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1535A -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를 포함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직물 - Google Patents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를 포함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1535A
KR20030061535A KR1020020002064A KR20020002064A KR20030061535A KR 20030061535 A KR20030061535 A KR 20030061535A KR 1020020002064 A KR1020020002064 A KR 1020020002064A KR 20020002064 A KR20020002064 A KR 20020002064A KR 20030061535 A KR20030061535 A KR 20030061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stainless steel
electromagnetic wave
woven
ya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하
Original Assignee
화이버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이버텍 (주) filed Critical 화이버텍 (주)
Priority to KR1020020002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1535A/ko
Publication of KR20030061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53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5Met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21Maternity clothing; Clothing specially adapted for persons caring for infa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4Aprons; Fastening devices for apr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12Threads containing metallic filaments or stri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6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warp or weft elements other than yarns or threads
    • D03D15/67Metal wi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9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fibres, e.g. metal fibres, carbon fibres, metallised textile fibres, electro-conductive mesh, woven, non-woven mat, fleece, cross-linke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4Floor or wall coverings; Carpe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파 차폐용 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은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를 천연 섬유 또는 반합성 섬유계 방적사(紡績絲), 합성 필라멘트사 또는 방적사와 합성 필라멘트사와의 혼방사(混紡絲)와 혼섬하여 복합사로 하고 당해 복합사를 경사 또는 위사로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은 전자기파 차단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인장강도, 인렬강도, 신도, 유연성, 태깔 등 또한 우수하다.

Description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를 포함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직물{Electromagnetic Wave Shield Fabrics Comprising Stainless Steel Metal Yarns}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한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는 제직물 또는 편직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스테인레스 강 봉재(俸材)를 모재(母材)로 하여 신선가공(伸線加工)으로 수득한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를 포함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woven fabric) 또는 편직물(knitted fabric)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는 전하(電荷)가 급속하게 진동하거나 전류가 진동적으로 변할 때 발생하며, 그 통로에 해당되는 공간에 전기적 작용을 미치면서 빛과 같은 속도로 전파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전자기파는 파장이 1㎜ 내지 1m에 이르는 마이크로파로서, 이의 파장이 3㎝ 이하인 경우에는 인체의 피부에 흡수되고, 이의 파장이 3㎝ 내지 10㎝인 경우에는 피부속 1㎝까지 침투할 수 있으며, 이의 파장이 25㎝ 이상인 경우에는 피부속 깊이 침투하여 장기(臟器)에까지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속 깊이까지 침투한 마이크로파는 대부분 열로 변환되어 생체 조직의 온도를 상승시킴에 따라 체온을 상승시키고, 이로 인하여 인체의 면역 기능을 파괴하고 암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생식 기능을 파괴하여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는 유해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오늘날 핸드폰, 무선 호출기 및 무선 전화기 등의 통신 기기와 컴퓨터, 전기 매트 및 TV 전자 레인지 등의 전자제품 또는 가전제품이 실생활에 급속히 보급됨에 따라 생활상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생활상의 편리성만이 부각된 채, 현대 생활에 있어서 필수품화되고 있는 휴대 전화기, 무선 전화기, 컴퓨터, 전기 매트, 무선 호출기, TV, 전자 레인지 및 냉장고 등의 각종 전자제품 또는 가전제품들을 작동시키면 어김없이 인체에 아주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전자기파(電磁氣波)가 방출된다는 사실을 등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인체에 유해한 전자기파를 흡수 차단하기 위한 제품으로서, 금, 은, 구리, 니켈, 크롬, 게르마늄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을 판상체(板狀體)로 하여 포함하는 제품, 감람석, 맥반석, 옥, 세라믹 등의 무기 광물재료를 분말상으로 하고 이를 수지에 혼입시켜 시트상 필름으로 하여 이들을 적층시켜 포함하는 제품, 페라이트(ferrite)를 포함하는 제품, 전자기파 차단성 수지 조성물을 기재(基材)의 한 면 또는 양면에 피복처리한 판상체를 적층시켜 포함하는 제품, 도전성 섬유를 경사 또는 위사로서 사용하여 제직하거나 편성한 제직물 또는 편직물을 포함하는 제품 등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들어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개개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전자기파가 인체의 건강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유해 전자기파를 차단하려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매트릭스 수지(matrix resin)에 도전성 섬유(導電性 纖維)를 혼입시킴으로써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는 물질이 이즈미(Izumi) 등의 미국 특허 제4,690,642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당해 특허에 기재되어 있는 전자기파 차단 물질은 전자기파 차단력이 뒤떨어질 뿐만 아니라, 당해 물질로 제조한 전자기파 흡수체를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는 각종 장치들의 회로 기판(circuit substrate)에 장착시키는 경우, 장치의 제조공정과 이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미국 특허 제5,989,720호에는, 제1 구성 성분으로서 실리콘 수지와 세라믹 물질과의 혼합물을 함유하며 제2 구성 성분으로서 알루미늄 분말과 스테인레스 금속 분말을 함유하는 전자기파 차폐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는데, 당해 스테인레스 금속 분말에는 백금 분말, 플라티늄 분말, 스테인레스 강 분말, 티탄 분말 및 마그네슘 분말이 포함된다.
