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6857A -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물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물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6857A
KR20030066857A KR1020020006432A KR20020006432A KR20030066857A KR 20030066857 A KR20030066857 A KR 20030066857A KR 1020020006432 A KR1020020006432 A KR 1020020006432A KR 20020006432 A KR20020006432 A KR 20020006432A KR 20030066857 A KR20030066857 A KR 20030066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weight
infrared
negative
feldsp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0154B1 (ko
Inventor
오외춘
김금복
Original Assignee
오외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외춘 filed Critical 오외춘
Priority to KR10-2002-0006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0154B1/ko
Publication of KR20030066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4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7Anion- and far-infrared-emit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1Mi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45Thermal treatment of powders or mixtures thereof other than sintering
    • C04B35/62665Flame, plasma or melting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동시에 방출시키는 물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산화규소 35~40 중량%, 산화장석 23~28 중량%, 붕사 25~29 중량%, 붕산 0.2~0.8 중량%, 초석 0.2~0.5 중량%, 코발트 0.4~0.8 중량%, 마그네슘 1.5~2 중량%, 세레늄 0.7~1.2 중량%, 빙정석 0.14~0.19 중량%, 산화알루미나 0.7~1 중량%, 리듐 1.5~2 중량%, 지르콘 0.3~0.8 중량%, 형석 0.14~0.18 중량%, 채색제 0.2~0.8 중량%를 혼합용기에 넣어 2시간 동안 혼합하고, 이를 가열용기에 넣어 1300~1500℃의 온도로 용해한 후 응고시켜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화 시키므로서,
이를 실생활에 사용되는 각종 제품의 제작시에 사용하여 제품의 사용시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방출에 의해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물질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far-infrared-and-negative-ion-emitting machine}
본 발명은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동시에 방출시키는 물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산화규소와 산화장석, 붕사 등을 주재로하여 소정의 주파수대의 파장을 지닌 원적외선(far-infrared)과 음전하를 지닌 음이온(negative-ion)을 동시에 방출되게 하므로서 이를 각종 사출물의 재료로 사용시 인체의 건강증진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물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종류의 유기제품에서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소정의 파장을 가진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를 이용한 각종 제품이 개발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음이온 발생장치가 개발되어져 사람들의 건강증진을 위해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발생은 유기제품이나 음이온 발생장치 등을 별도로 구성하여 이에 의해 발생되게 하므로서 각각의 구성물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종래의 다양한 음이온 발생장치는 그 방사율과 지속성이 문제시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산화규소와 산화장석, 붕사 등을 주재로하여 소정의 주파수대의 파장을 지닌 원적외선(far-infrared)과 음전하를 지닌 음이온(negative-ion)을 동시에 지속적으로 고효율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을 제공하므로서, 이를 실생활에 사용되는 각종 제품의 제작시에 사용하여 제품의 사용시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방출에 의해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환경친화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공해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또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강한 진동과 음이온의 일반적인 작용인 공명작용에 의한 대사기능 촉진을 향상시키고 활기찬 신체조건을 유지시킬 수 있는 각종 건강보조기구 등에 적용시켜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물질 및 그 응용제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범랑과 같은 용기의 표면에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물질을 도포하여 그 효능을 높이는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물질과 이를 이용한 제품을 제공하는 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온열매트와 같이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고효율적으로 지속적인 방출로 인하여 인체내의 지성작용,중화작용,공명작용 및 건습작용 등 음이온의 일반작용을 응용하여 대사기능의 촉진과 노폐물 배설촉진 및 인체내 세포의 부활을 돕고 혈액을 정화하고 자율신경을 조절하므로서 자연 치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물질을 사용한 제품을 제공하고,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동시에 고효율적으로 지속적인 방출을 하는 물질의 파우더를 제조하여 그 적용범위를 넓혀 실생활에 유용한 생활용품 및 건축내장재의 마감 재료로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재료로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찜질체험실 등에 적용하여 국민건강에 이바지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산화규소 35~40 중량%, 산화장석 23~28 중량%, 붕사 25~29 중량%, 붕산 0.2~0.8 중량%, 초석 0.2~0.5 중량%, 코발트 0.4~0.8 중량%, 마그네슘 1.5~2 중량%, 세레늄 0.7~1.2 중량%, 빙정석 0.14~0.19 중량%, 산화알루미나 0.7~1 중량%, 리듐 1.5~2 중량%, 지르콘 0.3~0.8 중량%, 형석 0.14~0.18 중량%, 채색제 0.2~0.8 중량%를 혼합용기에 넣어 2시간 동안 혼합하고, 이를 가열용기에 넣어1300~1500℃의 온도로 용해한 후 응고시켜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화 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물질을 범랑용기의 표면에 도포하여 무독성실험과 각종 실험을 통해 본 결과 원적외선 방사율은 91%~93% 방사되고 음이온수치는 1210/cc로 나타났다.
