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4428A - 다기능 차단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4428A
KR20030064428A KR1020020004590A KR20020004590A KR20030064428A KR 20030064428 A KR20030064428 A KR 20030064428A KR 1020020004590 A KR1020020004590 A KR 1020020004590A KR 20020004590 A KR20020004590 A KR 20020004590A KR 20030064428 A KR20030064428 A KR 20030064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witch
push
electromagnet
ir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0896B1 (ko
Inventor
민경옥
Original Assignee
민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옥 filed Critical 민경옥
Priority to KR10-2002-0004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896B1/ko
Publication of KR20030064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8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66Power reset mechanisms
    • H01H71/68Power reset mechanisms actuated by electro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푸시-풀 타입의 수동식 스위치 수단과 전자석을 이용한 자동식 스위치 수단을 연계적으로 구성하여 차단기의 수동조작 및 원격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전원의 차단상태를 표시하는 동시에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별도의 조작금지용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단기의 조작과 관련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차단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차단기{Multifunction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다기능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푸시-풀 타입의 수동식 스위치 수단과 전자석을 이용한 자동식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여 원격제어를 통한 차단기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별도의 조작금지용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단기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교류전압 600V(직류전압 700V) 이하에 사용하는 차단기로서, 고정자와 가동자를 떼었다(차단) 붙였다(통전)하여 전류를 차단하거나통전시키고, 과부하나 단락, 지락 등에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기 기계기구이다.
종래의 차단기는, 도 1a 및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측 및 출력측의 고정자(10)와, 입출력측의 고정자(10)를 선택적으로 통전 및 차단하는 가동자(11)와, 중심점(17)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가동자(11)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지렛대(12)와, 스프링(18)을 내장하고 있으며 지렛대(12)의 위치조작을 위한 ON/OFF 손잡이(13)와, 지렛대(12)의 움직임을 가동자(11)에 전달하는 가동편(19)과, 과부하시 전류 차단을 위한 바이메탈(14) 및 레버(15)와, 이것들을 수용하는 케이스(16)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차단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통전의 경우
ON/OFF 손잡이(13)를 ON 위치로 젖히면, 스프링(18)을 통해 그 힘이 지렛대(12)로 전달되고, 이것과 접촉되는 가동자(11)가 아래로 눌리면서 고정자(10)와 접촉되어 통전된다.
2) 차단의 경우
ON/OFF 스위치(13)를 OFF 위치로 젖히면, 스프링(18)의 토션 복원력에 의해 지렛대(12)의 선단이 위로 젖혀지면서 가동자(11)가 고정자(10)로부터 분리되어 차단된다.
3) 과부하 단락의 경우
통전 중 차단기가 과부하 또는 단락되면, 바이메탈(14)이 구부러지면서레버(15)를 뒤로 밀어내게 되고, 이와 동시에 지렛대(12)의 후단 걸림상태가 해제되면서 스프링(18)의 힘에 의해 그 선단이 위로 젖혀지게 되며, 이에 따라 가동자(11)가 고정자(10)로부터 분리되어 차단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단기는 조작성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즉, 전기 배선 시설물의 전반적인 점검을 위해 차단기를 차단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일일이 차단기를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면, 몇개의 차단기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큰 불편함이 없지만, 대형건물의 전기 배선 시설물을 점검하는 경우와 같이 각 층에 있는 무수히 많은 차단기를 작업자가 하나 하나 수동 조작으로 차단해야 