미국 특허 제5,458,967호에는 기상 성장 탄소섬유(carbon fiber)를 함유하는 도전성 열용융형 접착제(conductive hot melt adhesive)와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하는 전자기파 차폐성 복합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474,676호에는, 단섬유, 단편, 박편 또는 입상물 형태의 강유전성(强誘電性) 비정질 합금을 중합체성 유기 물질 속에 혼입시킨 전자기파 차폐재료가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458,967호에는, 알루미늄, 구리, 니켈, 크롬, 주석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는 도전성 층을 플라스틱 성형물의 표면에 제공하여 전자기파 차폐성 플라스틱 성형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1-200470호에는, 페놀 수지 섬유의 표면에 도전체 층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전자파 차단용 제직물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1-119236호에는, 금속막과 알칼리 금속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막(液膜)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되고 두께가 200 내지 2000㎚인 금속 산화물 막으로 이루어진 차폐성 막과 투명한 필름으로 이루어진 전자파 차단용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1-200470호에는, 철, 니켈, 코발트 등의 연자성(軟磁性) 금속 분말을 고무 또는 플라스틱의 매트릭스 속에 분산시킨 것을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진 전자파 차단재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1-200470호에는, 전파 반사층, 당해 반사층의 양면에 배치된 전파 흡수층 및 금속, 합금 또는 금속 산화물의 피막인 임피던스 피막을 포함하는 전자파 흡수체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1-156489호에는, 도전부(導電部)와 감광성 경화형 수지의 경화물로 이루어진 광 투과부(光透過部)로 이루어진 전자파 차단층이 박리성(剝離性) 필름의 적어도 한 면 위에 설치되어 있는 적층 구조의 전자파 차단재가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1999-028960호에는 기계가공 금속 필라멘트 번들을 포함하는 가스 버너에 사용하는 막(膜)으로서의 제직물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1-0051499호에는 페놀 수지 섬유를 15중량% 이상 함유하는 섬유로 형성되며 당해 섬유의 표면에 형성된 도전체 층에 의해 전자기파 차단 특성을 가지는 전자기파 차단용 제직물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1994-0015077호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표면을 무전해 도금처리하여 전자기파 차폐성이 우수한 무전해 도금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1998-0042946호에는, 합성 섬유의 표면에 황산구리를 극박(極箔) 피복하여 수득한 유기 도전성 섬유를 통상적인 섬유와 1 내지 20%의 혼섬 비율로 혼섬하여 제조한 전자기파 차폐성, 항균성 및 방취성 섬유 및 이로부터 수득한 제직물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8904호에는, 제직물의 표면을 에칭처리하고 에칭된 표면에 금, 은, 구리, 게르마늄 및 맥반석 등 전자기파 차폐 물질을 플라즈마 코팅하여 수득한 유해 전자기파 차폐 제직물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0-0049893호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구리와 니켈을 피복하여 직조한 전자기파 차폐 직포를 부착시킨 유해 전자기파 차단 휴대폰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1998-0004653호에는 용융 가공 가능한 중합체와 도전성 충전제로 이루어진 전자기파 차폐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1997-0058473호에는 중간 교차결합된 에머랄딘 염기로 제조된 전자기파 차폐 재료가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1999-0081445호에는 도전막층, 절연막층 및 금속막층(당해 층은 도전막층과 절연막층 사이에 위치하며,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으로 이루어지며, 도전막 층이 도전성 흑연, 도전성 보조제 및 아크릴계 접착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도전성 보조제가 니켈인 전자기파 차폐용 다층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신선가공법(wire drawing process)은 다수의 특허 명세서에 이미 공지되어 있는데, 예로서 영국 특허 제604,353호, 영국 특허 제1,045,299호, 영국 특허 제1,095,729호 등,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25815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평)11-226687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1-150020호 등 및 미국 특허 제4,036,046호, 미국 특허 제4,345,451호, 미국 특허 제4,462,242호, 미국 특허 제5,189,897호 등을 들 수 있다.
