1)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도록 바퀴가 형성이 되어진다. 종방향 압축의자에 있어서는 횡방향으로 의자가 이동되는 것을 제한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는 의자가 횡방향으로는 잘 이동이 되지 못하도록 바퀴의 회전방향이 제한되도록 하면 된다. 절첩프레임은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5)로 구성이 되어지며, 주로 수직부재에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프레임연결부재(3)를 형성하며, 수평부재에는 의자를 연결시키는 의자연결부재(4)가 형성이 되어진다. 연결부재는 회동이 가능토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제 2 도는 절첩프레임(6,7,8)을 다수 종방향으로 나열한 것을 보이는 설명도이다.
제 3 도는 3점지지 관절부재의 절첩수단의 구성도이다. 절첩프레임(9,10)들을 절첩수단을 통하여 연결한다. 절첩수단의 대표적인 실시예는 3점지지 관절부재(11,12)이다. 3점지지 관절부재는 두 개의 관절부재(11,13)을 가운데 힌지부를 형성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절첩프레임들이 평행을 이루면서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서 3점지지 관절부재를 2군데 형성한다. 이러한 2 군데의 3점지지 관절부재를 힌지부를 통하여 연결자로서 연결을 하게 되면 두 3점지지 관절부재는 연동하여 움직이게 된다.
제 4 도는 제 3 도의 압축 구성도이다. 제 4 도는 다수의 절첩프레임(15,16)들을 종방향으로 나열하고, 상기의 절첩프레임들을 절첩수단을 통하여 연결이 되어진 것을 압축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낸다. 3점지지 관절부재(17)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꺾이어서 절첩이 된다.
제 5 도 및 제 6 도는 접의자에 절첩수단을 형성한 압축의자의 구성도 이다. 제 5 도는 절첩프레임(19)들이 절첩수단을 통하여 종방향으로 연결이 되어지며, 상기 절첩프레임의 의자연결부재(18)를 통하여 접의자(21)를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킨 구성이다.
제 6 도는 다수의 접의자(22,23)를 절첩프레임상에 형성하여 종으로 나열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 7 도는 종방향 스톡의자에 절첩수단을 형성한 압축의자의 구성도이다. 절첩프레임상에 접의자를 형성하여 종방향 압축의자를 구성을 할수도 있고, 종방향으로 쌓음(스톡)이 가능한 스톡의자를 절첩프레임상에 고정시켜서 압축의자를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의자를 더욱 견고히 고정을 하기 위하여 바퀴를 형성한 돌출다리(25)를 구성시킬 수도 있다. 스톡의자(24)는 절첩프레임(27)에 스톡의자 고정부재(28)를 통하여 고정이 되어진다. 물론 절첩프레임과 이웃의 절첩프레임은 절첩수단(26)에 의하여 연결이 되어진다. B도와 C도는 스톡의자로 구성한 압축의자를 펼친것과 압축시킨 것을 각각 나타낸다.
제 8 도는 회전좌판을 가진 종방향 스톡의자의 구성도이다. 좌판으로 인하여종방향으로 직접 스톡이 되어지지 않는 의자의 경우에는 좌판을 회전시킬수 있는 회전좌판(29)을 사용하며, 상기 회전좌판을 세운 뒤(30) 스톡을 수행하도록 구성을 한다.
제 9 도는 종방향 압축의자를 수납하는 캐리어의 구성도이다. 종방향으로 압축을 행한 의자들을 보관하거나 이동하기에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캐리어(31)를 구성한다.
제 10 도는 종방향 압축의자의 안내레일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종방향의 압축의자를 강당에서 사용할 경우 규칙적인 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바닥(34)에 레일(35)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에 레일가이드(32)가 형성이 되어진 바퀴를 사용하면 편리하다. 33은 바퀴축이다.
제 11,12,13,14 도는 또다른 절첩수단의 실시예들이다.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절첩을 행하여 압축을 할 때에는 절첩수단을 하나만 형성하게 되면 좌우가 평행하게 이동되지 않는 왜곡이 일어날 소지가 있으므로 가능한 두 개 이상의 절첩수단을 동시에 형성하여 의자의 이동이 평행을 이루면서 절첩이 진행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1 도는 3점지지 관절구조와 4점지지 관절구조에 의한 절첩수단이다. 두 개의 프레임 사이에 3점지지 관절구조(36) 또는 4점지지 관절구조(38)를 형성한다. 3점지지 관절구조는 두 관절부재를 3개의 핀으로 연결하는 구조이다. 3점지지 관절구조가 형성되었을 경우에 가운데에 스프링(37)을 형성하여 자동적으로 절첩이 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4점지지 관절구조는 상기의 3점지지 관절부재를크로스시켜며, 상기 크로스 지점에 핀을 하나 더 형성하는 방법이다.
제 12 도는 3점지지 관절구조(40,42)의 중앙에 연결자(41)를 형성하여 상하의 두 개의 관절구조가 동일한 형태의 변형을 하게 함으로서 프레임(39)이 평행상태를 유지하게 하면서 의자를 압축할 수가 있게 된다.
제 13, 14 도는 프레임(43,47)의 내부에 장공(44)을 형성하여, X자 절첩구조(46,48)의 선단에 형성이 되어진 슬라이더(45)의 제한되어진 운동을 유도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절첩이 진행이 되어진 상태가 제 13 도의 상태이다.
의자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2개 이상의 여러 개의 의자를 동시에 종방향으로 압축을 행하여 의자가 차지하는 공간을 극소화시킬 수가 있다. 또한 다수의 의자를 압축함으로 인하여 의자를 이동시킬 때 간편하게 이동을 시킬 수가 있게 된다.