하므로,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등 작업에 상당한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종래의 차단기에는 별도의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즉, 차단기를 차단하고 작업을 하는 경우,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무심코 제3자에 의한 조작으로 차단기가 재차 통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푸시-풀 타입의 수동식 스위치 수단과 전자석을 이용한 자동식 스위치 수단을 연계적으로 구성하여 차단기의 수동조작 및 원격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전원의 차단상태를 표시하는 동시에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별도의 조작금지용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단기의 조작과 관련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차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1b는 종래의 차단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차단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통전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에서 안전 스위치에 의한 차단기의 차단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에서 지렛대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자 11 : 가동자
12 : 지렛대 13 : ON/OFF 손잡이
14 : 바이메탈 15 : 레버
16 : 케이스 17 : 중심점
18 : 스프링 19 : 가동편
20 : 전자석 스위치 21 : 원웨이 스톱퍼
22 : 푸시-풀 스위치 23 : 슬라이드 홈
24 : 안전 스위치 25 : 하부 케이스
26 : 코일 27 : 고정 철편
28 : 가동 철편 29 : 전자석 스프링
30 : 절연 플레이트 31 : 버튼
32 : 로드 33 : 푸시-풀 스프링
34 : 와이어 35 : 수직형 연결편
36 : 힌지핀 37 : 상부 케이스
38 : 하우징 39 : 가이드 블럭
40 : 접점 41 : 브라켓
42 : 핀 유도홈 43 : 돌출핀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입력측 및 출력측의 고정자(10)와, 입출력측의 고정자(10)를 선택적으로 통전 및 차단하는 가동자(11)와, 가동자(11)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지렛대(12)와, 지렛대(12)의 움직임을 가동자(11)에 전달하는 가동편(19)과, 과부하시 전류 차단을 위한 바이메탈(14) 및 레버(15)와, 이것들을 수용하는 케이스(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지렛대(12)의 중심측 한쪽에 힌지핀 구조를 통해 연결되며 별도의 전원신호를 받아 동작되면서 지렛대(12)의 ON/OFF 위치를 제어하는 전자석 스위치(20)와, 상기 지렛대(12)의 중심측 다른 한쪽에 힌지핀 구조로 연결되며 수동조작이나 또는 전자석 스위치(20)의 동작과 연계되어 ON/OFF 작동되면서 지렛대(12)의 ON/OFF 위치를 제어하는 동시에 원웨이 스톱퍼(21)를 이용하여 전자석 스위치(20)의 위치를 구속하는 푸시-풀 스위치(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시-풀 스위치(22)의 일측에 마련되는 케이스(16)상의 슬라이드 홈(23) 내에 설치되며, 수동조작에 의한 통전/차단 위치에 따라 레버(15)를 강제로 젖혀줄 수 있는 안전 스위치(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석 스위치(20)는 하부 케이스(25) 내에 안착 고정되며 전원을 공급받는 코일(26)을 이용하여 자화가능한 고정 철편(27)과, 지렛대(12)측과 함께 연동되며 고정 철편(27)의 자화 여부에 따라 상하 이동되면서 지렛대(12)를 작동시켜주는 가동 철편(28) 및 이것의 복원을 위한 전자석 스프링(29)과, 고정철편(27)과 가동 철편(28)의 절연을 위한 절연 플레이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시-풀 스위치(22)는 상부 케이스(37) 내에 배치되는 동시에 지렛대(12)측과 함께 연동가능하며 사용자의 누름조작을 위한 버튼(31) 및 로드(32)와, 상기 버튼(31) 및 로드(32)의 복원을 위한 푸시-풀 스프링(33)과, 케이스(16)의 내측에서 상단이 핀으로 지지되며 로드(32)의 일측과 일방향 슬라이드 결속되면서 버튼(31)의 반복적인 상승/하강 위치를 결정해주는 원웨이 스톱퍼(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석 스위치(20)의 가동 철편(28)에서 연장되는 와이어(34)와 상기 푸시-풀 스위치(22)의 로드(32)는 지렛대(12)의 양쪽 수직형 연결편(35)에 각각 하나의 힌지핀(36)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석 스위치(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은 리모콘 수단을 이용하여 펄스파를 인가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시-풀 스위치(22)를 수용하는 상부 케이스(37)와 전자석 스위치(20)를 수용하는 하부 케이스(25)는 차단기의 본체가 되는 케이스(16)의 위아래에 각각 일체식으로 조합된다.
상기 케이스(16)상에는 앞뒤로 입력측 및 출력측의 고정자(10)가 각각 설치되고, 그 사이에는 양쪽의 고정자(10)를 선택적으로 통전 및 차단하는 가동자(11)가 설치되며, 상기 가동자(11)를 움직여주기 위한 지렛대(12) 및 가동편(19)은 각각의 "ㄷ"자형의 하우징(38)과 가이드 블럭(39) 내에 설치된다.