종래부터, 표면을 도금처리한 방적사 또는 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제직 또는 편직하거나 섬유상 강선(鋼線) 또는 동선(銅線)을 제직 또는 편직하여 수득한 전자기파 차단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직물 또는 편직물은 유연성이 부족하고 착용하기에는 중량이 지나치게 많이 나가며 강성이 지나치게 커서 뻣뻣할 뿐만 아니라 태깔이 좋지 않기 때문에, 에이프런(앞치마), 의류, 내의(內衣) 또는 외의(外衣)용 메리야스, 전자제품 또는 가전제품 제조 공장용 작업복, 카페트, 조끼, 임산복, 커튼 등의 제품으로 하여 실생활에서 사용거나 생산 현장에서 사용하는 경우 불편한 점이 많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이프런, 의류, 내의 또는 외의용 메리야스, 전자제품 또는 가전제품 제조 공장용 작업복, 카페트, 조끼, 임산복, 커튼 등으로 제품화하여 실생활에서 사용하거나 생산 현장에서 사용하더라도, 표면을 도금처리한 방적사 또는 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제직 또는 편직하거나 섬유상 강선 또는 구리선을 제직 또는 편직하여 수득한 통상적인 전자기파 차단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 제품에 비하여 경량(輕量)이며 착용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인장강도, 인렬강도, 유연성 및 태깔 등이 통상적인 제직물 또는 편직물에 필적할 정도로 우수하여 사용자에게 전혀 불편한 느낌을 주지 않으면서도 전자기파 차폐 특성이 탁월한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및 편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과 종래의 제직물에 대한 전자기파 차폐 효과를 비교한 비교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은 스테인레스 강 봉재를 모재로 하여 신선가공(wire drawing)으로 수득한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 또는 현재 시판 중인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를 방적사(紡績絲), 합성 필라멘트사 또는 방적사와 합성 필라멘트사와의 혼방사(混紡絲)와 혼섬(混纖)하여 복합사(複合絲)로 하고, 당해 복합사를 제직공정 또는 편직공정에서 경사 또는 위사로서 사용하여 제직하거나 편직함으로써 제조된다.