또한, 동물이 사용하는 각종 제품을 생산시 본 발명의 물질을 사용한 후, 소의 뇌파를 실험해 본 결과 뇌수 묘사도가 편두통환자들에게 호의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한편, 각종 씨앗을 종류별로 증류수에 넣고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을 해본 결과 본 발명의 물질로 제조한 용기에 넣은 씨앗이 발아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삭틈의 길이와 성장속도가 현저히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항곰팡이 실험의 28일 동안 배양실험에 있어서도 균의 성장을 인지할 수 없었다.
원적외선이 지니고 있는 열의 흡수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물질로 제조한 제품을 환부에 마찰 내지 부착시키면 통증이 사라지고 혈액의 순환을 촉진시켜 치료효과가 있었다.
본 발명의 물질로 제조된 제품을 냉장고나 옷장 등의 내부에 넣어 놓은 결과 음이온의 성분으로 인하여 탈취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실시예 1
산화규소390g
산화장석230g
붕사270g
붕산 8g
초석 5g
코발트 8g
마그네슘 27g
세레늄 12g
빙정석 2g
산화알루미나 10g
리듐 20g
지르콘 8g
형석 2g
채색제 8g
위의 성분을 스테인레스 용기에 넣고 2시간 동안 교반하여 혼합하고 이를 유리용해로에 넣어 1300~1500℃의 온도로 용해한다.
용해된 물질을 응고시킨 후 분쇄기에 넣어 24시간이상 분쇄하여 미세분말화 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분말을 신발의 깔창에 약 1mm의 두께로 도포하여 본 결과,
발냄새와 같은 악취가 제거되고 무좀이 치료되거나 예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때,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수치를 측정하여 본 결과, 원적외선은 92.6%, 음이온은 1210/cc로 나타났다.
원적외선의 파장은 0.4㎛ 내지 1,000㎛의 원적외선이 방출되었다.
실시예 2
산화규소400g
산화장석280g
붕사240g
붕산 2g
초석 5g
코발트 6g
마그네슘 15g
세레늄 7g
빙정석 14g
산화알루미나 10g
리듐 15g
지르콘 3g
형석 1g
채색제 2g
위의 성분을 스테인레스 용기에서 2시간 동안 혼합한 후 1300~1500℃의 유리용해로 내에서 용해시킨 후 이를 응고시켜 분쇄기로 24시간이상 분쇄하여 미세 분말화 한 다음 사출기로 두께 5mm, 지름 20mm의 원판상으로 사출성형한다.
원판상의 사출물을 면상발열체위에 매트를 씌운 후 가로 10cm, 세로 5cm의 간격으로 가로 90cm, 세로 180cm 의 면적에 다수 부착 후 열화상장치를 이용하여 시험을 해 보았다.
실내온도 22℃,습도 48%의 조건에서 시험해본 결과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온도데이터로 측정해 보았더니 최고 55℃의 열을 기록하였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율은 92.6%, 음이온은 1210/cc를 기록하였다.
매트에 열을 가하지 않은 자연상태에서 사람을 눕게 한 후 10분이 경과한 후에 연화상장치로 측정을 해본 결과 시험을 하기 전과 시험을 한 후의 온도가 확연히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실시예 3
산화규소400g
산화장석320g
붕사200g
붕산 2g
초석 5g
코발트 6g
마그네슘 15g
세레늄 7g
빙정석 14g
산화알루미나 10g
리듐 15g
지르콘 3g
형석 1g
채색제 2g
상기 성분들을 스테인레스 용기에 넣고 2시간 동안 혼합하고, 이를 다시 유리용해로에 넣고 1300~1500℃의 온도로 용해한 후, 응고시켜 24시간 이상 분쇄기로 분쇄하여 미세분말화 한다.
이 분말을 동물의 체내에 투여하고 임상실험을 해 보았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RATE Sex Initial Bwt(gm) Dose(g/kg) Dose ingrams 14Day Bwt(gm) Fate
1110 M 220 5 1.10 331 Survived
1111 M 226 5 1.13 340 Survived
1112 M 230 5 1.15 336 Survived
1113 M 234 5 1.17 337 Survived
1114 M 234 5 1.17 344 Survived
1115 F 213 5 1.07 248 Survived
1116 F 210 5 1.05 268 Survived
1117 F 221 5 1.11 244 Survived
1118 F 220 5 1.10 259 Survived
1119 F 202 5 1.01 236 Survived
상기표에서 일 수 있듯이 암,수 각각 5마리의 쥐에 5g의 본 발명 물질을 투여해 본 결과 2주(14일) 동안 10마리의 쥐가 모두 생존했을 뿐만 아니라 암,수 평균 72.38g의 몸무게가 증가하였슴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산화규소와 산화장석, 붕사 등을 주재로하여 소정의 주파수대의 파장을 지닌 원적외선(far-infrared)과 음전하를 지닌 음이온(negative-ion)을 동시에 지속적으로 고효율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을 제공하므로서, 이를 실생활에 사용되는 각종 제품의 제작시에 사용하여 제품의 사용시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방출에 의해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산화규소 35~40 중량%, 산화장석 23~28 중량%, 붕사 25~29 중량%, 붕산 0.2~0.8 중량%, 초석 0.2~0.5 중량%, 코발트 0.4~0.8 중량%, 마그네슘 1.5~2 중량%, 세레늄 0.7~1.2 중량%, 빙정석 0.14~0.19 중량%, 산화알루미나 0.7~1 중량%, 리듐 1.5~2 중량%, 지르콘 0.3~0.8 중량%, 형석 0.14~0.18 중량%, 채색제 0.2~0.8 중량%를 혼합용기에 넣어 2시간 동안 혼합하고, 이를 가열용기에 넣어 1300~1500℃의 온도로 용해한 후 응고시켜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화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물질의 제조방법.
