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5626A - 인슐린 자동주사기용 도관 중간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인슐린 자동주사기용 도관 중간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5626A
KR20030065626A KR1020020005319A KR20020005319A KR20030065626A KR 20030065626 A KR20030065626 A KR 20030065626A KR 1020020005319 A KR1020020005319 A KR 1020020005319A KR 20020005319 A KR20020005319 A KR 20020005319A KR 20030065626 A KR20030065626 A KR 20030065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needle
push bar
conduit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5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일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일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일개발
Priority to KR1020020005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5626A/ko
Publication of KR20030065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62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침 부재(3)와 연결된 도관(1-1)과 관통하도록 연결되며 암연결부(70)의 연결주사침(71)과 주사 결합하는 격벽(61)을 수용하는 끼움돌기(62)를 가지는 수연결부(60)와,
끼움돌기(62)가 끼움결합하는 끼움돌기 수용홈(72)과 연결 주사침(71)을 가지는 암연결부(70)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돌기(62)의 양측에는 수평 분리 및 결합용 후크돌기(63)를 가진 후크레버(64)가 설치되고, 상기 암연결부(70)에는 양측에 상기 후크 돌기(63)가 결합시 안치되는 푸시바 수용홈(73)을 형성하고, 푸시바 수용홈(73)에는 후크돌기(63)를 수평(폭방향)으로 눌러 후크해지토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푸시바(74)가 위치토록 하여 수평 결합 가능토록 구성한 인슐린 자동주사기용 도관 중간 연결장치이다.

Description

인슐린 자동주사기용 도관 중간연결장치{Tube connecter for tube of needle set used in insulin pump}
본 발명은 인슐린 자동주사기의 도관 중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주사기(인슐린펌프)의 주사침 부재와 연결되는 도관을 절단하여 암 수 연결부와 연결토록 하고, 암 연결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 및 결합을 가능토록 하는 끼움돌기 수용홈과 후크레버 수용홈을 형성하고 폭 방향의 이동을 가능토록 하는 푸시바를 양측에 안치시키며; 수 연결부에는 끼움돌기 수용홈에 안치되는 끼움돌기와, 후크레버 수용홈에 안치되어 푸시바의 누름시 결합이 해지되는 후크레버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인슐린 자동 주사기용 도관 중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시간 주사용 자동 주사기(예를 들어 인슐린 펌프)는 주사액 보관용 시린지를 수용하는 하우징에 시린지 피스톤을 푸시 하는 푸시 수단이 결합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는 일본 공개 실용 소화 52-3292호와 미국 특허 제 4,417,889호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일본 공개 소화 52-3293호는 기본 케이스의 외부에 주사기 주입기가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2중 케이스를 필요로 하여 휴대의 불편함이 있다. 