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7830A - 대기전력 감소회로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감소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7830A
KR20030057830A KR1020010087920A KR20010087920A KR20030057830A KR 20030057830 A KR20030057830 A KR 20030057830A KR 1020010087920 A KR1020010087920 A KR 1020010087920A KR 20010087920 A KR20010087920 A KR 20010087920A KR 20030057830 A KR20030057830 A KR 20030057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ower
transformer
standby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호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87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7830A/ko
Publication of KR20030057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83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64Aspects related to the power supply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전력감소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이 구동되기 전 대기상태에서 소비되는 대기전력의 입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기전력감소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단에 저항을 구비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전원이 고압트랜스에 전달되기 전에 상기 저항에 의해서 전력이 감소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 인해서 사용자는 제품이 대기상태인 경우 소비되는 전력량을 줄일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쓸데없는 소비전력의 낭비를 막음으로서 소비되는 전기료를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기전력 감소회로{A circuit for waiting power decrease}
본 발명은 대기전력 감소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의 동작의 대기상태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구성된 대기전력 감소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대기전력 감소회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기전력이란, 제품이 구동되기 전 전원이 인가된 대기상태에서 제품으로 입력되는 전력을 말한다. 이전에는 상기 대기전력에 대한 규격 및 이에 대한 규제가 없었으나, 현재는 해외 등지에서 하나의 제품규격으로 채택되고 있을 정도로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대기전력회로이다.
우선, 상기 대기전력회로의 제어구성에 따른 연결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인가전원을 고압트랜스(T)의 1차단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고압트랜스(T)의 1차단 ①번은 오븐램프(3)와 팬모터(4)와 연결된다. 상기 오븐램프(3)와 팬모터(4)는 병렬로 구성되어져 있다.
한편, 고압트랜스(T)의 2차단의 ①번과 ②번 사이는 다이오드3,4,5,6 (D3,D4,D5,D6)으로 구성된 브릿지다이오드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다이오드3(D3)과 다이오드6(D6)이 직렬연결되고, 다이오드4(D4)와 다이오드5(D5)가 직렬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직렬연결된 다이오드3(D3)과 다이오드6(D6)은 다이오드 4(D4)와 다이오드5(D5)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다이오드3(D3)과 다이오드6(D6) 사이는 그라운드되고, 상기 다이오드4(D4)와 다이오드5(D5)사이는 인가전원+12V와, 캐패시터1(C1)와, 레귤레이터(IC1)와 동시에 연결된다.
상기 인가전원 +12V와 캐패시터1(C1)은 직렬연결되고, 또한, 상기 캐패시터1(C1)은 그라운드된다. 그리고 상기 레귤레이터(IC1)는 그라운드됨과 동시에 마이크로컴퓨터(2)에 연결된다. 상기 레귤레이터(IC1)와 마이크로컴퓨터(2) 사이는 전원 5V가 인가되고, 상기 전원을 캐패시터2(C2)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캐패시터2(C2)는 그라운드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는 저항2(R2)와 연결되고, 상기 저항2(R2)는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단자와 연결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의 에미터단자는 그라운드되고, 콜렉터단자는 다이오드1(D1)의 애노드단자와 연결된다. 상기 다이오드1(D1)의 캐소드단자는 전원이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오드1(D1)의 애노드단자와 캐소드단자사이는 릴레이1(RY1)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1(RY1)은 2단자스위치(SW)와 연결되고, 상기에서 언급한 오븐램프(30)와 팬모터(40)도 2단자스위치(SW)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2단자스위치의 단락소자의 한 부분은 고압트랜스(T)의 1차단 ②번과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되어 있는 제어구성을 참조하여 동작제어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제품을 구동시키기 전, 즉, 전원이 인가된 후 대기상태인 경우에 인가되는 전원은 고압트랜스(T)를 통과한다. 이때, 고압트랜스(T)로 인가되는 전압은 매우 높은 전압이다.
