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939A - 오탁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오탁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939A
KR20030063939A KR1020020004303A KR20020004303A KR20030063939A KR 20030063939 A KR20030063939 A KR 20030063939A KR 1020020004303 A KR1020020004303 A KR 1020020004303A KR 20020004303 A KR20020004303 A KR 20020004303A KR 20030063939 A KR20030063939 A KR 20030063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lock
plot
film
artificial reef
type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5194B1 (ko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김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철 filed Critical 김현철
Priority to KR10-2002-0004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194B1/ko
Publication of KR20030063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1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Details of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1Boats, rafts, buoy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refl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E02B15/0885Foa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E02B3/023Removing sedi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탁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해안 또는 해저에서의 매립준설공사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오탁방지장치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심야에도 오탁방지장치의 영역을 식별할 수 있는 오탁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탁방지장치의 결합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시공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고, 오탁방지막의 부구인 플롯(float)에 조명수단을 설치하여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오탁방지장치의 영역을 표시하는 경계선의 기능과 조업선박을 안내하는 기능을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롯(float)을 재활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산업폐기물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오탁방지장치를 인공어초형 앵커블록으로 해저에 고정함으로써 어류자원을 보호하고 증식시킬 수 있는 오탁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해안 또는 해저에서의 매립준설공사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오탁방지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오탁방지장치의 설치될 범위를 설정하여 막체를 재단하고 다수개의 보강벨트(2,4,7)를 재봉하여 오탁방지막(1)을 제작하고, 내부에 램프(27)가 장착되게 원형체의 플롯(10)을 사출성형하는 오탁방지막 및 플롯제작단계와; 현장으로 운반된 상기 오탁방지막(1)의 상부보강벨트(2)에 상기플롯(10)의 체결편(15)과 보강플레이트(17)를 각각 대응되게 위치하여 결합/고정하고, 상기 플롯(10)의 양측에 형성된 로프체결고리(13)에 플롯연결로프로(12)상호 연결한 후, 상기 상부보강벨트(2)의 제2체결홈(2a)에 고정하는 플롯결합단계와; 상기 오탁방지막(1)에 연결될 앵커블록을 무세골재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플랑크톤의 자유로운 이동 및 부착 어패류의 서식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으로 양생하는 앵커블록 제작단계와; 상기 오탁방지막(1)이 설치된 영역을 야간에도 식별가능하도록 상기 플롯(10)에 전구(25)가 내장된 중공형의 전구보호관(26)을 설치하고, 상기 램프(27)를 커넥터(28)로 연결하여 타이머(21)와 조도감지센서(22)에 의해 외부의 전원(20)에 인가하도록 설치하는 조명수단의 설치단계와; 상기 조명수단이 설치된 오탁방지막(1)과 상기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을 해안의 공사현장으로 인양한 후, 길이조절용 클립(37)과 와이어로프(38)로 상호 연결하여 상기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을 해저에 설치하는 자재인양 및 조립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탁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Interception device of pollution matt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it}
본 발명은 오탁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해안 또는 해저에서의 매립준설공사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오탁방지장치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심야에도 오탁방지장치의 영역을 식별할 수 있는 오탁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해안 또는 해저에서 준설공사, 축조공사 또는 간척공사를 할 때는 토사 또는 부유물질이 함유된 오탁수가 발생되어 공사장 인근의 수중으로 확산되므로 공사지역의 생태계에 영향을 줌은 물론이고, 주변 어장을 황폐화 시키거나 수자원을 황폐하시키므로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지 않고 일정한 구역내에 격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공사장 주위에 오탁방지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오탁방지장치는 토사와 같은 해상 부유물을 격리하는 막체등으로 제작된 오탁방지막의 상단에 플롯(float)을 부착하고 오탁방지막의 하단을 해저면에 고정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오탁방지장치에 사용되는 오탁방지막은 공사 현장의 자연환경 조건에따라 높이, 길이 등의 규격을 조절하는 것은 물론이고, 오탁 방지막을 구성하는 막체의 재질을 선택 사용하여야 한다.
예를들면, 강이나 바다에서 공사가 진행되는 경우에는 비중이 1.1 이상이고 내수성이 강한 폴리프로필렌 막체를 오탁방지막으로 사용하는바, 물의 유속, 풍향, 조류의 방향등을 고려하여 오탁방지막을 지지하는 보조 수단을 부설하여야 한다.
