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5672A - 간이망관리 프로토콜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 - Google Patents

간이망관리 프로토콜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5672A
KR20030055672A KR1020010085717A KR20010085717A KR20030055672A KR 20030055672 A KR20030055672 A KR 20030055672A KR 1020010085717 A KR1020010085717 A KR 1020010085717A KR 20010085717 A KR20010085717 A KR 20010085717A KR 20030055672 A KR20030055672 A KR 20030055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 identifier
node
encoding
snmp
n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홍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5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5672A/ko
Publication of KR20030055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67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6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network management agents or mobile ag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NMP 메시지 생성시 선행한 객체 식별자와의 유사성을 이용하여 객체 식별자의 효율적인 부호화를 통하여 SNMP 메시지의 크기를 감소시킨 간이망관리 프로토콜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관리정보베이스상의 각 노드들의 객체 식별자를 부호화하는 경우에 적용하게 될 유사성 판단의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관리정보베이스상의 각 노드들의 객체 식별자의 부호화 과정을 개시하여 현재 객체 식별자에 대해 선행한 객체 식별자와의 유사성을 설정된 판단 범위에 따라 판단하는 단계와; 유사성 판단의 결과로 유사성이 긍정되면, 선행한 객체 식별자와 동일한 조상 노드 부분을 설정된 수치로 대체하여 간략화하게 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관리정보베이스 트리상의 각 노드(객체)들에 대해 연속된 정수들로 표현되는 객체 식별자가 인접한 객체 식별자와 유사성을 갖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객체 식별자의 부호화시 동일한 조상을 각 객체 식별자들이 반복적으로 표현하지 않아도 되도록 함으로써 객체 식별자 부호화에 따른 SNMP 메시지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간이망관리 프로토콜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 {Object Identifier coding for SNMP message}
본 발명은 간이망관리 프로토콜(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의 객체 식별자(Object Identifier, OID) 부호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SNMP 메시지 생성시 객체 식별자의 효율적인 부호화를 통하여 SNMP 메시지의 크기를 감소시키기에 적당하도록 한 간이망관리 프로토콜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NMP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의 망 관리 프로토콜이다. 이는 라우터(router)나 허브(hub) 등 망 기기(network agent)의 망 관리 정보를 망관리시스템에 보내는 데 사용되는 표준 통신 규약으로 채용되었으며, TCP/IP의 게이트웨이 관리 프로토콜(SGMP:simple gateway management protocol)을 바탕으로 개발되어 개방형 시스템 간 상호 접속(OSI)의 망 공통 관리 정보 프로토콜(CMIP)에 대응한다.
SNMP는 요구와 응답의 2가지 기능을 사용하여 망 관리 정보를 수집, 관리한다. 이는 RFC 1157에 의해 표준화되어 있으며, SNMPv2 등의 개정판이 있다. 그리고 인터넷은 표준으로의 요구와 권고안인 RFCs(Request For Comments)를 사용한다. SNMP의 동작은 3개의 개별적이며 연관된 RFCs에 의해 정의 되었으며, 많은 다른 것에 의해 확장되었다. 이에 따라 SNMP 관련하여 RFC1155, RFC1156, RFC1157, RFC1212, RFC1213, RFC1215, RFC1239 등이 있다.
SNMP는 망관리 정보 베이스(Management Information Base, MIB)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SNMP의 주요한 목표 중 하나는 추상적인 구문에 영향받지 않는 기기를 경유하여 한 기기의 내부로부터 다른 기기의 내부로 망관리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허용하는데 있다.
이처럼 원격 유저에 의해 네트워크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SNMP 모델들은 모든 관리 정보 기능들을 쉽게 변경 또는 검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제한된 요구 메시지는 폴링(polling)의 타이밍과 초점의 가이드가 된다. 제한된 요구 메시지는 단순하며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최소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관리정보베이스는 특정한 에이전트나 매니저에 의해 제어되는 모든 객체들의 수집-통합된 정보이다. 관리정보베이스는 작동하기 쉽도록 매우 간단한 테이블로 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어떤 시스템에서도 빠르고 효과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트리구조를 갖는 관리정보베이스에서의 객체 식별자를 예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여 보면, 관리대상인 객체는 SNMP 장비가 관리하는 실제적인 리소스의 재표현으로, 현재 수백개의 객체들이 정의되어 있으며, 인터넷 MIBs의 표준 구성원으로 등록되어 있다.
