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9037A - 분말제품의 계량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분말제품의 계량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9037A
KR20030049037A KR1020010079113A KR20010079113A KR20030049037A KR 20030049037 A KR20030049037 A KR 20030049037A KR 1020010079113 A KR1020010079113 A KR 1020010079113A KR 20010079113 A KR20010079113 A KR 20010079113A KR 20030049037 A KR20030049037 A KR 20030049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eservoir
discharge hole
discharg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철
박관섭
Original Assignee
이준철
박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철, 박관섭 filed Critical 이준철
Priority to KR1020010079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9037A/ko
Publication of KR20030049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0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류의 용도로 사용되는 각종 분말제품이 각각 개별 보관된 저장통으로부터 그 내용물, 즉 분말제품을 찻수저의 사용없이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인출 및 배출될 수 있게 하되, 일일이 컵을 각 저장통의 배출공 측으로 옮기는 것 없이 한 장소에서 각 저장통으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수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 및 위생성, 청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분말제품의 개량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중앙부에 토출공(11)이 형성되면서 저면부 다수의 지지대(12)에 의해 일정높이로 하부측이 지지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에 다수 수용되면서 케이스(1)의 토출공(11) 측으로 향하는 하부 전방측으로 배출공(2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외부의 조작놉(22)과 연결된 이송스크류(23)가 상기 배출공(21)에 동축을 이루면서 구비된 상부개방형의 뚜껑(24)을 갖는 저장통(2)으로 구성됨으로써 각각 개별 구비된 저장통 내부의 내용물이 찻수저의 사용없이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인출이 가능하고, 또한 컵을 일일이 각 저장통의 배출공 측으로 옮기는 것 없이 한 장소에서 각 저장통으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받아 차를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고, 기존에 찻수저로 떠서 옮기는 중에 내용물의 흘림으로 주변이 오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성 및 청결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말제품의 계량 배출장치{Coffee dispenser}
본 발명은 차류의 용도로 사용되는 각종 분말제품이 각각 개별 보관된 저장통으로부터 그 내용물, 즉 분말제품을 찻수저의 사용없이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인출 및 배출될 수 있게 하되, 일일이 컵을 각 저장통의 배출공 측으로 옮기는 것 없이 한 장소에서 각 저장통으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수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 및 위생성, 청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분말제품의 개량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각종 차류의 용도로 사용되는 분말제품은 각각의 저장통에 개별 보관되고, 일일이 찻수저로 그 저장통 내부의 내용물을 소정량 만큼씩 떠서 컵에 옮기는 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물에 젖은 찻수저가 내용물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찻수저에 내용물이 달라붙게 되고, 이 달라붙은 상태에서 다른 내용물과의 접촉으로 찻수저에 달라붙어 있던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에 혼입됨으로써 미관 불량을 초래하게 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떠서 컵에 옮기는 중에 내용물의 흘림으로 주변환경을 오손시키게 되는 등의 비위생성과 비청결성 그리고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각 개별 구비된 저장통 내부의 내용물이 찻수저의 사용없이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인출될 수 있게 하되, 일일이 컵을 각 저장통의 배출공 측으로 옮기는 것 없이 한 장소에서 각 저장통으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수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저장통의 배출공 사이 공간부를 충분히 확보하여 그 사이의 막힘을 방지하고, 상기 배출공을 통해 케이스의 중앙부 토출공 측으로 배출되는 내용물이 상기 토출공의 하부측 컵으로 유도 및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 개별 구비된 저장통에 설치되는 조작놉의 사용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조작놉의 회전력이 배출공에 동축을 이루면서 내용물을 상기 배출공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 측으로 정확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놉의 회전량에 따른 내용물의 계량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놉의 회전력이 이송스크류 측으로 전달될 수 있게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복잡 