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71Y1 - 소형 연막소독기 - Google Patents

소형 연막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71Y1
KR200300571Y1 KR20-2002-0030317U KR20020030317U KR200300571Y1 KR 200300571 Y1 KR200300571 Y1 KR 200300571Y1 KR 20020030317 U KR20020030317 U KR 20020030317U KR 200300571 Y1 KR200300571 Y1 KR 2003005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vaporization chamber
vaporization
heating tube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만석
Original Assignee
윤만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만석 filed Critical 윤만석
Priority to KR20-2002-00303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5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1Y1/ko
Priority to PCT/KR2003/001929 priority patent/WO2004032982A1/en
Priority to AU2003264558A priority patent/AU2003264558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61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 A01M1/2088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using a burner or a flame as heat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Abstract

본 고안은 연막소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막소독기의 기화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소독액의 완전기화를 이루도록 하며 소독액 분출관을 직경에 구애받지 않으며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소독액의 기화로 인한 카본의 적층을 예방하여 소독액 분출관이 카본으로 차폐되는 치명적인 결합을 예방함과 아울러 수명또한 연장되는 소형 연막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소독액 배출관의 직경에 구애받지 않고 소독액을 완전기화함으로써, 소독액 배출관이 소독액 기화로 인해 발생되는 카본의 적층으로 차폐되는 일이 없어 고장의 발생율을 현저히 줄이고 수명또한 연장될 수 있는 소형 연막소독기르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상부에 소정의 소독약 및 경유가 혼합된 소독액이 저장되는 소독액 저장탱크와,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의 하부에는 상기 소독액이 유입되어 기화되는 기화실과,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내의 소독액을 상기 기화실에 공급하며, 일측에 소독액 공급을 제어하는 소독액 공급제어밸브를 구비한 소독액 공급관과, 상기 기화실 일측을 관통하고 소정 버너의 화염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기화실을 가열하는 화염가열관과, 상기 화염가열관내에 축방향으로 구비되고 일단은 상기 화염가열관을 관통하여 상기 기화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화염가열관을 벗어나 화염의 열에 의해 기화된 소독액을 외부로 분출시키는 소독액 분출관과, 상기 화염가열관의 하부에는 에어를 펌핑하여 에어공급관에 통해상기 기화실 및 소독액 저장탱크에 공급하는 에어콤프레샤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형 연막소독기{A smoke screen sterilizer}
본 고안은 연막소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막소독기의 기화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소독액의 완전기화를 이루도록 하며 소독액 분출관을 직경에 구애받지 않으며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소독액의 기화로 인한 카본의 적층을 예방하여 소독액 분출관이 카본으로 차폐되는 치명적인 결합을 예방함과 아울러 반영구적인 소형 연막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막소독기는 케이스 내부에 소독액 탱크가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단으로 연료의 연소에 따라 화염을 발생하여 소독액 탱크내에 충진된 소독액을 기화시키는 버너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소독액이 안내되는 소독액 파이프의 일단이 상기 소독액 탱크내에 위치되고 다른 일단은 와권상으로 권회되어 버너 외주면의 기화공간내부의 열매체 물질 속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소독액 탱크내에 위치한 케이스의 후부에 소독액을 펌핑하는 펌프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의 내부에는 펌핑되는 소독액이 소독액 탱크의 내부로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 방지밸브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버너의 외주면에는 버너의 연소열에 의해 소독액 탱크내의 소독액을 기화시키기 위한 기화부가 구비되어 있다.
도 4는 일반적인 연막소독기의 기화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특히, 일반적인 기화부는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일단으로 버너(3) 및 와권상으로 권회된 소독액 파이프(9)의 외주면에 보호망이 감싸지게 설치되어 케이스에 설치된다.
상기 버너(3)가 점화되면 상기 버너(3)의 외주면에 와권상으로 권회된 소독액 파이프(9)가 가열되기 시작한다.
이때, 소독액이 가열된 소독액 파이프(9)를 통과하면서 기화되어 연막상태로살포되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기화부는 버너의 외주면에 소독액 파이프가 와권상으로 권회되어, 소독액이 상기 소독액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완전기화시키기위해서는 소독액 파이프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여야 하며, 소독액 파이프의 직경이 작아 소독액의 기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카본이 상기 소독액 파이프상에 적층되어 소독액 파이프가 차폐되는 치명적인 결함이 발생되었다.
