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0586A - Door lock system and method using a bar code displayed on a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Door lock system and method using a bar code displayed on a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0586A
KR20030050586A KR1020010081066A KR20010081066A KR20030050586A KR 20030050586 A KR20030050586 A KR 20030050586A KR 1020010081066 A KR1020010081066 A KR 1020010081066A KR 20010081066 A KR20010081066 A KR 20010081066A KR 20030050586 A KR20030050586 A KR 20030050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d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10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보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1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0586A/en
Publication of KR20030050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0586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Abstract

PURPOSE: A system for locking a door by a bar code displayed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opening the door thereby are provided to easily open a door locking device by displaying the bar code of the door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ning the door. CONSTITUTION: If a user selects a door opening function(S310), a control unit displays a password input picture on a display unit and receives a password from the user(S320). If the user inputs the password, the control unit checks over whether the inputted password is identical to a password stored in a memory(S330). If the inputted password is identical to the password stored in the memory, the control unit displays a door selection picture on the display unit so that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select a door(S340). If the user selects the door, the control unit reads a door opening cod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oor from the memory, converts the door opening code into a bar code, and displays the converted bar code on the display unit(S350).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 표시되는 바코드를 이용한 도어잠금시스템 및 도어개방방법 {Door lock system and method using a bar code displayed on a mobile phone}Door lock system and method using a bar code displayed 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or lock system and method using a bar code displayed on a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표시되는 바코드를 이용한 도어잠금시스템 및 도어개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코드 판독기를 장착한 도어잠금장치 별로 도어개방코드를 할당하여 두고,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부에 해당 도어의 도어개방코드에 해당하는 바코드를 표시함으로써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잠금시스템 및 도어개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ing system and a door opening method using a bar code displayed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door opening code is assigned to each door locking device equipped with a barcode reader, and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ing system and a door opening method capable of opening a door by displaying a bar code corresponding to a door opening code of the door.

사람들은 대부분 집, 사무실 등의 문을 열기 위한 열쇠를 가지고 다닌다. 전통적인 열쇠 이외에도 요즈음에는 마그네틱 카드(magnetic card), 스마트 카드(smart card) 등을 사용한 키, 지문인식, 홍채인식 등의 생체인식기술을 이용한 키 등이 개발되고 있다.Most people carry a key to open a door to their home or office. In addition to traditional keys, keys using magnetic cards, smart cards, and other biometric technologies such as fingerprint recognition and iris recognition are being developed.

한편, 이동통신단말기의 보급에 따라 이제는 누구나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게 되었다. 또한 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는 경박단소화되어 휴대하는데 아무 지장이 없게 되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열쇠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면 편리할 것이다.Meanwhile, with the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veryone is now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come small and light and has no problem in carrying. Therefore, it would be convenient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ld be used as a key substitute.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도어잠금장치를 열 수 있는 도어개방방법 및 도어잠금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is poin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opening method and a door locking system that can easily open a door locking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로 다수의 도어잠금장치를 선택적으로 열 수 있는 도어개방방법 및 도어잠금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opening method and a door locking system which can selectively open a plurality of door locking devices with 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을 채택한 도어잠금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블록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door locking device adop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을 채택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블록도이다.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mploy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방할 때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flow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opening a door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4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방할 때의 도어잠금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the door locking device when the door is opene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5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개방할 수 있는 도어를 설정하는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setting a door that can be open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6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개방할 수 있는 도어를 설정할 때의 화면예이다.6 is a screen example of setting a door that can be open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7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방할 때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화면예이다.7 is a scree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door is opene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단말기에는 개방할 수 있는 도어의 도어개방코드 및 해당 도어의 이름이 저장되어 있다.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다수의 도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도어잠금장치에는 바코드스캐너가 장착되어 있으며, 해당 도어의 도어개방코드가 저장되어 있다.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도어열기 메뉴를 선택하고 원하는 도어를 선택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부에 선택된 도어의 도어개방코드에 해당하는 바코드가 표시된다. 도어잠금장치는 이를 스캔하여 자신의 도어개방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 도어를 개방한다. 도어잠금장치에는 바코드 스캔을 명령하기 위한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door opening code of the door that can be opened and the name of the door.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doors may be stored in 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oor lock is equipped with a barcode scanner, and the door opening code of the door is stored. When a user who wants to open a door selects a door open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lects a desired door, a bar code corresponding to the door opening code of the selected doo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oor lock scans this and opens the door if it matches its door opening code. The door lock may be provided with a switch for commanding a barcode scan.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Nex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을 채택한 도어잠금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블록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door locking device adop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어잠금장치(100)는 바코드판독기(120)를 구비한다. 바코드판독기(120)는 이동통신단말기(200)에 표시되는 바코드를 스캔하여 제어부(110)에 전달한다. 제어부(110)는 스캔된 바코드 데이터로부터 도어개방코드를 추출하여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도어개방코드와 비교한다. 스캔된 도어개방코드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도어개방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도어록구동부(130)를 구동하여 도어를 개방한다.The door lock device 100 includes a barcode reader 120. The barcode reader 120 scans a barcode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barcode to the controller 110. The controller 110 extracts the door opening code from the scanned barcode data and compares the door opening code stored in the memory 140. If the scanned door opening code and the door opening code stored in the memory 140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door is opened by driving the door lock driving unit 130.

