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9265A - 선저 개구부의 밀폐방법 - Google Patents

선저 개구부의 밀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9265A
KR20030049265A KR1020010079430A KR20010079430A KR20030049265A KR 20030049265 A KR20030049265 A KR 20030049265A KR 1020010079430 A KR1020010079430 A KR 1020010079430A KR 20010079430 A KR20010079430 A KR 20010079430A KR 20030049265 A KR20030049265 A KR 20030049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winch
submerged turret
cone
turret un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1945B1 (ko
Inventor
이영범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9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945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9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1/507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with mooring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을 쓰는 셔틀 탱크류(Shuttle Tanker)의 경우 선저에 대형 개구부가 있으며, 적재 또는 하역이 끝난 후 다시 운항할 경우에도 선저개구부를 밀폐시키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선박의 속도저감을 줄이는 것이 목적으로 항해중에는 콘 형상의 구조물로 밀폐한 상태에서 운항하며, 적재 또는 하역시에는 데크상의 윈치 및 스토퍼등을 이용하여 상기 콘을 선측에 고정시켜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결합 또는 작동을 원할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저 개구부의 밀폐방법{A method to close large opening located in the bottom of shuttle tanker like marine vessel}
본 발명은 선박의 선저하부에 개구부가 있는 셔틀 탱크류에 있어서 선저개구부의 밀폐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해중에는 콘 형상의 구조물로 밀폐한 상태에서 운항하며, 적재 또는 하역시에는 데크상의 윈치 및 스토퍼등을 이용하여 상기 콘을 선측에 고정시켜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결합 또는 작동이 원할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제선이라 하면 해양석유의 탐사, 시추, 생산, 처리, 저장 및 운송에 소요되는 선박들과 부대되는 파이프라인 부설선, 케이블부설선, 기중기선, 작업원 거주선, 보급품선, 예인선, 각종 부선 등 일체의 선박류를 총칭한다.
시추선이나 시추공에서 석유를 채취하는 선박은 선체로부터 파이프를 해저지하에 꽂아 놓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위치유지가 가장 중요하다.
여러개의 앵커를 놓고 앵커 케이블에 걸리는 장력간의 형평에 의해 한 자리를 지키거나 또는 전방위 추진기를 여러대 놓아서 파랑이나 바람에 배가 밀리면 바로 추진기들이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원위치로 되돌려 놓도록 자동화된 방법이 쓰이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장치를 다이나믹 포지셔닝 시스템(Dynamic Positioning System)이라고 한다. 모든 배들이 작업수행 목적의 특수 기계류를 나름대로 각기 정비하고 있는 점은 다르겠지만 조악한 천후조건, 즉 높은 파도와 빠른 조류, 강한바람, 추운 기후 조건하에서 작업을 수행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일반조건은 같다. 이는 북해(North Sea) 유전에서 많은 시추와 생산활동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연유한 조건들이다. 배가 너무 많이 움직이지는 않고 한 자리에 있으면서 조류나 바람의 영향을 완충시키기 위해 한점의 회전점을 중심으로 돌아 주기만 하면 되는 FPSO(Floating Production and Storage Off-loading) 같은 배는 터릿 무링(Turret Mooring)장치를 쓴다.
즉, 선박의 아래 위로 관통하는 구멍을 뚫고 상기 구멍에 터릿(Turret)이라고 하는 돌쩌귀를 꽂은 다음 터릿(Turret)의 밑 부분에 앵커를 여러 개 매달아 설치하는 것이다.
