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8397A - 웹 서버,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디바이스 특성에 따른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Google Patents

웹 서버,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디바이스 특성에 따른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8397A
KR20030058397A KR1020010088825A KR20010088825A KR20030058397A KR 20030058397 A KR20030058397 A KR 20030058397A KR 1020010088825 A KR1020010088825 A KR 1020010088825A KR 20010088825 A KR20010088825 A KR 20010088825A KR 20030058397 A KR20030058397 A KR 20030058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ipt
web
resolution
home network
web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8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8463B1 (ko
Inventor
남호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8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463B1/ko
Publication of KR20030058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4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홈 네트웍 디바이스가 웹 서버로부터 제공된 웹 파일을 브라우징할 때 자신의 해상도에 맞게 재구성된 웹 파일을 브라우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웹 서버가 홈 네트웍 디바이스들의 해상도 정보들을 스크립트에 내장하고, 내장된 해상도 정보별로 자신의 해당 웹 파일을 태그의 속성 정보를 변경하여 달리 구성한 후 홈 네트웍 디바이스의 웹 파일 요청시 상기 스크립트와 재구성된 웹 파일을 홈 네트웍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홈 네트웍 디바이스는 전송된 스크립트를 파싱하여 자신의 해상도 정보를 검색하여, 이 검색 결과를 이용해 상기 수신된 웹 파일들 중 자신의 해상도에 적합한 웹 파일을 브라우징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웹 서버,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디바이스 특성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Web Server, Home Network Device,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according to Device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홈 네트웍 디바이스가 웹 서버로부터 제공된 웹 파일을 브라우징할 때 자신의 해상도에 맞게 재구성된 웹 파일을 브라우징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기술의 발전으로 PC뿐만 아니라 휴대 전화, 디지털 TV, PDA, 게임기 등 다양한 홈 네트웍 디바이스가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있으며,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이 가정 내로 파급되면서 홈 네크워크가 각광을 받고 있다.
전술한 홈 네트워크는 가정내의 홈 네트웍 디바이스들을 하나의 망(topology)으로 연결해 이들이 서로의 디지털 데이터를 공유하고 광대역 통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환경을 말하며, 협의의 홈 네트워크는 가정내의 홈 네트웍 디바이스들을 연결하는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장비 그 자체를 의미하고, 광의의 홈 네트워크는 그 장비뿐만 아니라 홈 네트웍 디바이스 상호간의 통합/제어/운영을 위한 미들웨어나, 서비스 등을 포괄한다.
특히 홈 네트웍 디바이스 상호간의 통합/제어/운영을 위해 마련된 미들웨어로서 UPnP(Universal Plug and Play)가 현재 크게 대두되고 있는데, 상기 UPnP는 기존의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기능을 확충시켜 서로 다른 규격 사양을 가진 여러 홈 네트웍 디바이스 기기들이 상호 간에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공통의 프로토콜이다.