이때의 지렛대(12)는 하우징(38)의 양편 벽체 사이에서 자유롭게 유동가능하게 위치되며, 그 선단은 스프링(18)에 의한 일방향 탄력지지를 받게 되는 동시에 후단은 레버(15)와의 상호 걸림작용을 통해 지지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후술하는 푸시-풀 스위치(22) 및 전자석 스위치(20)와 연동되면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되며, 스프링(18)에 의해 선단부에 작용하는 상방향의 힘은 레버(15)의 턱에 걸려지는 후단부의 지지력에 의해 상쇄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렛대(12)의 상하 이동에 의해 이것과 함께 움직이는 가동편(19)이 가동자(11)를 눌러줌으로써, 입력측 및 출력측의 고정자(10)가 가동자(11)에 의해 연결되어 통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8)의 뒷편으로는 출력측 고정자(10) 및 가동자(11)와 함께 접점을 이루는 바이메탈(14)과 레버(15)가 설치되며, 과부하시 바이메탈(14)이 팽창하여 레버(15)의 상단부를 뒷쪽으로 젖혀주면, 가동자(11)를 가압하고 있던 지렛대(12)는 스프링(18)의 힘을 받아 그 선단부가 위로 젖혀지게 되므로, 가동자(11)의 복원과 함께 차단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25)에는 바닥에 고정 철편(27)이 안착 설치되고, 그 윗쪽에는 이것과 짝을 이루는 가동 철편(28)이 배치된다.
상기 고정 철편(27)에는 코일(26)이 배속되어 있어서, 코일(26)의 접점(40)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이와 동시에 고정 철편(27)은 자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가동 철편(28)을 하방향으로 당길 수 있게 된다.
상기 가동 철편(28)은 절연 플레이트(30)를 사이에 두고 고정 철편(27)과 상하 대칭형 구조로 설치되며, 아래쪽의 전자석 스프링(29)에 의한 탄력지지를 받는 동시에 케이스(16)의 벽면을 통한 안내를 받으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그 몸체를 감싸고 있는 브라켓(41)으로부터 수직 연장되는 와이어(34)에 의해 지렛대(12)와 연동가능한 구조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전자석 스위치의 배치구조는 위에서 설명한 아래쪽 뿐만 아니라 주변부품들과의 설계변경에 의해 윗쪽이나 전후 및 좌우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코일(26)의 접점(40)으로 소정의 조작신호에 의한 전원이 공급되면, 고정 철편(27)이 자화되면서 가동 철편(28)을 아래로 당기게 되고, 계속해서 이러한 움직임은 와이어(34)를 통해 지렛대(12)로 전달되므로, 지렛대(12)가 아래로 당겨지면서 가동편(19)에 의해 가동자(11)와 고정자(10)가 접속된다.
즉, 전자석 스위치(20)의 동작에 의해 지렛대(12)가 작동되면서 차단기는 통전상태가 된다.
특히, 이때의 전원공급 방식은 작업자의 리모콘 조작에 의한 펄스파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1회 펄스파가 인가되면 전자석 스위치(20)에서는 가동 철편(28)과 고정 철편(27) 간의 1회 접촉작용 후, 곧바로 분리되는 작용이 진행되면서, 즉 전원의 차단되면서 전자석 스위치(20)는 해제상태로 전환되지만, 위의 지렛대(12)의 상태는 그대로 유지되면서 차단기의 통전상태도 지속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동원리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37)에는 작업자의 수조작에 의해 동작가능한 일체형의 버튼(31) 및 로드(32)가 설치되고, 상기 로드(32)의 일측에는 버튼(31)의 반복적인 상승/하강 위치, 즉 버튼(31)의 푸시상태 또는 풀상태를 결정하는 원웨이 스톱퍼(21)가 설치된다.
상기 버튼(31)은 상부 케이스(37)의 윗면을 통해 일부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로드(32)의 하단은 힌지핀(36)을 통해 지렛대(12)의 길이 중간에 있는 수직형 연결편(35)에 연결된다.