즉, 조류의 흐름이 빠르지 않고 방향이 일정하며,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는 공사 현장에는 오탁방지막에 플롯(float)만을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으나, 파도가 심하고 조류의 속도가 빠르며 조류의 방향의 수시로 변하고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는 해안공사현장, 예를들면 외항에 설치하는 오탁방지막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예를들면, 대한민국 서해안 영종도에 건설하는 수도권 공항건설 공사장 주변의 해역에서는 유속의 51.7∼226.6cm/s이고, 조량은 137.8×106∼1207.3×106m3이며, 조향은 31°∼278°로 나타나므로 이 지역에 2.2m×20m의 포지 150개를 연결하여 오탁방지막을 설치하는 경우, 오탁방지막이 받는 최대 압력은 426.94MPa, 즉 426.94×106N/m2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에 설치되는 오탁방지막은 최소한 전술한 압력에 유지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그러나, 태풍과 같은 최악의 해상 조건에서는 전술한 압력보다 더 큰 압력을 받게되므로 실제적으로 이러한 기상조건하에서는 오탁방지막에 부이만 부착된 오탁방지장치로는 전술한 큰 압력에 견딜수 없게 된다.
특히, 해안 공사에서는 오탁방지막을 설치하는 길이가 수km 정도로 길어질수도 있는바, 이와같은 긴 단일 오탁방지막을 제작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수십개 내지 수백개의 오탁방지막을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 종래의 오탁방지막은 상단부의 플롯(float)을 고정하게 되는데, 이 경우 폴리프로필렌수지의 막체에 볼트와 너트를 고정하는 것으로, 그 결합강도가 낮아 오탁방지막에 가해지는 압력이 크면 오탁방지막을 서로 연결하는 플롯(float)이 파손될 수도 있고, 그 시공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오탁방지막을 해저에 고정하는 앵커블록은 콘크리트로 제작하여 사용하므로, 장시간 해저에 방치하게 되면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어, 이를 다시 제거제거해야 하는 후처리 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오탁방지막에는 별도의 표시수단이 없어 야간에는 오탁방지막의 설치영역을 식별하기가 어려웠으며, 이로 인해 불측의 사고로 어선이나 조업선박에 걸려 상기 오탁방지막이 손상될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 어선이 좌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해안 또는 해저에서의 매립준설공사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오탁방지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오탁방지장치의 설치될 범위를 설정하여 막체를 재단하고 다수개의 보강벨트(2,4,7)를 재봉하여 오탁방지막(1)을 제작하고, 내부에 램프(27)가 장착되게 원형체의 플롯(10)을 사출성형하는 오탁방지막 및 플롯제작단계와; 현장으로 운반된 상기 오탁방지막(1)의 상부보강벨트(2)에 상기 플롯(10)의 체결편(15)과 보강플레이트(17)를 각각 대응되게 위치하여 결합/고정하고, 상기 플롯(10)의 양측에 형성된 로프체결고리(13)에 플롯연결로프로(12)상호 연결한 후, 상기 상부보강벨트(2)의 제2체결홈(2a)에 고정하는 플롯결합단계와; 상기 오탁방지막(1)에 연결될 앵커블록을 무세골재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플랑크톤의 자유로운 이동 및 부착 어패류의 서식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으로 양생하는 앵커블록 제작단계와; 상기 오탁방지막(1)이 설치된 영역을 야간에도 식별가능하도록 상기 플롯(10)에 전구(25)가 내장된 중공형의 전구보호관(26)을 설치하고, 상기 램프(27)를 커넥터(28)로 연결하여 타이머(21)와 조도감지센서(22)에 의해 외부의 전원(20)에 인가하도록 설치하는 조명수단의 설치단계와; 상기 조명수단이 설치된 오탁방지막(1)과 상기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을 해안의 공사현장으로 인양한 후, 길이조절용 클립(37)과 와이어로프(38)로 상호 연결하여 상기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을 해저에 설치하는 자재인양 및 조립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탁방지장치의 설치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탁방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탁방지막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부분확대단면도,
도 5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탁방지막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
