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2780A - 이동통신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2780A
KR20030052780A KR1020010082814A KR20010082814A KR20030052780A KR 20030052780 A KR20030052780 A KR 20030052780A KR 1020010082814 A KR1020010082814 A KR 1020010082814A KR 20010082814 A KR20010082814 A KR 20010082814A KR 20030052780 A KR20030052780 A KR 20030052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se station
output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2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2780A/ko
Publication of KR20030052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78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수신경로 점검시, 입력신호를 이동통신 기지국의 송신출력을 사용하고, 수신신호의 세기를 AGC전압 검출장치의 AGC제어전압을 이용하여 검출함으로써, 전체 수신 경로를 용이하게 점검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국부주파수신호를 발진하는 제1 국부신호발생기와;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와 제1 국부신호발생기의 제1 국부주파수신호를 혼합하는 제1 혼합기와; 상기 제1 혼합기의 신호를 분배하는 제1 분배기와; 기지국의 운용상태에 따라, 안테나 또는 제1 분배기를 통해 수신신호를 인가받는 제1, 제2 고주파 스위치와; 제2 국부신호발생기의 발진주파수를 기준으로, 상기 제1,제2 고주파 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수신신호를 혼합하는 제2,제3 혼합기와; 상기 제2,제3 혼합기의 출력신호를, AGC제어전압에 의해, 각기 증폭하는 제1,제2 IF신호처리부와; 상기 제1,제2 IF신호처리부의 출력신호를 각기 분배하는 제2,제3 분배기와; 상기 제2,제3 분배기의 분배신호 세기를 검출하여,그에 따라 AGC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제1,제2 AGC제어검출부와; 상기 제1,제2 AGC제어검출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제1,제2 증폭기와; 상기 제1,제2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그에 따른 수신입력 전력값을 모니터링 터미널에 출력하는 제1,제2 디지탈신호처리부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검출장치{RSSI DETECTION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 수신기의 자체 진단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경로 점검시, 입력신호를 이동통신 기지국의 송신출력을 사용하고, 수신신호의 세기를 AGC전압 검출장치의 AGC제어전압을 이용하여 검출함으로써, 전체 수신 경로를 용이하게 점검하도록 한 이동통신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기지국의 수신기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는 것으로, 수신된 고주파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시킨 다음 대역외 신호를 제거하여 다시 기저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상기 수신신호의 세기는 송신출력 레벨 제어의 선택, 링크 설정시 NEAR값, 및 FAR값의 설정,핸드오프(Hand-Off)의 기능에 이용되는등 이동통신시스템의 원활한 동작을 보장하는 요소이다.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수신기는, 수신경로를 점검하기 위하여, 외부 입력 발생기를 부착하여, 자동이득제어기 전단에서 수신신호세기를 검출하는데, 이와같은 종래 기술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종래 이동통신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 검출 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 개략도로서, 수신경로를 점검하기 위하여, 외부 입력신호발생기에서 고주파신호를 발생하여 제1 수신경로 및 제2 수신경로로 입력시키면, 그 제1 수신경로및 제2 수신경로를 통과하면서 제1,제2 중간주파신호로 하향변환되고, 제1,제2 RSSI는 제1,제2 분배기를 각기 제1,제2 중간주파신호를 입력받아 그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며, 그 검출된 신호의 세기를 디지탈신호처리부에서 디지탈신호처리하여 모니터링 터미날에 디스플레이한다.
도2는 종래 이동통신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 검출 장치에 대한 상세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국부신호발생기(110)의 발진주파수를 기준으로, 각기 외부 신호 발생기(101)에서 입력되는 고주파신호를 주파수 하향 처리하여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하는 제1,제2 혼합기(102,202)와; 상기 제1,제2 혼합기 (102 ,202)의 출력신호를 각기 분배하는 제1,제2 분배기(103,203)와; 상기 제1,제2 분배기(103,203)의 출력신호를 AGC제어전압에 의해, 각기 소정 레벨로 증폭하는 제1 ,제2 IF신호처리부(104,204)와; 상기 제1,제2 IF신호 처리부(104,204)의 출력 신호를 각기 분배하는 제3,제4 분배기(105,205)와; 상기 제3,제4 분배기(105,205의 분배신호의 세기를 각기 검출하여 고주파신호의 세기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제1,제2 IF신호처리부(104,204)에 AGC제어전압을 인가하는 AGC전압검출부 (106,206)와; 상기 제3,제4 분배기(105,205)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각기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는 제1,제2 기저대역처리부(107,207)와; 상기 제1,제2 분배기 (103,203)에서 출력되는 제1,제2 분배신호의 세기를 각기 검출하는 제1,제2 RSSI (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처리부(108,208)와, 상기 제1,제2 RSSI 처리부(108,208)에서 검출된 신호 세기를 디지탈신호 처리한후, 이 디지탈값을 각기 룩업 테이블(113,213)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수신입력 전력값을 모니터링 터미널에 출력하는 제1, 제2 디지탈신호신호처리부(109,209)로 구성하며, 이와같은 종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외부신호 발생기(101)를 이용하여, 제1,제2 수신경로에 Adm레벨을 가진 고주파신호를 입력시키면, 제1,제2 혼합기(102,202)는 국부신호발생기(110)의 발진주파수를 기준으로, 각기 외부 신호 발생기(101)에서 입력되는 고주파신호를 주파수 하향 처리하여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하고, 제1,제2 분배기(103,203)는 상기 제1,제2 혼합기(102,202)의 출력신호를 각기 분배하여 제1,제2 IF신호처리부 (104,204)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제1 ,제2 IF신호처리부(104,204)는 상기 제1,제2 분배기(103 ,203)의 출력신호를 AGC제어전압에 의해, 각기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제3,제4 분배기(105,205)에 인가하고, 제3,제4 분배기(105,205)는 상기 제1,제2 IF신호 처리부 (104,204)의 출력 신호를 각기 분배하여 출력한다.