이러한 버튼(31) 및 로드(32)는 푸시-풀 스프링(33)에 의한 상방향 탄력지지를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원웨이 스톱퍼(21)에 의한 구속작용이 해제되는 경우 언제든지 위로 상승되어 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서는 위와 같은 지렛대(12)와 로드(32) 및 와이어(34)의 연결구조를 잘 보여주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렛대(12)의 길이 중간에는 양쪽 측단에서 아래쪽으로 수직 연장되는 2개의 수직형 연결편(35)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로드(32)와 와이어(34)는 각각의 연결편(35)에 일대일 대응되면서 하나의 힌지핀(36)에 의해 동시에 체결되므로서, 로드(32) 및 와이어(34)와 지렛대(12) 간의 일체 연동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은 로드(32) 및 와이어(34)와 지렛대(12) 간의 연결구조는 각각의 핀수단에 의해 그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원웨이 스톱퍼(21)는 상부 케이스(37)의 측벽 안쪽면에 핀으로 상단이 고정되면서 핀을 중심으로 약간의 유동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내측의 핀 유도홈(42)에는 상기 로드(32)의 돌출핀(43)이 결속되고, 이에 따라 버튼(31) 및 로드(32)의 상하 움직임에 따른 돌출핀(43)의 이동궤적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즉, 버튼(31)을 한번 누르면 원웨이 스톱퍼(21)의 핀 유도홈(42)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돌출핀(43)이 핀 유도홈(42)의 아래쪽 안착부위에 걸려지면서 버튼(31)의 하강 위치가 결정되고, 또 한번 누르면 역시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돌출핀(43)이 핀 유도홈(42)의 안착부위를 벗어나게 되면서 버튼(31)의 상승 위치가 결정되는 방식에 의해 버튼(31) 및 로드(32)의 상승 및 하강 위치가 반복해서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기시설 점검 작업 중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부 케이스(37)의 버튼(31)이 설치되는 위치의 일측에 길게 절개시킨 슬라이드 홈(23)을 형성하고, 이곳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안전 스위치(24)를 설치한다.
이때의 안전 스위치(24)는 슬라이드 홈(23)의 양쪽 측면에 홈을 파고 이곳에 끼워져 슬라이드되는 구조로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되는 안전 스위치(24)의 한쪽 끝은 외부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되며, 내측으로 위치되는 다른 한쪽 끝을 통해 레버(15)를 한 쪽으로 강제 젖혀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안전 스위치(24)의 OFF 위치에서는 그 끝이 레버(15)에 간섭을 주지 않게 되므로, 이때의 레버(15)는 정상시와 같이 과부하시 바이메탈(14)의 팽창작용에 의해 한쪽으로 젖혀질 수 있게 된다.
작업자가 안전 스위치(24)를 밀어서 ON 위치에 놓으면 그 끝이 레버(15)를 강제로 밀어서 젖혀주게 되므로, 레버(15)에 의해 구속되어 있던 지렛대(12)가 스프링(18)의 힘을 받아 젖혀지면서 차단기는 차단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즉, 안전 스위치(24)에 의해 레버(15)가 젖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전자석 스위치(20)나 또는 푸시-풀 스위치(22)를 조작해도 지렛대(12)의 동작 제어가 불가능해지므로, 차단기의 차단상태가 지속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는 차단기의 안전한 차단상태하에서 전기시설 점검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차단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차단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시-풀 스위치(22)와 전자석 스위치(20)는 각각의 주시-풀 스프링(33)과 전자석 스프링(29)의 힘에 의해 상승된 상태로 있게 되고, 위의 스위치들과 함께 연동되는 지렛대(12) 또한 자체의 스프링(18)에 의한 힘을 받으면서 각각의 로드(32)와 와이어(34)의 움직임에 따라 상승된 위치에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가동자(11)가 고정자(10)로부터 떨어지면서 차단기의 차단상태가 유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통전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푸시버튼이나 리모콘 유무선 원격제어수단 등을 통한 펄스신호(수초 이하의 전압전류 파형)를 인가하면, 전자석 스위치(20)의 코일(26)로 전원이 공급되는 동시에 가동 철편(28)은 고정 철편(27)측으로 당겨져 붙게 되고, 이와 함께 와이어(34)를 통해 지렛대(12)도 아래로 당겨지면서 가동편(19)과 가동자(11)가 차례로 눌려지게 되므로, 가동자(11)와 고정자(10)의 접속에 의한 차단기의 통전상태가 유지된다.
이때의 푸시-풀 스위치(22)는 지렛대(12)의 하향 이동에 따라 함께 당겨지면서 원웨이 스톱퍼(21)의 구속작용에 의해 하강 위치에서 고정되고, 가동 철편(28)과 고정 철편(27)은 전원상실에 따라 원래의 상태대로 떨어져 있어야 하지만, 위의 푸시-풀 스위치(22)의 하강 위치유지에 따라 약간의 간격만 유지한 상태로 떨어져 있게 된다.