스테인레스 강은 화학 성분에 따라 Fe-Cr계와 Fe-Cr-Ni계로 나누어지고, 금속 조직에 따라 Fe-Cr계는 페라이트계 예를 들면, STS 409, 409L, 410, 430, 436L, 444 등과 마르텐사이트계 예를 들면, STS 410, 420J1, 420J2 등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 한편, Fe-Cr-Ni계는 오스테나이트계 예를 들면, STS 301, 304, 316, 321 등의 2상(二相)계 및 석출경화계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본 발명에서 신선가공으로 수득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의 모재가 되는 스테인레스 강은 위에서 특정적으로 예를 들어 언급한 스테인레스 강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시판 중인 어떠한 스테인레스 강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 강의 모재로 할 수 있다.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는 직경을 5 내지 22㎛로 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가소성이 일반적인 방적사 또는 필라멘트사에 거의 동등하고, 영률 및 강력이 크고, 신도가 작은 반면 결절강도는 크고, 강인성(强靭性)이므로 일반적인 제직기 또는 편직기에서 제직공정 또는 편직공정에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에 사용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는, 직경이 대체로 약 5 내지 약 22㎛인 것이며, 직경이 약 5 내지 약 12㎛인 것이 바람직하며, 직경이 약 5 내지 약 8㎛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의 직경이 5㎛보다 작은 경우에는 인장강도가 작아서 제직 또는 편직시 금속사가 자주 절단되어 바람직스럽지 않고, 22㎛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직기의 북(shuttle) 또는 편직기의 편침(編針)에 과도한 부하(負荷)를 초래하여 제직기 또는 편직기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적사, 합성필라멘트사 또는 방적사와 합성 필라멘트사의 혼방사와의 제직성 또는 편직성이 불량해져서 제직물 또는 편직물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신선가공으로 수득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을 구성하는 사는 방적사, 합성 필라멘트사 또는 방적사와 합성 필라멘트사와의 혼방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을 구성하는 방적사는 천연 셀룰로스계 섬유로부터 수득한 면사(綿絲), 반합성 셀룰로스계 섬유로부터 수득한 레이욘사 및 천연 단백질계 섬유로부터 제조한 모사(毛紗)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을 구성하는 합성 필라멘트사는 나일론 예를 들면, 나일론 4, 나일론 6, 나일론 66 등,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면, 테릴렌, 데이크론 등,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예를 들면, 캐시미론 등, 폴리올레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예를 들면, 스판덱스 등, 폴리아라미드 예를 들면, 케블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을 구성하는 혼방사(混紡絲)는 폴리에스테르 65%/면 35% 혼방사, 폴리에스테르 50%/면 50% 혼방사, 폴리아크릴로니트릴 60%/면 20%/스판덱스 20% 혼방사, 폴리에스테르 70%/레이욘 30% 혼방사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직공정 또는 편직공정에서 경사 또는 위사로서 사용되는 복합사는 신선가공으로 수득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 또는 시판 중인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와 방적사, 합성 필라멘트사 또는 방적사와 합성 필라멘트사와의 혼방사를 혼섬한 복합사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 제조용 복합사에 있어서,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를 방적사와 혼섬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면방적 공정 중의 하나인 연조공정에서 연조기를 거쳐서 생성된 슬라이버를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 속(bundle)과 합치고, 이를 조방기(粗紡耭)를 통과시켜 조사(粗絲)로 한 다음, 정방기를 통과시켜 방적사로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을 채택하여 방적사로 하는 경우에는 정방공정에서 사용하는 정방기의 스핀들에 사가 권취되는 동안에 사에 가해지는 장력이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의 강력을 초과하고, 그 결과로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가 파단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사에 가해지는 장력이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의 강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 제조용 복합사는 단사 펄스 트위스트 가공법(single false twist treatment), 복합 펄스 트위스트 가공법(multi false twist treatment), 난류(亂流) 공기 가공법, 혼섬 가공법(mixing treatment) 및 장·단 복합 방적법(long and short complex treatment) 중의 어느 한 가지 가공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사 펄스 트위스트 가공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 제조용 복합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가연수(加撚數), 가공 장력(tension) 및 열세팅 온도 세 가지 조건을 고려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가연수를 가능한 한 최대로 하고 가연에 있어서도 S 꼬임과 Z 꼬임을 번갈아 적용하여 고스트렛치 복합사를 수득한다.
복합 펄스 트위스트 가공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 제조용 복합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와 방적사, 합성 필라멘트사 또는 방적사와 합성 필라멘트사와의 혼방사 간의 신도(伸度) 차이, 공급사의 공급 속도 차이 또는 섬도(纖度) 차이를 이용한다.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와 방적사, 합성 필라멘트사 또는 방적사와 합성 필라멘트사와의 혼방사 간의 신도 차이를 이용하여 복합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를 코어 사(core yarn)로 하고 방적사, 합성 필라멘트사 또는 방적사와 합성 필라멘트사와의 혼방사를 시이드 사(sheath yarn)로 한다. 즉 커버드 사(covered yarn)로 한다. 이때, 시이드 사가 되는 방적사, 합성 필라멘트사 또는 방적사와 합성 필라멘트사와의 혼방사를 코어 사가 되는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보다 다량으로 공급하게 되면 굵기가 불균일한 슬러브상 가공사가 될 수도 있다.
