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8657A -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통합 장애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통합 장애처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8657A
KR20030058657A KR1020010089181A KR20010089181A KR20030058657A KR 20030058657 A KR20030058657 A KR 20030058657A KR 1020010089181 A KR1020010089181 A KR 1020010089181A KR 20010089181 A KR20010089181 A KR 20010089181A KR 20030058657 A KR20030058657 A KR 20030058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network management
processing
notification
fa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9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0085B1 (ko
Inventor
성종규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10089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085B1/ko
Publication of KR20030058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0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2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distributed management centres cooperatively managing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6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network management agents or mobile ag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0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filtering, e.g. reduction of information by using priority, element types, position or time
    • H04L41/0622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filtering, e.g. reduction of information by using priority, element types, position or time based o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81Configuration of trigger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86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notification, e.g. enhancement of specific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logs of notifications; Post-processing of notif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사용자에게는 장애 상황을 통지하고, 운용자에게는 각 관리 계층별 장애 내역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게 하는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통합 장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망의 장애 처리 내역을 저장하는 장애 정보 저장 수단; 각 망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를 이용한 통신으로 장애를 통보 받는 망 관리 시스템 장애 처리 수단; 각 요소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이용한 SNMP 매니저의 역할과 SNMP 트랩(Trap)을 처리하는 SNMP 기능 수단; 상기 망 관리 시스템 장애 처리 수단과 상기 SNMP 기능 수단으로부터 장애를 전달 받아 동일한 망 자원에 대한 장애를 걸러 내어 장애의 폭주를 제어하는 장애 필터링 기능 수단; 상기 SNMP 기능 수단의 SNMP 항목을 관리하고, 장애 필터링의 구동과 처리 주기를 관리하는 장애 정보 기능 수단; 장애의 내역을 실제로 운용자와 사용자를 구분하여 통보하고 통보 결과를 상기 장애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통보 처리 수단을 구비하여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통합적인 장애 관리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통합 장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Device for managing fault of customer network management service in multi-domain data network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통합 장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서비스의 사용자에게는 사용 망의 장애 상황을 통지하고, 운용자에게는 각 망 관리 계층별 장애 내역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게 하는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통합 장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객 망 관리 서비스(Customer Network Management Service)는 가입자 망이 공중망에서 차지하는 부분에 대한 관리 정보를 구성, 성능, 장애의 관점에서 제공하여 고객으로 하여금 자신의 가상적인 망을 보다 효율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로, 고객에게 자신의 서비스 사용에 관한 모니터링 및 제어 능력을 제공하여 스스로 자신의 사설망 및 제공받는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포럼 M3 규격의 일반적인 참조 모델과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X.160 표준 문서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구조, ITU-T X.161 표준 문서의 고객 망 관리 서비스와 같이 ATM-포럼과 ITU-T 표준 문서에서 고객 망 관리 관련 내용을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표준 문서에서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제적인 구현 방안은 설명되고 있지 않다.