한편, 적재 또는 하역을 끝낸 후 셔틀탱크로 사용시 선저 개구부를 현재 밀폐하지 않고 운항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이 선속의 저하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박의 선저하부에 개구부가 있는 셔틀 탱크류에 있어서, 선저개구부의 밀폐방법에 관한 것으로 선저 개구부를 효과적으로 밀폐시켜 선박의 속도저감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저하부에 대형 개구부가 있는 셔틀 탱커에 있어, 클램프를 풀고 제 1 스토퍼를 푼 후 콘의 무게가 제 2 라인에 모두 걸릴때까지 제 1 윈치를 조금씩 풀어주고 제 2 라인에 모든 하중이 걸리면 제 1 윈치에 있는 제 1 라인을 모두 풀어 준 후 제 2 윈치를 이용하여 콘을 선측의 후방으로 인양한 후 제 1 라인을 풀어주고 상기 부이를 선체에 결속시키는 콘 제거 단계와;
제 1 윈치로 부터 하단에서 부터 샌드백, 걸쇠 해체 장치, 2개의 부이로 구성된 제 1 라인을 하강 시킨 후, 상기 제 1 라인이 적정수심에 다다르면, 걸쇠 해체 장치가 작동하면서 샌드백이 떨어져 나가고 부이의 부력으로 상기 제 1 라인은 수면에 떠오르며, 상기 수면에 떠오른 제 1 라인을 후크를 이용하여 선체의 데크로 건져올린 후 슈팅건 또는 후크를 이용하여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유닛에 연결된 부이를 데크로 끌어올린 후 데크에서 픽업 라인과 서브 머지드 터릿 언로딩 유닛에 연결된 부이를 결합시키고 제 1 윈치를 통해서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유닛을 인양한 후 상기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유닛이 개구부에 결합이 완료되면 클램프(30)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연결단계;
제 1 윈치로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유닛을 붙들고 있는 상태에서 클램프 및 제 1 스토퍼를 풀어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유닛을 천천히 하강시키고, 상기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유닛이 일정지점에 오면 제 1 라인을 풀어주는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연결끊기 단계;
상기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연결단계와 같이 제 1 라인을 하강시키고 제 1 라인과 콘의 부이 라인인 제 1 라인을 연결한 후 제1 윈치로 끌어 올리고 콘의 장착을 확인한 후 클램프로 고정하는 콘 재연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저 개구부의 밀폐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셔틀 탱커로 운항시 선체의 개구부가 콘으로 밀폐되어 있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2b,2c,2d는 콘 제거단계를 과정별로 나타낸 도면.
도 3a,3b,3c는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연결단계를 과정별로 나타낸 도면.
도 4a,4b는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연결끊기 단계를 과정별로 나타낸 도면.
도 5a,5b는 콘 재연결단계를 과정별로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제 1 스토퍼 20 : 제 2 스토퍼
30 : 클램프 40 : 제 1 윈치
50 : 제 2 윈치 60 : 제 1 라인
70 : 제 2 라인 80 : 콘
90 : 개구부 100 : 부이
105 : 샌드백 110 : 걸쇠 해체 장치
130 :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유닛
본 발명은 선박의 선저하부에 개구부가 있는 셔틀 탱크류에 있어서 선저개구부의 밀폐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해중에는 콘 형상의 구조물로 밀폐한 상태에서 운항하며, 적재 또는 하역시에는 데크상의 윈치 및 스토퍼등을 이용하여 상기 콘을 선측에 고정시켜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결합 또는 작동이 원할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4단계로 나누어 지는 바, 첫째로 콘 제거단계(도 2a,2b,2c,2d)와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연결단계(도3a,3b,3c)와,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연결끊기 단계(도4a,4b)와, 콘 재연결단계(도5a,5b)로 나눌 수 있다.
선저 개구부는 셔틀 탱커로 운항시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데크상의 스토퍼(10,20) 및 개구부의 클램프(30)를 이용하여 고정된 콘(80)으로 선저의 개구부(90)가 밀폐되어 있는 구조이다.
첫번째 단계인 콘 제거단계는 우선 도 2a에서 알 수 있듯이, 클램프(30)를 풀고 제 1 스토퍼(10)를 푼다. 그리고 콘(80)의 무게가 제 2 라인(70)에 모두 걸릴때까지 제 1 윈치(40)를 조금씩 풀어준다. 이때 상기 콘(80)은 무게가 부력보다 약간 크도록 셋팅되어 있으므로 하방으로 내려가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라인(70)에 모든 하중이 걸리면 제 1 윈치(40)에 있는 제 1 라인(60)을 모두 풀어준다. 이어서 제 2 윈치(50)를 이용하여 콘(80)을 선측의 후방으로 인양한다. 다음 과정은 도 2c에서 알 수 있듯이 제 1 라인(60)에는 2개의 부이(100)가 있어서 수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선체의 데크에서 슈팅건 또는 후크를 이용하여 콘(80)에 연결된 부이(100)를 걷어 올린다. 마지막으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이(100)를 걷어올린 후 스토퍼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부이(100)를 선체에 결속시키는 것으로 콘 제거 작업이 마무리 된다.