난류 공기 가공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 제조용 복합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와 방적사, 합성 필라멘트사 또는 방적사와 합성 필라멘트사와의 혼방사를 고압 공기류의 작용에 의해 에어 젯트 노즐(air jet nozzle)을 통하여 통과시킨다.
혼섬 가공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 제조용 복합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와 방적사, 합성 필라멘트사 또는 방적사와 합성 필라멘트사와의 혼방사 간의 수축률 차이를 이용한다. 대체로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는 융점이 방적사, 합성 필라멘트사 또는 방적사와 합성 필라멘트사와의 혼방사에 비하여 훨씬 높기 때문에, 동일한 온도에서 수축률 변화가 거의 없으며, 따라서 방적사, 합성 필라멘트사 또는 방적사와 합성 필라멘트사와의 혼방사가 분해되거나 용해 또는 용융되지 않는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 제조용 복합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득된 복합사는 숭고성(崇高性)과 드레이프성(drape property)이 우수하다.
장·단 복합 방적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 제조용 복합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정전기법(靜電氣法)과 공급 속도 차이법 두 가지를 적용하여 복합사를 제조할 수 있다. 정전기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필라멘트를 전기적으로 개섬(開纖)하여 개섬 상태에서 스테이플을 프론트 롤러 바로 앞에서 포개어 가연시켜 권취한다. 한편, 장섬유와 단섬유의 공급 속도 차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단섬유 커버링형에서 장섬유 커버링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복합사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며,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초기 직경이 2.10mm인 스테인레스 강 봉재를 표준 인발 다이(draw die)를 통하여 신선가공하여 최종 직경이 5.47㎛인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당해 금속사를 번수(番手) 14/1의 면 코마사와 혼섬하여 복합 펄스 트위스트 가공법으로 복합사를 수득하였고, 당해 복합사를 경사로 하고, 100D 폴리에스테르사를 위사로 하되, 경사 110본(本), 위사 75본으로 하여 폭이 120㎝인 제직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초기 직경이 7.25mm인 스테인레스 강 봉재를 표준 인발 다이를 통하여 신선가공하여 최종 직경이 6.22㎛인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당해 금속사를 번수 18/1의 면 카드사와 혼섬하여 복합 펄스 트위스트 가공법으로 복합사를 수득하였고, 당해 복합사를 경사로 하고, 번수 19/1의 폴리에스테르 65%/면 35% 혼방사를 위사로 하되, 경사 280본(本), 위사 150본으로 하여 폭이 180㎝인 제직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초기 직경이 4.87mm인 스테인레스 강 봉재를 표준 인발 다이를 통하여 신선가공하여 최종 직경이 7.48㎛인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당해 금속사를 번수 19/1의 면 코마사와 혼섬하여 장·단 복합 방적법을 이용하여 복합사를 수득하였고, 당해 복합사를 경사로 하고, 100D 폴리에스테르사를 위사로 하되, 경사 220본, 위사 150본으로 하여 폭이 240㎝인 3/2 제직물(능직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로서 시판 중인 스테인레스 와이어[제품명: KOS FIBER, 고려상사(주)]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과정에 따라 폭이 120㎝인 제직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로서 시판 중인 스테인레스 와이어[제품명: AISI 304, 세아금속(주)]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 기재되어 있는 과정을 반복하여 폭이 180㎝인 제직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
표면의 원사로서 직경이 6.22㎛인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를 사용하고 이면의 원사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 50d/f를 사용하며 표면의 조직은 3410으로 하고 이면의 조직은 1012로 하되, 트리코트 편직기에서 2개의 가이드 바로 두 원사의 움직임을 반대 방향으로 하고 편침 밀도(編針 密度)를 게이지는 28게이지로 설정하고 밀도는 20코스/in로 설정하여 트리코트 편직기에서 편직하여 경편지(經偏地)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7>
표면의 원사로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60%/면 20%/스판덱스 20% 혼방사를 사용하고 이면의 원사로서 직경이 7.48㎛인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를 사용하고, 표면의 조직은 2310으로 하고 이면의 조직은 1012로 하되, 트리코트 편직기에서 2개의 가이드 바로 두 원사의 움직임을 반대 방향으로 하고 편침 밀도를 게이지는 28게이지로 설정하고 밀도는 20코스/in로 설정하여 트리코트 편직기에서 편직하여 경편지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8>
표면의 원사로서 직경이 6.68㎛인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를 사용하고 이면의 원사로서 폴리에스테르 40%/면 40%/스판덱스사 20% 혼방사를 사용하되, 실시예 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경편지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8에서 설명한 과정에 따라 수득한 본 발명의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에 대하여 온도 24 ±2℃의 조건과 습도 49 ±5%RH 이하의 조건 하에 ASTM D 4935-89의 시험 방법에 따라 시험한 전자기파 차폐 효과는 다음 표 1에 요약되어 있는 바와 같았다.