고객 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고객 망 관리 시스템(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 자원(18)을 제어하여 네트워크 요소에 해당되는 부분을 관리하는 망 관리 시스템(16)의 상단에 위치하는 과금 관리 시스템(8)과 같은 서비스 관리 시스템(9)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고객 망 관리 시스템(6)은 관리 정보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하여 하부의 망 관리 시스템(16)과 정보를 주고받아야 하며, 이러한 정보 중에는 장애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그렇지만, 망 관리 기능에 중요 기반을 둔 각 계층별 망 관리 시스템(16)의 장애 정보는 그대로 고객 망 관리 시스템(6)에 사용되지 못하므로 하부의 망 관리 시스템(16)에서 관리하지 않는 정보와 운용자(4)의 판단 하에 집중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망 자원(18)에 대하여는 고객 망 관리 시스템(6) 내부에서 자체적인 정보 수집 기능이 존재하여야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2)로부터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초고속 정보 통신망과 같은 다계층 데이터망에서 기존의 망 관리 기술들은 서로 다른 관리 정보 모델을 정의하여 사용하고, 다른 관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므로, 호환성 문제와 여러 관리 도구를 혼용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 중앙 집중식 구조를 가짐으로 인한 확장성의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관리 계층에 속한 항목에 대한 장애를 통합하여 처리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용자가 장애가 발생한 후에 장애의 위치와 원인을 규명하여 다른 망 자원으로부터 장애를 고립시키고 복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하고있는 망 사업자의 망 자원에 대한 장애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해당되는 장애가 서비스의 과금 내역에 정확히 반영이 되는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은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장애 처리를 위한 고객 망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장애 정보 처리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SNMP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
도 5는 도 3의 장애 필터링 기능 모듈의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임시 장애 처리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장애 처리의 흐름도.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망의 장애 처리 내역을 저장하는 장애 정보 저장 수단; 각 망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를 이용한 통신으로 장애를 통보 받는 망 관리 시스템 장애 처리 수단; 각 요소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이용한 SNMP 매니저의 역할과 SNMP 트랩(Trap)을 처리하는 SNMP 기능 수단; 상기 망 관리 시스템 장애 처리 수단과 상기 SNMP 기능 수단으로부터 장애를 전달 받아 동일한 망 자원에 대한 장애를 걸러 내어 장애의 폭주를 제어하는 장애 필터링 기능 수단; 상기 SNMP 기능 수단의 SNMP 항목을 관리하고, 장애 필터링의 구동과 처리 주기를 관리하는 장애 정보 기능 수단; 장애의 내역을 실제로 운용자와 사용자를 구분하여 통보하고 통보 결과를 상기 장애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통보 처리 수단을 구비하여,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사용자는 망 자원에 대한 장애 여부를 확인하고, 운용자는 장애의 위치와 원인을 규명하여 복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객 망 관리 시스템(100)은 도 2와 같이, 사용자(20)의 망이 공중망에서 차지하는 부분에 대한 다양한 관리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20)를 구비하여, 장애 정보 처리부(110)에서 ATM 망 관리 시스템(24),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망 관리 시스템(26), IP(InternetProtocol) 망 관리 시스템(28)으로부터 장애 정보를 통보 받거나 자체 SNMP 관리자를 이용하여 요소 관리 시스템(30)으로부터 장애 정보를 직접 통보 받아 장애를 처리하고, 사용자(20)와 운용자(21) 및 과금 관리 시스템(22)으로 장애 정보를 전달한다.
그리고, 그 밖에 일반적인 망 관리 기능을 하는 성능 정보 처리부(140)는 사용자자(20)별로 할당되어 있는 자원에 대한 성능 데이터를 수집 가공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구성 정보 처리부(150)는 사용자(20)가 고객 망 관리 서비스 가입 시 결정된 포트와 연결에 대한 구성 상태를 관리하며, 사용자(20)가 원하는 영구적 가상 연결을 구성하거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하여 하부의 관리 시스템과 CORBA 연동을 하는 담당을 한다.
또한, 고객 망 관리 시스템(100)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기도 하므로, 고객 망 사용자(20)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며 접속 상황과 통계 등을 담당하는 사용자 정보 처리부(170)가 있으며, 운용자(21) 용으로 각 사용자(20)가 접속하여 사용한 서비스의 통계와 이와 관련된 자원의 장애, 구성, 성능의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여 보고서 자료를 가공하는 통계 기능 처리부(130)와 그 외 기타 서버의 관리와 가입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부가 기능을 담당하는 부가 기능 처리부(16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 정보 처리부(110)는, 보다 구체적으로, 망 관리 시스템(24 내지 28)과 CORBA를 이용한 통신으로, 고객 망 사용자(20)가 사용하고 있는 망 자원에 대한 장애의 통지를 받아서, 고객 망 서비스 제공용 장애 데이터로가공하며, 망 관리 시스템(24 내지 28)에서 제공되지 않거나 운용자(21)의 입장에서 집중 관리되어야 하는 망 자원의 관리 항목에 대하여는 SNMP 관리자를 이용하여 직접적인 장애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20) 및 운용자(21)가 특정한 관리 항목에 대하여 설정해 놓은 관리 항목의 설정값 초과 여부에 대해서 통지를 하며, 여러 종류의 장애에 대한 상호 연관성을 분석하고, 필터링 기능 등의 부가 기능과 보고서 자동 생성 등의 기능을 한다.