이때, AGC전압검출부(106,206)는 상기 제3,제4 분배기(105,205)의 분배신호 세기를 각기 검출하여 고주파신호의 세기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제1,제2 IF신호처리부(104,204)에 AGC제어전압을 인가하고, 제1,제2 기저대역처리부(107,207)는 상기 제3,제4 분배기(105,205)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각기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여 제1,제2 디지탈신호처리부(109,209)에 인가한다.
한편, 제1,제2 RSSI (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처리부(108,208)는 상기 제1,제2 분배기(103,203)에서 출력되는 제1,제2 분배신호의 세기를 각기 검출하여 이를 제1,제2 디지탈신호처리부(109,209)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제2 디지탈신호처리부(109,209)는, 상기 제1,제2 RSSI 처리부(108,208)에서 검출된 신호 세기를 A/D컨버터(111,211)에서 디지탈신호 처리한후, 이 디지탈값을 각기 룩업 테이블(113,213)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수신입력 전력값을 모니터링 터미널에 출력한다.
이때, 제1,제2 수신경로에 이상이 없으면, 상기 모니터링 터미널에 수신신호의 세기를 Adm으로 표시한다.
상술한 종래장치는, 이동통신기지국 수신기의 수신경로 점검시 필수적으로 외부 신호 발생기가 필요하므로, 편리성이나 비용면에서 효과적이지 못하고, 아울러 수신전계강도(RSSI)를 AGC회로 전에 검출함으로써, 그 AGC회로를 포함한 전제 수신경로의 점검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신경로 점검시, 입력신호를 이동통신 기지국의 송신출력을 사용하고, 수신신호의 세기를 AGC전압 검출장치의 AGC제어전압을 이용하여 검출함으로써, 전체 수신 경로를 용이하게 점검하도록 한 이동통신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 검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이동통신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검출장치를 보인 개략도.
도2는 종래 이동통신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검출장치의 상세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3은 본 발명 이동통신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검출장치를 보인 개략도.
도4는 이동통신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검출장치으 상세 구성을 보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5,16:혼합기2,6:국부신호발생기
3,8,18:분배기4,15:고주파스위치
7,17:IF신호처리부9,19:AGC전압검출부
10,20:기저대역처리부11,21:디지탈신호처리부
12,22:A/D컨버터13,23:프로세서
14,24:룩업테이블OP1,OP2:증폭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신경로 점검모드이면, 송신신호가 수신신호로 인가하도록 절환되는 제1 고주파 스위치와; 제1 국부주파수신호를 발진하는 제1 국부신호발생기와; 상기 제1 고주파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신호와 제1 국부신호발생기의 제1 국부주파수신호를 혼합하는 제1 혼합기와; 상기 제1 혼합기의 신호를 분배하는 제1 분배기와; 기지국이 정상운용상태이면, 안테나를 통해 수신신호를 인가받고, 수신경로 점검모드이면, 상기 제1 분배기를 통해 수신신호를 인가받는 제2, 제3 고주파 스위치와; 제2 국부신호발생기의 발진주파수를 기준으로, 상기 제2,제3 고주파 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수신신호를 혼합하는 제2,제3 혼합기와; 상기 제2,제3 혼합기의 출력신호를, AGC제어전압에 의해, 각기 증폭하는 제1,제2 IF신호처리부와; 상기 제1,제2 IF신호처리부의 출력신호를 각기 분배하는 제2,제3 분배기와; 상기 제2,제3 분배기의 분배신호 세기를 검출하여,그에 따라 AGC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제1,제2 AGC제어검출부와; 상기 제1,제2 AGC제어검출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제1,제2 증폭기와; 상기 제1,제2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그에 따른 수신입력 전력값을 모니터링 터미널에 출력하는 제1,제2 디지탈신호처리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 