이에 2중 케이스가 필요 없는 방식의 주사기가 개발되었는바, 이는 도 2 와 같이 오실레이터(A1)의 출력은 타이머(A2)에 제공되고, 타이머(A2)출력과 스위치(A4)출력은 디지털 컴퍼레이터(A3)에 인가된다. 디지털 컴퍼레이터(A3)의 출력은 카운터(A6)와 플립플롭(A9)에 연결된다. 다른 오실레이터(A5)의 출력은 카운터(A6), 앤드 게이트(A10)(A11) 및 카운터(A13)에 제공된다. 디지털 컴퍼레이터(A7) 출력은 플립플롭(A9)을 리셋 시키고, 디지털 컴퍼레이터(A14)출력은 플립플롭(A16)을 리셋 시킨다. 컨트롤 유니트(A17)는 스위치(manual infusion switch)(A12)의 작동에 의하여 카운터(A13)를 작동토록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 유니트(A17)의 출력은 카운터(A13)(A16)(A21)에 제공된다. 디지털 컴퍼레이터(A22) 출력은 스텝 모터(A20)를 정지시키도록 스텝 모터 드라이버(A19)에 연결된다. 플립플롭(A16)의 출력은 오어 게이트(A18)의 한 입력단과 출력이 연결되는 앤드 게이트(A11)의 다른 입력단과 연결된다. 상기 스텝 모터 드라이버(A19)는 스텝 모터(A20)를 구동토록 사용된다. 각각의 고정된 개수로 된 스위치들(A4, A8, A15, A25)은 5개의 삽입 바(protruding insert bars)를 가지며 대응하는 각각의 디지털 컴퍼레이터(A3, A7, A14, A22)의 기준치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라이트 소오스(A24)와 포토 센서(A23)는 그 센싱 결과를 카운터(A21)에 제공토록 이루어지며, 이는 도 3 와같이 라이트 소오스(A24)와 포토 센서(A23)가 설치된다. 도 3 에서, 여러 구멍(hole)(A26)은 기어 판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기어축(A27)은 상기 기어 판에 끼움 고정된다. 피스톤판(A28)은 기어축(A27)과 상하이동 가능토록나사 결합한다. 상기 라이트 소오스(A24) 와 포토 센서(A23)는 상기 구멍(A26)의 상하 수직부에 기어 판과 간격을 두고 별도의 고정판에 설치된다. 이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구조의 일 예는 도 2 와같이 도시할 수 있으며, 하우징의 상부에는 라이트 소오스(A24)와 포토 센서(A23)가 설치되며, 라이트 소오스(A24)와 포토 센서(A23) 사이의 수평선상에는 기어메카니즘(G)이 설치되며, 기어메카니즘(G)은 모터(M)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 모터(M)의 구동은 카운터(A21), 디지털 컴퍼레이터(A22), 스위치(A25) 및 모터 드라이버(A19)의 구동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기 기어메카니즘(G)의 기어축(A27)에는 피스톤판(A28)을 너트 형태로 나사 결합하고, 피스톤판(A28)의 작용에 의하여 시린지(I)의 주사액(인슐린)이 주사침(N)으로 주사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장시간 주사용 휴대용 자동 주사침 유니트의 예로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자형의 수평형 주사침 부재(일명, 일자형 나비 주사침)(3)와, 이송관(도관)(1), 및 인슐린펌프(20)의 커넥터부(20-5)와 연결되는 연결구(2)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식의 주사침은 일자형 나비 주사침 부재(3)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 조직에 직접 자입할 시 이를 보면서 자입 해야 함으로 매우 고통스러운 것이다. 즉, 장시간 주사기의 주사약으로 주로 쓰이는 인슐린은 당뇨병 환자가 직접 주사침을 자입 하여 체내로 주사하고 있는데, 일자형 나비 주사침은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몸(피부 조직)에 비스듬히 자입 해야 하므로 자입 시 직접 자입 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해야 한다. 이 경우 자신의 몸에 주사침을 자입 하는 사용자는 매우 고통스러운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일자형 나비 주사침 부재(3)는 피부 조직에 비스듬히 자입 되기 때문에 유동이 쉽게 이루어져 피부 조직이 손상되고 혈액이 흘러나오면서 통증이 심하게 발생하는 것이다.