전자기파 차폐 효과(dB) 직물의 유형
실시예 1 9 - 12 제직물
실시예 2 10 - 12 제직물
실시예 3 8 - 12 제직물(능직물)
실시예 4 12 - 14 제직물
실시예 5 8 - 10 제직물
실시예 6 8 - 11 경편지
실시예 7 11- 14 경편지
실시예 8 11 - 14 경편지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의 전자기파 차폐 효과에 대한 시험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의 전자기파 차폐 효과는 온도 24 ±2℃의 조건과 습도 49 ±5%RH 이하의 조건하에 ASTM(AmericanStandard Testing Method) D 4935-89의 시험 방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ASTM D 4935-89의 시험 방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에 대한 전자기파 차폐 효과를 시험한 결과, 본원 명세서에 첨부된 도 1의 도면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수득한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은 80 내지 1000MHz(1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전자기파 차폐 유효도(dB)가 약 40dB 이하를 나타내어 전자기파 차폐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직물을 한국원사직물시험연구원(FITI)에 위탁하여 그 물성을 측정해 본 결과를 표 2로 요약하였다. 하기 시험성적서는 2002년 1월 7일자로 한국원사직물시험연구원에서 발급된 것으로서 시료는 직물이며, 시험항목은 인장강도, 인장신도, 강연도 및 인렬도에 관한 것이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직물의 물성.
시 험 항 목 경 사 위 사
인장강도(KS K 0520-1995. C.R.E. 그래브법) (N) 436.1 256.6
인장신도(KS K 0520-1995. C.R.E. 그래브법) (%) 23 18
강연도 (KS K 0539-1969. 캔딜레버법) (cm) 3.04 1.98
인열강도(KS K 0535-1999. 펜통령법) (N) 15.7 10.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에이프런(앞치마), 의류, 내의 또는 외의용 메리야스, 카페트, 조끼, 임산복, 전자제품 또는 가전제품 제조 공장용 작업복, 커튼 등의 제품으로 제품화하더라도 착용감이나 인장강도, 인렬강도, 신도, 유연성, 태깔 등이 일반적인 제직물 또는 편직물에 필적할 정도로 우수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한 느낌을 주지 않으면서도 전자기파 차폐 특성이 탁월한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또는 편직물을 제공한다.

Claims (4)

  1. 스테인레스 강 봉재(俸材)를 모재(母材)로 하여 신선가공(伸線加工)으로 수득한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를 천연 섬유 또는 반합성 섬유계 방적사(紡績絲), 합성 필라멘트사 또는 방적사와 합성 필라멘트사와의 혼방사(混紡絲)와 혼섬하여 복합사로 하고 당해 복합사를 제직공정에서 경사 또는 위사로서 사용하여 제직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2. 스테인레스 강 봉재(俸材)를 모재(母材)로 하여 신선가공(伸線加工)으로 수득한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를 천연 섬유 또는 반합성 섬유계 방적사(紡績絲), 합성 필라멘트사 또는 방적사와 합성 필라멘트사와의 혼방사(混紡絲)와 혼섬하여 복합사로 하고 당해 복합사를 편직공정에서 경사 또는 위사로서 사용하여 편직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편직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직물을 에이프런, 조끼, 임산복, 전자제품 및/또는 가전제품 제조 공장용 작업복, 요 및/또는 이불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제직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물을 카페트, 및/또는 내의(內衣) 및/또는 외의(外衣)용 메리야스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편직물.
