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4685A - 기존 댐에 보조 댐과 양수 발전소의 결합 - Google Patents

기존 댐에 보조 댐과 양수 발전소의 결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4685A
KR20030064685A KR1020030044055A KR20030044055A KR20030064685A KR 20030064685 A KR20030064685 A KR 20030064685A KR 1020030044055 A KR1020030044055 A KR 1020030044055A KR 20030044055 A KR20030044055 A KR 20030044055A KR 20030064685 A KR20030064685 A KR 20030064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
water
auxiliary
power
d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순균
안용오
안태원
Original Assignee
안순균
안용오
안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순균, 안용오, 안태원 filed Critical 안순균
Priority to KR1020030044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4685A/ko
Publication of KR20030064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68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E02B9/022Clos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Abstract

우리나라는 물 문제로 인해 해마다 고통을 받아, 강우형태와 지형적·지정학적인 문제로 인해 여름에는 홍수, 겨울과 봄에는 가뭄이 필연적으로 반복되고, 이제는 이런 정도를 벗어나 홍수 때 홍수를 더 심하게 하고, 가뭄 때 가뭄이 더 심해 이제는 수자원 부족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강우형태는 인간으로서 조절이 불가능하나 컴퓨터의 발달로 예측할 수는 있어 미리 준비는 할 수 있다. 또 하나는 지형적인 문제 역시 다루기 힘든 면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핸디캡을 역이용하면 더욱더 큰 혜택을 받을 수 있음을 확신하고, 여기에는 이 지형적인 문제를 이용해 수자원을 확보하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기존 댐을 이용하고, 여기에 양수발전의 원리를 적용함으로서 댐의 기능 뿐 아니라, 발전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댐의 상류에 보조 댐을 설치하고(본 댐의 상류의 보조 댐을 안 댐, 안 댐 상류의 보조 댐을 겹 댐.), 여기에 양수 발전원리를 적용해 양수발전소의 하부 댐(2)과 본 댐(5)을 같은 의미로 생각하고, 양수 발전소의 상부 댐(1)을 보조 댐(안 댐6a·b, 겹 댐7)과 같은 의미로 생각하면 본 댐의 물을 양수해 안 댐(5를6a·b로)에 저장함으로서, 본 댐의 수위를 낮춰(8a·b에서c로) 둠으로서 홍수 시에 더 많은 양의 물을 담을 수 있어 홍수조절능력을 증가시키고, 보조 댐(안 댐6a·b)에서 본 댐(5)으로 물을 낙하 시켜 발전하면, 양수 발전소의 역할과 같다. 수년 내에 닥칠 수자원 부족으로 인한 신규 댐의 건설 없이 기존 댐을 이용하면 되고, 발전만을 위해 대규모 환경파괴와 막대한 투자비가 들어가는 양수발전소 건설 없이도 홍수조절과 수자원 확보 문제, 발전 문제, 환경문제, 경제적인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존 댐에 보조 댐과 양수 발전소의 결합{omitted}
기존의 댐(도2)·양수발전소(도1)·발전설비용량 각각에 대해 관할 부서가 다르고, 이로 인한 낭비와 비효율적인 문제가 많았다.
댐의 목적은 홍수 조절, 용수 공급이지만, 대형 댐들의 건설로 발전기능이 추가되었다. 최근의 강우형태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로 기존의 기록들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어 정확한 기상예보나 예측은 가능하지만 경우에 따라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2002년 가을 한반도를 강타한 태풍 루사는 전국을 물바다로 만들었고, 특히 강릉시내는 홍수로 인한 난리를 겪고 있는데 상류에서 대형 저수지 둑이 붕괴되어 홍수에 홍수를 겹쳐 피해를 확산시켰다. 댐은 어느 정도 까지는 홍수조절 기능을 하지만, 여름 장마철이나, 대형 태풍이 상륙하기 전에 댐을 비워 홍수 예방을 위해 있는 수자원을 그냥 바다로 흘려보내고(태풍의 진로가 바뀌거나, 강우량이 예보 이하로 적으면 가뭄을 겪게되고), 댐 용량이상의 집중적인 폭우가 내릴시 한꺼번에 방류량이 많아져 홍수조절 기능을 잃고 홍수 피해를 더 심하게 하는 문제점(예를 들면, 한강 수계에는 금강산댐을 포함하면 9개의 댐이 있어 한꺼번에 방류를 하면)이 있어 강우형태와 지형적, 지정학적인 원인으로 인해 한반도는 필연적으로 홍수와 가뭄의 문제가 반복되는데, 이것이 거의 매년 되풀이되고 있어 문제이며, 2006년경 한반도에는 수자원 부족현상이 시작되고, 2011년경에는 18억 톤의 수자원이 부족하다고 해, 수자원 확보를 위해 전국적으로 환경 친화적인 12댐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하지만, 기존 댐 역시 가뭄(겨울·봄)때는 평균 저수율이 35-40%전후임을 감안 할 때 12개 댐 면적과 환경파괴 역시 큰 문제이며, 건설비용, 유지관리비, 효율과 효과 또한 생각해볼 문제이다.