Claims (6)

  1. 종방향으로 의자를 두 개 이상 연속적으로 연결하며, 상기의 두 개 이상의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의자가 절첩수단에 의하여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의자가 접의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의자가 종방향으로 스톡(stock)가능한 의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의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첩수단이 X자형 절첩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의자.
  5.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첩수단이 3점지지 또는 4점지지 관절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의자.
  6.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자의 하부에는 바퀴를 구성하되, 의자가 횡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고 종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의 회전방향을 한정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압축의자.
KR1020020008276A 2002-02-08 2002-02-08 종방향 압축의자 KR200300674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276A KR20030067437A (ko) 2002-02-08 2002-02-08 종방향 압축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276A KR20030067437A (ko) 2002-02-08 2002-02-08 종방향 압축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437A true KR20030067437A (ko) 2003-08-14

Family

ID=3222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276A KR20030067437A (ko) 2002-02-08 2002-02-08 종방향 압축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74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0732A1 (en) * 2008-05-21 2009-11-26 Anthony Joseph Op De Coul Chair with wheels and brake
KR101445031B1 (ko) * 2013-04-29 2014-09-26 김재훈 공연장 간이좌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0732A1 (en) * 2008-05-21 2009-11-26 Anthony Joseph Op De Coul Chair with wheels and brake
KR101445031B1 (ko) * 2013-04-29 2014-09-26 김재훈 공연장 간이좌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84043B (zh) 组合折叠桌
US5058950A (en) Foldable chair
US20180140104A1 (en) Collapsible, Folding Mattress Support with a Headboard and a Footboard that Fold Out
US6112757A (en) Leg assembly for a canopy
US10881211B1 (en) Collapsible chair
US2896695A (en) Convertible seat
KR20030067437A (ko) 종방향 압축의자
CN219481534U (zh) 秋千椅
CN105877270A (zh) 伸缩折叠旅行床
US20040222676A1 (en) Segmented frame furniture system
CN215873808U (zh) 一种折叠方桌支架结构
KR20030067436A (ko) 횡방향 압축의자
KR200475702Y1 (ko) 접이식 의자
CN203563952U (zh) 多功能折叠床
CN211298793U (zh) 一种折叠餐桌
JP3225173U (ja) サークル付き折畳式ベッド
KR20210084945A (ko) 테이블이 구비된 접이식 의자
JP3244382U (ja) パイプ式折り畳みベッド
CN221265721U (zh) 一种便携式折叠婴儿床
US20070204772A1 (en) Storage table system and method
JP3577565B2 (ja) ソファベッド
KR20200045714A (ko) 다용도 접이식 의자
CN212139991U (zh) 一种组合折叠桌椅
KR100676477B1 (ko) 접이식 의자
KR100196782B1 (ko) 다목적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