도 3은 이러한 고객 망 관리 시스템(100)의 장애 정보 처리부(110)의 내부 기능 모듈을 설명한다.
장애 정보 처리부(110)는 각 망 관리 시스템(24 내지 28)으로부터 장애를 통보 받는 망 관리 시스템 장애 처리 모듈(210), SNMP 매니저(Manager)의 역할과 SNMP 트랩을 처리하는 SNMP 기능 모듈(220), 망 관리 시스템 장애 처리 모듈(210)과 SNMP 기능 모듈(220)로부터 장애를 전달 받아 장애를 동일한 망 자원에 대한 장애를 걸러내어 장애의 폭주를 제어하는 장애 필터링 기능 모듈(230), SNMP 항목을 관리하고, 장애 필터링의 구동과 처리 주기를 관리하는 장애 정보 기능 모듈(240), 장애의 내역을 실제로 운용자와 사용자를 구분하여 통보하며, 통보한 사실을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는 통보 처리 모듈(250)로 이루어진다.
망 관리 시스템 장애 처리 모듈(210)은 요소 관리 시스템(30)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망에 대한 관리를 하는 각각의 망 관리 시스템(24 내지 28)으로부터 장애를 통보 받아서 장애 필터링 기능 모듈(230)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우선적으로 각 망 관리 시스템(24 내지 28)에서 보고되는 장애를 일차적으로 확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예로서, 포트에 대한 장애는 포트에 속한 모든 영구적 가상 연결에 대한 장애를 동반한다.
이때 포트에 장애가 발생하면 망 관리 시스템 장애 처리 모듈(210)은 해당 포트에 대한 영구적 가상 연결에 대한 장애도 모두 통보 받음으로 결국 같은 장애의 내용을 여러 번 받게 된다.
그리하여 망 관리 시스템 장애 처리 모듈(210)은 고객 망 관리 시스템(100)의 내부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포트에 대한 가상 연결 정보를 찾아서 영구적 가상 연결에 대한 장애는 해당 포트에 대한 장애와 함께 통합되어 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각 망 관리 시스템(24 내지 28)으로부터 받은 가상 연결에 대한 장애 이벤트는 버린다.
또한, 각각의 망 관리 시스템(24 내지 28)에서 통보되는 장애의 내역 중에서 고객 망 관리 시스템(100)에서 관리되고 있는 망 자원이 아닌 경우에는 여기에서 장애 이벤트를 버린다.
또한, SNMP 기능 모듈(220)은 두 가지 기능을 한다.
첫째로, SNMP 매니저의 역할, 즉 장애 정보 기능 모듈(240)에서 설정한 자원과 주기에 대하여 요소 관리 시스템(30)으로부터 해당 SNMP OID(Object Identification; 객체 ID)에 해당되는 값을 주기적으로 설정된 시간동안 검색하는 기능이다.
SNMP 매니저는 폴링(Polling) 방식에 의해 SNMP를 통하여 장치의 구성, 장애, 성능 정보를 SNMP 대리자와 리모트 통신으로 관리 정보를 주기적으로 가져와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SNMP 대리자(Agent)는 SNMP 관리 정보 값을 주기적으로 읽어 메모리 상에 가지고 있는 것으로, 주로 장치 내부에 존재하거나 이를 제어하는 요소 관리 시스템(30)의 메모리 상에 존재한다.
이때 필요한 정보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자원 ID, SNMP OID, IP 주소, 커뮤니티(Community), 주기, 시작 시각, 끝 시각이다.