양수 발전소(도1)는 말 그대로 홍수조절이나 용수공급이 아닌 단지 첨두시간에 발전을 할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양수발전소는 말 그대로 낙차를 이용해 발전을 하기 때문에 낙차가 큰 곳을 찾으려면 산이 높은 곳을 택해야하고, 산이 높은 곳은 오지이며, 환경이 잘 보존되어 있어 이런 곳에 양수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해 길을 만들고, 상 하부 댐(1·2)을 만들고, 오지에 위치하기 때문에 장거리의 고압 송전설비를 위해, 막대한 환경파괴와 공사비 역시 문제이며, 운영 또한 기존의 양수 발전소는 심야에 양수하고, 첨두시간에 발전해야 되는 일일 사이클인데, 심야 남는 전기를 이용해 양수를 했으나, 저렴한 심야전력을 이용한 냉난방기기의 사용 증가로 전력 사용의 비수기가 없이 연중(여름 : 냉방기·겨울 : 난방기), 밤낮 없이 평균전력의 사용이 증가했으며, 여름에만 전력사용의 피크가 있는게 아닌, 전력사용의 비수기였던 겨울철에 전력사용량이 더 많아져 여름철 첨두시간에만 발전하던 양수 발전을 이젠 년 중 사용하게 되었다. 전국적으로 산재한 양수발전소의 심야 양수를 위해 남는 전기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발전소를 가동해 수백만 kw의 전기를 생산해야되고, 이를 위해 새로운 발전소를 건설해야되는 불합리한 면이 있는데, 이를 정책당국이나 관련자들은 전력설비의 이용률과 부하율을 높였다고 한다. 이러한 악순환을 겪으며 환경파괴와 화석연료의 수입과 이산화탄소의 배출과 기후 온난화 등 말로서 표현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발전 및 송전설비는 현대를 살아가는데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적인 것으로 인류의 발전과 삶의 질에 지대한 공헌을 한 것 중에 으뜸일 것이다. 우리나라도 발전 설비 용량이 5000만kw를 넘었다. 그런데 선진 사회로 가면 갈수록 한사람만 전기의 사용량이 늘어간다. 전기 사용이 증가할 수록 발전 설비용량의 증가와 더불어 이 설비용량 중 이용률은 줄어듦으로 인해 많은 돈이 들어간 발전소가 가동되지 않고 정지되어 있음으로 인해 경제적으로는 손실이 더 많아지고 이것이 발전단가에 영향을 미치고, 이 발전설비는 원자력·화력·수력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환경에 큰 영향을 미쳐,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대체에너지의 개발을 위해 노력중이다. 발전소를 건설함으로서 발전설비가 더 남아돌고, 이 때문에 설비 이용률을 높인다는 명목으로 소비자들에게 심야 냉·난방설치비를 제공하고, 전기료를 저렴하게 해 소비자들로 하여금 전기를 낭비하게 해 급기야는 남는 심야전기가 아닌 발전소를 가동해야 되고 이것 때문에 심야 발전의 발전 단가가 상승하자 이번에는 설치비를 제공하지 않고, 본인이 부당하게 하는 등 정책의 일관성도 없다. 전기는 원자력·화력·수력 등으로 발전해 생산하지만 주로 원자력과 화력이고, 원자력은 테러와 사고로 인한 치명적인 약점과 폐기물처리가 문제이며, 화력 역시 석탄·석유·가스를 사용하며, 이것 역시 수입으로 경제적인 부담이고, 이 화석연료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과 지구온난화문제로 발생하는 기후 변화는 우리의 삶을 위협하며 더 많고, 복잡한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기 때문에 환경을 아끼고, 전기의 절전을 통해 아름답고, 깨끗한 환경을 우리 후손에게 물려주도록 다함께 노력해야 될 것이고, 그 한 부분에 도움이 될까하고 여기에 한 대안으로서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비효율적인 면을 해소하기 위해 댐(도2)과 양수발전(도1)을 결합하고 여기에 한국전력공사의 남아도는 발전 설비용량을 효율적(시간과 계절에 따라)으로 이용해 홍수조절과 수자원확보 및 발전에 도움이 되며, 더불어 발전 설비 이용률·부하율을 획기적으로 향상 시켜 발전설비의 증설억제와 화석연료의 사용 감소로 인한 경제적 이득과 나아가 이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배출, 기후온난화 등으로 향후 우리와 우리들의 후손이 겪을 수자원·에너지·식량·환경위기를 최소화하고 이를 극복하는데 미력한 힘이 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양수발전소의 단면도