또한, 소독액 파이프가 차폐되면 소독액 파이프의 직경이 작아 세척작업이 거의 불가능하여 재사용이 어렵고, 기화부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경제적인 손실이 야기되었으며, 그 수명또한 짧은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소독액 배출관의 직경에 구애받지 않고 소독액을 완전기화함으로써, 소독액 배출관이 소독액 기화로 인해 발생되는 카본의 적층으로 차폐되는 일이 없어 고장의 발생율을 현저히 줄이고 수명또한 연장될 수 있는 소형 연막소독기르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상부에 소정의 소독약 및 경유가 혼합된 소독액이 저장되는 소독액 저장탱크와,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의 하부에는 상기 소독액이 유입되어 기화되는 기화실과,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내의 소독액을 상기 기화실에 공급하며, 일측에 소독액 공급을 제어하는 소독액 공급제어밸브를 구비한 소독액 공급관과, 상기 기화실 일측을 관통하고 소정 버너의 화염에의해 가열되어 상기 기화실을 가열하는 화염가열관과, 상기 화염가열관내에 축방향으로 구비되고 일단은 상기 화염가열관을 관통하여 상기 기화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화염가열관을 벗어나 화염의 열에 의해 기화된 소독액을 외부로 분출시키는 소독액 분출관과, 상기 화염가열관의 하부에는 에어를 펌핑하여 에어공급관에 통해 상기 기화실 및 소독액 저장탱크에 공급하는 에어콤프레샤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연막소독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연막소독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연막소독기의 특정부분 절개사시도,
도 4는 일반적인 연막소독기의 기화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소독액 저장탱크 20 : 기화실
30 : 소독액 공급관 31 : 소독액 공급제어밸브
40 : 화염가열관 50 : 버너
60 : 소독액 분출관 70 : 에어콤프레샤
80 : 콤프케이스 90 : 에어공급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소형 연막소독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연막소독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연막소독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연막소독기의 특정부분 절개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에 소정의 소독약 및 경유가 혼합된 소독액이 저장되는 소독액 저장탱크(10)를 구비하고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10)의 하부에는 상기 소독액이 유입되어 기화되는 기화실(20)을 구비한다.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10)내의 소독액을 상기 기화실(20)에 공급하도록 소독액 공급관(30)을 구비하고 상기 소독액 공급관(30)상에 구비되어 소독액 공급을 제어하는 소독액 공급제어밸브(3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기화실(20) 일측을 관통하는 화염가열관(40)을 구비하여 소정 버너(50)의 화염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기화실(20)을 가열하도록 한다.
상기 화염가열관(40)내에 축방향으로 구비되고 일단은 상기 화염가열관(40)을 관통하여 상기 기화실(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화염가열관(40)을 벗어나 화염의 열에 의해 기화된 소독액을 외부로 분출시키는 소독액 분출관(60)을 구비한다.
상기 화염가열관(40)의 하부에는 에어를 펌핑하여 에어공급관(90)을 통해 상기 기화실(20) 및 소독액 저장탱크(10)에 공급하는 에어콤프레샤(70)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콤프레샤(70)를 보관지지하는 콤프케이스(80)를 상기 기화실(20)의 하부에 구비한다.
한편, 상기 버너(50)는 상기 콤프케이스(80)의 일측에 구비되어 버너(50)의 화염이 상기 화염가열관(40)내에 뿜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소독액 저장탱크에 소독약과 경유를 혼합하여 소정량을 저장한다.
그런 다음, 버너에 화염을 발생시켜 화염가열관에 뿜어지도록 상기 버너를 콤프케이스의 일측에 위치시킨다.
이때, 소독액 공급관상의 소독액 공급제어밸브를 개구하여 소정량의 소독액이 상기 소독액 공급관을 통해 기화실로 유입시킴과 아울러 에어콤프레샤를 가동시켜 압축공기가 상기 기화실 및 소독액 저장탱크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에어콤프레샤의 작동으로 압축공기가 기화실 및 소독액 저장탱크내로 유입되면, 먼저 소독액 저장탱크내는 압축공기에 압축되어 소독액이 용이하게 배출되어지며, 상기 기화실에 압축공기가 유입되면 기화실에 유입되는 소독액을 흩뿌려주어 기화현상이 잘 일어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버너에 의해 상기 화염가열관이 가열되어지면 기화실이 가열되어 상기 기화실내에 유입된 소독액은 기화되어 소독연막을 생성하게 된다.
그러나, 완전기화되지 못하고 소독액은 액상으로 소정량 잔류하게 되는데, 이때, 기화된 소독연막 및 액상의 소독액은 상기 화염가열관상에 구비된 소독액 분출관으로 유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 소독액 분출관은 상기 화염가열관내에 구비되어 있어, 버너의 화염에 의해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기화실에서 미처 기화되지 못한 소독액은 상기 소독액 분출관을 지나면서 완전기화되게 된다.
다시말해, 버너에 의해 상기 화염가열관내를 가열하게 되면, 화염가열관의 외주면에 열에 의해 상기 기화실내부가 가열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유입된 소독액이 흩뿌려지면서 기화실내부의 고온에 의해 1차적으로 기화되어 소독연막을 생성하게 되며, 상기 화염가열관내에 구비된 소독액 분출관을 상기 소독액이 지나면서 상기 기화실에서 미처 기화되지 못한 소독액은 2차적으로 기화함으로써, 두번에 걸친 기화로 소독액은 완전기화되어진다.
따라서, 완전기화로 인해 기화실 내부 및 소독액 배출관내에 카본이 생겨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고장이 없고, 반영구적이다.
