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2447A - 재고 선도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재고 선도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2447A
KR20030052447A KR1020010082409A KR20010082409A KR20030052447A KR 20030052447 A KR20030052447 A KR 20030052447A KR 1020010082409 A KR1020010082409 A KR 1020010082409A KR 20010082409 A KR20010082409 A KR 20010082409A KR 20030052447 A KR20030052447 A KR 20030052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ntory
amount
excess
classified
a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지현
박철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2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2447A/ko
Publication of KR20030052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447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고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유통업체 또는 제조업체에서 자재 혹은 제품의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재고를 그 소요금액과 사용실적 및 향후 소요량 등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재고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재고선도를 계산한 후 개별 아이템별로 과거의 사용실적과 현재의 발주 상황 등에 관한 정보를 링크시켜 연결함으로써 모든 재고의 수준이 적절히 표현되고 재고의 공장별, 카테고리별, 담당자별 비교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과거와 미래의 정보를 연계함으로써 타당한 의사결정이 내려질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발주가 방지되고 문제성 아이템의 소진 계획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고 선도 관리방법{Inventory Freshness Managment Method}
본 발명은 재고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조업체, 유통업체 등 자재 및 제품 재고를 관리하는 모든 업체에서 자재의 재고수준을 측정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재고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기업들은 자금의 흐름에 매우 민감하며 특히 재고관리에 상당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종래의 재고를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은 재고일수 및 재고금액을 통해 재고를 관리하고 있으며 좀 더 진보된 방법으로써 불용재고를 도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재고를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재고 전체 수량과 금액별로 재고일수 및 금액을 기준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불용재고의 경우 단순히 사용실적이 과거 일정기간 없는 아이템만 목록화하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방법에 따라 재고일수 및 재고금액을 계산하는 바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계에서는 현재의 재고정보를 파악하여 재고수량을 계산(S1)하고, 제2 단계에서 향후의 자재소요계획 혹은 제품판매계획을 추출(S2)한 후, 제3 단계에서 재고금액을 계산(S3)하고, 제4 단계에서 재고금액에 일평균 소요금액을 나누어 재고일수를 계산(S4)한다.
도 2는 종래 방법에 따라 불용재고를 추출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단계에서 현재 재고 정보를 추출(S11)한 후, 제12 단계에서 최근 일정기간 즉 3개월 동안 사용실적과 향후 소요량을 체크하여 사용실적이 없고 향휴 소요량이나 판매계획이 없으면(S12), 제13 단계에서 불용재고로 추출(S13)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재고를 관리하는 경우 전체 재고를 재고일수 혹은 재고금액이라는 지표로 관리함으로써 개별 아이템의 재고 특성을 무시하게 되고, 그 지표만으로는 현재의 재고상태를 파악할 수가 없다. 또한, 아이템별로 단가, 수급 기간 등에 따라 중요도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구분하여 관리할 수가 없으며, 문제성 아이템의 경우 과거 사용이력과 현재의 발주상태 등이 연계되어 있지 않아 적절한 도안을 도출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방법은 재고관리의 평가지표로 사용하기에 부적절하고, 실제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시할 수 없으므로 재고관리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기가 어렵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개별 아이템별로 재고의 적절성 여부를 계산하고 이를 그룹핑(Grouping)하여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는 동시에 개별 아이템의 과거 사용이력과 현재의 발주상태를 연계하여 대안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재고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재고 관리방법의 예가 도시된 순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고 관리방법의 일부분이 도시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고 관리방법의 일부분이 도시된 순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외의 본 발명에 따른 재고 관리방법의 일부분이 도시된 순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재고 관리방법의 일부분이 보다 자세히 도시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재고 관리방법에서 재고를 분류하는 카테고리가 도시된 도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재고 관리방법의 특징에 따르면, 자재의 재고를 그 특성에 따라 분류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분류된 바에 따라 자재의 재고선도(Inventory Freshness Ratio)를 산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재고선도가 산출된 자재의 사용 이력과 현재의 발주상황을 링크시키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재고 관리방법은 자재 또는 제품의 재고를 특성별로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분류된 재고의 재고선도(Inventory Freshness Ratio)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재고선도가 계산된 재고의 사용실적과 현재 발주상태에 관한 정보를 링크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품의 재고를 특성별로 분류하고 재고선도를 계산하는 단계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먼저, 제21 단계에서 재고의 향후 소요량의 평균을 계산한다. (S21)
제22 단계에서 향후 평균 소요량이 계산된 재고의 평균 소요금액의 비중에 따라 A,B,C로 분류한다. (S22)
제23 단계에서 상기 평균 소요금액의 비중에 따라 A,B,C로 분류된 재고의 특성을 분류한다. (S23) 여기서 상기 재고는 그 향후 소요량과 현 재고일수 등에 따라 사용, 과잉1, 과잉2, 진부화, 불용 중 하나로 분류된다.