도 2는 기존 댐의 단면도와 수위
도 3은 유입하천과 댐의 평면도 및 안 댐, 겹 댐의 위치
도 4는 댐과 양수발전소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댐 수위와 안 댐 양수발전소의 상세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은 양수발전소의 상부 댐
2는 양수발전소의 하부 댐
3은 수직 수압터널
4는 발전소
5는 본 댐
6a는 유입하천이 있는 안 댐
6b는 유입하천이 없는 안 댐
7은 안 댐의 상류에 위치한 겹 댐
8a는 계획 홍수위
8b는 만수위
8c는 저수위
9는 계획 홍수위 때만 차고 만수위 때는 거의 비워져있는 유휴지(퇴수지)
10은 보조 댐(안 댐, 겹 댐)에 설치된 양수 발전소
11은 방수구
12는 취수구
13은 유입하천
상기의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존 댐, 양수 발전 원리, 한국전력공사(각 나라)의 발전 설비를 적절하게 이용함으로서, 댐의 기능과 전력생산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한 나라의 발전설비에 대한 이용률과 부하율 역시 획기적으로 높여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보조 댐(안 댐6a·b, 겹 댐7)의 위치는 크게 2가지로 유입천(13)과 유입천이 없는 계곡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나, 지역적인 여건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댐의 상류에 계획 홍수위(8a) 때만 물이 차고, 물이 찰 때도 이 곳의 저수량이 수십만 톤에 불과하고, 상시 만수위(8b) 때는 유휴지(9)가 되는 곳에 보조 댐(안 댐6a·b, 겹 댐7)을 설치하고, 여기에 양수발전소(도1)를 보조 댐(안 댐6a·b, 겹 댐7) 자체에 부착해 건설하고, 본 댐의 저수지(5)를 하부 댐(2,양수발전소)으로 하고, 양수발전소의 상부 댐(1)을 보조 댐(안 댐6a·b, 겹 댐7)과 같은 의미로 생각하면, 강우량이 많은 장마철이나, 대형 태풍이 올 때는 홍수 조절을 위해 미연에 댐의 물을 방류해(8b에서8c로 낮추고) 바다로 흘려보냄으로서 수자원을 낭비하고, 만약 예상 강우량이 적으면, 해마다 반복되는 겨울과 봄의 가뭄에 더해, 댐의 저수량도 모자라기 때문에 가뭄이 더 심해지고, 이로 인한 국민들이 겪는 고통은 식량문제 뿐 아니라, 생명과도 같은 식수를 구할 수 없는 이루 말로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육체적, 정신적인 고통을 겪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보조 댐(안 댐6a·b, 겹 댐7)을 설치하는 상류에는 계획 홍수위(8a) 때만 물이 차고, 상시 만수위(8b) 때는 유휴지(9)가 되는 곳으로, 물이 찰 때도 이 곳의 수심은 수 미터에 불과하고 저수량 역시 수십만 톤에 불과하기 때문에 이곳에 보조 댐(안 댐6a·b, 겹 댐7)을 설치하고, 본 댐의 저수지(5) 물을 양수해 보조 댐(안 댐6a·b, 겹 댐7)에 저장함으로서 본 댐의 저수량(5)을 바다로 그냥 흘려보내지 않고도 수위를 낮출 수 있어, 홍수조절능력을 증가시키고, 보조 댐(안 댐6a·b, 겹 댐7)에 확보한 수자원을 이용해 평소에 본 댐(5)으로 흘려 발전을 하면, 양수 발전소(도1)의 역할도하고, 비록 낙차는 크지 않지만 저수량이 양수 발전소보다 수배에서 수십 배 많기 때문에 발전총량은 오히려 더 많을 것으로 생각되며, 획기적인 것은 이 흘러내린 물은 본 댐에 있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가뭄에도 대비할 수 있으며, 기존의 양수 발전소는 심야에 양수하고, 첨두시간에 발전해야 되는 일일 사이클인데 반해(건설비 과다, 전국적으로 양수 위해 발전소 가동, 이로 인한 발전소 건설과 단가 상승) 본 발명은 발전설비를 적당히, 효과적으로 이용함으로서 발전되고 남아도는 적은 전력을 시간, 계절에 따라 그 때, 그 때(보조 댐의 크기가 양수발전소의 상부 댐보다 수배에서 수십 배 크다.) 