객체 식별자는 숫자로 된 이름을 할당하고 객체 타입을 지정한다. 객체 식별자는 순차적으로 데이터 요소인 네임 트리 데이터(Name Tree Data)를 통하여 경로를 통과할 수 있는 관리정보베이스를 나타낸다. 객체 형식의 구문은 객체 형식에 따르는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는데, ASN.1(Abstract Syntax Notation One) 언어가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ASN.1은 구문을 정의하고 특정 프로토콜의 패킷 형식을 암호화하는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표준이다.
관리정보베이스는 장래의 응용성과 관리 기능의 단순화를 위해, 관리 대상 객체를, 관련된 그룹으로 모아 놓고 있다. 인터넷의 모든 구성요소를 위해서 모든 그룹이 mandatory에 따라서 변하기 쉬운 것은 아니다. mandatory란 무엇인가, mandatory란 것은 만일 어떤 그룹의 구성요소가 지원된다면, 모든 가변 그룹이 지원된다는 것이다.
트리구조를 갖는 관리정보베이스에서의 객체 식별자는 일반적으로 인접한 객체 식별자와 동일한 부모 노드 또는 증조부 노드를 갖는다. 그렇기 때문에 연속된 정수들로 표현되는 객체 식별자는 인접한 객체 식별자와 유사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인터넷(internet) 노드의 객체 식별자가 '1'이면, 그 자식 노드들에 있어서 'directory' 노드의 객체 식별자가 1, 'mgmt' 노드의 객체 식별자는 2, 'experimental' 노드의 객체 식별자는 3 등으로 되어져 각각 정수로 표현된 객체 식별자들을 갖게 된다.
도2는 일반적인 SNMP 메시지 구조를 보인 것이다. 이에 따르면, SNMP 메시지내의 변수에 대한 이름(객체 식별자)의 쌍을 나타내는 변수 바인딩(Variable Bindings) 필드에 객체 식별자(OID)와 그에 일치되는 값들의 리스트가 실린다.
도3은 종래기술에 따른 변수 바인딩 코딩 즉,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을 예시하여 보인 것이다. 노드로 tcpRtoAlgorithm 및 tcpRtoMin가 있고, 그 값이 각각 Value1로 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변수 바인딩의 수행을 통해 노드 tcpRtoAlgorithm가 '1.3.6.1.2.6.1.0'으로 표현되고, 노드 tcpRtoMin가 '1.3.6.1.2.6.2.0'과 같이 표현되어질 것이다.
이처럼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정수로 기술되는 객체 식별자를 그대로 부호화함으로써 SNMP 메시지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시 많은 비트량을 소모함으로써 전체 SNMP 메시지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정수로 기술되는 객체 식별자를 그대로 부호화하기 때문에 많은 비트를 소모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SNMP 메시지 생성시 선행한 객체 식별자와의 유사성을 이용하여 객체 식별자의 효율적인 부호화를 통하여 SNMP 메시지의 크기를 감소시킨 간이망관리 프로토콜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간이망관리 프로토콜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은, 관리정보베이스상의 각 노드들의 객체 식별자를 부호화하는 경우에 적용하게 될 유사성 판단의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정보베이스상의 각 노드들의 객체 식별자의 부호화 과정을 개시하여 현재 객체 식별자에 대해 선행한 객체 식별자와의 유사성을 상기 설정된 판단 범위에 따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유사성 판단의 결과로 유사성이 긍정되면, 선행한 객체 식별자와 동일한 조상 노드 부분을 설정된 수치로 대체하여 간략화하게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트리구조를 갖는 관리정보베이스에서의 객체 식별자 예시도.
도2는 일반적인 간이망관리 프로토콜 메시지 구조도.
도3은 종래기술에 따른 간이망관리 프로토콜 메시지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을 보인 구조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식별자 부호화 과정을 보인 구조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망관리 프로토콜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의 순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식별자 부호화 과정을 보인 구조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망관리 프로토콜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의 순서도이다.
트리구조를 갖는 관리정보베이스에서의 객체 식별자는 일반적으로 인접한 객체 식별자와 동일한 보모 노드(Parent Node) 또는 증조부 노드(Grandparent Node)를 갖는다. 따라서 연속된 정수들로 표현되는 객체 식별자는 인접한 객체 식별자와유사성을 갖는다.