도 7은 도 6의 "B"부분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롯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롯의 측면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형 앵커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형 앵커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c는 도 10b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수단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오탁방지막 2 : 상부보강벨트
2a : 제2체결홈 3 : 보강로프
4 : 측면보강벨트 5 : 제1연결공
6 : 연결로프 7 : 하부보강벨트
9a : 연결구 9b : 금구
9c : 체인 10 : 플롯(float)
11 : 플롯본체 12 : 플롯연결로프
13 : 로프체결고리 14 : 고정구
15 : 체결편 15a : 제1체결홈
17 : 보강플레이트 17a : 제3체결홈
18a : 볼트 18b : 너트
19 : 전선삽입관 20 : 전원
21 : 타이머 22 : 조도감지센서
23 : 전선 24 : 전선관
25 : 전구 26 : 전구보호관
27 : 램프 28 : 커넥터
28a : 플러그 28b : 소켓
29 : 커버 30 : 인공어초형 앵커블록
31 : 앵커블록본체 32 : 조류환구멍
33 : 결합홀 35 : 앵커블록고리
36 : 스파이크(spike) 37 : 클립(clip)
38 : 와이어로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탁방지장치의 설치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따른 오탁방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탁방지막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탁방지막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부분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롯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롯의 측면도이고,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형 앵커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형 앵커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c는 도 10b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수단의 회로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탁방지장치의 시공방법은 오탁방지장치의 설치될 범위를 설정하여 막체를 재단하고 다수개의 보강벨트(2,4,7)를 재봉하여 오탁방지막(1)을 제작하고, 내부에 램프(27)가 장착되게 원형체의 플롯(10)을 사출성형하는 오탁방지막 및 플롯제작단계와; 현장으로 운반된 상기 오탁방지막(1)의 상부보강벨트(2)에 상기 플롯(float,10)의 체결편(15)과 보강플레이트(17)를 각각 대응되게 위치하여 결합/고정하고, 상기 플롯(10)의 양측에 형성된 로프체결고리(13)에 플롯연결로프로(12)상호 연결한 후, 상기 상부보강벨트(2)의 제2체결홈(2a)에 고정하는 플롯결합단계와; 상기 오탁방지막(1)에 연결될 앵커블록을 무세골재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플랑크톤의 자유로운 이동 및 부착 어패류의 서식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으로 양생하는 앵커블록 제작단계와; 상기 오탁방지막(1)이 설치된 영역을 야간에도 식별가능하도록 상기 플롯(10)에 전구(25)가 내장된 중공형의 전구보호관(26)을 설치하고, 상기램프(27)를 커넥터(28)로 연결하여 타이머(21)와 조도감지센서(22)에 의해 외부의 전원(20)에 인가하도록 설치하는 조명수단의 설치단계와; 상기 조명수단이 설치된 오탁방지막(1)과 상기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을 해안의 공사현장으로 인양한 후, 길이조절용 클립(clip,37)과 와이어로프(38)로 상호 연결하여 상기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을 해저에 설치하는 자재인양 및 조립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오탁방지장치의 시공방법을 각 공정으로 분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탁방지막 및 플롯 제작단계
해안 매립지 등의 항만공사시 발생되는 오탁물을 차단하기 위해 오탁방지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 먼저 시공해야 할 범위를 조사하여 현장의 크기에 맞게 상기 오탁방지막(1)을 재단하고 재봉하게 된다.
상기 오탁방지막(1)의 가장자리에는 토목섬유로 접어서 중첩되게 봉착한 보강벨트를 재봉하고, 상기 오탁방지막(1) 내측의 가로방향에 다수개의 수평보강벨트(B1)와 세로방향에 수직보강벨트(B2)를 각각 재봉하여 상기 오탁방지막(1)에 강도를 부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벨트 중 상부보강벨트(2)를 다시 중첩되게 접은 후, 직경 10mm의 보강로프(3)를 삽입하여 재봉함으로써 플롯(10)을 상기 상부보강벨트(2)에 결합시 막체의 처짐현상을 방지하며,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측면보강벨트(4)는 상기 오탁방지막(1)을 다수개로 횡방향으로 연결이 용이하도록 재봉되어 있다.