양수(5에서6a·b로, 6a에서7로) 및 발전(7에서6a로, 6a·b에서5로)을 할 수 있는 방식이며, 유지 및 관리 역시도 보조 댐(6a·b, 7)의 양수발전은 기존 댐의 관리 인력으로도 충분하며(관리사무실에 원격장치를 통해 관리, 감독할 수 있고), 기존 양수발전에 비해 건설비·환경파괴정도·유지관리비·경제적인 문제·효율 역시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월등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존 댐과 양수 발전소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기존 양수발전소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매일 심야 전력을 이용해 수백만 톤씩을 하부 댐(2)에서 상부 댐(1)으로 양수하고, 다음 날 첨두시간에 낙차를 이용한 발전만 하는 형태의 발전소로 발전에 대한 용도와 건설비·환경파괴·유지관리비 등을 계산해 비교할 때 효과와 효율이 많이 낮지만 꼭 필요해(여름) 건설해 사용해 왔지만, 현재는 년중 가동하기 때문에 이 양수발전소를 가동하기 위해 발전소를 다시 가동하고 이로 인한 비효율적인 면이 더 많이 발생한다.
도 2는기존 댐의 단면도와 수위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의 댐이란 대형 댐그 중에서 다목적 댐을 말하며, 홍수조절·용수공급·발전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지형적·지정학적인 특성과, 집중적인 강우형태로 필연적으로 홍수와 가뭄이 반복되며, 덧붙여 향후 수년 내에 수억 톤의 수자원이 부족해 환경 친화적인 12개의 댐을 건설할 예정이나, 시민단체의 기준과는 다르지만, 수자원의 공급능력확대와 수요조절을 통해 효율적으로 이용하더라도 향후에 수자원이 모자라는 것만은 사실이다.
도 3은유입하천(13)과 댐(5)의 평면도 및 보조 댐(안 댐6a·b, 겹 댐7)의 위치 : 댐의 상류에 보조 댐(안 댐6a·b, 겹 댐7)을 건설하고 여기에 양수 발전소(10)를 설치 운영하는 것으로, 기존의 댐들이 위치한 곳은 산으로 둘러 쌓여 있어, 지형적인 단점으로 여겨졌으나, 이를 이용해 경사가 있고, 교통 및 생활하기 어려워 주민이 없는 곳, 계획 홍수위(8a) 때만 물이 차고(9), 찬 후에도 수십만 톤 내외의 적은 양으로 본 댐의 총 저수량에 비해 매우 적은 양이기 때문에 홍수조절 및 수자원으로서의 역할은 매우 미미하며, 365일 중 수일에 불과하고, 상시 만수위(8b) 때는 물이 빠지고 넓은 유휴지(9)가 되는 곳으로, 보조 댐을 건설할 최적의 장소로 이러한 곳이 적당하며, 보조 댐의 건설 위치는 2가지를 생각할 수 있는데첫째:주 유입하천에 건설할 때와둘째:유입하천이 없는 곳에 건설하는 경우로 각각의 장·단점은 본 댐과의 연계를 고려해 설치할 수 있으며 주유입하천의 경우 위치와 조건에 따라 보조 댐(겹댐7)을 하나 더 건설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4는댐(5)과 양수발전소(10)의 결합단면도로서 보조 댐(안 댐6a·b, 겹댐7)을 건설한 후 이 보조 댐에 물을 담는 방식(5에서6a·b로, 6a에서7로)과 발전하는 방식(7에서6a로, 6a·b에서5로) 2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첫째 :물을 담는 방식으로 2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가) 자연 유입수·나) 양수 방식.