이러한 객체 식별자의 유사성을 이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SNMP 메시지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처럼 객체 식별자의 유사성을 이용한 부호화를 수행하도록 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구조를 갖는 관리정보베이스에서의 객체 식별자는 인접한 객체 식별자와 동일한 부모 노드 또는 증조부 노드를 갖게 되므로 각 노드의 객체 식별자는 인접한 노드의 객체 식별자와 유사성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루트의 자식 노드에 속하는 ccitt, iso, joint 노드는 차례로 0, 1, 2 등의 객체 식별자를 갖게 되며, 인터넷 노드의 자식 노드에 속하는 directory, mgmt, experimental, private 노드는 차례로 1, 2, 3, 4 등의 객체 식별자를 갖게 되어 그 객체 식별자간의 유사성이 확인되어진다. 이처럼 관리정보베이스의 그룹화로 인하여 객체 식별자의 유사성이 발현되는 것이다.
동일한 부모 노드 또는 증조부 노드에 속하는 각 노드들의 객체 식별자간 유사성을 이용하여 객체 식별자 부호화를 수행하는 방식을 적절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기술과의 대비를 위해 도3에서 인용한 가정을 여기에도 적용하기로 한다. 즉, 노드로 tcpRtoAlgorithm 및 tcpRtoMin가 있고, 그 값이 각각 Value1로 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수 바인딩을 수행하여 객체 식별자를 부호화하게 되면, 객체 식별자 표현을 위한 다수개의 정수들이 도트로 연결되어져 노드tcpRtoAlgorithm가 '1.3.6.1.2.6.1.0'과 같이 표현된다. 즉, 객체의 객체 식별자는 자신의 조상들에 대한 정수 표현을 모두 포함하게 된다.
노드 tcpRtoAlgorithm에 대한 변수 바인딩을 수행한데 이어, 노드 tcpRtoMin의 변수 바인딩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종래기술에서는 노드 tcpRtoMin가 '1.3.6.1.2.6.2.0'과 같이 표현되어질 것이다.
반면에 본 실시예에서는 변수 바인딩 과정에서 바인딩이 이루어질 객체 식별자에 대해 선행한 객체 식별자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처리함으로써 현재 객체 식별자가 간략하게 표현되도록 한다. 일정 단계까지 동일한 조상을 갖는 노드들에 대해서 그 객체 식별자를 검토하여 동일한 숫자 표현 부분을 단순화하는 것이다.
즉, 현재의 노드 tcpRtoMin의 객체 식별자가 '1.3.6.1.2.6.2.0'과 같은 한편, 선행한 노드 tcpRtoAlgorithm의 객체 식별자가 '1.3.6.1.2.6.1.0'이므로, 현재의 노드 tcpRtoMin의 객체 식별자를 변수 바인딩할 때 그 동일한 부분(밑줄 표시)을 간단화하여 '255.2.0'과 같이 표현한다. 현재 노드의 객체 식별자와 선행한 노드의 객체 식별자 중에서 조상 노드들을 가리키는 부분의 일부 즉, '1.3.6.1.2.6'이 동일할 때 이 부분을 '255'와 같이 표현하여 현재 노드의 객체 식별자를 간략화 하는 것이다.
그러면 예시된 바와 같은 체계로 변수 바인딩이 수행되어 해당 변수 바인딩 필드를 SNMP 메시지가 전송된다. 이 SNMP 메시지를 수신하는 측에서는 해당 변수 바인딩 방식을 고려하여 현재 객체 식별자가 '255.2.0'과 같으면, 선행한 객체 식별자 '1.3.6.1.2.6.1.0'을 참조하여 '255'가 '1.3.6.1.2.6'의 간략화된 표현임을확인함으로써 전체 객체 식별자 표현을 복구할 수 있게 된다.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적으로 관리정보베이스 트리가 구성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SNMP 메시지의 구성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관리정보베이스 트리상의 각 노드들은 관리대상이 되는 객체이며, 각 노드별로 정수 표현의 객체 식별자를 갖는다(S51).
SNMP 메시지의 구성과정에서 각 노드의 객체 식별자에 대한 변수 바인딩 부호화 동작을 수행하면서 해당 노드의 객체 식별자 표현시 선행한 객체 식별자와의 유사성을 검토한다(S52).