구조의 관련 부속부품을 내용물과 차단시켜 상기 내용물에 의한 그 관련 부속부품의 고장 및 오손을 방지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된 케이스 내부의 공간활용의 효율성 증대와 함께 분해 조립의 용이성으로 청소가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앙부에 토출공이 형성되면서 저면부 다수의 지지대에 의해 일정높이로 하부측이 지지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다수 수용되면서 케이스의 토출공 측으로 향하는 하부 전방측으로 배출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외부의 조작놉과 연결된 이송스크류가 상기 배출공에 동축을 이루면서 구비된 상부개방형의 뚜껑을 갖는 저장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분말제품의 계량 배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저장통은, 하부 전방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의 요입홈을 포함하고, 케이스의 토출공은 상기 요입홈에 상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면서 하방으로 상광하협식의 가이드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통은, 하부측 회전축 하단부에 결합돌기를 갖는 조작놉이 뚜껑을 관통하는 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직 형성되고, 상기 조작놉의 하부측 내부에는 상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되면서 측방으로 다수의 교반익을 갖는 교반축이 조작놉과 동축 상으로 수직 형성되며, 상기 교반축과 이송스크류는 베벨기어에 의해 서로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통은, 뚜껑에 조작놉의 회전량을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통은, 후방 하부측으로 내측 함몰형태의 수용홈이 형성되게 하여그 수용홈에 베벨기어가 위치되게 구성하고, 상기 베벨기어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구획벽에 의해 내용물 접촉을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구획벽을 경사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원통체로 형성되고, 그 원통체로 된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다수의 저장통은 측면이 서로 접하면서 후방 외측이 원호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저장통 내부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저장통을 케이스에 수용시킨 조립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저장통 개방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저장통 뚜껑 폐쇄상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케이스
11:토출공 12:지지대
13:가이드 14:컵보관대
15:스틱보관대 15A:스틱
2:저장통
21:배출공 22:조작놉
22A:회전축 22B:결합돌기
23:이송스크류 24:뚜껑
25:요입홈 26:교반축
26A:교반익 26B:결합홈
27:베벨기어 28:수용홈
28A:구획벽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측 중앙에 토출공(11) 및 가이드(13)를 갖는 상방개방형의 케이스(1)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는 저면부에 다수 구비된 지지대(12)에 의해 일정높이로 하부측이 지지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대(12)는 삼바리 형태로 등간격의 3개 지지대(12)로 형성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 내부에는 다수의 저장통(2)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저장통(2)의 상부측 개방부는 뚜껑(24)에 의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뚜껑(24)에는 조작놉(2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측 전방에는 배출공(21)이 형성되어 상기 조작놉(22)의 회전에 의해 내용물이 상기 배출공(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각 저장통(2)의 배출공(21) 간의 충분한 공간확보를 위해 그 하부 전방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의 요입홈(25)이 형성되고, 그 요입홈(25)의 면 상에 배출공(21)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한된 케이스(1) 내부의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위해 상기 케이스(1)는 원통체로 형성되고, 그 원통체로 된 케이스(1) 내부에 수용되는 다수의 저장통(2)은 측면이 서로 접하면서 후방 외측이 원호면(29)으로 형성된 부채꼴 형태로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저장통 내부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장통(2)은 상방개방형의 통체로 형성되고, 그 개방부는 뚜껑(24)에 의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24)에는 하부측 회전축(22A) 하단부에 결합돌기(22B)를 갖는 조작놉(22)이 뚜껑(24)을 관통하는 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놉(22)의 하부측 저장통(2) 내부에는 상단부에 상기 결합돌기(22B)와 결합되는 결합홈(26B)이 형성되면서 측방으로 다수의 교반익(26A)을 갖는 교반축(26)이 조작놉(22)과 동축 상으로 수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통(2)의 내부에는 배출공(21)과 동축을 이루면서 이송스크류(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축(26)과 이송스크류(23)는 베벨기어(27)에 의해 서로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저장통(2)의 배출공(21) 간의 충분한 공간확보를 위해 그 하부 전방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의 요입홈(25)이 형성되고, 그 요입홈(25)의 면 상에 배출공(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 하부측으로 내측 함몰형태의 수용홈(28)이 형성되게 하여 그 수용홈(28)에 베벨기어(27)가 위치되게 구성하고, 상기 베벨기어(27)는 수용홈(28)을 형성하는 구획벽(28A)에 의해 내용물 접촉을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구획벽(28A)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내용물의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예시를 위한 전체 단면도.