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6803A - 반도체 소자의 다마신 금속 배선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다마신 금속 배선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6803A
KR20030056803A KR1020010087104A KR20010087104A KR20030056803A KR 20030056803 A KR20030056803 A KR 20030056803A KR 1020010087104 A KR1020010087104 A KR 1020010087104A KR 20010087104 A KR20010087104 A KR 20010087104A KR 20030056803 A KR20030056803 A KR 20030056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forming
pattern
metal film
insu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무
정창환
류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7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6803A/ko
Publication of KR20030056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80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051Planarisation of the insulating layers
    • H01L21/31053Planarisation of the insulating layers involving a dielectric removal ste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05Etching inorganic layers
    • H01L21/31111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 H01L21/31116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by dry-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19Smoothing of the di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다마신 금속 배선 형성 방법은, 반도체 기판 위의 제1 절연막상에 제1 금속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 금속막 패턴 위에 제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2 절연막 내에 제1 금속막 패턴의 일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컨택 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컨택 홀을 채우는 제2 금속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2 금속막 패턴의 상부 일정 부분이 돌출되도록 제2 절연막의 상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제2 절연막 및 제2 금속막 패턴 위에 제3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다마신 금속 배선 형성 방법{Method for fabricating damascene metal interconnection of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소자의 다마신 금속 배선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가 증가하면서 금속 배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마신(damascene) 공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마신 공정은, 먼저 층간 절연막을 관통하여 하부 금속막의 일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컨택 홀을 형성하고, 다음에 이 컨택 홀을 상부 금속막으로 채운 다음 평탄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다마신 금속 배선 형성 방법의 일 예와 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위의 제1 절연막(110)상에 제1 금속막 패턴(120)을 형성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은, 제1 금속막 패턴(120)은 반도체 기판(100)의 소정 영역, 예컨대 액티브 영역과 전기적으로 컨택될 수 있다. 다음에 제1 금속막 패턴(120) 위에 제2 절연막(130)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2 절연막(130) 내에 제1 금속막 패턴(120)의 일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컨택 홀(140)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면, 컨택 홀(140)을 채우면서 제2 절연막(130)을 덮도록 제2 금속막(150)을 형성한다. 제2 금속막(150)은 컨택 홀(140)을 통해 제1 금속막 패턴(120)과 직접 컨택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면, 평탄화 공정, 예컨대 화학적 기계적 폴리싱(CMP;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사용하여 제2 절연막(130)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제2 금속막(도 2의 140)의 일부가 제거된 제2 금속막 패턴(145)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 절연막(130) 및 제2 금속막 패턴(145) 위에 제3 절연막(미도시)을 형성한다.
그런데 상기 평탄화 공정을 수행한 후에, 제2 절연막(130) 표면에는 잔여 금속물(150)이 남아 있게 된다. 비록 평탄화 공정을 수행한 후에 세정 공정을 수행하더라도 상기 잔여 금속물(150)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잔여 금속물(150)이 남아 있게 되면 소자 내의 누설 전류 통로 역할을 하여 누설 전류량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소자의 전기적인 특성이 열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잔여 금속물을 완전히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소자의 누설 전류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다마신 금속 배선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다마신 금속 배선 형성 방법의 일 예와 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들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다마신 금속 배선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다마신 금속 배선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들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다마신 금속 배선 형성 방법은, 반도체 기판 위의 제1 절연막상에 제1 금속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금속막 패턴 위에 제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절연막 내에 상기 제1 금속막 패턴의 일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컨택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컨택 홀을 채우는 제2 금속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금속막 패턴의 상부 일정 부분이 돌출되도록 상기 제2 절연막의 상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절연막 및 상기 제2 금속막 패턴 위에 제3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금속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택 홀을 채우면서 상기 제2 절연막을 덮는 제2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절연막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절연막의 상부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절연막과 상기 제2 금속막 패턴의 식각 선택비를 이용한 건식 식각 공정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다마신 금속 배선 형성 방법은, 반도체 기판 위의 제1 절연막상에 제1 금속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금속막 패턴 위에 제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절연막 내에 상기 제1 금속막 패턴의 일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컨택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컨택 홀을 채우는 제2 금속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절연막의 상부 일정 부분이 돌출되도록 상기 제2 금속막 패턴의 상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절연막 및 상기 제2 금속막 패턴 위에 제3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금속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택 홀을 채우면서 상기 제2 절연막을 덮는 제2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절연막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금속막 패턴의 상부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절연막과 상기 제2 금속막 패턴의 식각 선택비를 이용한 건식 식각 공정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다마신 금속 배선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400) 위의 제1 절연막(410)상에 제1 금속막 패턴(420)을 형성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은, 제1 금속막 패턴(420)은 반도체 기판(100)의 소정 영역, 예컨대 액티브 영역과 전기적으로 컨택될 수 있다. 다음에 제1 금속막 패턴(420) 위에 제2 절연막(430)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2 절연막(430) 내에 제1 금속막 패턴(420)의 일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컨택 홀(440)을 형성한다. 