상기 상부보강벨트(2)에는 다수개의 제2체결홈(2a)을, 양측의 측면보강벨트(4)에는 인접 오탁방지막(1)과 연결하기 위해 아이렛(eyelet) 형상으로 다수개의 제1연결공(5)을, 그리고 하부보강벨트(7)에는 다수개의 제2연결공(5)을 각각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보강벨트(7)에는 중량감 있는 다수개의 체인(9c)이 결합되어 상기 오탁방지막(1)을 해안에 설치시 상기 체인(9c)에 자중에 의해 막체가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오탁방지막(1)의 상부보강벨트(2)에 결합되는 부구용 플롯(float,10)은 합성수지재로 구비되며, 이는 소모성이 아니라 재활용이 가능하여 오탁방지막(1)의 설치시마다 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롯(10)은 도8 및 도 9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체로 형성된 플롯본체(11)와, 상기 플롯본체(11)를 플롯연결로프(12)로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양측에 일정길이로 돌출된 로프체결고리(13)와, 상기 플롯본체(11) 상부에 고리형상으로 돌출된 고정구(14)와, 상기 플롯본체(11) 하부에 일정길이로 연장됨과 아울러 다수개의 제1체결홈(15a)을 갖는 체결편(15)이 형성되도록 성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플롯(10) 내부에는 조명수단 중에 하나인 램프(27)가 장착하게 되는데, 상기 램프(27)로 부터 연결된 플러그(28a)가 상기 플롯본체(11) 상부의 내측에 구비된 전선삽입관(19)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플롯(10)이 성형되면, 상기 플롯(10)을 포함하여 상기 오탁방지막(1) 및 연결부품들을 현장으로 운반하게 된다.
플롯결합단계
현장으로 운반된 상기 플롯(float,10)을 상기 상부보강벨트(2)에 연결/고정하게 되는데 도 6과 같이, 먼저 상기 상부보강벨트(2)의 제2체결홈(2a)의 후면부에 상기 플롯(10)의 제1체결홈(15a)이 일치되도록 위치하고, 이어서 다수개의 제3체결홈(17a)이 형성된 금속성의 보강플레이트(17)를 상기 보강벨트의 전면부에 위치하여 볼트(18a)와 너트(18b)로 상기 제1/2/3체결홈(15a,2a,17a)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플롯(10)을 상기 상부보강벨트(2)에 결합하게 된다.
즉,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상부보강벨트(2)를 중심으로 상기 금속성의 보강플레이트(17)와 상기 합성수지제로 된 상기 플롯(10)의 체결편(15)을 각각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볼트(18a)와 너트(18b)를 체결함으로써, 체결강도가 상승되어 상기 플롯(10)을 견고하게 결합/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플롯(1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로프체결고리(13)에 플롯연결로프(12)로 상호 연결하고 상기 상부보강벨트(2)의 제2체결홈(2a)에 고정함으로써, 인접되어 있는 상기 플롯(10)간의 연결을 도모함과 아울러, 상기 오탁방지막(1)에 부력을 부여하게 된다.
앵커블록 제작단계
상기 플롯결합작업과 동시에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을 현장에서 직접 제작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0a과 같이 물, 시멘트, 굵은골재로 구성된 무세골재 콘크리트로 육교형으로 양생하게 된다.
상기 무세골재 콘크리트는 일반적인 콘크리트에서 충진재로 작용하는 모래가 함유되지 않는 것으로, 양호한 공극율을 갖는다.
즉, 무세골재 콘크리트는 시멘트 페이스트가 피복된 굵은 골재만으로 콘크리트를 형성하여 큰 공극을 발생시킨 것으로 일반적인 콘크리트에 비해 강도는 떨어지지만 공극율이 매우 향상된다.
이와 같이, 무세골재 콘크리트는 양호한 공극율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 벽면 내부를 통한 플랑크톤의 자유로운 이동 및 부착 어패류의 서식이 양호해 생산성이 높은 어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세골재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제작된 상기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b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앵커블록본체(31)와, 상기 앵커블록본체(31)의 사방면 중앙부에 소정크기로 형성된 조류환구멍(32)과, 상기 조류환구멍(32)이 형성된 사방주벽에 다수개의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을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홀(33)과, 상기 앵커블록본체(31) 상부의 가장자리에 샤클(shackle)형상의 연결구(9a)로 연결할 수 있도록 소정길이로 돌출된 앵커블록고리(3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앵커블록본체(31)의 저부에 요철형상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해저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스파이크(spike,36)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조명수단의 설치단계
상기 오탁방지막(1)의 설치된 영역을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고 조업선박을 안내하는 기능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플롯(10)에 조명수단을 설치하게 된다.
먼저, 상기 다수개의 플롯본체(11) 상부의 고정구(14)에 전선(23)이 내장된 전선관(24)을 끼운다.