일자형 나비 주사침 부재(3)를 가지는 주사침 유니트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피부 조직에 비스듬히 자입 되기 때문에 세포 조직에 의해 주사침이 쉽게 막히고, 또 인슐린의 주입이 원활하지 못함에 따라 이송관(도관;tube)(1)의 직경이 굵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 경우 과다한 인슐린 주입이 이루어질 가능성 있고, 또 고가인 인슐린 낭비가 초래되기도 한다. 예컨대, 인슐린을 공급하기 위해 주사침을 자입 하기 전에 이송관(1)과 주사침 부재(3)속에 있는 공기를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인슐린 자동 주입기의 펌핑으로 인슐린을 송출하여 이송관(1)과 주사침 부재(3)를 통해 인슐린펌프(20)밖으로 배출토록 함으로써 공기를 제거하게 되는데, 이때 이송관(1)의 직경이 굵어 많은 양의 인슐린이 버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ㄱ 형태로 구부려 피부에 바로 꽂아 사용할 수 있는 주사침 유니트가 개발되었는바, 주사침 부재(3)는 주사침(3-11)의 형상을 도 7 과 같이 ㄱ” 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주사침(3-11)은 연결리브(3-12)에 삽입 설치되며, 이 연결리브(3-12)에 상기 이송관(1)을 일체로 되게 연결 형성한다. 연결리브(3-12)에 삽입 설치되는 주사침(3-11)은 도 6 에서와 같이 굴곡부(3-13)가 형성되도록 형성하고, 또 주사침(3-11)을 자입 할 시 푸시 할 수 있는 누름편(3-14)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누름편(3-14)에 전방으로 소독 처리된 부직포를 소재로 한 세균 감염방지 부재(3-14-1)를 고착한다. 상기, 세균 감염 방지 부재(3-14-1)의 재질은 천연 목재 펄프로 사용한다. 상기 이송관(1)의 직경을 가늘게 형성하고, 그 길이는 보다 길게 형성한다. 상기, 연결구(2)는 이송관(1)의 하측 선단부에 연결 형성하고, 이 연결구(2)에 수나사부(2-15)를 형성하여 암나사부(2-16)를 갖는 보호캡(2-17)과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2)는 인슐린 자동 주입기의 하우징(20)의 커넥터부(20-5)와 결합되는데 이 커넥터부(20-5)는 암나사부(20-5a)를 형성하여 결합된다. 도 5에서 (3-18)은 주사침 보호 캡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주사기 유니트(주사침 부재)를 사용하여 인슐린 자동 주입기(인슐린펌프)(20)를 통하여 인슐린을 공급받고자 하려면, 먼저, 연결구(2)에 결합된 보호캡(2-17)을 분리하고 커넥터부(20-5)와 나사 결합한다. 이어서, 주사침(3-11)에 삽입된 주사침 보호캡(3-18)을 분리해 낸다. 이후, 누름편(3-14)을 손가락 끝으로 푸시 하면서 사용자의 피부 조직에 자입 시킨다. 이때, 주사침(11)은“ㄱ” 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 조직에 수직으로 자입 시킬 수 있어 사용자는 주사침이 자입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필요 없이 순간적으로 자입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몸에 주사침을 자입 시킬 때 뒤따르는 고통을 안전히 해소할 수 있으며, 도 8 과 같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주사침(3-11)이“ㄱ” 형으로 구성되어 수직으로 자입 되기 때문에 층으로 이루어진 피부 조직에 의한 주사침(3-11)의 입구가 막힐 염려가 전혀 없다. 그러므로 인슐린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인슐린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음에 따라 이송관(1)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고, 또 그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송관(1)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음에 따라 이송관(1)과 주사침(3-11) 속의 공기를 제거할 시 인슐린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 원가 절감을 기할 수 있으며,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음에 따라 도 7 및 도 8 에서와 같이 사용할 시 자입 할 수 있는 부위의 폭이 넓어짐으로 사용상 편리함을 기할 수 있다. 