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조작놉(22)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의 회전력은 조작놉(22)의 하단부 결합돌기(22B)와 교반축(26)의 상단부 결합홈(26B)의 결합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교반축(26)은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저장통(2) 내부의 내용물은 교반축(26)의 교반익(26A)에 의해 측방으로 다수 형성된 교반익(26A)에 의해 교반되며, 상기 교반축(26)의 회전력은 다시 베벨기어(27)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이송스크류(23) 측으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이송스크류(23)의 회전에 의해 저장통(2) 내부의 내용물이 조작놉(22)의 회전량만큼 배출공(21)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공(21)은 요입홈(25)에 의해 각 저장통(2)의 배출공(21) 사이에 충분한 공간부가 확보되므로 막힘이 없이 원활하게 배출되며, 이 배출되는 내용물은 케이스(1)의 중앙부에 형성된 토출공(11) 및 가이드(13)의 안내를 받고 상기 토출공(11)의 하부측에 위치한 컵으로 각 저장통(2) 내부의 내용물을 컵의 이동없이 받아 뜨거운 물을 넣고 차를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저장통의 뚜껑이 열린 상태의 내부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저장통(2) 내부에는 십자형태로 다수의 교반익(26A)을 갖는 교반축(26)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교반축(26)의 전방측에는 미도시된 베벨기어(27)에의해 연결된 이송스크류(23)가 케이스(1)의 토출공(11) 측으로 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저장통의 뚜껑이 닫힌 상태의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저장통(2)의 뚜껑(24)에는 조작놉(22)의 회전량을 표시해 줄 수 있도록 한 눈금(24A)이 표시되어 있어 상기 눈금(24A)에 의해 계량 배출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일측에 상방개방형의 컵보관대(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의 타측부에는 다수의 스틱(15A)이 보관되는 스틱보관대(15)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 개별 구비된 저장통 내부의 내용물이 찻수저의 사용없이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인출될 수 있게 하면서 일일이 컵을 각 저장통의 배출공 측으로 옮기는 것 없이 한 장소에서 각 저장통으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받아 차를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찻수저로 떠서 옮기는 중에 내용물의 흘림으로 주변이 오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성 및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통의 하부 전방측에 형성된 요입홈에 의해 각 저장통의 배출공 사이 공간부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사이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가이드에 의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케이스의 중앙부 토출공 측으로 배출되는 내용물이 상기 토출공의 하부측 컵으로 유도 및 안내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컵의 이동없이 한 장소에서 각 저장통의 내용물 수령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놉이 뚜껑에 형성되게 하면서 상기 조작놉의 회전력이 베벨기어에 의해 저장통 내부의 이송스크류 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작놉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력전달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뚜껑에 조작놉의 회전량을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됨으로써 내용물의 계량 배출이 가능하고, 이로인해 기호에 따라 배출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벨기어와 같이 조작놉의 회전력이 이송스크류 측으로 전달될 수 있게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복잡 구조의 관련 부속부품을 내용물과 접촉되지 않게 수용홈을 형성하는 구획벽으로 차단함으로써 상기 내용물에 의한 그 관련 부속부품의 고장 및 오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를 원통체로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에 다수 수용되는 저장통은 케이스에 상응하게 외측면이 원호면으로 형성된 부채꼴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제한된 케이스 내부의 공간활용의 효율성 증대와 함께 분해 조립의 용이성으로 청소가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6)