상기 전선(23)은 외부의 전원(20)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선관(24)에는 일정간격으로 인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인출홈(24a)을 통해 상기 전선(23)으로 부터 연장된 소켓(28b)이 상기 전선관(24) 저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소켓(28b)과 상기 플롯본체(11) 내부의 램프(27)로 부터 인출된 플러그(28a)를 상기 소켓(28b)에 접속시킴으로써 외부의 전원(20)과 연결되어진다.
여기서, 인출홈(24a)은 해수가 침투되지 않도록 실리콘 등으로 밀봉되고, 상기 플러그(28a)와 소켓(28b)으로 구성된 커넥터(28)에는 타원형의 케이스 형상으로 된 커버(29)를 씌움으로써 해수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어서, 상기 플롯본체(11) 상부의 고정구(14)에 또 다른 조명수단인 상기 전원(20)과 상기 전선(23)에 의해 연결된 다수개의 전구(25)가 내장된 중공형의 전구보호관(26)을 끼우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선관(24) 및 전구보호관(26)은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파도에 의해 상기 플롯(10)이 유동되어도 충격을 흡수함과 아울러 해수의 침투를 방지하여 내부의 상기 전선(23)과 전구(25)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원(20)으로 부터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상기 조명수단에 일정시간 간격으로 공급/차단할 수 있도록 타이머(2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타이머(21) 외에 상기 전원(20)으로 부터 인가되는 전원전압이 검출된 조도값에 의해 상기 전구(25)와 램프(26)로 공급/차단될 수 있도록 조도감지센서(22)에 의해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타이머(21)에 의해 입력된 시간에 상기 전구(25)와 램프(27)가 1차적으로 on/off되며, 상기 조도감지센서(22)에 의해 검출된 조도량에 의해 2차적으로 on/off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명수단은 먼저 상기 전선관(24)에 내장된 전구(25)에 상기 전원(20)을 인가하여 야간에 상기 오탁방지막(1)의 영역을 표시하게 되며, 불측의 사고로 상기 전구(25)가 작동되지 않으면, 상기 램프(27)에 전원(20)을 인가함으로써 이를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자재인양 및 조립단계
조명수단이 설치된 상기 플롯(10)이 오탁방지막(1)에 결합된 상태로 적재하고, 연결부품 및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도 함께 적재하여 바지선으로 해안의 공사현장으로 인양하게 된다.
인양된 상기 오탁방지막(1)을 설치수역에 맞게 여러개를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상부보강벨트(2)의 제2체결홈(2a)에서샤클(shackle) 등의 연결구(9a) 및 금구(9b)를 사용하여 인접한 오탁방지막과 연결하며, 상기 측면보강벨트(4)의 제1연결공(5)에 각각 연결로프(8)로 삽입하여 결합하는 방법으로 다수개의 오탁방지막(1)을 연결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을 상기 오탁방지막(1)에 연결하는 작업은 먼저, 상기 앵커블록고리(35)와 샤클(shackle)형상의 연결구(9a)를 체결하고, 여기에 길이조절용 클립(clip,37)과 와이어로프(38)의 일측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로프(38)의 타측을 상기 하부보강벨트(7)의 제2결공(8)에 고정된 금구(9b)에 샤클(shackle) 등의 연결구(9a)로 연결하여 상기 오탁방지막(1)과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을 연결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 2개를 상기 상부보강벨트(2)의 제2체결홈(2a)에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 3개를 1조로 하여 상기 오탁방지막(1)이 설치되는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한다.
상기 오탁방지막(1)에 연결된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을 해저에 투하하여 잠수인력을 통해 해저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의 저부에 형성된 스파이크(spike,36)에 의해 용이하게 해저에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한 후에는 상기 오탁방지막(1)이 처짐이 없이 수면에서 평행하도록 상기 클립(clip,37)을 통해 길이를 조절한다.