제24 단계에서 상기 재고 특성별로 재고금액을 계산한다. (S24)
제25 단계에서는 상기 제24 단계에서 계산된 재고금액에 가중치를 각각 적용한다. (S25)
제26 단계에서는 상기 제25 단계에서 가중치가 적용된 재고금액을 통해 재고선도를 계산한다. (S26) 여기서 재고선도는 다음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된다.
도 4는 상기 제21 단계에서 제26 단계를 통해 재고선도가 산출된 자재 각 아이템별로 과거 사용이력과 현재의 발주상황에 관한 정보를 링크시킨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각 아이템에 1,2,3개원 내 사용실적에 관한 정보와 발주건수, 발주금액, 납기에 관한 정보를 링크시켜 정확하게 재고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상기 제23 단계에서 특성별로 재고를 분류하는 로직이 도시된 도이다.
먼저 제31 단계에서 분류하고자 하는 재고의 향후 소요량 존재유무를 판단한다. (S31)
만일, 상기 제31 단계에서 분류하고자 하는 재고의 향후 소요량이 있는 경우 제32 단계에서 상기 재고의 현 재고일수를 기준일자1과 비교(S32)한다. 만일, 상기 현 재고일수가 기준일자1보다 높은 경우 상기 재고는 과잉2로 그 특성이 분류된다.
한편, 상기 제32 단계에서 상기 재고의 현 재고일수가 기준일자1과 비교하여 적은 경우 제33 단계에서 현 재고일수를 기준일자2를 비교한다.(S33) 만일, 상기현 재고일수가 기준일자2보다 높은 경우 상기 재고는 과잉1로 그 특성이 분류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일자2는 상기 제22 단계에서 A,B,C로 분류된 재고별로 각각 다르다. 즉, 제22 단계에서 A로 분류된 재고의 과잉1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일자2의 일자수와 B로 분류된 재고의 과잉1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일자2의 일자수는 동일하지 않다. 한편, 상기 현 재고일수가 기준일자2보다 낮은 경우 상기 재고는 사용으로 그 특성이 분류된다.
그 외에, 상기 제31 단계에서 상기 재고의 향후 소요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34 단계에서 상기 재고의 최근 사용실적을 기준일자3과 비교한다. (S34)
만일, 상기 제34 단계에서 상기 최근 사용실적이 기준일자5 이상인 경우 상기 재고는 진부화로 그 특성이 분류되며, 그 반대로 최근 사용실적이 기준일자5 이하인 경우 상기 재고는 불용으로 그 특성이 분류된다.