이러한 UPnP홈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PnP디바이스들(사용자 컴퓨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과 UPnP 콘트롤 디바이스(여기서는이동 통신 단말기)가 하나의 망(topology)으로 연결되며, 이 홈 네트웍 디바이스들이 경우에 따라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인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와 연결되어 이를 통해 여러 가지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휴대 전화, PDA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디지털 TV, PC, DVD, 세탁기와 같은 UPnP 디바이스기기들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으며, 또한 이러한 UPnP 디바이스들이 인터넷을 통해 웹 파일을 획득하여 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UPnP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UPnP 디바이스들이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인 인터넷과 연결되어 웹 서버로부터 해당 웹 파일을 제공받을 때, 각 UPnP 디바이스들의 웹 브라우저 환경 즉 해당 웹 브라우저의 해상도가 다른데도 불구하고 웹 서버는 동일한 브라우징 형태의 웹 파일을 전송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웹 파일 정보를 제대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웹 파일을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요청하고 해당 웹 서버가 요청된 웹 파일을 제공할 때, 이동 통신 단말기는 웹 서버에서 제공한 웹 파일의 일부분만을 제한적으로 브라우징 시키기 때문에 사용자는 웹 파일 정보를 제대로 확인할 수가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각 UPnP디바이스가 웹 서버로부터 제공된 웹 파일을 브라우징할 때 자신의 해상도에 맞게 재구성된웹 파일을 브라우징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스 특성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디바이스의 해상도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시스템은, 상기 웹 서버가 상기 홈 네트웍 디바이스들의 해상도 정보들을 스크립트에 내장하고, 내장된 해상도 정보들에 따라 자신의 웹 파일을 달리 구성하여 저장한 후 상기 홈 네트웍 디바이스의 웹 파일 요청시 해상도 정보가 내장된 스크립트와 해상도에 따라 달리 구성된 웹 파일을 전송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홈 네트웍 디바이스들은 상기 웹 서버로부터 해상도 정보들이 내장된 스크립트와 각 해상도에 따라 달리 구성된 웹 파일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스크립트를 파싱하여 자신의 해상도를 검색한 후, 검색 결과를 이용해 상기 수신된 웹 파일들 중 자신의 해상도에 적합한 웹 파일을 브라우징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또 다른 본 발명인 디바이스의 해상도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방법은 웹 서버가 홈 네트웍 디바이스들의 해상도 정보들을 스크립트에 내장하고, 내장된 해상도 정보별로 자신의 해당 웹 파일을 달리 구성한 후 홈 네트웍 디바이스의 웹 파일 요청시 상기 스크립트와 재구성된 웹 파일을 홈 네트웍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홈 네트웍 디바이스는 전송된 스크립트를 파싱하여 자신의 해상도 정보를 검색하여, 이 검색 결과를 이용해 상기 수신된 웹 파일들 중 자신의 해상도에 적합한 웹 파일을 브라우징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홈 네트웍과 외부 네트웍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홈 네트웍 디바이스에 브라우징된 웹 파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부 네트웍의 웹 서버에서 디바이스 해상도에 따라 웹 파일을 재구성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홈 네트웍 디바이스에서 자신의 웹 파일을 브라우징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부 네트웍의 웹 서버와 홈 네트웍 디바이스의 내부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디바이스 특성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시스템은 스크립트에 해상도 정보를 내장하고, 내장된 해상도에 따라 자신의 웹 파일을 달리 구성하는 웹 서버와, 상기 스크립트를 파싱하여 검색한 후 자신의 해상도 정보에 적합한 웹 파일을 브라우징하는 홈 네트웍 디바이스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웹 서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네트웍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50)와, 상기 홈 네트웍 디바이스들의 해상도 정보들을 스크립트에 내장하는 스크립트 처리 모듈(51)과, 상기 스크립트에 내장된 해상도 정보들에 따라 자신의 웹 파일의 태그 속성 정보를 변경하여 달리 구성하는 웹 파일 구성 모듈(52)과, 상기 구성된 웹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53)와, 상기 스크립트 처리 모듈, 웹 파일 구성 모듈, 메모리를 각기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홈 네트웍 디바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웹 서버로부터 해상도 정보들이 내장된 스크립트와 각 해상도에 따라 달리 구성된 웹 파일들을 수신하는 API인터페이스부(55)와, 상기 수신된 스크립트를 파싱하여 자신의 해상도를 검색하는 스크립트 파서부(56)와, 상기 검색 결과를 이용해 상기 수신된 웹 파일들 중 자신의 해상도에 적합한 웹 파일을 브라우징하는 브라우저(56)와, 상기 API인터페이스부, 스크립트 파서부, 브라우저를 각기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58)와 자신의 해상도 정보를 저장한 레지스트리(5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웹 서버와 홈 네트웍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시스템은 먼저, 홈 네트웍 디바이스의 API인터페이스부(55)가 마이크로 컴퓨터(58)의 제어하에 사용자의 웹 파일 요청 메시지를 상기 웹 서버에게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웹 서버의 인터페이스부(50)는 웹 파일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마이크로 컴퓨터(53)로 전송하고 전송된 요청 메시지에 따라 메모리(54)에 저장된 스크립트와 웹 파일들을 상기 홈 네트웍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스크립트에는 여러 홈 네트웍 디바이스들의 해상도 정보를 지시하는 메쏘드가 내장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스크립트가 자바 스크립트 형태로 구성할 경우 상기 해상도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메쏘드를 미리 스크립트에 내장시켜 두는데 그 메쏘드 형태는 다음과 같다.