즉, 전자석 스위치(20)의 작동은 원터치 방식(예를 들면, 펄스신호에 따라 전원이 순간적으로 1회 공급되어 가동 철편과 고정 철편이 한번 붙었다 떨어지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면서 푸시-풀 스위치(22)의 움직임만을 발생시키게 되며, 지렛대(12)를 통한 차단기의 통전상태는 실질적으로 원웨이 스톱퍼(21)를 이용한 푸시-풀 스위치(22)의 위치 유지작용에 의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동원리는 종전과 같이 지속적인 전자석 스위치(20)의 ON 상태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므로, 전력소모 등의 측면에서 효율적인 배선조합을 구성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차단기의 통전상태에서 차단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리모콘 등을 조작하여 펄스신호에 의한 전원을 한번 더 인가하면, 전자석 스위치(20)의 가동 철편(28)이 고정 철편(27)측으로 한번 붙었다 떨어지면서 푸시-풀 스위치(22)의 로드(32)를 살짝 아래로 당겼다 놓아주게 되고, 이에 따라 원웨이 스톱퍼(21)의 반복적인 일방향 구속 및 해제작용에 의해 푸시-풀 스위치(22)가 상승 위치로 복귀되므로, 지렛대(12)의 젖혀짐과 동시에 가동자(11)와 고정자(10) 간의 분리에 의해 차단기는 차단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차단기의 작동은 위와 같은 전자석 스위치(20)의 제어에 의존하지 않고도 푸시-풀 스위치(22)의 수동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푸시-풀 스위치(22)의 수동조작시에도 차단기의 작동상태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에서 안전 스위치에 의한 차단기의 차단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기의 통전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 스위치(24)를 한쪽으로 밀게 되면, 이것과 접촉하는 레버(15)가 강제로 젖혀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지렛대(12)는 그 후단부의 구속력이 해제되면서 선단부가 스프링(18)의 힘을 받아 위로 젖혀지게 되며, 이에 따라 가동편(19)과 가동자(11)가 위로 상승하면서 고정자(10)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 차단기는 전자석 스위치(20)나 푸시-풀 스위치(22)의 ON/OFF 여부에 관계없이 상시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15)는 단락, 과부하시 회로를 차단하기 위한 기능의 수단을 의미하며, 차단기의 사양이 적은 경우에는 위와 같은 미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고, 큰 경우에는 당기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원웨이 스톱퍼를 이용한 푸시-풀 타입의 수동식 스위치 수단과 전자석을 이용한 자동식 전자석 타입의 스위치 수단을 연계적으로 구성하여 차단기의 수동조작 및 원격제어를 가능하게 한 차단기를 제공함으로써, 차단기의 조작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대형 빌딩 등과 같이 많은 수의 차단기를 제어하는 경우에 보다 효과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원의 차단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또 부주의에 의한 오조작의 우려를 완전히 차단하면서 그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별도의 조작금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입력측 및 출력측의 고정자(10)와, 입출력측의 고정자(10)를 선택적으로 통전 및 차단하는 가동자(11)와, 가동자(11)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지렛대(12)와, 지렛대(12)의 움직임을 가동자(11)에 전달하는 가동편(19)과, 과부하시 전류 차단을 위한 바이메탈(14) 및 레버(15)와, 이것들을 수용하는 케이스(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지렛대(12)의 중심측 한쪽에 힌지핀 구조를 통해 연결되며 별도의 전원신호를 받아 동작되면서 지렛대(12)의 ON/OFF 위치를 제어하는 전자석 스위치(20)와, 상기 지렛대(12)의 중심측 다른 한쪽에 힌지핀 구조로 연결되며 수동조작이나 또는 전자석 스위치(20)의 동작과 연계되어 ON/OFF 작동되면서 지렛대(12)의 ON/OFF 위치를 제어하는 동시에 원웨이 스톱퍼(21)를 이용하여 전자석 스위치(20)의 위치를 구속하는 푸시-풀 스위치(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풀 스위치(22)의 일측에 마련되는 케이스(16)상의 슬라이드 홈(23) 내에 설치되며, 수동조작에 의한 통전/차단 위치에 따라 레버(15)를 강제로 젖혀줄 수 있는 안전 스위치(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스위치(20)는 하부 케이스(25) 내에 안착 고정되며 전원을 공급받는 코일(26)을 이용하여 자화가능한 고정 철편(27)과, 지렛대(12)측과 함께 연동되며 고정 철편(27)의 자화 여부에 따라 상하 이동되면서 지렛대(12)를 작동시켜주는 가동 철편(28) 및 이것의 복원을 위한 전자석 스프링(29)과, 고정 철편(27)과 가동 철편(28)의 절연을 위한 절연 플레이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풀 스위치(22)는 상부 케이스(37) 내에 배치되는 동시에 지렛대(12)측과 함께 연동가능하며 사용자의 누름조작을 위한 버튼(31)및 로드(32)와, 상기 버튼(31) 및 로드(32)의 복원을 위한 푸시-풀 스프링(33)과, 케이스(16)의 내측에서 상단이 핀으로 지지되며 로드(32)의 일측과 일방향 슬라이드 결속되면서 버튼(31)의 반복적인 상승/하강 위치를 결정해주는 원웨이 스톱퍼(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단기.