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인접한 노드들간에는 유사한 객체 식별자를 갖는데, 특히 조상 노드들을 가리키는 부분이 상당정도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객체 식별자의 부호화시 선행한 객체 식별자를 고려하는 것은 적정하며, 이로 인한 프로세스 부하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많은 경우에 있어서 객체 식별자 유사성의 검토에 대해 그 유사성이 긍정되어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유사성의 판단하게 되는 깊이를 설정하여 운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최상위의 루트 노드에 아주 가까운 노드들만이 동일한 경우까지도 검색하여 그 객체 식별자를 유사하다고 판정하고 이를 간략화하게 된다면 오히려 불합리하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각 노드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시 자신의 부모 노드와 증조부 노드 및 고조부 노드 정도의 범위내에서만 그 유사성을 고려하기로 한다. 유사성 판단의 과정은 부모 노드부터 순차적으로 판단해 나가면 될 것이다. 부모 노드,증조부 노드, 이어서 고조부 노드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면 된다.
반면에 상기 유사성 판단의 결과, 현재 객체 식별자와 선행한 객체 식별자간에 부모 노드가 동일한 경우에는 현재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시 최상위 조상 노드로부터 부모 노드까지의 숫자 표현 부분을 단순히 '255'와 같이 간략히 표현한다. 예를 들어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객체 식별자 즉, 노드 tcpRtoMin의 객체 식별자가 선행한 객체 식별자 즉, 노드 tcpRtoAlgorithm의 객체 식별자 '1.3.6.1.2.6.1.0'와의 관계에서 부모 노드가 동일하므로 부모 노드를 포함한 그 이상의 조상 노드들 즉, '1.3.6.1.2.6'을 단일의 숫자로 대체 표현하여 현재 객체 식별자가 '255.2.0'과 같게 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255.x.x'와 같이 부호화되는 것이다(S53~S54).
상기 유사성 판단의 결과, 현재 객체 식별자와 선행한 객체 식별자간에 부모 노드는 다르지만 그 둘간에 증조부 노드가 동일한 경우에는 현재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시 최상위 조상 노드로부터 증조부 노드까지의 숫자 표현 부분을 단순히 '254'와 같이 간략히 표현한다. 이때 부모 노드는 현재 객체 식별자의 부모 노드 부분을 그대로 표현하게 된다. 그러면 현재 객체 식별자는 '254.x.x.x'와 같이 부호화되는 것이다(S55~S56).
상기 유사성 판단의 결과, 현재 객체 식별자와 선행한 객체 식별자간에 부모 노드와 증조부 노드가 모두 다르지만 그 둘간에 고조부 노드의 동일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현재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시 최상위 조상 노드로부터 고조부 노드까지의숫자 표현 부분을 단순히 '253'과 같이 간략히 표현한다. 그리고 부모 노드와 증조부 노드는 현재 객체 식별자의 해당 노드 부분을 그대로 표현하게 된다. 그러면 현재 객체 식별자는 '254.x.x.x.x'와 같이 부호화되는 것이다(S57~S58).
이러한 판단을 수행한 결과, 설정된 범위내에서 선행한 객체 식별자와의 유사성이 부정되는 경우 즉, 현재 객체 식별자와 선행한 객체 식별자의 부모, 증조부 및 고조부 노드의 어느 부분도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현재 노드의 객체 식별자를 간략화하지 않고 그대로 부호화한다(S59).
더불어 선행한 객체 식별자가 부재한 경우에도 현재 노드의 객체 식별자를 그대로 부호화 처리한다. 예를 들어 tcpRtoAlgorithm가 '1.3.6.1.2.6.1.0'으로 부호화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S60~S61).