검출 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 이동통신 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 검출장치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4는 본 발명 이동통신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검출장치에 대한 상세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신경로 점검모드이면, 송신신호가 수신신호로 인가하도록 절환되는 제1 고주파 스위치(미도시)와; 제1 국부주파수신호를 발진하는 제1 국부신호발생기(2)와; 상기 제1 고주파 스위치(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신호와 제1 국부신호발생기(2)의 제1 국부주파수신호를 혼합하여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제1 혼합기(1)와; 상기 제1 혼합기(1)의 수신신호를 제2 고주파스위치(4)와 제3 고주파스위치(15)로 분배하는 제1 분배기(3)와; 이동통신기지국의 운용상태가, 정상상태이면, 안테나를 통해 수신신호를 인가받고, 수신경로 점검모드이면, 상기 제1 분배기(3)를 통해 수신신호를 인가받는 제2, 제3 고주파 스위치(4),(15)와; 제2 국부신호발생기(6)의 발진주파수를 기준으로, 상기 제2,제3 고주파 스위치(4,15)를 통해 인가되는 수신신호를 주파수 하향처리하여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하는 제2,제3 혼합기(5,16)와; 상기 제2,제3 혼합기(5,16)의 중간주파수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AGC제어전압에 의해 각기 소정 레벨로 증폭하는 제1,제2 IF신호처리부(7,17)와; 상기 제1,제2 IF신호처리부(7,17)의 출력신호를 각기 분배하는 제2,제3 분배기(8,18)와; 상기 제2,제3 분배기(8,18)에서 출력되는 분배신호의 세기를 검출하여, 그에 따라 AGC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제1,제2 AGC전압검출부 (9,19)와; 상기 제2,제3 분배기(8,18)의 출력신호를 주파수 하향 처리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기저대역 처리부(10,20)와; 상기 제1,제2 AGC전압검출부(9,19)의 출력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는 제1,제2 증폭기(OP1,OP2)와; 상기 제1,제2 증폭기(OP1,OP2)의 출력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그에 따른 수신입력 전력값을 모니터링 터미널에 출력하는 제1,제2 디지탈신호처리부(11,21)로 구성하며,이와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1 고주파 스위치(미도시)는, 송신기 출력단에 위치하여 수신경로 점검모드이면, 송신신호가 수신신호로 인가하도록 절환되고, 제1 국부신호발생기(2)는 제1 국부주파수신호를 발진하는데, 그 제1 국부발진주파수신호는 송신신호주파수와 수신신호주파수의 차이의 주파수 성분을 갖는다.
이때, 제1 혼합기(1)는 상기 제1 고주파 스위치(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신호와 제1 국부신호발생기(2)의 제1 국부주파수신호를 혼합하여 수신신호를 출력하여 제1 분배기(3)에 인가하고, 그 제1 분배기(3)는 상기 제1 혼합기(1)의 수신신호를 제2 고주파스위치(4)와 제3 고주파스위치(15)로 분배한다.
이때, 제2, 제3 고주파 스위치(4),(15)는, 이동통신기지국의 운용상태가, 정상상태이면, 안테나를 통해 수신신호를 인가받고, 수신경로 점검모드이면, 상기 제1 분배기(3)를 통해 수신신호를 인가받도록 스위칭 절환된다.
수신 점검모드시, 제2,제3 혼합기(5,16)는, 제2 국부신호발생기(6)의 발진주파수를 기준으로, 상기 제2,제3 고주파 스위치(4,15)를 통해 인가되는 수신신호를 주파수 하향처리하여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하고, 제1,제2 IF신호처리부(7,17)는 상기 제2,제3 혼합기(5,16)의 중간주파수신호를 각기 입력받아, 이를 AGC제어전압에 의해 각기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제2,제3 분배기(8,18)에 각기 인가한다.
이후, 제1,제2 AGC전압검출부(9,19)는 각기 상기 제2,제3 분배기(8,18)를 통해 입력되는 분배신호의 세기를 검출하여, 그에 따라 AGC제어전압을 출력하고, 또한 기저대역 처리부(10,20)도 상기 제2,제3 분배기(8,18)의 출력신호를 주파수 하향 처리하여, 각기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제1,제2 디지탈신호처리부에 인가한다.