두번째 단계인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연결단계는 3번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우선, 도3a에서 알 수 있듯이, 제 1 윈치(40)로 부터 하단에서 부터 샌드백(105), 걸쇠 해체 장치(110), 2개의 부이(100)로 구성된 제 1 라인(60)을 하강 시킨다. 그리고 다음과정으로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라인(60)이 적정수심에 다다르면, 즉 일정한 수심에서의 수압이 측정되면 이미 셋팅되어 있는 수압에서 하단에 체결되어 있는 샌드백(105)을 풀어주는 작동을 하는 걸쇠 해체 장치(110)가 작동하면서 샌드백(105)이 떨어져 나가고 부이(100)의 부력으로 상기 제 1 라인(60)은 수면에 떠오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면에 떠오른 제 1 라인(60)을 후크를 이용하여 선체의 데크로 건져올린 후 도3c에서 알 수 있듯이, 슈팅건 또는 후크를 이용하여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유닛(130)에 연결된 부이를 데크로 끌어올린 후 데크에 결합시키고 제 1 윈치(40)를 통해서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Turret Unloading) 유닛(130)을 인양한 후 상기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유닛(130)이 개구부(90)에 결합이 완료되면 클램프(30)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연결단계가 마무리 된다.
그리고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연결끊기 단계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윈치(40)로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유닛(130)을 붙들고 있는 상태에서 클램프(30) 및 제 1 스토퍼(10)를 풀면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유닛(130)은 천천히 하강하기 시작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유닛(130)이 중간지점에 오면 제 1 라인(60)이 풀어짐으로써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연결끊기 단계가 마감된다.
또한 콘 재연결단계는 도5a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연결단계와 같이 제 1 라인(60)을 하강시키고 도5b에서 알 수 있듯이, 콘(80)의 부이라인인 제 1 라인(60)을 연결한 후 제 1 윈치(40)로 끌어 올리고 콘(80)의 장착을 확인한 후 클램프(30)로 고정하는 것으로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을 쓰는 셔틀 탱커류(Shuttle Tanker)의 경우 선저에 대형 개구부가 있으며, 적재 또는 하역이 끝난후 다시 운항할 경우에도 선저 개구부를 밀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선박의 속도 저감을 줄일 수 있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연료손실 및 소요되는 파워의 증가를 막을 수 있게 되어 경제적으로 운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선저하부에 대형 개구부가 있는 셔틀 탱커에 있어, 클램프(30)를 풀고 제 1 스토퍼(10)를 푼 후 콘(80)의 무게가 제 2 라인(70)에 모두 걸릴때까지 제 1 윈치(40)를 조금씩 풀어주고 제 2 라인(70)에 모든 하중이 걸리면 제 1 윈치(40)에 있는 제 1 라인(60)을 모두 풀어 준 후 제 2 윈치(50)를 이용하여 콘(80)을 선측의 후방으로 인양하면 제 1 라인(60)에는 2개의 부이(100)가 있어서 수면에 위치하게 되고, 선체의 데크에서 슈팅건 또는 후크를 이용하여 콘(80)에 연결된 부이(100)를 걷어 올린 후 스토퍼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부이(100)를 선체에 결속시키는 콘 제거 단계와;
    제 1 윈치(40)로 부터 하단에서 부터 샌드백(105), 걸쇠 해체 장치(110), 2개의 부이(100)로 구성된 제 1 라인(60)을 하강 시킨 후, 상기 제 1 라인(60)이 적정수심에 다다르면, 걸쇠 해체 장치(110)가 작동하면서 샌드백(105)이 떨어져 나가고 부이(100)의 부력으로 상기 제 1 라인(60)은 수면에 떠오르며, 상기 수면에 떠오른 제 1 라인(60)을 후크를 이용하여 선체의 데크로 건져올린 후 슈팅건 또는 후크를 이용하여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유닛(130)에 연결된 부이를 데크로 끌어올린 후 데크에 결합시키고 제 1 윈치(40)를 통해서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유닛(130)을 인양한 후 상기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유닛(130)이 개구부(90)에 결합이 완료되면 클램프(30)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서브머지드 터릿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연결단계;
    제 1 윈치(40)로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유닛(130)을 붙들고 있는 상태에서 클램프(30) 및 제 1 스토퍼(10)를 풀어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유닛(130)을 천천히 하강시키고, 상기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유닛(130)이 일정지점에 오면 제 1 라인(60)이 풀어지는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연결끊기 단계;
    상기 서브머지드 터릿 언로딩(Submerged Turret Unloading) 연결단계와 같이 제 1 라인(60)을 하강시키고 제 1 라인(60)과 콘(80)의 부이라인인 제 1 라인(60)을 연결한 후 제 1 윈치(40)로 끌어 올리고 콘(80)의 장착을 확인한 후, 클램프(30)로 고정하는 콘 재연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저 개구부의 밀폐방법.