기타 이와 같은 체계로 반복하여 객체 식별자 부호화를 수행함으로써 SNMP 메시지를 구성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화, 변경 및 균등물의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대한 기재내용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간이망관리 프로토콜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에 따르면, 관리정보베이스 트리상의 각 노드(객체)들에 대해 연속된 정수들로 표현되는 객체 식별자가 인접한 객체 식별자와 유사성을 갖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객체 식별자의 부호화시 동일한 조상을 각 객체 식별자들이 반복적으로 표현하지 않아도 되도록 함으로써 객체 식별자 부호화에 따른 SNMP 메시지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관리정보베이스상의 각 노드들의 객체 식별자를 부호화하는 경우에 적용하게 될 유사성 판단의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정보베이스상의 각 노드들의 객체 식별자의 부호화 과정을 개시하여 현재 객체 식별자에 대해 선행한 객체 식별자와의 유사성을 상기 설정된 판단 범위에 따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유사성 판단의 결과로 유사성이 긍정되면, 선행한 객체 식별자와 동일한 조상 노드 부분을 설정된 수치로 대체하여 간략화하게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망관리 프로토콜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성 판단의 범위는,
    각 노드의 부모 노드와 증조부 노드 및 고조부 노드까지의 조상 노드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망관리 프로토콜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조상 노드 부분을 설정된 수치로 대체하여 부호화를 수행하는 과정은,
    현재 객체 식별자와 선행 객체 식별자간에 부모 노드가 동일한 경우에는 부모 노드를 포함한 상위 조상 노드들을 단일의 수치로 대체하여 현재 객체 식별자를 부호화하는 단계와;
    현재 객체 식별자와 선행 객체 식별자간에 부모 노드는 같지 않으나 증조부 노드가 동일한 경우에는 증조부 노드를 포함한 상위 조상 노드들을 단일의 수치로 대체하여 현재 객체 식별자를 부호화하는 단계와;
    현재 객체 식별자와 선행 객체 식별자간에 부모 노드 및 증조부 노드는 같지 않으나 고조부 노드가 동일한 경우에는 고조부 노드를 포함한 상위 조상 노드들을 단일의 수치로 대체하여 현재 객체 식별자를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망관리 프로토콜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성 판단의 결과 상기 설정된 범위내에서 조상 노드의 동일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현재 객체 식별자를 전체 조상 노드를 포함하여 그대로 부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망관리 프로토콜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현재 객체 식별자에 선행한 객체 식별자가 부재한 경우에는 현재 객체 식별자를 전체 조상 노드를 포함하여 그대로 부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망관리 프로토콜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
KR1020010085717A 2001-12-27 2001-12-27 간이망관리 프로토콜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 KR20030055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717A KR20030055672A (ko) 2001-12-27 2001-12-27 간이망관리 프로토콜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717A KR20030055672A (ko) 2001-12-27 2001-12-27 간이망관리 프로토콜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672A true KR20030055672A (ko) 2003-07-04

Family

ID=32213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717A KR20030055672A (ko) 2001-12-27 2001-12-27 간이망관리 프로토콜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56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6040B1 (en) User-friendly interface for setting expressions on an SNMP agent
US5978845A (en) Network management relay mechanism
US20050108387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a network management system using presence and instant message techniques
CN1326280A (zh) 通过可护展代理使用代表进行网络节点管理的系统和方法
KR20090085098A (ko) 서버 디바이스 및 고객 디바이스 간 통신 관리를 위한 방법
CN103516543A (zh) 设备管理协议查询中的过滤
CN101076028B (zh) 采用snmp协议的通信系统和消息交互方法
Valenčić et al. Implementation of netconf protocol
JP3204187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管理情報通信方法、交換機および管理情報通信のための変換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録媒体
US80511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isting SNMP variable values
KR20030055672A (ko) 간이망관리 프로토콜의 객체 식별자 부호화 방법
KR100358156B1 (ko) 통합망 환경에서 서비스 관리시스템의 관리명령을 교환기 명령어로 변환하는 방법
US9100267B2 (en) Network management method, a system and a device
Cisco MIB Files and Objects
Cisco Overview of Basic SNMP Building Blocks
Cisco MIB Files and Objects
Cisco MIB Files and Objects
Cisco MIB Files and Objects
Cisco Chapter 1 - Introduction
KR100560743B1 (ko) 엑스엠엘을 이용한 티엘원과 에스엔엠피의 프로토콜 변환방법 및 변환장치
McCarthy et al. Exploiting the power of OSI Management for the control of SNMP-capable resources using generic application level gateways
Marangoni Device and Link Discovery in Industrial Ethernet Networks
KR20000028413A (ko) 티엠엔과 씨오알비에이 연동 시스템
KR100250118B1 (ko) 이종 프로토콜의 시스템간의 경보 게이트웨이 장치 및 경보 메시지 변환 방법
CN110134467B (zh) 参数配置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处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