  5. 제 1, 3, 4 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스위치(20)의 가동철편(28)에서 연장되는 와이어(34)와 상기 푸시-풀 스위치(22)의 로드(32)는 지렛대(12)의 양쪽 수직형 연결편(35)에 각각 하나의 힌지핀(36)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단기.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스위치(20)에 전원을 공급하는방식은 리모콘 수단을 이용하여 펄스파를 인가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단기.
KR10-2002-0004590A 2002-01-25 2002-01-25 다기능 차단기 KR100430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590A KR100430896B1 (ko) 2002-01-25 2002-01-25 다기능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590A KR100430896B1 (ko) 2002-01-25 2002-01-25 다기능 차단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715U Division KR200272312Y1 (ko) 2002-01-28 2002-01-28 다기능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428A true KR20030064428A (ko) 2003-08-02
KR100430896B1 KR100430896B1 (ko) 2004-05-10

Family

ID=32219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590A KR100430896B1 (ko) 2002-01-25 2002-01-25 다기능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8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861B1 (ko) * 2006-05-09 2007-02-09 조남순 가로등
KR100830159B1 (ko) * 2006-11-23 2008-05-20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수동 스위치가 내장된 전자식 스위치
CN108597965A (zh) * 2018-03-15 2018-09-28 哈尔滨莱特兄弟飞行技术有限公司 一种仿真飞机断路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2752U (ko) * 1978-11-14 1980-05-19
JPS5664648U (ko) * 1979-10-23 1981-05-30
JPH10334784A (ja) * 1997-05-30 1998-12-18 Hitachi Ltd 電磁接触器
KR200255177Y1 (ko) * 2001-08-07 2001-12-20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판스프링을 개선한 알에프 스위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861B1 (ko) * 2006-05-09 2007-02-09 조남순 가로등
KR100830159B1 (ko) * 2006-11-23 2008-05-20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수동 스위치가 내장된 전자식 스위치
CN108597965A (zh) * 2018-03-15 2018-09-28 哈尔滨莱特兄弟飞行技术有限公司 一种仿真飞机断路器
CN108597965B (zh) * 2018-03-15 2023-12-12 哈尔滨莱特兄弟飞行技术有限公司 一种仿真飞机断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0896B1 (ko) 200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9140B2 (ja) コンタクタ・ブレーカー
US6864769B2 (en) Lockout mechanism for residual current devices
CA2833146C (en) Electrical load control with fault protection
US5901025A (en) Circuit breaker
KR20060030971A (ko) 배선용차단기의 압트립 장치
KR101210736B1 (ko) 회로 차단기
KR100430896B1 (ko) 다기능 차단기
AU2004201318A1 (en) Circuit breaker mechanism including mechanism for breaking tack weld
KR200272312Y1 (ko) 다기능 차단기
KR100475072B1 (ko)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부속장치
EP4109486A1 (en) Safety device and three-pole base
KR100848563B1 (ko) 배선용 차단기
KR100676967B1 (ko) 배선용 차단기
KR200276950Y1 (ko) 차단기 겸용 콘센트
KR101376548B1 (ko) 전력 개폐기
KR100549850B1 (ko) 회로차단기의 전압 트립 부속 장치
JP4013959B2 (ja) 漏電遮断器
KR101734229B1 (ko) 회로 차단기의 트립 구동 감지 유닛
KR200296862Y1 (ko) 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
KR200200481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KR100597973B1 (ko) 배선용 차단기
KR100430895B1 (ko) 전자개폐기
KR200427820Y1 (ko) 격리 장치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JPH0142276Y2 (ko)
JP2007115589A (ja) 電磁開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