KR1020020002064A 2002-01-14 2002-01-14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를 포함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직물 KR200300615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064A KR20030061535A (ko) 2002-01-14 2002-01-14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를 포함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064A KR20030061535A (ko) 2002-01-14 2002-01-14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를 포함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535A true KR20030061535A (ko) 2003-07-22

Family

ID=3221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064A KR20030061535A (ko) 2002-01-14 2002-01-14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를 포함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1535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974B1 (ko) * 2007-01-29 2008-06-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하이브리드 금속을 이용한 고속 정보통신용 디지털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디지털사
KR100943303B1 (ko) * 2008-01-09 2010-02-2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커버링 복합사를 이용한 전자기파 차폐직물의 제조방법
WO2010124145A2 (en) * 2009-04-23 2010-10-28 Slinkard Michael D Methods and apparel for attenuating electromagnetic fields emanating from a person
US8188452B2 (en) 2008-12-31 2012-05-29 Slinkard Michael D Methods and apparel for attenuating electromagnetic fields emanating from a hunter
US8203129B2 (en) 2009-08-28 2012-06-19 Slinkard Michael D Methods and apparel for attenuating electromagnetic fields emanating from a person in or on a body of water
US8212229B2 (en) 2009-04-23 2012-07-03 Slinkard Michael D Methods and apparel for attenuating electromagnetic fields emanating from an animal handler
US8405058B2 (en) 2010-02-05 2013-03-26 Michael D. Slinkard Methods and apparel for simultaneously attenuating electromagnetic fields and odors emanating from a person
US8410461B2 (en) 2010-04-22 2013-04-02 Michael D. Slinkard Methods and apparel for attenuating electromagnetic fields emanating from a person in a human adversarial situation
KR200469442Y1 (ko) * 2012-03-08 2013-10-14 안켐 주식회사 전자파 차폐 슬리브
KR101457550B1 (ko) * 2013-02-05 2014-11-03 (주)풍전티.티 청소용 포지 및 그 제조방법
CN109652883A (zh) * 2019-01-23 2019-04-19 江南大学 棉和不锈钢混纺电磁屏蔽用纱的生产方法
CN110757911A (zh) * 2019-10-29 2020-02-07 常熟市云宇织造有限公司 一种阻燃透气面料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7613A (en) * 1965-07-29 1976-10-26 Burlington Industries, Inc. Process for preparing textiles without static charge accumulation and resulting product
JPS52165982U (ko) * 1976-06-02 1977-12-15
JPS6433580U (ko) * 1987-08-19 1989-03-01
JPH01221550A (ja) * 1988-02-29 1989-09-05 Kobe Steel Ltd 織布
US5103504A (en) * 1989-02-15 1992-04-14 Finex Handels-Gmbh Textile fabric shield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and clothing made thereof
JPH10140440A (ja) * 1996-11-14 1998-05-26 Bridgestone Metalpha Kk 金属繊維撚り糸による混用織物
US6032450A (en) * 1996-07-01 2000-03-07 Spoerry & Co. Ag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yarn, the electrically conductive yarn and use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yarn
KR20010088695A (ko) * 2001-08-22 2001-09-28 이용업 기능성 섬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7613A (en) * 1965-07-29 1976-10-26 Burlington Industries, Inc. Process for preparing textiles without static charge accumulation and resulting product
JPS52165982U (ko) * 1976-06-02 1977-12-15
JPS6433580U (ko) * 1987-08-19 1989-03-01
JPH01221550A (ja) * 1988-02-29 1989-09-05 Kobe Steel Ltd 織布
US5103504A (en) * 1989-02-15 1992-04-14 Finex Handels-Gmbh Textile fabric shield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and clothing made thereof