도어잠금장치(100)에는 또한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치는 바코드판독기(120)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사용자는 도어를 열기 위해서 바코드가 표시된 이동통신단말기를 바코드판독기(120)에 대고 스위치를 누른다. 스위치가 눌려지면 제어부(110)는 바코드판독기(120)를 구동하여 바코드를 스캔한다.The door locking device 100 may also be provided with a switch (not shown). The switch is used to activate the barcode reader 120. The user presses the switch against the barcode reader 120 to display the barcode to open the door. When the switch is pressed, the controller 110 drives the barcode reader 120 to scan the barcode.

도 2는 본 발명을 채택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블록도이다.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mploying the present invention.

무선회로부(220)는 무선으로 기지국과 음성 및 제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로이다.The radio circuit unit 220 is a circu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control information with a base station wirelessly.

기저대역부(230)는 기저대역(baseband)에서의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소스코딩(source coding)을 위한 신호처리부이다.The baseband unit 230 is a signal processor for channel coding and source coding in baseband.

음성처리부(240)는 기저대역부(230)로부터의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SP)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The voice processor 240 converts and amplifies the digital voice signal from the baseband unit 230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speaker SP, or amplifies the voice signal from the microphone MIC and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Play a role.

표시부(250)는 사용자에게 여러가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LCD가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250)는 각 도어별로 고유하게 할당되어 있는 도어개방코드에 해당하는 바코드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The display unit 250 is for showing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and an LCD is main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250 serves to display a bar code corresponding to the door opening code uniquely assigned to each door.

입력부(260)는 키패드, 조그셔틀, 포인트스틱,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소자가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입력부(260)를 사용하여 도어를 열기 위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기능의 선택은 메뉴를 통해서 할 수도 있고, 도어개방코드를 입력함으로써 할 수도 있다.The input unit 260 may use various devices such as a keypad, a jog shuttle, a point stick, a touch screen, and is used when a user selects a desired function or inputs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select a function for opening the door using the input unit 260. The function can be selected through a menu or by entering a door opening code.

메모리(27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RAM(Statice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모리(270)에는 사용자가 열 수 있는 도어 이름 및 그 도어에 할당되어 있는 도어개방코드가 저장되어 있다.The memory 270 stores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operate, and various devices such as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statistical random access memory (SRAM), and flash memory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270 stores a door name that can be opened by the user and a door opening code assigned to the door.