KR10-2001-0079430A 2001-12-14 2001-12-14 선저 개구부의 밀폐방법 KR100461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430A KR100461945B1 (ko) 2001-12-14 2001-12-14 선저 개구부의 밀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430A KR100461945B1 (ko) 2001-12-14 2001-12-14 선저 개구부의 밀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265A true KR20030049265A (ko) 2003-06-25
KR100461945B1 KR100461945B1 (ko) 2004-12-14

Family

ID=29575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430A KR100461945B1 (ko) 2001-12-14 2001-12-14 선저 개구부의 밀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9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269B1 (ko) * 2002-11-23 2005-06-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저 개구부를 막을 수 있는 차폐수단이 구비된 선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4961A (en) * 1984-06-11 1986-08-12 Exxon Production Research Co. Vessel mooring system
NO160914C (no) * 1986-03-24 1989-06-14 Svensen Niels Alf Boeyelastningssystem for offshore petroleumsproduksjon.
JP2889883B2 (ja) * 1988-08-18 1999-05-10 株式会社鶴見製作所 汚水処理槽内における上澄水放流装置
AU670237B2 (en) * 1991-11-27 1996-07-11 Den Norske Stats Oljeselskap A.S. Loading/unloading buoy
NO179986C (no) * 1994-12-08 1997-01-22 Norske Stats Oljeselskap Fremgangsmåte og system for fremstilling av flytendegjort naturgass til hav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269B1 (ko) * 2002-11-23 2005-06-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저 개구부를 막을 수 있는 차폐수단이 구비된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1945B1 (ko) 2004-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0261B2 (en) Anchor line tensioning method
US5941746A (en) Vessel with a disconnectable riser supporting buoy
US7377225B2 (en) Spar-type offshore platform for ice flow conditions
CA2681204C (en) Floating platform for operation in regions exposed to extreme weather conditions
JPS619387A (ja) 船係留装置
US46905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n offshore platform jacket
CA2730961C (en) A mooring arrangement
US6893190B2 (en) Method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a floating structure with rope anchor lines to the seabed
JP6820698B2 (ja) 係留索の継ぎ足し方法、浮体構造物の係留方法および浮体式洋上風力発電施設の施工方法
US8181589B2 (en) Gravity anchor
KR100978065B1 (ko) 시추선의 스러스터 장착 방법
KR100461945B1 (ko) 선저 개구부의 밀폐방법
US3929087A (en) Method of retrieving anchors
US4632663A (en) Mooring and transfer system and method
KR100441856B1 (ko) 선저 개구부의 밀폐장치
US4573425A (en) Rapidly installable mooring and cargo transfer system
US6685519B1 (en) System for transferring fluids and methods for installing, modifying and operating system
USH1372H (en) Method for mating floating sections of an offshore structure
USRE33434E (en) Rapidly installable mooring and cargo system
JPH04297392A (ja) 炭酸ガス輸送船
AU580415B2 (en) Mooring and transfer system
JPS62178495A (ja) 氷海用浮遊構造物
WO2000044615A1 (en) Equipment for storage of a loading hose in a body of water, and method of transferring the hose from a storage position to a position of use
JPH10310095A (ja) 洋上石油積出し設備
GB2273694A (en) Offshore loa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