누름편(3-14)의 전방으로 멸균 처리된 천연 부직포를 고착 구성함에 따라 주사침(3-11)을 피부 조직에 자입 하여 인슐린을 공급할 시 합성수지로 된 누름편(3-14)이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세균감염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침(3-11)의 형상을“ㄱ” 형으로 구성함에 따라 피부 조직에 자입 하여 사용할 때 수직으로 자입 되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주사침(3-11)의 유동이 일어나지 않아 조직 손상을 방지하고, 또 혈액이 흐르지 않으며 통증을 유발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주사기 유니트에 사용되는 주사침은 복부 등의 표면에 수직으로 자입 하는 방식이므로 장시간 사용하면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처방 주사액을 주입 가능토록 도관 중간 연결장치(Quick connecter)를 사용한다. 이는 미국 특허 제 545152호에 개시된 기술이 알려져 있는바, 도 9 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즉, 주사침 부재(3)와 연결된 도관(1-1)과 연결된 수연결부(33)와, 인슐린펌프(20)와 연결된 도관(1-2)과 접속된 암연결부(32)가 상호 분리 및 결합 가능토록 이루어진다. 이 경우 도관(1-1, 1-2)은 기존의 도관(1)을 구분하여 나타낸 것이다. 수연결부(33)는 도관(1-1)을 고정하며 리브(36)와 연결되는 끼움테(34)와, 리브(36)의 선단과 연결되며 직경이 큰 원형의 정지판(38)과, 정지판(38)의 중앙에서 직경이 작도록 연장된 봉상의 돌출부(40)와, 돌출부(40)의 중앙에서 직경이 작도록 연장안치되어 도관(1-1)과의 연결을 차단하고 연결침(30)과의 결합시 통하는 격벽(42)과, 돌출부(40)의 외주연 양측에 돌출된 탭(4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암연결부(32)는 도관(14)과 도통 가능토록 연결된 끼움테(34)와, 끼움테(34) 및 도관(1-2)에 연결 지지되는 연결침(30)과, 상기 텝(48)이 안내되도록 내경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50)과, 삽입홈(50)의 중앙 부위에 외부와 관통되고 탭(48)의 회전시 끼움 결합하는 고정공(58)과, 삽입홈(50)과 고정공(58)사이의 길이 방향 부위에 직경이 작아 지도록 내향 돌출된 마찰돌기(54)와, 삽입홈(50)의 내단을 이루며 돌출부(40)의 끼움 결합을 제한하는 정지돌기(5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방식은 암연결부(32)의 삽입홈(50)과 수연결부(33)의 돌출부(40)에 형성한 텝(48)을 일치시킨 후 상호 밀어 넣으면, 자연스럽게 연결침(30)이 격벽(42)을 뚫고 들어가 도관(1-1)과 약물이 이동 가능토록 도통된다. 그리고, 리브(36)를 잡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텝(48)이 고정공(58)과 끼움 결합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결합을 해지시켜 다른 주사액을 격벽을 통하여 주입하고자 할 때는 암연결부(32)를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돌려 텝(48)이 삽입홈(50)과 일치되게 한 후 잡아당기면 연결침(30)이 격벽(42)에서 쉽게 분리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원하는 주사액을 격벽을 통하여 별도위 주사침을 꽂아 사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단단하게 암, 수 연결부가 상호 결합되는 이점은 있으나 이를 위하여는 하나의 연결부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하고 이어 회전시키는 2단계를 수행하여 텝(48)이 고정공(58)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어 노약자 들은 이를 잘 알지 못하여 보호자를 통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소코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슐린 자동주사기(인슐린펌프)의 주사액 공급용 도관의 중간연결을 길이방향으로만 이동하여 분리 및 결합을 가능토록 하는 도관 중간연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주사기의 주사침 부재와 연결되는 도관을 분리하여 암 수 연결부와 중간에서 연결토록 하고, 암연결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 및 결합을 가능토록 하는 끼움돌기 수용홈과 후크레버 수용홈을 형성하고 폭 방향의 이동을 가능토록 하는 푸시바를 양측에 안치시키며; 수연결부에는 끼움돌기 수용홈에 안치되는 끼움돌기와, 후크레버 수용홈에 안치되어 푸시바의 누름시 결합이 해지되는 후크레버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도 1 은 종래의 휴대용 자동 주사기의 제어 구성도,