한편, 상기 기화실 및 소독액 분출관을 통해 완전 기화된 소독연막은 에어콤프레샤에 의해 소정 압력으로 상기 소독액 분출관 외부로 배출되어 소정 장소를 소독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독액을 기화실 및 소독액 배출관에서 두번 가열하여 기화시킴으로써, 소독액이 완전기화되어, 소독약과 경유의 혼합이 가능하고, 기화실 및 소독액 배출관상에 카본이 쌓여 통로를 차단하는 일이 발생되지 않으며, 소독액 배출관의 직경에 구애받지 않고 제작할 수가 있고, 반영구적이며, 완전기화된 소독연막으로 소독작업이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부에 소정의 소독약 및 경유가 혼합된 소독액이 저장되는 소독액 저장탱크와,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의 하부에는 상기 소독액이 유입되어 기화되는 기화실과,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내의 소독액을 상기 기화실에 공급하며, 일측에 소독액 공급을 제어하는 소독액 공급제어밸브를 구비한 소독액 공급관과,
    상기 기화실 일측을 관통하고 소정 버너의 화염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기화실을 가열하는 화염가열관과,
    상기 화염가열관내에 축방향으로 구비되고 일단은 상기 화염가열관을 관통하여 상기 기화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화염가열관을 벗어나 화염의 열에 의해 기화된 소독액을 외부로 분출시키는 소독액 분출관과,
    상기 화염가열관의 하부에는 에어를 펌핑하여 에어공급관에 통해 상기 기화실 및 소독액 저장탱크에 공급하는 에어콤프레샤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연막소독기.
KR20-2002-0030317U 2002-10-10 2002-10-10 소형 연막소독기 KR2003005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317U KR200300571Y1 (ko) 2002-10-10 2002-10-10 소형 연막소독기
PCT/KR2003/001929 WO2004032982A1 (en) 2002-10-10 2003-09-22 Mist sterilizer
AU2003264558A AU2003264558A1 (en) 2002-10-10 2003-09-22 Mist steriliz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317U KR200300571Y1 (ko) 2002-10-10 2002-10-10 소형 연막소독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987A Division KR100514457B1 (ko) 2003-12-26 2003-12-26 연막소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1Y1 true KR200300571Y1 (ko) 2003-01-10

Family

ID=32089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317U KR200300571Y1 (ko) 2002-10-10 2002-10-10 소형 연막소독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300571Y1 (ko)
AU (1) AU2003264558A1 (ko)
WO (1) WO20040329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5902B1 (fr) * 2007-05-07 2012-10-12 Exp Fum Consulting Dispositif de desinsectisation.
US20120125197A1 (en) * 2010-11-22 2012-05-24 Ethicon, Inc. Decontamination apparatuses and methods
CN106719515B (zh) * 2016-12-22 2020-05-05 重庆市黑土地白蚁防治有限公司 用于有害蚁类的清除方法
RU2746531C1 (ru) * 2020-02-26 2021-04-1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поллО" Мобильный гигиенический цент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8479A (en) * 1988-06-15 1991-03-12 Perham William J Smoke generating device with rechargable cartridge
JP3043734B1 (ja) * 1999-01-04 2000-05-22 有光工業株式会社 薬液噴霧装置
KR200179865Y1 (ko) * 1999-11-17 2000-04-15 조미동 휴대용 살충기
KR100360338B1 (ko) * 2000-02-01 2002-11-13 황성달 휴대용 연막 연무 살충기
KR20000036548A (ko) * 2000-03-21 2000-07-05 한석윤 휴대용 연막 소독기의 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64558A1 (en) 2004-05-04
WO2004032982A1 (en) 200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2498B2 (ja) 圧縮式薬液供給手段を含む噴霧型半自動防疫消毒器
KR200300571Y1 (ko) 소형 연막소독기
KR200449329Y1 (ko) 연막 및 연무겸용 휴대형소독기
KR100514457B1 (ko) 연막소독기
KR20060125153A (ko) 소독약제 분사장치
KR200340989Y1 (ko) 소형 연막소독기
KR102147019B1 (ko) 전동형 약액 연무기
KR100361608B1 (ko) 연막 소독기
KR200345648Y1 (ko) 소형 연막소독기의 기화실구조
KR100500953B1 (ko) 소형 연막 소독기
KR200381275Y1 (ko) 해충 퇴치용 무음 연막 소독기
KR100255290B1 (ko) 휴대용 살충기의 기화부 구조
KR200179865Y1 (ko) 휴대용 살충기
KR101737625B1 (ko) 청소가 용이한 휴대용 방역기
KR200259750Y1 (ko) 증기 발생 장치
KR200242858Y1 (ko) 휴대용 연막 연무 살충기
KR100360338B1 (ko) 휴대용 연막 연무 살충기
KR20000036548A (ko) 휴대용 연막 소독기의 기화기
KR200327026Y1 (ko) 소형 연막 소독기
KR19990024238A (ko) 전기가열식 분무장치
KR200428743Y1 (ko) 휴대용 연막 소독기
KR200179214Y1 (ko) 소형 연막 소독기
KR200207941Y1 (ko) 연무 소독기
KR20090024514A (ko) 연무기의 소음기
KR200435362Y1 (ko) 원적외선 튜브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