이때, 제1,제2 증폭기(OP1,OP2)는 상기 제1,제2 AGC전압검출부(9,19)의 출력신호를 각기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제1,제2 디지탈신호처리부에 인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제2 디지탈신호처리부(11,21)는 상기 제1,제2 증폭기(OP1,OP2)의 출력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그에 따른 수신입력 전력값을 모니터링 터미널에 출력한다.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행해진 구체적인 실시 양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구체적 실시예에 한정해서 협의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된 특허 청구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수신경로 점검시, 입력신호를 이동통신 기지국의 송신출력을 사용함으로써, 외부 신호 발생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수신경로 점검이 용이함과 아울러 비용이 절감되고, 또한 AGC전압 검출장치의 AGC제어전압을 이용하여 수신신호의 세기를 검출함으로써, 전체 수신 경로를 점거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제1 국부주파수신호를 발진하는 제1 국부신호발생기와;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와 제1 국부신호발생기의 제1 국부주파수신호를 혼합하는 제1 혼합기와; 상기 제1 혼합기의 신호를 분배하는 제1 분배기와; 기지국의 운용상태에 따라, 안테나 또는 제1 분배기를 통해 수신신호를 인가받는 제1, 제2 고주파 스위치와; 제2 국부신호발생기의 발진주파수를 기준으로, 상기 제1,제2 고주파 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수신신호를 혼합하는 제2,제3 혼합기와; 상기 제2,제3 혼합기의 출력신호를, AGC제어전압에 의해, 각각 증폭하는 제1,제2 IF신호처리부와; 상기 제1,제2 IF신호처리부의 출력신호를 각기 분배하는 제2,제3 분배기와; 상기 제2,제3 분배기의 분배신호 세기를 검출하여,그에 따라 AGC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제1,제2 AGC제어검출부와; 상기 제1,제2 AGC제어검출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제1,제2 증폭기와; 상기 제1,제2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그에 따른 수신입력 전력값을 모니터링 터미널에 출력하는 제1,제2 디지탈신호처리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검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송신기 출력단에 위치하여, 기지국이 정상운용상태이면, 안테나를 통해 송신신호를 출력하도록 스위칭되고, 수신경로 점검모드이면, 송신신호가 수신신호로 제1 혼합기에 인가되도록 스위칭되는 고주파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 검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제1 국부발진주파수는,
    송신신호주파수와 수신신호주파수의 차이의 주파수 성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 검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제1,제2 고주파스위치는,
    기지국이 정상운용상태이면, 안테나를 통해 수신신호를 인가받고, 수신경로 점검모드이면, 상기 제1 분배기를 통해 수신신호를 인가받도록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 검출장치.
KR1020010082814A 2001-12-21 2001-12-21 이동통신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검출장치 KR200300527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814A KR20030052780A (ko) 2001-12-21 2001-12-21 이동통신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814A KR20030052780A (ko) 2001-12-21 2001-12-21 이동통신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780A true KR20030052780A (ko) 2003-06-27

Family

ID=2957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814A KR20030052780A (ko) 2001-12-21 2001-12-21 이동통신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27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3754A (ko) * 2011-12-23 2013-07-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룩업 테이블을 이용한 튜너 모듈
GB2511080A (en) * 2013-02-22 2014-08-27 Cascoda Ltd Transceiv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3754A (ko) * 2011-12-23 2013-07-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룩업 테이블을 이용한 튜너 모듈
GB2511080A (en) * 2013-02-22 2014-08-27 Cascoda Ltd Transcei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2501B1 (ko)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의 송신전력/송수신정재파비 측정회로
KR100425610B1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US5835850A (en) Self-testing transceiver
US7450911B1 (en) Multiplexed wireless receiver and transmitter
JP4159780B2 (ja) 無線トランシーバの応答試験
JP2003124821A (ja) 送信電力制御回路
JP5409979B2 (ja) バンドエッジ振幅低減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370370B1 (en) Method for improving the wanted signal in a radio receiving unit
JPH09162773A (ja) 消費電流低減機能付無線送受信装置
US5978665A (en) Receiver for extending the dynamic range of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KR20030052780A (ko) 이동통신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검출장치
KR20010050358A (ko) 송신기의 출력전력 검출회로
EP0374882B1 (en) A hot standby transmitter switching system
JP2005130203A (ja) 受信装置
JP2001044862A (ja) 相互変調妨害検出手段を有する受信器
KR10022336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추적장치 및 방법
JP2001119316A (ja) ダイレクトコンバージョン受信機
JP4087031B2 (ja) 高周波用無線装置
JP3813247B2 (ja) 複数モード共用送信回路
KR100410792B1 (ko) 라디오 수신기
KR100576308B1 (ko)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광중계기용 전송 신호 강도표시기 전력 검출장치
KR100800719B1 (ko) 코드분할 다중접속신호 측정 장치
KR100592589B1 (ko) 수신기의 상호변조 신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자동이득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03013012A1 (fr) Recepteur
KR20000013071A (ko) 주파수 합성기를 이용한 증폭기 상태 검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