상기 하부보강벨트(7)에 연결되는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은 서브앵커블록이며, 상기 오탁방지막(1)과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보강벨트(2)에 연결되는2개의 인공어초형 앵커블록(10)은 메인앵커블록으로 상기 상부보강벨트(2)로 부터 양측으로 일정간격이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오탁방지막(1)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보강벨트(7)에 연결된 체인(9c)의 자중에 의해 상기 오탁방지막(1)이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어 오탁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은 1개를 설치하거나, 필요에 따라 다수개를 적재하여 해저에 설치할 수 있는데 도 10c와 같이, 다수개를 적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파이크(spike,36)가 형성된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을 최하부에 설치하고, 상기 스파이크(spike,36)가 형성되지 않은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을 그 상부에 적절하게 적재함으로써, 어패류의 서식공간을 확대함과 아울러 상기 오탁방지막(1)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시공방법으로 오탁방지막(1)의 설치가 끝나게 되면, 상기 플롯(10)에 설치된 조명수단을 상기 전원(20)에 인가하여 작동여부를 점검하고, 연결부분을 점검함으로써 본 발명의 오탁방지장치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오탁방지장치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특히 플롯을 보강플레이트를 대고 오탁방지막에 볼트와 너트로 용이하게 결합함으로써, 결합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시공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오탁방지막의 부구인 플롯(float)에 조명수단을 설치하여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오탁방지장치의 영역을 표시하는 경계선의 기능과 조업선박을 안내하는 기능을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롯(float)을 재활용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산업폐기물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롯이나 조명수단이 파도에 의해 부분적으로 파손되거나 단락된 경우, 파손된 구성요소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장치의 수명이 오래 지속될 뿐만 아니라 사용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오탁방지장치를 인공어초형 앵커블록의 스파이크에 의해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막체의 처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앵커블록을 인공어초형으로 구비하여 오탁방지장치의 해체시, 이를 제거시키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보전함으로써, 어류자원의 서식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보호 및 증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해안 또는 해저에서의 매립준설공사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오탁방지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오탁방지장치의 설치될 범위를 설정하여 막체를 재단하고 다수개의 보강벨트(2,4,7)를 재봉하여 오탁방지막(1)을 제작하고, 내부에 램프(27)가 장착되게 원형체의 플롯(10)을 사출성형하는 오탁방지막 및 플롯제작단계와;
    현장으로 운반된 상기 오탁방지막(1)의 상부보강벨트(2)에 상기 플롯(10)의 체결편(15)과 보강플레이트(17)를 각각 대응되게 위치하여 결합/고정하고, 상기 플롯(10)의 양측에 형성된 로프체결고리(13)에 플롯연결로프로(12)상호 연결한 후, 상기 상부보강벨트(2)의 제2체결홈(2a)에 고정하는 플롯결합단계와;
    상기 오탁방지막(1)에 연결될 앵커블록을 무세골재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플랑크톤의 자유로운 이동 및 부착 어패류의 서식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으로 양생하는 앵커블록 제작단계와;
    상기 오탁방지막(1)이 설치된 영역을 야간에도 식별가능하도록 상기 플롯(10)에 전구(25)가 내장된 중공형의 전구보호관(26)을 설치하고, 상기 램프(27)를 커넥터(28)로 연결하여 타이머(21)와 조도감지센서(22)에 의해 외부의 전원(20)에 인가하도록 설치하는 조명수단의 설치단계와;
    상기 조명수단이 설치된 오탁방지막(1)과 상기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을 해안의 공사현장으로 인양한 후, 길이조절용 클립(37)과 와이어로프(38)로 상호 연결하여 상기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을 해저에 설치하는 자재인양 및 조립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장치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어초형 앵커블록(3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앵커블록본체(31)와;
    상기 앵커블록본체(31) 사방면의 중앙부에 소정크기로 형성된 조류환구멍(32)과;
    상기 조류환구멍(32)이 형성된 사방주벽에 다수개의 인공어초형 앵커블록을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홀(33)과;
    상기 앵커블록본체(31) 상부의 가장자리에 샤클(shackle)형상의 연결구(9a)로 연결할 수 있도록 소정길이로 돌출된 앵커블록고리(35)와;
    상기 앵커블록본체(31)의 저부에 요철형상으로 돌출되어 해저에 용이하게 고정하는 스파이크(3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장치.