가)자연 유입은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기 때문에, 지형적으로 유입하천(13)이 있는 보조 댐(안 댐6a, 겹 댐7)에는 평소 유입 량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채울 수 있고, 우기·태풍 등 집중강우 시(6-10월까지)에도 이 보조 댐을 채운 후에 방류하고, 이 방류 수를 이용해 발전을 계속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나)양수하는 방식으로 유입하천이 없는 구릉지나, 산으로 둘려 쌓인 곳에 보조 댐(6b)을 건설해 필요시에 본 댐의 물을 양수해 보조 댐에 저장함으로서 홍수 조절이 유입하천이 있는 보조 댐(6a)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태풍·장마 등 집중적인 강우가 예상될 때에는 홍수를 예방할 목적으로 사전에 본 댐의 물을 바다로 그냥 흘려 보내지 않고 양수를 해 보조 댐에 흘려 버릴 물을 저장함(평소에는 보조 댐 용량의 95-100%를 확보하고, 강우량이 많은 장마·태풍 때는 60-70%확보해 둠으로서 30-40%의 여유분이 있기 때문에 급할 때 양수를 함으로서 홍수발생 시에 초당 수십 톤에서 수백 톤까지 양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도움이 될 수 있다.)으로서 본 댐의 홍수조절 능력(수위를 8a·b에서c로 낮춤)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수자원을 확보해 둠(보조 댐, 안 댐6a·b, 겹 댐7)으로서 예상과 다르게 강우량이 적어 비워둔 댐으로 인한 가뭄을 예방하고, 가뭄이 심할 경우 주위의 하천은고갈되어 식수 및 생활용수의 확보에도 어려움이 있으나, 이렇게 다량의 수자원을 확보함으로서 하천의 유지 수량을 충분하게 함으로서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움을 구할 수 있다.
●둘째 :발전하는 방식으로, 기존 양수발전소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수십만 kw의 전력이 사용되기 때문에 저수지 용량(1)이 적고 발전을 많이 하기 위해서는 낙차로서 해결해야 되는데, 반면에 양수시 에는 반대로 에너지 손실이 많은데, 그것도 매일 밤 양수, 익일 발전(심야 전기 사용량에 관계없이)의 하루 싸이클이라 전국의 양수 발전소의 하룻밤 양수에 사용되는 전력과 에너지 손실을 계산하면 손실된 에너지 양 역시 막대한데, 이에 반해, 보조 댐(안 댐6a·b, 7)과 양수 발전소(도1)를 통합 운영하면 저수량이 수천만 톤이 되기 때문에 전력수요와 설비 이용률을 계산해 매일 적은 양의 전력(수만kw)으로 가능하며, 전력사용량이 적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 역시 적으며, 어느 때나, 시간과 계절에 관계없이 실제 전력이 남아돌 때에 양수할 수 있고, 저수량이 많기 때문에 발전을 할 때(겹 댐7에서 안 댐6a·b로, 안 댐6a·b에서 본 댐5로 방류하면서)에도 즉각적으로, 필요량만큼의 전력을 장시간 생산할 수 있는 체제이며 보조 댐(6a·b, 7)의 크기가 양수발전소의 상부 댐(1)보다 수배에서 수십 배 크기 때문에, 필요시 낙차는 작으나 수량이 많기 때문에 총 발전량은 기존 양수발전소 못지 않다.