둘째로, SNMP 트랩을 장치에서 직접 통보 받아 운용자(21)에게 전달하고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내용을 저장하여 장애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는 자료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관리 정보를 가져오는 방법은 상술된 폴링에 의한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트랩이라고 하여 장치에서 발생한 특정한 종류의 장애에 대해서는 발생된 내용을 특정 호스트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이러한 트랩의 설정은 관리자 역할을 담당하는 운용자(21)에게만 한정된다.
이러한 기능은 망 운용 시에 자주 발생하는 상황이고, 특정 장치에서 동일한 또는 유사한 장애가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경우에는 망 관리 시스템(24 내지 28)에서 기능적 제약으로 모든 경우를 미리 준비하여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렇지만 이는 망 운용 시에 아주 중요한 요인이므로 장치의 운용상에 관련되는 장애 및 장애를 수반할 수 있는 성능 및 안정성에 관련된 정보를 분석할 도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기능을 SNMP 기능 모듈(220)에서 담당하고 있다.
장애 필터링 기능 모듈(230)은 망 관리 시스템 장애 처리 모듈(210)과 SNMP 기능 모듈(220)에서 올라온 장애를 처리하며, 장애 데이터를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고 통보 처리 모듈(250)로 장애 내역을 통보하여 운용자(21) 및 사용자(20)에게 장애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 모듈로서, 장애 정보 기능 모듈(240)에 의해서 구동된다.
장애 필터링 기능 모듈(230)은 동일한 망 자원에 대하여 과도한 장애 정보가 올라오는 것을 걸러서 운용자(21)와 사용자(20)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초기에 망이 설치가 되거나 많은 설비가 한꺼번에 설치가 될 경우에는 다량의 장애가 동시에 발생하여 망 관리 및 상위의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도 큰 부하를 야기한다.
이때 발생한 장애 정보를 그대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사용자(20)에게 통보하고 과금 관리 시스템(22)에 과금 정보로 반영하는 것은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유용한 정보로 변환하여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장애 필터링 기능 모듈(230)은 도 5와 같이, 장애 정보를 받는 버퍼(310), 버퍼의 장애 정보를 선택하여 저장하는 분류기(320), 분류기(320)로부터 전달되는 장애 정보를 보관하는 임시 장애 처리 테이블(330), 임시 장애 처리 테이블(330)을 관리하고, 임시 장애 처리 테이블(330)의 장애 종류에 따라 통보 처리 모듈로 전달하는 테이블 처리기(340)를 구비한다.
먼저, 하위의 시스템인 망 관리 시스템 장애 처리 모듈(210)과 SNMP 기능 모듈(220)에서 올라오는 장애 정보를 버퍼(310)에서 받는다.
다음으로 이를 처리하는 분류기(320)는 버퍼(310)에서 장애 이벤트를 하나씩 꺼내어서 주기 내에 동일 자원에 대한 장애 통보를 받은 적이 있는지를 임시 장애 처리 테이블(330)에서 확인하여, 해당 자원에 대한 장애 항목이 존재하지 않으면 임시 장애 처리 테이블(330)의 리스트에 해당 항목을 추가한다.
관련된 내역은 자원 ID, 장애 타입, 장애 이유, 시작 시각, 끝 시각, 처리 내역, 카운트이다.
만일 해당 자원에 대한 장애가 존재하면 임시 장애 처리 테이블(330)에 있는 카운트 값을 1씩 증가시키고, 장애 타입과 장애 이유가 이전 값과 다르면 추가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임시 장애 처리 테이블(330)을 관리하는 장치는 테이블 처리기(340)이며, 테이블 처리기(340)는 장애의 종류에 따라 통보 타입을 포함하여 도 6과 같은 장애 내역을 통보 처리 모듈(250)로 전달한다.