상기와 같이 높은 전압이 고압트랜스(T)로 전달되고, 브릿지다이오드를 통과한 전압은 교류전압에서 직류전압으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고압트랜스(T)를 통과한 전압은 인가되었을 당시의 전압보다 낮아진다. 상기 브릿지다이오드를 통과하여 교류에서 직류로 정류된 전압은 캐패시터1(C1)을 통과하여 평활된다. 상기 평활된 전압은 레귤레이터(IC1)로 전달된다. 상기 레귤레이터(IC1)를 통과한 전압은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출력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이, 레귤레이터(IC1)를 통해서 출력되는 전압은 캐패시터2(C2)에 의해 평활되어 마이크로컴퓨터(2)에 입력된다. 이때, 마이크로컴퓨터(2)에 전압이 입력될 때는 거의 내부회로 내에서 소비되어 인가전원 5V의 영향만을 받게된다.
상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품을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를 입력하면, 이는 마이크로컴퓨터(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는 제품이 구동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출력신호는 트랜지스터(Q)에 전달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는 턴온(TURN ON)된다. 이에 따라 릴레이1(RY1)가 구동되고, 이와 동시에 2단자스위치(SW)가 고압트랜스(T)의 1차단 ①번에 닫힘 스위칭제어된다. 상기 2단자스위치(SW)의 스위칭제어에 의해서 전원이 오븐램프(3)와 팬모터(4)에 인가되고, 이로 인해서 오븐램프(3)와 팬모터(4)가 구동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품이 대기상태에 있는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구동회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제품이 대기상태인 경우 소비되는 대기전력에 대한 규제가 없었다. 따라서 제품을 설계,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제품의 대기상태는 고려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제품이 대기상태에서 높은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전원을 통한 전력을 제품의 대기상태에서 소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전력낭비라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이 대기상태인 경우, 제품에서 소비되는 대기전력을 감소시키는 대기전력 감소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릴레이구동회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감소회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인가전원20 : 마이크로컴퓨터
30 : 오븐램프40 : 팬모터
SW' : 3단자스위치T : 고압트랜스
D1,D3,D4,D5,D6 : 다이오드C1,C2 : 캐패시터
RY1 : 릴레이Q : 트랜지스터
R2,R3 : 저항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감소회로는 제품 구동을 위한 메인릴레이의 동작으로 오븐램프와 팬모터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된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제품의 정격에 맞게 설계된 트랜스와, 대기상태에서 상기 트랜스의 1차단과 연결되어, 공급전류를 감소시키는 전류감소수단과, 전원공급원과 트랜스의 1차단 사이에 연결되어서, 상기 메인 릴레이의 동작에 연동 동작하도록 대기상태에서는 상기 전류감소수단에 연결되고, 제품 동작상태에서는 상기 트랜스의 1차단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된 3단자용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감소회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감소회로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전력 감소회로의 회로구성의 연결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품이 대기상태인 경우 인가되는 전압은 고압트랜스(T)의 1차단으로 전달된다. 이때, 인가전원과 고압트랜스(T)의 1차단 ②번 사이에는 3단자 스위치(SW')와 저항3(R3)이 연결된다. 즉, 상기 3단자스위치(SW')는 인가전원과 연결되고, 고압트랜스(T)의 1차단 ②번은 저항3(R3)과 연결된다. 또한, 인가전원(10)과 고압트랜스(T)1차단의 ①번 사이는 오븐램프(30)와 팬모터(40)가 연결되어 있고,상기 오븐램프(30)와 팬모터(40)는 병렬구성되어 있다. 상기 병렬구성된 오븐램프(30)와 팬모터(40)는 3단자스위치(SW')의 ②번에 연결된다. 이때, 3단자스위치(SW')의 ①번은 고압트랜스(T)의 1차단 ②번과 연결되고, 이들 사이에 저항3(R3)이 구비된다.