도 5는본 댐(5) 수위(8a·8b·8c)와 보조 댐(안 댐6a·b, 겹 댐7) 양수발전소의 상세도로 위의 도4에서 설명했으며 양수발전소의 방수구(11)와 취수구(12)의 위치를 적정하게 설치하고 특히 방수구(11)는 저수위(8c) 보다 낮을 것.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댐(안 댐6a·b, 겹 댐7)에 양수발전소를, 기존 댐의 상류에 계획 홍수위(8a) 때만 차고, 찰 때 역시 몇십만 톤 정도인 곳에 설치하면 교통 불편으로 인해 거주민의 수가 적어 민원 발생 및 보상비가 적고, 공사기간이 짧아 공사비가 적게들고, 기존 댐의 인력과 기존에 설치된 송전선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비, 송전선 설치로 인한 자연훼손과 설치비를 줄여 줄 뿐 아니라, 기존 댐과 한국전력공사의 발전 설비를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서, 홍수조절 및 수자원확보와 발전 뿐 아니라, 발전설비 이용률과 부하율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어 발전설비의 증설억제와 에너지 절감으로 인한 경제적인 효과, 청정한 수력발전으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배출감소로 기후변화와 도쿄의정서로 인해 향후 우리나라가 겪을 이산화탄소 저감에도 도움이 되며, 무엇보다 우리가 가까이서 느낄 수 있는 것은 우리 주변의 하천에 확보된 수자원으로 하천수를 유지할 수 있어 맑고 깨끗한 물이 흐르게 되어 생명수로서의 역할과 아름다운 산하를 지키고 보전할 수 있는 환경파괴를 최소화한, 경제적·친환경적인 발명이다.

Claims (2)

  1. 보조 댐을 기존 댐의 상류에 만들고 여기에 양수 발전소를 건설해, 본 댐의 저수지를 하부 댐(양수발전소)으로 하고, 양수 발전소의 상부 댐을 보조 댐(안 댐6a·b와 겹 댐7)과 같은 의미로 생각하면, 본 댐의 저수지(5) 물을 양수해 보조 댐에 저장함으로서 본 댐의 저수량을 바다로 그냥 흘려 보내지 않고도 낮출 수 있어, 홍수조절능력을 증가시키고, 안 댐에 확보한 수자원을 이용해 평소에 본 댐으로 흘려 발전을 하면, 양수 발전소의 역할도하고, 비록 낙차는 크지 않지만 저수량이 양수 발전소 보다 수배에서 수십 배 많기 때문에 발전 총량은 오히려 더 많을 것으로 생각되며, 획기적인 것은 이 흘러내린 물은 본 댐에 있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가뭄에도 대비할 수 있으며, 기존의 양수 발전소는 매일 심야에 양수하고 첨두시간에 발전해야 되는 일일 사이클인데 반해 본 발명은 발전설비를 적당히, 효과적으로 이용함으로서 발전되고 남아도는 전력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발전설비의 이용률과 부하율을 높이고, 또 시간·계절에 따라 그 때, 그 때 양수 및 발전을 할 수 있는 방식으로 효율과 효과적인 면에서도 각각 사용 때 보다 홍수 조절·수자원확보·용수공급·발전 능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댐과 댐을 네트워킹 시켜 수자원 확보와 이용률을 높이며, 발전설비 효율을 높여 에너지 위기를 극복하고,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여 친환경적, 경제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2. 청구 항1에서 양수발전소에서는 수직수압터널(3)이 하나만 만들어져 있으나,본 발명에서는 보조 댐(안 댐6a·b와 겹 댐7)의 길이와 저수량에 따라 하나 이상을 만들어 사용하기 때문에 홍수조절 능력, 수자원 이용률과 발전능력을 높일 수 있다.
KR1020030044055A 2003-06-27 2003-06-27 기존 댐에 보조 댐과 양수 발전소의 결합 KR20030064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055A KR20030064685A (ko) 2003-06-27 2003-06-27 기존 댐에 보조 댐과 양수 발전소의 결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055A KR20030064685A (ko) 2003-06-27 2003-06-27 기존 댐에 보조 댐과 양수 발전소의 결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685A true KR20030064685A (ko) 2003-08-02

Family

ID=32227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055A KR20030064685A (ko) 2003-06-27 2003-06-27 기존 댐에 보조 댐과 양수 발전소의 결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468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337B1 (ko) * 2010-08-30 2011-07-11 박길종 저수용량 증대 및 에너지 순환형 저수지 시공방법
KR101419520B1 (ko) * 2013-09-03 2014-07-14 조용현 기설 댐 상류 측 본 수계의 보조댐을 이용한 수력 발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47731B1 (ko) 2020-07-01 2020-08-25 주식회사 휴텍엔지니어링 온도제어 밸브의 다기능 테스트 장치
KR102147729B1 (ko) 2020-07-01 2020-08-25 주식회사 휴텍엔지니어링 온도제어 밸브의 다기능 테스트 방법
KR102150537B1 (ko) 2020-06-12 2020-09-01 주식회사 휴텍엔지니어링 온도제어 밸브의 토르크 테스트 장치
KR20210015435A (ko) * 2019-08-02 2021-02-10 김준배 부력식 가동보를 구비한 종단보 저수조 및 이를 이용한 하천 순환식 양수발전과 그 방법