테이블 처리기(340)는 시스템 타이머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임시 장애 처리 테이블(330)에서 장애 시작 시각이 현재로부터 장애 정보 기능 모듈(240)에서 정의된 테이블 처리 주기 내에 들지 않는 항목을, 포트와 영구적 가상 연결별로 각각 존재하는 장애 로그 테이블(350)에 저장하고 해당 항목을 임시 장애 처리 테이블(330)에서 삭제한다.
장애 로그 테이블(350)은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서 장애 처리를 담당하는 테이블이다.
이때 내역이 장애의 복구인 경우에는 장애 로그 테이블(350)의 해당 항목에 장애 종료 시각과 처리 내역만 기록한다.
그런 다음 해당 장애 내역을 통보 처리 모듈(250)에 전달하여 사용자(20)와 운용자(21)에게 장애 내역을 통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SNMP 기능 모듈(220)과 장애 필터링 기능 모듈(230)을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하여 장애 정보 기능 모듈(240)이 구비된다.
장애 정보 기능 모듈(240)은, 첫째로, 최종 운용자(21)가 허용한 각 사용자(20)별로 등록한 관리 항목에 대하여 SNMP 기능 모듈(220)이 처리할 내역을 저장 관리한다.
둘째로, 장애 필터링 기능 모듈(230)에서 사용되는 동일한 장애 건수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처리 주기를 관리한다.
셋째로, 장애 필터링 기능 모듈(230)의 기능 동작을 구동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장애 필터링 기능 모듈(230)은 언제나 동작하지 않으며, 장애 정보 기능 모듈(240)에서 운용자(21)가 정의한 카운트에 의하여 임의 건수 이상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일종의 장애 폭주로 간주하여 장애 필터링 기능이 동작되도록 한다.
이러한 필터링 기능의 종료는 임의 기간 내에 올라오는 건수가 운용자가 미리 설정한 범위에 들었을 때 필터링 기능의 해제를 장애 정보 기능 모듈(240)이 장애 필터링 기능 모듈(230)에 전달한다.
이때 설정한 기간이 너무 길면, 장애의 폭주가 끝났지만 장애 필터링 기능모듈에 대기했다가 통지가 되므로 장애의 통지가 늦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너무 짧으면, 장애의 폭주가 계속되는데도 필터링 기능을 종료했다가 다시 구동하는 것을 반복하게 되어 필터링 기능의 성능 저하를 가져온다.
이러한 처리 주기의 최소값은 장애 필터링 기능 모듈(230)의 테이블 처리기(340)에서 임시 장애 처리 테이블(330)을 관리하는 주기이다.
또한, 장애 필터링 기능 모듈(230)에서 장애 내역을 전달 받는 통보 처리 모듈(230)은 전달 받은 장애의 내역을 장애의 종류에 따라 세 가지로 분류하여 통보를 하고, 통보 결과를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20)의 장애 로그 테이블(350)에 저장한다.
첫째는 운용자(21)와 사용자(20)에게 통보하는 방법, 둘째는 운용자(21)에게 통보하여 확인을 받은 것만 사용자(20)에게 통보하는 방법, 셋째는 사용자(20)에게 통보하는 방법이다.
첫째로, 운용자(21)와 사용자(20)에게 동시에 장애를 통보하는 것은 장애의 사항이 긴급하여 장애의 상황을 즉시 운용자(21)와 사용자(20)가 확인을 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이며, 이는 과금 관리 시스템(22)으로 장애의 내역을 통보한다.
둘째는, 운용자(21)에게 먼저 장애의 내역이 통보되고, 운용자(21)의 확인을 받은 건수만 사용자(20)와 과금 관리 시스템(22)으로 전달되는 경우이다.
여기에는 SNMP 트랩의 통보도 포함된다.
셋째는, 사용자(20)가 장애 정보 기능 모듈(240)에 사용자 고유의 확인 사항을 등록하여 SNMP 기능 모듈(220)에서 장애 내역을 직접 수집하여 통보를 받는 경우이며, 이는 과금 관리 시스템(22)으로 장애 내역이 통보되지 않는 내용이다.