SCRIPT LANGUAGE = "Java Script">
Function check Resolution()
{
if(window .resolution() == "1024BY768")
{var Res = "1024BY768",}
else if (window .resolution() == "800BY600")
{var Res = "800BY600",}
else if (window . resolution() == "160BY120")
{var Res = "160BY120",}
else (var Res = "OTHER",}
return Res ;
}
그리고 상기 메모리(53)에 저장된 웹 파일들은 웹 파일 구성 모듈(52)이 마이크로 컴퓨터(54)의 제어하에 각 해상도 별로 자신의 웹 파일을 태그 속성 정보를 변경하여 달리 구성한 것으로, 이는 웹 파일 즉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각 태그의 속성 정보가 웹 브라우저의 해상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용이나 DTV용 또는 휴대폰용의 웹 브라우저의 해상도에 맞게 달리 구성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웹 파일 즉 자신의 웹 파일을 구성하는 문자 크기나 JPG그래픽 이미지 등의 태그 속성 정보들을 변경하여 홈 네트웍 디바이스의 웹 브라우저 해상도에 따라 달리 구성된 웹 파일을 미리 상기 메모리(53)에 미리 저장해 둔다.
이렇게 상기 메모리(53)에 저장해 둔 상태에서 사용자의 웹 파일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경우 상기 웹 서버의 마이크로 컴퓨터(54)는 메모리(53)에 저장된 스크립트와 스크립트에 내장된 해상도에 따라 달리 구성된 자신의 웹 파일들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홈 네트웍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해당 홈 네트웍 디바이스의 API인터페이스부(55)는 이를 수신하여 스크립트 파서부(56)로 전송하고, 상기 스크립트 파서부(56)는 마이크로 컴퓨터(58)의 제어하에 수신된 스크립트를 파싱하여 자신의 해상도 정보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은 레지스트리(59)에 미리 저장된 자신의 해상도 정보와 상기 스크립트에 내장된 해상도 정보를 비교하는 동작으로 진행하는데, 상기 스크립트 파서부(56)에 내장된 메쏘드는 다음과 같다.
function check Resolution
{
if(window . resolution ()== "PC") :주석.-->예)PC해상도:1024BY768
{var Res = "PC";}
else if(window . resolution() == "DTV") :주석.-->DTV해상도:800BY600
{var Res = "DTV";}
else if(window . resolution() == "PDA") :주석.-->PDA해상도:160BY120
{var Res = "PDA"}
else{var Res = "OTHER";}
return Res ;
}
한편 상기 스크립트 파서부(56)가 전술한 "check Resolution"메쏘드를 통해 자신의 해상도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마이크로 컴퓨터(58)로 리턴 하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56)는 이 리턴 값을 이용해 자신의 브라우저 환경에 적합한 웹 파일을 체크하여 이를 브라우저(57)에 브라우징시키도록 제어하는데, 예를 들면 그 체크 메쏘드는 다음과 같다.