상기 컨택 홀(44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2 절연막(430) 위에 포토레지스트막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다음에 이 포토레지스트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한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제1 금속막 패턴(420)의 일부 표면이 노출되도록 제2 절연막(430)의 노출 부분을 제거한다. 그러면 상기 컨택 홀(440)이 만들어지며, 컨택 홀(440)을 형성한 후에는 포토레지스트막 패턴을 제거한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면, 컨택 홀(440)을 채우면서 제2 절연막(430)을 덮도록 제2 금속막(450)을 형성한다. 제2 금속막(450)은 컨택 홀(440)을 통해 제1 금속막 패턴(420)과 직접 컨택된다. 이때 상기 제2 금속막(450)과 상기 제2 절연막(430)은 상호 식각 선택비가 충분히 큰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즉 제2 절연막(430) 물질의 건식 식각률이 제2 금속막(450) 물질의 건식 식각률보다 더 크도록 한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면, 평탄화 공정, 예컨대 화학적 기계적 폴리싱(CMP;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사용하여 제2 절연막(430)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제2 금속막(도 5의 440)의 일부가 제거된 제2 금속막 패턴(445)을 형성한다. 이때 통상적으로 평탄화 공정을 수행한 후 세정 공정을 수행하는데, 세정 공정을 수행하더라도 제2 절연막(430) 표면에는 잔류 금속물(450)이 남게 된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면, 전면 건식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제2 금속막 패턴(445)의 상부 일정 부분이 돌출되도록 제2 절연막(430)을 상부 일정 두께만큼 제거한다. 즉 전면 건식 식각 공정을 수행하되, 제2 금속막 패턴(445)과 제2 절연막(430)의 식각 선택비를 이용하여 전면 건식 식각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건식 식각 공정에 의해 제거되는 제2 절연막(430)의 두께(d)는 제2 절연막(430) 위에 남아있던 잔류 금속물(450)이 완전히 제거될 정도의 두께면 충분하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면, 제2 절연막(430) 및 제2 금속막 패턴(445) 위에 제3 절연막(460)을 형성하여 다마신 금속 배선을 형성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다마신 금속 배선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단계들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 금속막(450)과 상기 제2 절연막(430)은 상호 식각 선택비가 충분히 큰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즉 제2 절연막(430) 물질의 건식 식각률이 제2 금속막(450) 물질의 건식 식각률보다 더 작도록 한다. 다음에 전면 건식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제2 금속막 패턴(445)의 상부 일정 부분이함몰되도록 제2 금속막 패턴(445) 및 제2 절연막(430)을 상부 일정 두께만큼 제거한다. 즉 전면 건식 식각 공정을 수행하되, 제2 금속막 패턴(445)과 제2 절연막(430)의 식각 선택비를 이용하여 전면 건식 식각 공정을 수행한다. 그러면 보다 많은 양의 제2 금속막 패턴(445)과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제2 절연막(430) 표면이 제거된다. 상기 건식 식각 공정에 의해 제거되는 제2 금속막 패턴(445)의 두께(d2)는 제2 절연막(430) 위에 남아있던 잔류 금속물(450)이 완전히 제거될 정도의 두께면 충분하다.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절연막(430) 및 제2 금속막 패턴(445) 위에 제3 절연막(460)을 형성하여 다마신 금속 배선을 형성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다마신 금속 배선 형성 방법에 의하면, 절연막과 금속막의 식각 선택비를 이용한 전면 건식 식각 공정을 수행하므로써, 절연막 위의 잔류 금속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자의 누설 전류량 증가를 억제하여 전기적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반도체 기판 위의 제1 절연막상에 제1 금속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금속막 패턴 위에 제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절연막 내에 상기 제1 금속막 패턴의 일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컨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컨택 홀을 채우는 제2 금속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금속막 패턴의 상부 일정 부분이 돌출되도록 상기 제2 절연막의 상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절연막 및 상기 제2 금속막 패턴 위에 제3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택 홀을 채우면서 상기 제2 절연막을 덮는 제2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절연막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막의 상부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절연막과 상기 제2 금속막 패턴의 식각 선택비를 이용한 건식 식각 공정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4. 반도체 기판 위의 제1 절연막상에 제1 금속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금속막 패턴 위에 제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절연막 내에 상기 제1 금속막 패턴의 일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컨택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컨택 홀을 채우는 제2 금속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절연막의 상부 일정 부분이 돌출되도록 상기 제2 금속막 패턴의 상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절연막 및 상기 제2 금속막 패턴 위에 제3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택 홀을 채우면서 상기 제2 절연막을 덮는 제2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절연막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막 패턴의 상부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절연막과 상기 제2 금속막 패턴의 식각 선택비를 이용한 건식 식각 공정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20010087104A 2001-12-28 2001-12-28 반도체 소자의 다마신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200300568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104A KR20030056803A (ko) 2001-12-28 2001-12-28 반도체 소자의 다마신 금속 배선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104A KR20030056803A (ko) 2001-12-28 2001-12-28 반도체 소자의 다마신 금속 배선 형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803A true KR20030056803A (ko) 2003-07-04

Family

ID=3221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104A KR20030056803A (ko) 2001-12-28 2001-12-28 반도체 소자의 다마신 금속 배선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68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098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4247738A (ja) 半導体基板上に導電金属ラインの形成方法
KR20070008118A (ko) 반도체소자의 금속 콘택 형성방법
US6511916B1 (en) Method for removing the photoresist layer in the damascene process
KR100529654B1 (ko) 반도체 소자의 듀얼 다마신 배선을 위한 컨택 홀 형성 방법
US2009026723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20030056803A (ko) 반도체 소자의 다마신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208450B1 (ko) 반도체 소자의 다중 금속층 형성 방법
KR100640430B1 (ko) 듀얼 다마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리배선막 형성방법
KR100315039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591155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JPH11186274A (ja) デュアル・ダマスク技術
KR100799068B1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0349696B1 (ko) 화학적 팽창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을 위한 대머신 구조 형성방법
KR100390941B1 (ko) 반도체 소자의 듀얼 다마신 패턴 형성 방법
KR20040080599A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방법
KR100538634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548527B1 (ko)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521453B1 (ko)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방법
KR100236529B1 (ko) 가장자리 식각 마스크 및 이를 적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10022477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532981B1 (ko) 반도체소자 식각방법
KR20100008913A (ko) 듀얼 다마신 공정을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9990018380A (ko) 반도체 장치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20070036979A (ko) 반도체 소자의 랜딩플러그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