물론 등록 가능한 항목에 대하여는 최종 운용자(21)가 지정한 내용에 대하여만 가능하다.
이때 통지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방안은 동기식 통지, 비동기식 통지, 이메일(E-Mail) 통지의 세 가지이다.
동기식 통지는 CORBA 통신이 가능한 전용 클라이언트 또는 CORBA가 인에이블(Enable)된 자바 애플릿에 의해 CORBA 함수의 호출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비동기식 통지는 폴링 방식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결과를 읽어 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구성된 장애 정보 처리부(110)에서 하부의 망 관리 시스템(24 내지 28)에서 일어난 장애 정보의 처리 흐름을 정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망 관리 시스템(24 내지 28)에서 보고되는 장애 통보가 고객 망 관리 서비스용 자원에 해당되는지를 판별하여(S801), 고객 망 관리 서비스용 자원에 해당되지 않으면 폐기하고(S802), 고객 망 관리 서비스용 자원에 해당되면 장애 필터링 기능 모듈(230)이 구동되어 있는지 체크한다(S803).
장애 필터링 기능 모듈(230)이 구동되어 있지 않다면 통보 타입에 따라 운용자(21) 및 사용자(20)에게 타입에 맞게 통보하고 해당 장애 내역을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다(S804).
장애 필터링 기능이 구동되어 있다면 해당 장애가 임시 장애 처리테이블(330)의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805).
해당 항목이 존재하고 있다면 임시 장애 처리 테이블(330)의 해당 항목에 대하여 카운트를 1씩 증가하고 장애 이유가 다르면 장애 내역을 추가한다(S806).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임시 장애 처리 테이블(330)에 장애 항목을 추가한다(S807).
테이블 처리기(340)는 시스템 타이머를 이용하여 임시 장애 처리 테이블(330)의 리스트 중에서 필터링 완료 여부를 확인한다(S808).
필터링이 완료된 항목은 장애 로그 테이블(350)에 포트와 가상 연결별로 저장하고 임시 장애 처리 테이블(330)에서 삭제하며, 장애 내역을 통보 처리 모듈(250)로 전달하여 통보 타입에 따라 운용자 및 사용자에게 통보함으로써(S809) 하나의 장애에 대한 일련의 처리 흐름을 종료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용 설비와 다계층 관리 항목에 대한 장애를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고객 망 관리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고 운용자에게 원활한 망 관리를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망 사업자의 망 자원에 대한 장애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해당되는 장애에 대한 관리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사용자의 망의 장애 처리 내역을 저장하는 장애 정보 저장 수단;
    각 망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를 이용한 통신으로 장애를 통보 받는 망 관리 시스템 장애 처리 수단;
    각 요소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이용한 SNMP 매니저의 역할과 SNMP 트랩(Trap)을 처리하는 SNMP 기능 수단;
    상기 망 관리 시스템 장애 처리 수단과 상기 SNMP 기능 수단으로부터 장애를 전달 받아 동일한 망 자원에 대한 장애를 걸러 내어 장애의 폭주를 제어하는 장애 필터링 기능 수단;
    상기 SNMP 기능 수단의 SNMP 항목을 관리하고, 장애 필터링의 구동과 처리 주기를 관리하는 장애 정보 기능 수단;
    장애의 내역을 실제로 운용자와 사용자를 구분하여 통보하고 통보 결과를 상기 장애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통보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통합 장애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 관리 시스템 장애 처리 수단은,
    포트에 장애가 발생하면 해당 포트의 영구적 가상 연결에 대한 장애는 해당 포트에 대한 장애와 함께 통합되어 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고객 망 관리 서비스에서 관리되고 있지 않은 망에 대한 장애 통보는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통합 장애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NMP 기능 수단은,