도 6에서는 재고를 관점에 따라 구분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재고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기준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예시된 관점에 다라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재고의 개별 아이템별로 과거와 미래의 정보를 연계하여 타당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재고 관리방법은 유통업체 또는 제조업체에서 자재 혹은 제품의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재고를 그 소요금액과 사용실적 및 향후 소요량 등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재고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재고선도를 계산한 후 개별 아이템별로 과거의 사용실적과 현재의 발주 상황 등에 관한 정보를 링크시켜 연결함으로써 모든 재고의 수준이 적절히 표현되고 재고의 공장별, 카테고리별, 담당자별 비교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과거와 미래의 정보를 연계함으로써 타당한 의사결정이 내려질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발주가 방지되고 문제성 아이템의 소진 계획이 효과적으로 수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자재의 재고를 그 특성에 따라 분류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분류된 바에 따라 자재의 재고선도(Inventory Freshness Ratio)를 산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재고선도가 산출된 자재의 사용 이력과 현재의 발주상황을 링크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 관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자재의 향후 소요량의 평균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평균 소요금액의 비중에 따라 상기 자재를 분류하는 과정과;
    상기 평균 소요금액 비중에 따라 분류된 자재의 특성을 각각 사용, 과잉1, 과잉2, 진부화, 불용 중 하나로 분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 관리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단계에서 분류된 자재의 재고특성별 재고금액을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과정에서 계산된 재고금액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과정과;
    상기 재고금액의 총재고 가중치 적용 금액 대비 사용재고 가중치 적용 금액의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재고선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 관리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총재고 가중치 적용 금액은 자재의 사용재고금액에 사용재고 가중치를 적용한 값과, 과잉1재고금액에 과잉1재고 가중치를 적용한 값과, 과잉2재고금액에 과잉2재고 가중치를 적용한 값과, 진부화재고금액에 진부화재고 가중치를 적용한 값과, 불용재고금액에 불용재고 가중치를 적용한 값의 총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 관리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 특성 분류과정은 상기 재고의 향후소요량의 존재유무를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파악과정에서 향후소요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 경우 현재고일수에 따라 재고를 사용, 과잉1, 과잉2 중 하나로 분류하는 과정과;
    상기 파악과정에서 향후소요량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 경우 최근사용실적에 따라 재고를 진부화, 불용 중 하나로 분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 관리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재고의 단위기간별 사용실적에 관한 정보와 현재 발주건수, 발주금액, 납기에 관한 정보를 링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 관리방법.
KR1020010082409A 2001-12-21 2001-12-21 재고 선도 관리방법 KR20030052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409A KR20030052447A (ko) 2001-12-21 2001-12-21 재고 선도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409A KR20030052447A (ko) 2001-12-21 2001-12-21 재고 선도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447A true KR20030052447A (ko) 2003-06-27

Family

ID=29577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409A KR20030052447A (ko) 2001-12-21 2001-12-21 재고 선도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24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4298A (zh) * 2015-07-13 2015-11-11 常熟理工学院 一种基于机器嗅觉的蟹类新鲜度等级检测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4298A (zh) * 2015-07-13 2015-11-11 常熟理工学院 一种基于机器嗅觉的蟹类新鲜度等级检测方法
CN105044298B (zh) * 2015-07-13 2016-09-21 常熟理工学院 一种基于机器嗅觉的蟹类新鲜度等级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ichenbaum et al. Reference prices, costs, and nominal rigidities
Degraeve et al. Constructing a total cost of ownership supplier selection methodology based on activity-based costing and mathematical programming
Das et al. Modeling the flexibility of order quantities and lead-times in supply chains
Trkman et al. Supply chain risk in turbulent environments—A conceptual model for managing supply chain network risk
Lewis Demand forecasting and inventory control
US7006981B2 (en) Assortment decisions
US5596493A (en) Method for classifying sale amount characteristics, method for predicting sale volume, method for ordering for restocking, system for classifying sale amount characteristics and system for ordering for restocking
Milner et al. On the complementary value of accurate demand information and production and supplier flexibility
Shteren et al. The value of inventory accuracy in supply chain management-case study of the yedioth communication press
CN108256898A (zh) 一种产品销量预测方法、系统及存储介质
Rekik et al. Modeling (and learning from) Inventory Inaccuracies in e‐retailing/B2B contexts
CN113537882A (zh) 一种跨境电子商务平台海外仓商品库存管理方法
KR100418620B1 (ko) 공급사슬관리 시스템 및 운용방법
CN113469596A (zh) 智慧供应链系统及服务器平台
KR20030052447A (ko) 재고 선도 관리방법
CN114841590A (zh) 供应链异常处理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Basinger Impact of inaccurate data on supply chain inventory performance
Shen et al. Data Mining the Data Processing Technologies for Inventory Management.
JP6281924B1 (ja) 在庫管理システム
Alakan et al. On the Optimality of Inventory and Shipment Decisions in a Joint Three Echelon Inventory Model with Finite Production Rate under Stock Dependent Demand
Putra et al. Measuring Performance of Halal Supply Chain Us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and Supply Chain Operations Reference (SCOR) 12.0 Approach: A Case Study
Samal et al. An EOQ model for Inventory System dependent upon on hand inventory without shortages
CN114463073B (zh) 基于用户行为的样品展示售卖方法及系统
Wang et al. Evaluation and selection of periodic inventory review policy for irregular demand: A case study
Sivadasan et al. The cost of complex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