도 2 는 도 1 의 포토 센서의 설치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도 1 의 구성을 결합 사용한 상태의 종래의 주사기 단면도,
도 4 는 종래의 주사침 유니트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는 종래의 주사침 유니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은 도 5 의 주사침 유니트의 일 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7 은 도 5 의 주사침 유니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8 은 도 5 의 주사침 유니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종래의 도관 중간연결장치의 분해 일부절결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분해 일부 절결 정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결합 시의 수평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1-2;도관 2;연결구 3;주사침 부재 20;인슐린펌프 60;수연결부 61;격벽 62;끼움돌기 63;후크돌기 64;후크레버 65;고정홈 66;고정부 67;경사면 68;후크턱 70;암연결부 71;연결주사침 72;끼움돌기 수용홈 73;푸시바 수용홈 74;푸시바 75;푸시바 지지레버 76;후크레버 수용홈 77;푸시바 지지레버 수용홈 78;걸림턱 79;끼움돌기 정지벽
즉, 본 발명은 주사침 부재와 연결된 도관과 관통하도록 연결되며 암연결부의 연결주사침과 주사 결합하는 격벽을 수용하는 끼움돌기를 가지는 수연결부와,
끼움돌기가 길이 방향으로 끼움결합하는 끼움돌기 수용홈과 연결 주사침을 가지는 암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돌기의 양측에는 수평 분리 및 결합용 후크돌기를 가진 후크레버가 설치되고,
상기 암연결부에는 양측에 상기 후크 돌기가 결합시 안치되는 푸시바 수용홈을 형성하고,
푸시바 수용홈에는 후크돌기를 수평으로 눌러 후크해지토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푸시바가 위치토록 하여 수평 결합 가능토록 구성한 인슐린 자동주사기용 도관 중간 연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11 은 본 발명의 분해 일부 절결 정면도이며, 도 12 는 본 발명의 결합 시의 수평단면도이고, 도 13 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1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주사침 부재(3)와 연결된 도관(1-1)과 관통하도록 연결되며 암연결부(70)의 연결주사침(71)과 주사 결합하는 격벽(61)을 수용하는 끼움돌기(62)를 가지는 수연결부(60)와,
끼움돌기(62)가 끼움결합 하는 끼움돌기 수용홈(72)과 연결 주사침(71)을 가지는 암연결부(70)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돌기(62)의 양측에는 수평 분리 및 결합용 후크돌기(63)를 가진 후크레버(64)가 설치되고,
상기 암연결부(70)에는 양측에 상기 후크 돌기(63)가 결합시 안치되는 푸시바 수용홈(73)을 형성하고,
푸시바 수용홈(73)에는 후크돌기(63)를 수평(폭방향)으로 눌러 후크해지 토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푸시바(74)가 위치토록 하여 수평 결합 가능토록 구성한다.
후크레버(64)는 끼움돌기(62) 양측에 지지되고 일단은 수연결부(60)의 후크돌기 고정홈(65)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부(66)와,
고정부(66)에서 절곡되어 연장 된 후 경사면(67)을 가지는 후크돌기(63)와,후크돌기(63) 끝단에서 절벽을 이룬 후크턱(68)으로 연이어지도록 구성한다.
푸시바(74)는 푸시바 지지레버(75)로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암연결부(70)에는 후크레버(64)가 결합시 안치되며 푸시바 수용홈(67)과 관통되는 후크레버 수용홈(76)과, 푸시바 지지레버(75)를 수용하는 푸시바 지지레버 수용홈(77)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푸시바 수용공(73)의 선단은 후크돌기(63)의 후크턱(68)이 후크 결합 지지되는 걸림턱(78)을 이룬 것이 좋다.