US6032450A (en) * 1996-07-01 2000-03-07 Spoerry & Co. Ag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yarn, the electrically conductive yarn and use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yarn
JPH10140440A (ja) * 1996-11-14 1998-05-26 Bridgestone Metalpha Kk 金属繊維撚り糸による混用織物
KR20010088695A (ko) * 2001-08-22 2001-09-28 이용업 기능성 섬유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3923A1 (en) * 2007-01-29 2008-08-07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digital yarns using hybrid metal for high speed communication and digital yarns thereof
KR100834974B1 (ko) * 2007-01-29 2008-06-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하이브리드 금속을 이용한 고속 정보통신용 디지털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디지털사
KR100943303B1 (ko) * 2008-01-09 2010-02-2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커버링 복합사를 이용한 전자기파 차폐직물의 제조방법
US8188452B2 (en) 2008-12-31 2012-05-29 Slinkard Michael D Methods and apparel for attenuating electromagnetic fields emanating from a hunter
US8212229B2 (en) 2009-04-23 2012-07-03 Slinkard Michael D Methods and apparel for attenuating electromagnetic fields emanating from an animal handler
WO2010124145A2 (en) * 2009-04-23 2010-10-28 Slinkard Michael D Methods and apparel for attenuating electromagnetic fields emanating from a person
WO2010124145A3 (en) * 2009-04-23 2011-02-17 Slinkard Michael D Methods and apparel for attenuating electromagnetic fields emanating from a person
US8203129B2 (en) 2009-08-28 2012-06-19 Slinkard Michael D Methods and apparel for attenuating electromagnetic fields emanating from a person in or on a body of water
US8405058B2 (en) 2010-02-05 2013-03-26 Michael D. Slinkard Methods and apparel for simultaneously attenuating electromagnetic fields and odors emanating from a person
US8410461B2 (en) 2010-04-22 2013-04-02 Michael D. Slinkard Methods and apparel for attenuating electromagnetic fields emanating from a person in a human adversarial situation
KR200469442Y1 (ko) * 2012-03-08 2013-10-14 안켐 주식회사 전자파 차폐 슬리브
KR101457550B1 (ko) * 2013-02-05 2014-11-03 (주)풍전티.티 청소용 포지 및 그 제조방법
CN109652883A (zh) * 2019-01-23 2019-04-19 江南大学 棉和不锈钢混纺电磁屏蔽用纱的生产方法
CN109652883B (zh) * 2019-01-23 2021-06-08 江南大学 棉和不锈钢混纺电磁屏蔽用纱的生产方法
CN110757911A (zh) * 2019-10-29 2020-02-07 常熟市云宇织造有限公司 一种阻燃透气面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4643B2 (en) Composite thread containing metal-plated yarns and warp-knit fabric thereof
KR100449660B1 (ko) 전자파 차폐코어사 및 그 제조방법
CN100428898C (zh) 屏蔽电磁波编织原料及屏蔽电磁波衣服
KR20030061535A (ko) 스테인레스 강 금속사를 포함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직물
CN101748530B (zh) 防微波辐射的亚麻纱线的生产工艺
CN102371708B (zh) 网状多层型电磁辐射复合面料织物
KR101721385B1 (ko) 항균성을 가지는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CN102431225B (zh) 吸湿性防辐射层状复合面料
Ciesielska-Wróbel et al. Estimation of the EMR shielding effectiveness of knit structures
CN101012587A (zh) 防辐射复合金属纱线及其纺制工艺
KR20170059059A (ko) 보온성을 가지는 고신축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Riaz et al. Layer by layer deposition of PEDOT, silver and copper to develop durable, flexible, and EMI shielding and antibacterial textiles
CN101798719A (zh) 一种防静电混纺纱
KR100943303B1 (ko) 커버링 복합사를 이용한 전자기파 차폐직물의 제조방법
EP1327709B1 (de) Coregarn
CN111231447A (zh) 一种防辐射面料及其生产工艺
CN101220537A (zh) 一种具有防静电功能的混纺纱
RU2731767C1 (ru) Электропроводящая текстильная пряжа
CN111020815A (zh) 一种具有屏蔽电磁波、永久阻燃且无熔滴被芯面料及其制备方法
JP4307466B2 (ja) 金属鍍金糸を含有する複合糸及び経編地
KR102337315B1 (ko) 도전성을 갖는 아크릴 혼방사와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721384B1 (ko) 천연물 유래 항균제를 함유하는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Eren et al. Production of bi-component polyester fibres for EMR (electromagnetic radiation) protection and examining EMR shielding characteristics
JPH10310976A (ja) 電磁波シールド性繊維構造物
CN202415868U (zh) 一种含镀银纤维的抗菌针织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