CN114991095A (zh) * 2022-06-13 2022-09-02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抽水蓄能电站水库布置结构
CN116667395A (zh) * 2023-05-31 2023-08-29 河海大学 基于梯级水电改造的水风光蓄互补泵站容量配置方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337B1 (ko) * 2010-08-30 2011-07-11 박길종 저수용량 증대 및 에너지 순환형 저수지 시공방법
KR101419520B1 (ko) * 2013-09-03 2014-07-14 조용현 기설 댐 상류 측 본 수계의 보조댐을 이용한 수력 발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5034198A1 (ko) * 2013-09-03 2015-03-12 Cho Yong Hyun 저수율차 발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15435A (ko) * 2019-08-02 2021-02-10 김준배 부력식 가동보를 구비한 종단보 저수조 및 이를 이용한 하천 순환식 양수발전과 그 방법
KR102150537B1 (ko) 2020-06-12 2020-09-01 주식회사 휴텍엔지니어링 온도제어 밸브의 토르크 테스트 장치
KR102147731B1 (ko) 2020-07-01 2020-08-25 주식회사 휴텍엔지니어링 온도제어 밸브의 다기능 테스트 장치
KR102147729B1 (ko) 2020-07-01 2020-08-25 주식회사 휴텍엔지니어링 온도제어 밸브의 다기능 테스트 방법
CN114991095A (zh) * 2022-06-13 2022-09-02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抽水蓄能电站水库布置结构
CN114991095B (zh) * 2022-06-13 2024-02-23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抽水蓄能电站水库布置结构
CN116667395A (zh) * 2023-05-31 2023-08-29 河海大学 基于梯级水电改造的水风光蓄互补泵站容量配置方法
CN116667395B (zh) * 2023-05-31 2023-11-21 河海大学 基于梯级水电改造的水风光蓄互补泵站容量配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4360B2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producing supplementary electrical energy
Bueno et al. Wind powered pumped hydro storage systems, a means of increasing the penetration of renewable energy in the Canary Islands
Katsaprakakis et al. Technical details regarding the design, the construction and the operation of seawater pumped storage systems
US8274168B2 (en) Generating hydroenergy
CN207261155U (zh) 一种与防波堤沉箱相结合的潮汐能发电装置
KR20030064685A (ko) 기존 댐에 보조 댐과 양수 발전소의 결합
JP3153338U (ja) 波力、風力、太陽光、雨の自然エネルギーの貯蔵システムの発電装置
ES2334750B1 (es) Minicentral hidroelectrica reversible de alto rendimiento energetico y nulo impacto ambiental.
Tunde Small hydro schemes-taking Nigeria's energy generation to the next level
Katsaprakakis Energy storage for offshore wind farms
US20150219065A1 (en) Power storage system
Kubiak-Wójcicka et al. Exploitation of Rivers in Poland for Electricity Production–Current Condition and Perspectives for Development
Jeffs The application potential of hydro power
Bardsley Note on the pumped storage potential of the Onslow-Manorburn depression, New Zealand
Lindblom et al. Possibilities of Reducing Energy Consumption by Optimization of Ground Source Heat Pump Systems in Babylon, Iraq
Vaschetti et al. Using reservoirs for floating PV plants
Johnson Hydropower development on rivers in Scotland
CN218291864U (zh) 一种基于护城河或自然水源的地下抽水储能系统
Shiljkut et al. Long-term provision of power and water supply, economic and social security and stability in Serbia
Donnelly et al. Hydropower development on Glacial lakes
Ramachandra et al. Optimal design of hydroelectric projects in Uttara Kannada, India
KR20210015434A (ko) 양수발전과 수자원 관리용 내부 댐 구조 및 그 방법
Phillips et al. ACCARNSI DISCUSSION PAPER SERIES
Boariu INTEGRATION OF HYDROPOWER, WITH SOLAR AND WIND RENEWABLE SOURCES. INTELLIGENT ENERGY SYSTEM IN VANATORI-NEAMŢ NATURAL PARK, ROMANIA
CN117248508A (zh) 基于自行开掘地下专用蓄水空间的抽水储能电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