암연결부(70)의 끼움 돌기 수용홈(72)은 끼움 돌기(62)가 끼움 결합시 결합 위치를 고정하는 끼움 돌기 정지벽(79)으로 제한되도록 구성한다. (71-1)은 연결주사침(71)을 지지하며 도관(1-2)과의 주사액을 이송 가능토록 기능 하는 주사침 고정관 이다. 푸시바 지지레버(75)는 주사침고정관(71-1)양측에서 분리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탄성판(71-2)으로 연결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1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이고, 도 15 는 도 14 의 요부 확대 수평단면도로, 수연결부(60)는 주사침 부재(3)의 주사침(3-11)과 격벽(61)이 상호 주사액이 필요시 관통하도록 누름편(3-14)에 도관(1-1)없이 직결되도록 구성한다. 수연결부(60)는 암연결부(70)가 결합 및 분리 가능토록 구성하고, 암연결부(70)에는 도관(1-2)으로 연결하여 인슐린펌프(20)와 연결사용 가능토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인슐린펌프(20)에 주사액을 넣은 시린지(21)를 안치시키고, 덮개(10)를 덮은 다음 주사침과 연결된 도관(1)을 고정시키는 연결구(2)를 덮개(10)와 나사 결합하고 주사침부재(3)를 신체의 원하는 부위(예를들어 복부)에 자입 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인슐린펌프(20)에 결합하고 도관(1)의 주사침 부재(3) 측 도관(1-1)에 연결된 수연결부(60)와, 인슐린펌프(20)측 도관(1-2)에 연결된 암연결부(70)를 연결할 때는 도 10 및 도 11 상태로 안치시킨 후 어느 하나를 접근시켜 도 12 및 도 13 상태로 결합한다. 결합시 끼움돌기(62)는 끼움돌기 수용홈(72)에 길이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고, 동시에 연결주사침(71)은 끼움 돌기(62)에 삽입 형성된 격벽(61)을 관통하여 연결주사침(71)이 도관(1-1)과 주사액이 도통 되도록 결합한다. 아울러 후크레버(64)는 후크레버 수용홈(76)에 안치되면서 후크바 수용공(73)에 후크돌기(63)가 안치된다. 후크돌기(63)는 경사면(67)과 후크턱(68)이 있어 후크턱(68)은 걸림턱(78)에 걸림 고정된다. 이렇게 사용하다가(주사액을 신체에 공급토록 인슐린펌프(20)를 조작하다가 조작을 일시 정지 후) 푸시바(74)를 끼움돌기 수용홈(72) 방향으로 누르면 푸시바(74)가 경사면(67)을 누르게 되어, 후크돌기(63)의 후크턱(68)이 걸림턱(78)에 지탱되는 범위를 벗어나(양 후크턱(68)의 폭이 후크레버 수용홈(76)이 이루는 폭 이내로 줄어들어)자동으로 일정 길이의 암수 연결부(70,60)가 분리되고 , 암수 연결부(70,60)중의 하나를 당기면 완전 분리된다. 이렇게 암연결부(70)의 회전 없이 단순히 폭방향으로의 푸시바(74)의 누름과 길이방향으로의 단순 당김으로, 암 수연결부(70, 60)가 상호 분리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수 연결부(60)의 격벽(61)을 통하여 다른 주사침을 사용하여 주사액을 도관(1-1)으로 공급 가능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사용중이던 암연결부(70)에는 수연결부(60) 형상의 마개를 사용하여 주사액의 누출을 막아야 한다(이 경우에는 마개의 격벽 두께가 두꺼워야 한다). 아울러 푸시바(74)는 푸시바지지레버(75)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일정한 탄성력과 복원력을 제공 가능토록 구성한 것을 사용하여야 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4 및 도 15 와 같이 주사침부재(3)에 수연결부(60)를 일체로 결합시킨 구조의 것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바, 주사침부재(3)에 일체로 설치한 수연결부(60)에서 직접 암연결부(70)를 연결 사용하기를 원하는 환자에게 편리하게 사용 가능토록 한다. 주사침부재(3)에 수연결부(60)가 직결된 구성 외의 기본적인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도관을 절단하여 암수 연결구를 사용하는 도관 중간 연결장치에서, 암수 연결부가 길이방향으로 삽입하고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을 채용하여 결합이 용이하고, 분리시에는 단순히 푸시바를 폭방향으로 부르기만 하면 초기 분리가 가능하고 이 상태에서 다시 길이 방향으로 당겨 분리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기능하므로, 노약자도 쉽게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여, 보호자 없이도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토록 한다.