    상기 장애 정보 기능 수단에서 설정한 항목과 주기에 대하여 해당 SNMP OID(Object Identification)에 해당되는 값을 폴링(Polling) 방식에 의해 검색하고, SNMP 트랩을 망에서 직접 통보 받아 운용자에게 전달하며, 이때 필요한 정보는 자원 ID, SNMP OID, IP 주소, 커뮤니티, 주기, 시작 시각, 끝 시각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통합 장애 처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필터링 기능 수단은,
    장애 정보를 받아 잠시 보관하는 임시 저장부;
    상기 임시 저장 수단의 장애 정보를 선택하여 처리하는 분류 처리부;
    상기 분류 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장애 정보를 보관하는 임시 장애 처리 저장부;
    상기 임시 장애 처리 저장부를 관리하고, 임시 장애 처리 저장부의 장애 종류에 따라 상기 장애 정보 저장 수단과 통보 처리 수단으로 전달하는 저장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통합 장애 처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처리부는,
    상기 임시 저장부에서 장애 이벤트를 하나씩 꺼내어서 상기 장애 정보 기능 수단에서 정의된 주기 내에 동일 자원에 대한 장애 통보를 받은 적이 있는지를 상기 임시 장애 처리 저장부에서 확인하여, 해당 자원에 대한 장애 항목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임시 장애 처리 저장부의 리스트에 해당 항목을 추가하고, 해당 자원에 대한 장애가 존재하면 상기 임시 장애 처리 저장부에 있는 카운트 값을 증가시키고 장애 타입과 장애 이유가 이전 값과 다르면 추가하여 저장하며, 이때 필요한 내역은 자원 ID, 장애 타입, 장애 이유, 시작 시각, 끝 시각, 처리 내역, 카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통합 장애 처리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처리부는,
    시스템 타이머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임시 장애 처리 저장부에서 장애 시작 시각이 현재로부터 상기 장애 정보 기능 수단에서 정의된 처리 주기 내에 들지 않는 항목을, 포트와 영구적 가상 연결별로 각각 상기 장애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해당 항목을 상기 임시 장애 처리 테이블에서 삭제하며, 이때 내역이 장애의 복구인 경우에는 상기 관리 정보 저장 수단의 해당 항목에 장애 종료 시각과 처리 내역만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통합 장애 처리 장치.
  7. 각 망 관리 시스템에서 보고되는 장애 통보가 고객 망 관리 서비스용 자원에 해당되는지 판별하여, 고객 망 관리 서비스용 자원에 해당되지 않으면 폐기하고, 고객 망 관리 서비스용 자원에 해당되면 장애 필터링 기능이 구동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제 1 과정;
    상기 제 1 과정의 판단 결과, 장애 필터링 기능이 구동되어 있지 않다면 통보 타입에 따라 운용자 및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해당 장애 내역을 저장하고, 장애 필터링 기능이 구동되어 있다면 해당 장애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제 2 과정;
    상기 제 2 과정의 확인 결과, 해당 장애 항목이 존재하고 있다면 해당 장애 항목에 대하여 카운트를 증가시키며 장애 이유가 다르면 장애 내역을 추가하고, 해당 장애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장애 항목을 추가하는 제 3 과정;
    주기적으로 포트와 가상 연결별로 통보 타입에 따라 운용자 및 사용자에게 장애 내역을 통보하고, 통보된 장애 항목을 삭제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통합 장애 처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 방법은 CORBA 통신이 가능한 전용 클라이언트 또는 CORBA가 인에이블(Enable)된 자바 애플릿에 의해 CORBA 함수의 호출로 이루어지는 동기식 통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통합 장애 처리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 방법은 폴링 방식으로 접속하여 결과를 읽어 오는 비동기식 통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통합 장애 처리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 방법은 이-메일(E-Mail) 통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통합 장애 처리 방법.