  1. 중앙부에 토출공(11)이 형성되면서 저면부 다수의 지지대(12)에 의해 일정높이로 하부측이 지지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에 다수 수용되면서 케이스(1)의 토출공(11) 측으로 향하는 하부 전방측으로 배출공(2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외부의 조작놉(22)과 연결된 이송스크류(23)가 상기 배출공(21)에 동축을 이루면서 구비된 상부개방형의 뚜껑(24)을 갖는 저장통(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분말제품의 계량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2)은,
    하부 전방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의 요입홈(25)을 포함하고, 케이스(1)의 토출공(11)은 상기 요입홈(25)에 상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면서 하방으로 상광하협식의 가이드(13)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분말제품의 계량 배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2)은,
    하부측 회전축(22A) 하단부에 결합돌기(22B)를 갖는 조작놉(22)이 뚜껑(24)을 관통하는 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직 형성되고, 상기 조작놉(22)의 하부측 내부에는 상단부에 결합홈(26B)이 형성되면서 측방으로 다수의 교반익(26A)을 갖는 교반축(26)이 조작놉(22)과 동축 상으로 수직 형성되며, 상기 교반축(26)과 이송스크류(23)는 베벨기어(27)에 의해 서로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분말제품의 계량 배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4)은,
    조작놉(22)의 회전량을 표시하는 눈금(24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분말제품의 계량 배출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2)은,
    후방 하부측으로 내측 함몰형태의 수용홈(28)이 형성되게 하여 그 수용홈(28)에 베벨기어(27)가 위치되게 구성하고, 상기 베벨기어(27)는 수용홈(28)을 형성하는 구획벽(28A)에 의해 내용물 접촉을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구획벽(28A)을 경사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분말제품의 계량 배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는 원통체로 형성되고, 그 원통체로 된 케이스(1) 내부에 수용되는 다수의 저장통(2)은 측면이 서로 접하면서 후방 외측이 원호면(29)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분말제품의 계량 배출장치.
KR1020010079113A 2001-12-13 2001-12-13 분말제품의 계량 배출장치 KR20030049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113A KR20030049037A (ko) 2001-12-13 2001-12-13 분말제품의 계량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113A KR20030049037A (ko) 2001-12-13 2001-12-13 분말제품의 계량 배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729U Division KR200269338Y1 (ko) 2001-12-14 2001-12-14 분말제품의 계량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037A true KR20030049037A (ko) 2003-06-25

Family

ID=29574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113A KR20030049037A (ko) 2001-12-13 2001-12-13 분말제품의 계량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90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5431A (en) Rotating mixer and tray
US6528105B1 (en) Single handed container for mixing foods
RU2589436C2 (ru) Дозатор напитков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й системой его наполнения
RU2552861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порошка
KR100294512B1 (ko) 자동판매기
EP2654529B1 (en) System of a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product and a machine for dosing the product
US5833097A (en) No-mess bulk dispenser/measurer
EP2008554A9 (en) System for storing and dosing a powder
BG64335B1 (bg) Съд за хранителни продукти
KR100407551B1 (ko)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US6390665B1 (en) Spillage preventing blender
KR20030070801A (ko) 정량 배출 용기
KR200269338Y1 (ko) 분말제품의 계량 배출장치
EP1499773B1 (en) Automatic dosing device comprising a container and the use of such an automatic dosing device
KR20030049037A (ko) 분말제품의 계량 배출장치
US20080083755A1 (en) Storage dispenser apparatus for aids, consumables and utensils
EP0077861B1 (fr) Dispositif doseur-distributeur notamment de produits en poudre
KR200235884Y1 (ko)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US5054934A (en) Sanitary dispenser
JP6843053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を粉末で再充填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1934445A (en) Drink mixer
CN214030140U (zh) 定量出粉装置
US2065860A (en) Dispensing apparatus
US4867350A (en) Measuring and dispensing apparatus
CN215383208U (zh) 一种投料装置和食品加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