제어부(21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2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도어개방기능 선택에 따라 메모리(270)에서 도어의 도어개방코드를 읽어와서 해당 도어개방코드를 바코드로 변환하여 표시부(250)에 표시한다.The controller 2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ler 210 may be a microprocessor 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10 reads the door opening code of the door from the memory 270 according to the user's door opening function selection, converts the door opening code into a bar code,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250.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잠금시스템의 동작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n operation flow of the door l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열고자 하는 도어를 등록하여야 한다. 도 5에 도어등록절차가 도시되어 있다.First, a user must register a door to be opened in hi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door registration procedure is shown in FIG.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설정메뉴 중에서 도어설정을선택한다(S510). 그러면, 제어부(210)는 도 6의 (a)와 같은 화면을 내보내어 비밀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한다.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S520), 제어부(210)는 이 비밀번호가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정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S530).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메모리(270)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제어부(210)는 도 6의 (b)와 같은 화면을 내보내어 도어이름 및 도어개방코드를 입력받는다(S540).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S520 및 단계 S530은 생략 가능하다.The user selects a door setting from a setting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S510). Then, the controller 210 sends out a screen as shown in FIG. 6A and requests a password to be input. When the user inputs a password (S520), the controller 210 checks whether the password matches the password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530). If the password entered by the user matches the password stored in the memory 270, the controller 210 exports the screen as shown in FIG. 6 (b) and receives the door name and the door opening code (S540). Steps S520 and S530 of entering a password can be omitted.

사용자는 도어이름입력창(61)에 적절한 도어이름을 입력하고, 도어개방코드 입력창(62)에 해당 도어에 할당되어 있는 고유의 도어개방코드(62)를 입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하는 도어개방코드는 보안상의 이유로 별표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입력한 도어이름과 도어개방코드를 메모리(270)에 저장하고 도어설정 과정을 종료한다.The user inputs an appropriate door name in the door name input window 61 and inputs a unique door open code 62 assigned to the door in the door open code input window 62. At this time, the door opening code input by the user is preferably displayed as an asterisk for security reasons. The controller 210 stores the door name and the door opening code input by the user in the memory 270 and ends the door setting process.

도어설정을 종료한 사용자는 해당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도어 개방시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After finishing the door setting, the user can open the door using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 and 7,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door is opened will be described.

사용자는 도 7의 (a)에 도시한 것처럼,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메뉴에서 도어열기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도어열기 기능을 선택하였는지를 확인한다(S310).As illustrated in FIG. 7A, the user may select a door opening function from a function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unit 2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ecks whether the user has selected the door opening function (S310).

사용자가 도어열기 기능을 선택하면, 제어부(210)는 표시부(250)에 도 7의 (b)와 같은 화면을 내보내어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S320).When the user selects the door opening function, the control unit 210 sends a screen as shown in FIG. 7B to the display unit 250 and receives a password from the user (S320).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제어부(210)는 이 비밀번호가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정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S330).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메모리(270)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제어부(210)는 도 7의 (c)와 같은 화면을 내보내어 개방하고자 하는 도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340).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계 S320 및 단계 S330은 생략이 가능하다.When the user inputs a password, the controller 210 checks whether the password matches the password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330). When the password entered by the user matches the password stored in the memory 270, the controller 210 exports a screen as shown in FIG. 7C to select a door to be opened (S34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steps S320 and S330 may be omitted.

사용자가 개방하고자 하는 도어를 선택하면 제어부(210)는 해당 도어에 해당하는 도어개방코드를 메모리(270)에서 읽어와서 이를 바코드로 변환하여 표시부(250)에 표시한다(S350). 이때의 화면예가 도 7의 (d)에 도시되어 있다.When the user selects a door to be opened, the control unit 210 reads the door opening code corresponding to the door from the memory 270 and converts it into a bar code to display on the display unit 250 (S350). An example of the screen at this time is shown in FIG.

사용자는 이 화면을 도어잠금장치(100)의 바코드판독기(120)에 갖다댐으로써 해당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The user can open the door by bringing the screen to the barcode reader 120 of the door lock device 100.

이때의 도어잠금장치(100)에서의 동작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방할 때의 도어잠금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An operation of the door locking device 100 at this ti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the door locking device when the door is opene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개방코드가 바코드로 표시되어 있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표시부(250)를 바코드판독기(120)에 갖다 대면, 바코드 판독기(120)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표시부(250)에 표시되어 있는 도 7의 (d)와 같은 바코드를 스캔한다(S410). 이때,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200)의 표시부(250)를 바코드판독기(120)에 갖다 대기 전에, 도어잠금장치(100)에 마련되어 있는 스위치를 누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user touches the display unit 25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 which the door opening code for opening the door is displayed as a barcode, the barcode reader 1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barcode shown in FIG. 7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50 is scanned (S410). In this case, the user may press the switch provided in the door lock 100 before waiting for the user to bring the display unit 25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o the barcode reader 120.