KR1020010089181A 2001-12-31 2001-12-31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통합 장애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840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9181A KR100840085B1 (ko) 2001-12-31 2001-12-31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통합 장애처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9181A KR100840085B1 (ko) 2001-12-31 2001-12-31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통합 장애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657A true KR20030058657A (ko) 2003-07-07
KR100840085B1 KR100840085B1 (ko) 2008-06-19

Family

ID=32216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9181A KR100840085B1 (ko) 2001-12-31 2001-12-31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통합 장애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08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492B1 (ko) * 2002-12-09 2005-04-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라우터 시스템의 장애 및 상태 관리를 위한 망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43138B1 (ko) * 2004-02-02 2011-06-20 주식회사 케이티 상태 기반의 dslam 성능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CN101257694B (zh) * 2007-11-22 2012-11-07 中国移动通信集团山东有限公司 基于信息支撑系统的移动通信网管智能派单方法
US8595568B2 (en) 2008-12-22 2013-11-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tegration agent device for node including multi-layered equipment and fault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1986738B1 (ko) * 2018-11-28 2019-06-07 (주)시큐레이어 네트워크 관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의 시각화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3061B1 (ko) * 1998-11-04 2000-12-01 이계철 네트워킹 시스템과 교환기간 정합 장치 및 그 방법
JP2000224262A (ja) * 1999-01-29 2000-08-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KR100366157B1 (ko) * 2000-06-21 2002-12-31 김성우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KR20020004556A (ko) * 2000-07-06 2002-01-16 윤종용 웹 기반 분산 네트웍 관리 시스템
KR100423634B1 (ko) * 2001-09-27 2004-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씨오알비에이-에스엔엠피 트랩 서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492B1 (ko) * 2002-12-09 2005-04-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라우터 시스템의 장애 및 상태 관리를 위한 망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43138B1 (ko) * 2004-02-02 2011-06-20 주식회사 케이티 상태 기반의 dslam 성능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CN101257694B (zh) * 2007-11-22 2012-11-07 中国移动通信集团山东有限公司 基于信息支撑系统的移动通信网管智能派单方法
US8595568B2 (en) 2008-12-22 2013-11-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tegration agent device for node including multi-layered equipment and fault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1986738B1 (ko) * 2018-11-28 2019-06-07 (주)시큐레이어 네트워크 관제 서비스를 위한 정보의 시각화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085B1 (ko)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4066B2 (en) Method for parsing an information string to extract requested information related to a device coupled to a network in a multi-protocol remote monitoring system
EP0996254B1 (en) A method for quantifying communication performance
CN100544272C (zh) 网络设备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US5737399A (en) Network information architecture having centralizing storage and verification element
EP1999890B1 (en) Automated network congestion and trouble locator and corrector
US7447766B2 (en) Method for efficiently storing information used to extract status information from a device coupled to a network in a multi-protocol remote monitoring system
US7533167B2 (en) Method for efficiently extracting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device coupled to a network in a multi-protocol remote monitoring system
JP4891019B2 (ja) 被監視装置のステータス情報を抽出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0535902A (zh) 基于微服务实现监控智能化的处理方法及电子装置
JP4688128B2 (ja) 複数のプロトコルを用いてネットワーク接続されたデバイスを監視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4219327B (zh) 一种分布式缓存系统
EP1014748A2 (en) Management system for a multi-level communication network
JP2007095055A (ja) 被監視装置に格納されたウェブページからステータス情報を抽出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933290A (zh) 基于流信息对网络设备上的acl进行配置的方法
US6219705B1 (en) System and method of collecting and maintaining historical top communicator information on a communication device
JP2007095057A (ja) 被監視装置に格納されたウェブページからステータス情報を抽出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095058A (ja) 被監視装置に格納されたウェブページからステータス情報を抽出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1466465A1 (en) Database driven methods and systems for real time call tracing
US2002018856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aining and accessing generic policy
KR100579393B1 (ko) 다계층 데이터망에서의 고객망 장애 데이터 실시간 통지를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0840085B1 (ko)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고객 망 관리 서비스의 통합 장애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285952B1 (ko) 비대칭가입자라인전송시스템의시스템유지보수장치
JP2004086887A (ja) 複数のプロトコルを利用する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7668106B2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network management method
EP1079566A2 (en) System management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omprising SNMP and CMIP ag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