Claims (6)

  1. 주사침 부재(3)와 연결된 도관(1-1)과 관통하도록 연결되며 암연결부(70)의 연결주사침(71)과 주사 결합하는 격벽(61)을 수용하는 끼움돌기(62)를 가지는 수연결부(60)와,
    끼움돌기(62)가 끼움결합하는 끼움돌기 수용홈(72)과 연결 주사침(71)을 가지는 암연결부(70)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돌기(62)의 양측에는 수평 분리 및 결합용 후크돌기(63)를 가진 후크레버(64)가 설치되고,
    상기 암연결부(70)에는 양측에 상기 후크 돌기(63)가 결합시 안치되는 푸시바 수용홈(73)을 형성하고,
    푸시바 수용홈(73)에는 후크돌기(63)를 수평(폭 방향)으로 눌러 후크 해지토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푸시바(74)가 위치토록 하여 수평 결합 가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자동주사기용 도관 중간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후크레버(64)는 끼움돌기(62) 양측에 지지되고 일단은 수연결부(60)의 후크돌기 고정홈(65)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부(66)와,
    고정부(66)에서 절곡 되어 연장 된 후 경사면(67)을 가지는 후크돌기(63)와, 후크돌기(63) 끝단에서 절벽을 이룬 후크턱(68)으로 연이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자동주사기용 도관 중간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푸시바(74)는 푸시바 지지레버(75)로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암연결부(70)에는 후크레버(64)가 결합시 안치되며 푸시바 수용홈(67)과 관통되는 후크레버 수용홈(76)과, 푸시바 지지레버(75)를 수용하는 푸시바 지지레버 수용홈(77)을 중앙에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자동주사기용 도관 중간 연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푸시바 수용공(73)의 선단은 후크돌기(63)의 후크턱(68)이 후크 결합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자동주사기용 도관 중간 연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암연결부(70)의 끼움 돌기 수용홈(72)은 끼움 돌기(62)와 같은 깊이의 수용홈(72)내측 위치에 끼움돌기 정지벽(79)을 두어, 수용홈(72)의 깊이를 한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자동주사기용 도관 중간 연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수연결부(60)는 주사침 부재(3)의 주사침(3-11)과 격벽(61)이 상호 주사액이 필요시 관통하도록 누름편(3-14)에 도관(1-1)없이 직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자동주사기용 도관 중간 연결장치.
KR1020020005319A 2002-01-30 2002-01-30 인슐린 자동주사기용 도관 중간연결장치 KR20030065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319A KR20030065626A (ko) 2002-01-30 2002-01-30 인슐린 자동주사기용 도관 중간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319A KR20030065626A (ko) 2002-01-30 2002-01-30 인슐린 자동주사기용 도관 중간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626A true KR20030065626A (ko) 2003-08-09

Family

ID=3221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319A KR20030065626A (ko) 2002-01-30 2002-01-30 인슐린 자동주사기용 도관 중간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56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627B1 (ko) * 2019-08-06 2020-07-17 ㈜신명메디에스 휴대용 인슐린 주입기 및 그 휴대용 인슐린 주입기의 비정상 작동 알람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627B1 (ko) * 2019-08-06 2020-07-17 ㈜신명메디에스 휴대용 인슐린 주입기 및 그 휴대용 인슐린 주입기의 비정상 작동 알람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23997B1 (en) Medication infusion set
US86790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mping fluid
JP5536641B2 (ja) 能動変位ポンプ
EP2089081B1 (en) Infusion set
US6719728B2 (en) Patient-controlled medication delivery system with overmedication prevention
JP4871484B2 (ja) 低プロファイル注入セット
CN101573151A (zh) 用于维持输送治疗流体的系统和装置
US20040143216A1 (en) Adapter connector for an infusion set and inserter system
JP6449990B2 (ja) 自動薬物送達装置
US20190175819A1 (en) Delivery system of portable delivery device
KR100301657B1 (ko) 의사모드를가지는인슐린자동주사기의제어방법
KR100423112B1 (ko) 인슐린 자동주사기용 주사침 유니트
KR20030065626A (ko) 인슐린 자동주사기용 도관 중간연결장치
JP2000060969A (ja) 携帯用自動注射器及び注射針ユニット
KR100355489B1 (ko) 인슐린 자동주사기용 주사침 연결구 고정장치
KR100355476B1 (ko) 인슐린 자동주사기용 테프론 주사침 장치
US20230060176A1 (en) Injection Assembly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KR100378068B1 (ko) 인슐린 자동주사기용 주사침
CN220070341U (zh) 便于注射定位的胰岛素泵注射组件
KR100344029B1 (ko) 내부 실링 가능한 자동주사기
KR100290253B1 (ko) 휴대용 자동주사기의 주사침 막힘 방지장치
JPH0313908B2 (ko)
BRPI0714600A2 (pt) cÂnula e dispositivo de transmissç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