제어부(110)는 바코드판독기(120)가 스캔한 바코드 데이터로부터 바코드 값을 추출하고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도어개방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S420). 바코드 값과 자신의 도어개방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도어록구동부(130)를 구동하여 도어를 연다(S430).The controller 110 extracts a barcode value from the barcode data scanned by the barcode reader 120 and checks whether the barcode reader 120 matches its door opening code stored in the memory 140 (S420). When the barcode value and the door opening code thereof are the same, the control unit 110 drives the door lock driving unit 130 to open the door (S430).

이상의 절차에 의해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여 도어를 열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procedure, the user can open the door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도어잠금장치(100)마다 고유한 도어개방코드를 가지고 있고,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200)에 해당 도어개방코드를 설정하여 둠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방하도록 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each door locking device 100 has a unique door opening code, and the door opening code is set in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o open the door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example has been described.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변경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해당 도어의 도어개방코드를 삭제하여야 한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회사에서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는 경우에 사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각 도어의 도어개방코드를 등록시켜두게 된다. 그런데, 사원이 퇴사를 하게 되면 그 사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등록되어 있는 도어개방코드를 모두 삭제해야 하므로 불편하다. 또한, 어떤 이유로 삭제를 하지 못한 경우에는 권한이 없는 자가 무단출입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is embodiment has a disadvantage in that when the user is changed, the door opening code of the corresponding door should be deleted from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company applies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pening code of each door is registered in the employee'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ever, when an employee leaves the company, it is inconvenient to delete all the door opening codes registered in the employee'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re is a drawback that if you can not delete for some reason it can not prevent unauthorized access.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200)마다 고유의 코드를 할당하여 두고, 도어잠금장치(100)에 해당 도어를 열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코드를 등록하도록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nique code is assigned to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a c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open the corresponding door can be registered in the door lock device 100. do.

즉,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는 항상 자신의 고유의 코드를 바코드로 표시하고, 도어잠금장치의 메모리(140)에는 해당 도어를 열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들의 고유 코드가 하나 또는 그 이상 저장되어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도어열기 기능을 선택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가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코드를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서 읽어와서 바코드로 변환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그러면, 도어잠금장치의 바코드판독기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된 바코드를 스캔한다. 도어잠금장치의 제어부는 스캔된 바코드 값이 도어잠금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어개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코드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한다. 스캔된 바코드 값과 일치하는 고유코드가 있는 경우에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도어록 구동부를 구동하여 도어를 연다.That i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ways displays its own code as a barcode, and the memory 140 of the door lock device has one unique c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apable of opening the door. Or more. 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s the door opening function,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ads the unique c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mem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verts it into a bar code,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Then, the bar code reader of the door lock device scans the bar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unit of the door lock device compares the scanned barcode value with any one of the unique codes of one or more door open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door lock device. If there is a unique code that matches the scanned barcode value, the control unit of the door locking device opens the door by driving the door lock driving unit.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some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에 개방할 수 있는 도어의 바코드를 표시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도어잠금장치를 열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oor can be opened by displaying a bar code of the door that can be open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oor locking device can be easily opened.

또한,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개방할 수 있는 도어를 다수 설정하여 두고 이중에서 원하는 도어를 선택하여 바코드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도어잠금장치를 선택적으로 열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doors that can be opened in 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set and a desired door can be displayed from among them, a plurality of door lock devices can be selectively opened.