고압트랜스(T)의 2차단의 ①번과 ②번 사이는 다이오드3,4,5,6(D3,D4,D5,D6)으로 구성된 브릿지다이오드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다이오드3(D3)과 다이오드6(D6)이 직렬연결되고, 다이오드4(D4)와 다이오드5(D5)가 직렬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직렬연결된 다이오드3(D3)과 다이오드6(D6)은 다이오드4(D4)와 다이오드5(D5)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다이오드3(D3)과 다이오드6(D6) 사이는 그라운드되고, 상기 다이오드4(D4)와 다이오드5(D5)사이는 인가전원+12V와, 캐패시터1(C1)와, 레귤레이터(IC1)와 연결된다.
상기 인가전원 +12V와 캐패시터1(C1)은 직렬연결되고, 또한, 상기 캐패시터1(C1)은 그라운드된다. 그리고 상기 레귤레이터(IC1)는 그라운드됨과 동시에 마이크로컴퓨터(20)에 연결된다. 상기 레귤레이터(IC1)와 마이크로컴퓨터(20) 사이는 전원 5V가 인가되고, 상기 전원을 캐패시터2(C2)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캐패시터2(C2)는 그라운드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0)는 저항2(R2)와 연결되고, 상기 저항2(R2)는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단자와 연결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의 에미터단자는 그라운드되고, 콜렉터단자는 다이오드1(D1)의 애노드단자와 연결된다. 상기 다이오드1(D1)의 캐소드단자는 전원이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오드1(D1)의 애노드단자와 캐소드단자사이는 릴레이1(RY1)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릴레이1(RY1)은 3단자스위치(SW')와 연결되고, 상기에서 언급한 오븐램프(30)와 팬모터(40)도 3단자스위치(SW')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되는 제어구성을 통해서 동작되는 동작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제품의 전원코드를 콘센트에 삽입하면 이와 동시에 전원이 인가되고, 제품은 대기상태에서 들어간다. 상기 제품이 대기상태인 경우, 제품에 인가된 전원은 고압트랜스(T)의 1차단에 입력된다. 이때, 저항이 연결된 고압트랜스(T)의 1차단의 ②번과 폐루프로 이루어지도록 3단자스위치(SW')의 ①번과 연결되도록 스위칭연결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트랜스(T)의 1차단 ②번에 연결된 저항3(R3)이 대기전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저항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하고, 전류치는 감소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대기전력의 감소효과를 가져온다.
상기 수학식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인가된 전압에 따른 저항값이 증가하면 상대적으로 전류치는 반비례하므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대기전력(P)는 감소된 저항값의 제곱값과 저항값의 곱이므로 종래 기술보다 저항이 구성됨으로서 인해서 대기전력의 감소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낮은 전압이 고압트랜스(T)로 전달되고, 브릿지다이오드를 통과한 전압은 교류전압에서 직류전압으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트랜스포머를 통과한 전압은 인가되었을 당시의 전압보다 낮아진다. 상기 브릿지다이오드를 통과하여 정류된 전압은 캐패시터1(C1)을 거쳐 평활되고, 평활된 전압은 레귤레이터(IC1)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레귤레이터(IC1)를 통과한 전압은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출력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이, 회로 내로 입력되는 전압이 레귤레이터(IC1)를 통해서 출력되어 캐패시터2(C2)를 통해 평활되고, 평활된 전압이 마이크로컴퓨터(20)에 입력될 때는 거의 내부회로 내에서 소비되어 인가전원(10) 5V의 영향만을 받게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품을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를 입력하면, 이는 마이크로컴퓨터(20)에 입력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0)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품이 구동되도록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신호는 트랜지스터(Q)에 전달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는 턴온(TURN ON)된다. 이에 따라 릴레이1(RY1)가 구동되고, 3단스위치(SW') 단자가 ②번에 스위칭제어된다. 상기 3단스위치(SW')의 스위칭제어에 의해서 오븐램프(30)와 팬모터(40)로 전원이 인가되고, 오븐램프(30)와 팬모터(40)가 구동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SW')의 절환동작으로 트랜스(T) 1차단의 전원루프를 전원단(10)으로부터 직접 연결된다. 이때는 저항3(R3)은 경유하지 않고 정격전류를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3단자스위치를 사용하여 제품이 대기상태인 경우 고압트랜스(T)로 공급되는 전원이 고압트랜스(T)의 1차단에 연결된 저항에 의해서 전류치가 감소되어 대기전력의 입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 인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제품이 대기상태인 경우, 입력단에 구비된 저항으로 인해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쓸데없는 소비전력의 소비를 방지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결과적으로 전기료를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제품에 대한 만족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제품 구동을 위한 메인릴레이의 동작으로 오븐램프와 팬모터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된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제품의 정격에 맞게 설계된 트랜스와;
    대기상태에서 상기 트랜스의 1차단과 연결되어, 공급전류를 감소시키는 전류감소수단과;
    전원공급원과 트랜스의 1차단 사이에 연결되어서, 상기 메인 릴레이의 동작에 연동 동작하도록 대기상태에서는 상기 전류감소수단에 연결되고, 제품 동작상태에서는 상기 트랜스의 1차단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된 3단자용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기전력 감소회로.