Device = check Resolution();
{
IF(Device == "PC)
location = "test_original.htm"
else if(Device == "DTV")
location = "test_dtv.htm"
else if(Device == "PDA")
location = "test_pda.htm"
else
location = "test_default.htm"
}
이러한 메쏘드를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58)가 자신의 해상도에 적합한 웹 파일을 발견하면 해당 웹 브라우저(5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견된 웹 파일을 브라우징하게 되는데, 상기 도 4는 휴대폰과 DTV의 해당 웹 브라우저에 브라우징되는 모습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는데 이 때 DTV용 웹 브라우저일 경우에는 그 DTV환경에 적합한 PNG형태로 브라우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또 다른 본 발명인 디바이스의 해상도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방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본 발명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해당 웹 서버가 홈 네트웍 디바이스들의 해상도 정보들을 스크립트에 미리 내장하는 단계(S60)와, 스크립트에 내장된 해상도 정보들에 따라 웹 서버의 해당 웹 파일을 달리 구성하는 단계(S61)와, 이러한 상태에서 해당 디바이스의 웹 파일 요청이 있는가를 모니터링하여 그 결과를 이용해 해당 디바이스의 웹 파일 요청 유무를판단하는 단계(S62)와, 판단 결과 웹 파일 요청이 있을 경우 해상도 정보가 내장된 스크립트와 이 스크립트에 내장된 해상도에 따라 달리 구성된 웹 파일들을 홈 네트웍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S63)와, 전송된 스크립트를 파싱하는 단계(S65)와, 파싱된 결과를 이용해 홈 네트웍 디바이스가 자신의 해상도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S64)와, 상기 검색 결과를 이용해 상기 수신된 웹 파일들 중 자신의 해상도에 적합한 웹 파일을 브라우징하는 단계(S65)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먼저 해상 웹 서버가 여러 홈 네트웍 디바이스들의 해상도 정보들을 미리 스크립트에 내장하는데(S60), 상기 스크립트는 Perl(Practical Extraction and Reporting Language), 자바 스크립트, IBM 메인프레임에서 사용되는 REXX(Restructured Extended Executor)등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다음 상기 스크립트에 내장된 여러 가지 해상도 별로 자신의 웹 파일 즉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문자 크기나 그래픽 이미지 등의 태그 속성 정보들을 상기 해상도에 맞게 재구성하여(S61) 저장해 두고 특정 디바이스의 웹 파일 요청이 있는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상기 모니터링 결과 해당 웹 파일의 요청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S62), 스크립트와 해상도에 따라 달리 재구성된 해당 웹 파일들을 상기 특정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63).
그러면 상기 특정 디바이스는 전송된 스크립트를 파싱하여(S64) 자신의 해상도 정보를 검색한 후(S65), 자신의 해상도에 적합한 웹 파일을 찾아내어 이를 해당웹 브라우저에 브라우징한다(S66).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특성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각 홈 네트웍 디바이스가 웹 서버로부터 제공된 웹 파일을 브라우징할 때 자신의 해상도에 맞게 재구성된 웹 파일을 브라우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홈 네트웍 디바이스들의 해상도 정보들을 스크립트에 내장하는 스 크립트 처리 모듈과 ;
    상기 스크립트에 내장된 해상도 정보들에 따라 자신의 웹 파일을 태그 속성 정보를 변경하여 달리 구성하는 웹 파일 구성 모듈과 ;
    상기 구성된 웹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
    상기 스크립트 처리 모듈, 웹 파일 구성 모듈, 메모리를 각기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버.