Claims (6)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회로부;A radio circuit unit for radio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채널코딩 및 소스코딩을 하는 기저대역처리부;A baseband processor for channel coding and source coding; 기저대역부로부터의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처리부;A voice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the digital voice signal from the baseband unit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digital voice signal to a speaker, or for amplifying and converting the voice signal from the microphone into a digital signal; 메뉴와 도어개방코드에 해당하는 바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bar code corresponding to a menu and a door opening code;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An input unit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a menu; 개방 가능한 도어의 이름과 도어개방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A memory in which a name of the openable door and a door opening code are stored;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도어개방코드를 바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control unit converting the door opening code stored in a memory into a bar code and displaying the bar code on the display unit; 바코드를 스캔하기 위한 바코드 판독기;A barcode reader for scanning the barcode; 도어의 고유 도어개방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A memory storing a unique door opening code of the door; 도어록을 개방하고 해제시키는 도어록 구동부;A door lock driver for opening and releasing the door lock; 바코드 판독기를 통해 판독된 바코드 값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고유 도어개방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도어록 구동부를 제어하여 도어를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잠금장치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driving unit to open the door when the barcode value read through the barcode reader matches the unique door opening code stored in the memory. 를 구비하는 도어잠금시스템.Door locking system hav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도어잠금장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The door lock further includes a switch,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가 눌려지면 상기 바코드 판독기를 제어하여 바코드를 스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시스템.The control unit of the door lock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scanning system by scanning the barcode by controlling the barcode reader when the switch is press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는 다수의 도어에 대한 도어이름과 도어개방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시스템.And door names and door opening codes for a plurality of doors are stored in the mem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메뉴와 도어개방코드에 해당하는 바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 개방 가능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어의 이름과 도어개방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도어개방코드를 바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바코드를 스캔하기 위한 바코드 판독기, 도어의 고유 도어개방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도어록을 개방하고 해제시키는 도어록 구동부,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잠금장치를 구비하는 도어잠금시스템에서의 도어개방방법에 있어서,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bar code corresponding to a menu and a door opening code, an input unit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a menu, a memory in which one or more door names and door opening codes are stored, and the memory stored in the memor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verting a door opening code into a bar code and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a bar code reader for scanning a bar code, a memory storing a door opening code of the door, and a door lock driving unit for opening and releasing the door lock. In the door opening method of the door locking system comprising a door lock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m,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도어열기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가 열 수 있는 도어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Displaying a list of doors opened by a control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s a door opening function; 사용자가 열기를 원하는 도어를 선택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가해당 도어에 할당되어 있는 도어개방코드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서 읽어와서 바코드로 변환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Selecting a door to be opene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ading a door opening code assigned to the door from the mem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verting the barcode into a display unit, and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바코드판독기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된 바코드를 스캔하는 단계와,Scanning a barcod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a barcode reader of the door lock device;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제어부가 스캔된 바코드 값과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도어개방코드를 비교하는 단계와,Comparing the scanned barcode value with a door opening code stored in a memory of the door locking device by the control unit of the door locking device; 상기 스캔된 바코드 값과 도어개방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도어록 구동부를 구동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Opening the door by driving the door lock driving unit by the control unit of the door locking device when the scanned barcode value and the door opening code match. 를 구비하는 도어개방방법.Door opening method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displaying the list of doors comprises: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도어열기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가 비밀번호 입력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If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s the door opening function, the control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ing a password input screen on the display unit;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정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가 열 수 있는 도어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 list of doors that can be opened by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password input by the user matches the password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방방법.Door opening method comprising a. 메뉴와 도어개방코드에 해당하는 바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 이동통신단말기 고유코드가 저장되어 있는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고유코드를 바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바코드를 스캔하기 위한 바코드 판독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어개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도어록을 개방하고 해제시키는 도어록 구동부,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잠금장치를 구비하는 도어잠금시스템에서의 도어개방방법에 있어서,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bar code corresponding to a menu and a door opening code, an input unit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a menu, a memory in which a unique c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tored, and a unique c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d in a memory as a barco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verting and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a bar code reader for scanning a bar code, a memory storing a unique c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opening one or more doors, and opening and releasing the door lock. In the door opening method of the door lock system having a door lock device including a door lock drive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m,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도어열기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가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코드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서 읽어와서 바코드로 변환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s the door opening function, the control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ads the unique c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mem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verts it into a barcode,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바코드판독기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된 바코드를 스캔하는 단계와,Scanning a barcod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a barcode reader of the door lock device;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제어부가 스캔된 바코드 값이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어개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코드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단계와,Comparing the scanned barcode value with any one of unique codes of one or more door open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tored in a memory of the door lock device by the controller of the door lock device; 상기 스캔된 바코드 값과 일치하는 고유코드가 있는 경우에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도어록 구동부를 구동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In the case that there is a unique code that matches the scanned barcode value, controlling the door locking device to open the door by driving the door lock driving unit; 를 구비하는 도어개방방법.Door opening method comprising a.
KR1020010081066A 2001-12-19 2001-12-19 Door lock system and method using a bar code displayed on a mobile phone KR200300505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066A KR20030050586A (en) 2001-12-19 2001-12-19 Door lock system and method using a bar code displayed on a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066A KR20030050586A (en) 2001-12-19 2001-12-19 Door lock system and method using a bar code displayed on a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586A true KR20030050586A (en) 2003-06-25