KR1020010087920A 2001-12-29 2001-12-29 대기전력 감소회로 KR20030057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920A KR20030057830A (ko) 2001-12-29 2001-12-29 대기전력 감소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920A KR20030057830A (ko) 2001-12-29 2001-12-29 대기전력 감소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830A true KR20030057830A (ko) 2003-07-07

Family

ID=32215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920A KR20030057830A (ko) 2001-12-29 2001-12-29 대기전력 감소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783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804A (ko) * 1992-12-03 1994-07-27 이헌조 초절전 스탠바이(stand-by)회로
KR950015903A (ko) * 1993-11-25 1995-06-17 배순훈 전력절감형 스탠바이 회로
JPH08126313A (ja) * 1994-10-20 1996-05-17 Sharp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
JP2001145354A (ja) * 1999-11-11 2001-05-25 Lg Electronics Inc 電気機器の低消費電力スタンバイ電源回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804A (ko) * 1992-12-03 1994-07-27 이헌조 초절전 스탠바이(stand-by)회로
KR950015903A (ko) * 1993-11-25 1995-06-17 배순훈 전력절감형 스탠바이 회로
JPH08126313A (ja) * 1994-10-20 1996-05-17 Sharp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
JP2001145354A (ja) * 1999-11-11 2001-05-25 Lg Electronics Inc 電気機器の低消費電力スタンバイ電源回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2702B1 (en) Higher-efficiency cold-cathode fluorescent lamp power supply
CN102740545A (zh) 恒压可调光led驱动电源
WO2022007696A1 (zh) 一种低待机功耗照明电路及照明灯具
CN110233563A (zh) 一种调频电路及开关电源
CN112135394A (zh) 一种可升压降压的恒流led驱动电路
CN107770914B (zh) 一种led灯具电源
CN101841296A (zh) 智能配电节电装置
CN113068288B (zh) 一种低功耗led调光电路
KR20030057830A (ko) 대기전력 감소회로
CN210469809U (zh) 驱动器
CN201657392U (zh) 智能配电节电装置
CN210725427U (zh) 一种隔离高效pwm调光led驱动电路
CN1050018C (zh) 低耗功率的电源供应器
CN213938392U (zh) 一种单火线取电电路
CN214381521U (zh) 一种灯带的色温调节电路
CN217656779U (zh) 可调节缓启动和缓灭时间恒流控制电路驱动电源
CN1050017C (zh) 可快速回复启动的省电型电源供应器
CN218243900U (zh) 一种大功率led光源的驱动控制电路
CN212572376U (zh) 一种电源快速启机及稳定进出待机的装置
CN215453339U (zh) 一种低亮度模式快速启动电路
CN219577312U (zh) 一种集约调光led驱动电源
CN1209680A (zh) 改良型低耗功率的电源供应器
CN210120682U (zh) 高效无线控制rgbw光源的led非隔离恒流驱动电路
CN207427533U (zh) 一种开关调光的led驱动电源电路
KR100287846B1 (ko) 모니터의 디피앰 모드 소비전력 절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