KR10-2002-0006432A 2002-02-05 2002-02-05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물질의 제조방법 KR100450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432A KR100450154B1 (ko) 2002-02-05 2002-02-05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물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432A KR100450154B1 (ko) 2002-02-05 2002-02-05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물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857A true KR20030066857A (ko) 2003-08-14
KR100450154B1 KR100450154B1 (ko) 2004-09-30

Family

ID=32220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432A KR100450154B1 (ko) 2002-02-05 2002-02-05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물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01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848A (ko) * 2002-04-22 2003-11-01 김금복 공기청정 효과를 갖는 유리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매트제조방법
KR20040022836A (ko) * 2002-09-10 2004-03-18 주식회사 나노세라 원적외선 방사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22837A (ko) * 2002-09-10 2004-03-18 주식회사 나노세라 원적외선 음이온 동시 방사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219837B1 (ko) * 2020-09-16 2021-02-24 오명근 탄소크리스탈을 구비한 헤어드라이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085B1 (ko) * 1991-11-29 1994-06-10 정승준 원적외선 방출물질
KR970010347B1 (ko) * 1995-02-14 1997-06-25 정승준 원적외선 방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 원적외선 방출물질을 사용한 원적외선 방출제품
AU2858799A (en) * 1998-06-29 2000-01-17 Young Keun Kim Accessory panel having far-infrared radiation and multipurpose functions
KR20010100282A (ko) * 2000-04-07 2001-11-14 정승준 원적외선 방사용 복합소재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848A (ko) * 2002-04-22 2003-11-01 김금복 공기청정 효과를 갖는 유리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매트제조방법
KR20040022836A (ko) * 2002-09-10 2004-03-18 주식회사 나노세라 원적외선 방사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22837A (ko) * 2002-09-10 2004-03-18 주식회사 나노세라 원적외선 음이온 동시 방사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219837B1 (ko) * 2020-09-16 2021-02-24 오명근 탄소크리스탈을 구비한 헤어드라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0154B1 (ko) 200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739B1 (ko)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의 제조방법
CN101085906A (zh) 一种多功能远红外负离子材料及其配制方法
RU2742884C2 (ru) Композиция полиуретановой пены
KR101656250B1 (ko) 토시
KR20030066857A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물질의 제조방법
CN101836920A (zh) 一种远红外线活氧负离子卫生巾及保健垫
CN102188585B (zh) 一种治疗牙周炎的固齿散的制备工艺
KR20200139431A (ko) 다양한 용도가 부여된 건강에 유익한 성형체 조성물
KR20090010342A (ko) 신체 기능 활성화용 볼 조성물
CN112439132B (zh) 使用陶瓷组合物和低强度超声波改善关节炎的装置
KR20180111233A (ko) 상온에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항균비누의 제조방법
KR20030079902A (ko) 원적외선 방사용 밴드
KR100830125B1 (ko) 황토비누 제조방법과 그 황토비누
KR100977623B1 (ko) 여성용 라이너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631335B1 (ko) 옥 파우더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인조대리석
KR101503148B1 (ko) 음이온 부직포 신발 깔창 및 그 제조방법
KR101761712B1 (ko) 표면 노출 경피성 염화마그네슘을 가진 인조석 및 그 제조방법
CN102461901A (zh) 蝇蛆保健品以及它的制备方法
KR102297627B1 (ko) 원적외선 방출 세라믹 조성물(ndc)과 초음파를 이용한 염증 완화 및 개선용 장치
KR102297628B1 (ko) 원적외선 방출 세라믹 조성물(ndc)과 초음파를 이용한 관절염으로 손상된 골조직의 개선 및 치료용 장치
KR200289407Y1 (ko) 음이온방출조성물을 코팅한 원단
KR20180092370A (ko)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혼합한 후 분리하는 방법을 통하여 상온 또는 섭씨 37도 이상에서 원적외선 방사 액상물질의 제조방법
KR101640515B1 (ko) 옥과 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장신구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356325B1 (ko) 숯을 이용한 온돌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패널
KR20030094663A (ko) 음이온방출조성물 및 그를 코팅한 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