Family

ID=2957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1066A KR20030050586A (en) 2001-12-19 2001-12-19 Door lock system and method using a bar code displayed on a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058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048B1 (en) * 2007-04-09 2009-01-16 장경환 The door opening and shutting method which uses the cell phone where the fluctuation password bar code is stored
KR101016626B1 (en) * 2010-09-17 2011-02-23 최승환 System for controlling of a door lock opening using bar cod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2848A (en) * 1996-10-02 1998-04-21 Sekisui Chem Co Ltd Door opening and closing and locking system
JP2001148037A (en) * 1999-11-19 2001-05-29 Open Loop:Kk Utilization system, issuing device, storage device, checking device and utilizing method for electronic ticket, and recording medium
KR20010092065A (en) * 2000-03-20 2001-10-24 이승우 portable telephone having credit card function and purchaseing method therefor
KR20010104413A (en) * 2001-10-23 2001-11-26 장용석 Automatically unlocking apparatus and method of doors using barcod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2848A (en) * 1996-10-02 1998-04-21 Sekisui Chem Co Ltd Door opening and closing and locking system
JP2001148037A (en) * 1999-11-19 2001-05-29 Open Loop:Kk Utilization system, issuing device, storage device, checking device and utilizing method for electronic ticket, and recording medium
KR20010092065A (en) * 2000-03-20 2001-10-24 이승우 portable telephone having credit card function and purchaseing method therefor
KR20010104413A (en) * 2001-10-23 2001-11-26 장용석 Automatically unlocking apparatus and method of doors using barcod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048B1 (en) * 2007-04-09 2009-01-16 장경환 The door opening and shutting method which uses the cell phone where the fluctuation password bar code is stored
KR101016626B1 (en) * 2010-09-17 2011-02-23 최승환 System for controlling of a door lock opening using bar co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8147B1 (en) Instruction and/or an identification input unit
US20080049988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Accessing a Home or Dwelling
US20070280515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7392943B2 (en) Identification system
JP2007032062A (en) Electric lock system
KR20030050586A (en) Door lock system and method using a bar code displayed on a mobile phone
WO2004020768A1 (en) Electronic door lock
CA234325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fingerprint recognition type door lock operation
JP3879263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WO2021149831A1 (en) Electronic lock system, method performed using electronic lock system, portable terminal, method performed using portable terminal, and computer program
JP4245005B2 (en) Visitor management system
JP2006104801A (en) System for managing entry into room/exit from room
KR1007455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ving multiple electronic key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3298753A (en) Interphone system
KR100405122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try
KR200171097Y1 (en) A video phone for finger print cognition
KR20030050583A (en) System and method for locking and unlocking door using mobile phone
KR101091961B1 (en)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ivate protect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194188B2 (en) Door phone device with personal authentication function
KR100443644B1 (en)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fingerprint
KR20040034085A (en) System and method for locking and unlocking door using mobile phone
KR20060031926A (en) Portable terminal with digital doorlock release function and digital doorlock therefor
KR20040067373A (en) A system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unauthorized access to personal computer.
JPH09231367A (en) Visitor management system
KR200295331Y1 (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Access Control System With Telephone For Vis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