  2. 웹 서버로부터 해상도 정보들이 내장된 스크립트와 각 해상도에 따라 달리 구성된 웹 파일들을 수신하는 API인터페이스부와 ;
    상기 수신된 스크립트를 파싱하여 자신의 해상도를 검색하는 스크립트 파서 부와 ;
    상기 검색 결과를 이용해 상기 수신된 웹 파일들 중 자신의 해상도에 적합 한 웹 파일을 브라우징하는 브라우저와 ;
    상기 API인터페이스부, 스크립트 파서부, 브라우저를 각기 제어하는 마이크 로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3. 홈 네트웍 디바이스와, 인터넷을 통해 홈 네트웍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웹 파일 요청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웹 서버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가 홈 네트웍 디바이스들의 해상도 정보들을 스크립트에 내장하는 단계와 ;
    상기 스크립트에 내장된 해상도 정보들에 따라 웹 서버의 해당 웹 파일을 태그 속성 정보를 변경하여 달리 구성하는 단계와 ;
    상기 스크립트와 재구성된 웹 파일을 홈 네트웍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스크립트를 파싱하여 홈 네트웍 디바이스 자신의 해상도 정보 를 검색하는 단계와 ;
    상기 검색 결과를 이용해 상기 수신된 웹 파일들 중 자신의 해상도에 적합 한 웹 파일을 브라우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의 특성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010088825A 2001-12-31 2001-12-31 웹 서버,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디바이스 특성에 따른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0838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825A KR100838463B1 (ko) 2001-12-31 2001-12-31 웹 서버,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디바이스 특성에 따른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825A KR100838463B1 (ko) 2001-12-31 2001-12-31 웹 서버,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디바이스 특성에 따른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397A true KR20030058397A (ko) 2003-07-07
KR100838463B1 KR100838463B1 (ko) 2008-06-16

Family

ID=3221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825A KR100838463B1 (ko) 2001-12-31 2001-12-31 웹 서버,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디바이스 특성에 따른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4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264B1 (ko) * 2004-01-05 2012-01-30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US20150188776A1 (en) * 2013-12-27 2015-07-02 Kt Corporation Synchronizing user interface across multip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0430A (en) * 1995-11-06 1998-04-14 C/Ne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er-independent caching of dynamically-generated customized pages
US6167441A (en) * 1997-11-21 2000-12-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stomization of web pages based on requester type
KR100352139B1 (ko) * 1999-11-22 2002-09-12 오기호 맞춤 페이지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12553A (ko) * 1999-12-11 2000-03-06 김창곤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화면메뉴를 재구성할 수 있는액티브브라우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264B1 (ko) * 2004-01-05 2012-01-30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US8196044B2 (en) 2004-01-05 2012-06-05 Microsoft Corporation Configuration of user interfaces
US20150188776A1 (en) * 2013-12-27 2015-07-02 Kt Corporation Synchronizing user interface across multip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463B1 (ko) 2008-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0007B1 (en) Embedding web access functionality into a device for user interface functions
US6139177A (en) Device access and control using embedded web access functionality
JP4179535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リバースプロキシ、コンピュータ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1509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user interface
KR2003005839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네트웍 접속 시스템 및그 방법
US20090037556A1 (en) Http service discovery device
KR100911074B1 (ko) 홈 네트웍에서 기기 특성 데이터의 전송 가능 판별 장치및 그 방법
KR20030062735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040066927A (ko) Ihdn 네트워크상의 장치를 위한 장치 포맷 선호도를인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3141002A (ja) Url長変換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838463B1 (ko) 웹 서버,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디바이스 특성에 따른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WO2001073562A1 (en) Content server device
KR101356836B1 (ko)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의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010007998A1 (en) Gateway server in which picture contents can be displayed in small terminal, and processing speed is fast, and manufacturing cost is cheap, and method of obtaining contents
KR101498908B1 (ko) Rui 프로파일링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JP2002123448A (ja) オブジェクトフィルタリング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クライアント装置
KR102572737B1 (ko) 동영상 공유 사이트 접속 차단 시스템
US7509433B1 (en) Selecting quick-to-download content through an alternative hypertext protocol
KR100406078B1 (ko)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홈 네트워크 콘트롤 디바이스, 홈네트워크에서의 디스크립션 파일 재구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58395A (ko)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홈 네트워크 콘트롤 디바이스, 홈네트워크의 미디어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
KR101561524B1 (ko)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akamoto et al. Dynamic connection management between Web apps and peripheral devices by Web driver
KR100438573B1 (ko) 비디오폰의 모니터링 방법
US20130166636A1 (en) Portable terminal for a mobile network
KR19980077184A (ko) 정보 서비스 네트웍 시스템 및 정보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