KR10-2002-0004303A 2002-01-24 2002-01-24 오탁방지장치의 시공방법 KR100485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303A KR100485194B1 (ko) 2002-01-24 2002-01-24 오탁방지장치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303A KR100485194B1 (ko) 2002-01-24 2002-01-24 오탁방지장치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939A true KR20030063939A (ko) 2003-07-31
KR100485194B1 KR100485194B1 (ko) 2005-04-22

Family

ID=32219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303A KR100485194B1 (ko) 2002-01-24 2002-01-24 오탁방지장치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1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808B1 (ko) * 2004-06-16 2005-07-20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오탁방지막 앵커
KR101030259B1 (ko) * 2011-01-24 2011-04-22 창신개발(주) 오탁방지막에 설치된 양닻가지형 앵커
CN111827209A (zh) * 2020-07-27 2020-10-27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拦漂设施及其施工方法
KR102576073B1 (ko) * 2023-01-11 2023-09-06 양병선 설치와 철수가 용이한 오탁방지막 및 이의 설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614B1 (ko) * 2006-10-18 2007-01-11 (주)케이지엔지니어링 상수도용 취수탑 오탁방지시설 설치구조
KR101030258B1 (ko) * 2010-05-17 2011-04-22 창신개발(주) 양닻가지형 앵커가 구비된 오탁방지막
KR102035663B1 (ko) 2018-04-18 2019-11-08 현대건설주식회사 인접 취수 펌프 시설의 수질 관리를 위한 오탁방지막 시설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855Y1 (ko) * 1994-05-30 1997-04-03 유도실업 주식회사 경광등이 설치된 해태 양식용 부구
JPH1084814A (ja) * 1996-09-19 1998-04-07 Hakko Denki Kk フロート
KR100225025B1 (ko) * 1996-12-09 1999-10-15 김승취 오탁방지장치
KR19990005357U (ko) * 1997-07-12 1999-02-18 성기팔 양식장용 부구
KR980000116U (ko) * 1997-12-15 1998-03-30 허재광 발광등 부자
KR20000007004A (ko) * 1999-11-13 2000-02-07 이근희 중소하천의 어족(魚族)보호와 양서류(兩棲類)의이동통로를 가진 낙차공과 호안의 시공방법.
KR200232407Y1 (ko) * 2001-02-15 2001-09-29 원 회 양 어초기능을 구비한 방파제 피복용 소파블럭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808B1 (ko) * 2004-06-16 2005-07-20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오탁방지막 앵커
KR101030259B1 (ko) * 2011-01-24 2011-04-22 창신개발(주) 오탁방지막에 설치된 양닻가지형 앵커
CN111827209A (zh) * 2020-07-27 2020-10-27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拦漂设施及其施工方法
KR102576073B1 (ko) * 2023-01-11 2023-09-06 양병선 설치와 철수가 용이한 오탁방지막 및 이의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5194B1 (ko) 200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06292B (zh) 用于在自浮式海洋地基上安装防冲刷材料的系统及该系统的相关方法和用途
JP3983675B2 (ja) 永久・半永久防波堤構造体および海岸部および陸地部再生方法
KR101272903B1 (ko)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
US5944443A (en) Adjustable porous groynes and method for shoreline reclamation
KR101689630B1 (ko) 에어버블을 이용한 이동식 소음,진동 오탁 방지 장치
AU2002256111B2 (en) Adjustable porous structures and method for shoreline and land mass reclamation
KR100485194B1 (ko) 오탁방지장치의 시공방법
US6722817B2 (en) Adjustable porous structures and method for shoreline and land mass reclamation
AU2002256111A1 (en) Adjustable porous structures and method for shoreline and land mass reclamation
KR101930491B1 (ko) 수중 방어 장치
KR101143149B1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 설치방법
CN1406303A (zh) 用于水土流失控制和岸防工事的方法以及用于水土流失控制和岸防的结构
KR101912576B1 (ko) 오탁방지막 수중 앵커용 섬유돌망태
JP7475243B2 (ja) 海底長尺物の保護構造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海底長尺物の保護方法
KR101147553B1 (ko) 오탁 방지공법
CN211898581U (zh) 一种海上风电桩基础的防冲刷保护装置
KR100225025B1 (ko) 오탁방지장치
CN113136848A (zh) 一种水下隔物帘及其安装方法
KR102576073B1 (ko) 설치와 철수가 용이한 오탁방지막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580666B1 (ko) 호롱말뚝형 앵커를 이용한 친환경 오탁방지시설
JP7345701B1 (ja) 洗掘防止ユニットの撤去方法
KR100530616B1 (ko) 해저 케이블 보호용 합성 그물망 콘크리트 덮개 설치구조
KR102606363B1 (ko)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방지 가시설
KR20120007093U (ko) 오탁방지막 장치
KR19980044955A (ko) 오탁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