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8201A -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 송수신 차단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 송수신 차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8201A
KR20030048201A KR1020010078068A KR20010078068A KR20030048201A KR 20030048201 A KR20030048201 A KR 20030048201A KR 1020010078068 A KR1020010078068 A KR 1020010078068A KR 20010078068 A KR20010078068 A KR 20010078068A KR 20030048201 A KR20030048201 A KR 20030048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mful
sentence
word
mobile communication
phr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0722B1 (ko
Inventor
강봉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8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0722B1/ko
Publication of KR20030048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7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2Orthographic correction, e.g. spell checking or vowe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송수신 차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수신되는 단전문 메시지(SMS : Short Massage Service) 또는 전자메일 등 이동 단말기내로 송수신되는 문장을 검색하여 욕설이나 원하지 않은 낱말 등 유해한 내용이 들어 있는 경우에 단전문 메시지 등을 걸러 내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 송수신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 유해 낱말/문장을 등록하는 제 1 단계; 단전문 메시지/전자우편을 수신하여 사용가능한 문자들의 집합으로 만드는 제 2 단계; 유해 낱말/문장 검사를 수행하여 유해 낱말/문장이 존재하지 않으면 메시지 도착을 알리고, 존재하면 전제 삭제인지 부분삭제/대체인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 결과, 전체 삭제이면 문장 전체를 삭제하고, 부분삭제/대체이면 부분을 삭제하고 대체한 후에 메시지 도착을 알리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 송수신 차단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 송수신 차단 방법 {Method for blocking junk information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송수신 차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수신되는 단전문 메시지(SMS : Short Massage Service) 또는 전자메일 등 이동 단말기내로 송수신되는 문장을 검색하여 욕설이나 원하지 않은 낱말 등 유해한 내용이 들어 있는 경우에 단전문 메시지 등을 걸러 내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 송수신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통신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정보 및 통신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맞고 있다. 그와 같은 변화를 주도하는요인으로 컴퓨터와 휴대폰의 저변 확대를 꼽을 수 있다. 특히, 휴대폰의 대중화는 통신 환경에서의 변화는 물론 일상 생활에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상과 같은 휴대폰의 대중화와 함께, 최근에는 휴대폰 가입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한 서비스 중에는 단전문 메시지 서비스가 있는데 단전문 메시지 서비스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방식의 디지털 이동통신망의 억세스 채널, 페이징 채널 및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여단말기간 또는 단말기와 메시지 입력장치간에 짧은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는 서비스로 단전문 메시지 서비스의 채널 선택은 전송하려는 메시지의 길이에 의해 자동적으로 선택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전자메일 서비스도 개발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휴대폰이 확산되고 그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반면에, 휴대폰상에 제공되는 있는 단전문메시지나 전자메일을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각종 유해 정보들로 인해 사회적으로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예로, 단전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인터넷상에서 제공되는 성인용웹 사이트에 관한 안내글들을 청소년들에게 아루런 제약없이 용이 하게 배포할 수 있게 됨에 따라서 청소년들의 비행을 조장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전문 메시지가 사용가능한 폰 또는 전자메일이 사용 가능한 폰에서 유해한 단전문 메시지 또는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경우에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를 검색하여 송수신을 차단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 송수신 차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 단전문 메시지 또는 전자메일 차단 신고센터를 운영한다면 유해 단전문 메시지나 유해 전자메일을 받은 경우에 자동으로 신고센터로 전송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 송수신 차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전문 메시지 또는 전자메일을 송신시 잘못된 낱말 및 문장에 대해서 자동으로 잘못된 것들에 대체할 수 있는 낱말이아 문장등을 추천해 줄 수 있는 맞춤법 검사 기능이 포함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 송수신 차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전문 메시지 관리 센터에서 낱말집합을 관리하여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것을 받은 단말이 낱말집합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 송수신 차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고 센터등의 전화번호가 변경될 시 이것을 단전문 관리 센터에서 송신하여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 송수신 차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전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해 정보 송수신 차단 기능이 제공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해 낱말/문장 등록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SMS 관리 센터에 의한 유해 낱말/문장 등록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 수신 차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 송신 차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SMS 관리 센터 120 : 이동통신교환기
130 : 기지국 140 : 단말기
150 : 신고 센터 210 : 제어부
220 : 메모리 230 : 키입력부
240 : 표시부 250 : 송수신부
260 : 오디오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 유해 낱말/문장을 등록하는 제 1 단계; 단전문 메시지/전자우편을 수신하여 사용가능한 문자들의 집합으로 만드는 제 2 단계; 유해 낱말/문장 검사를 수행하여 유해 낱말/문장이 존재하지 않으면 메시지 도착을 알리고, 존재하면 전제 삭제인지 부분삭제/대체인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 결과, 전체 삭제이면 문장 전체를 삭제하고, 부분삭제/대체이면 부분을 삭제하고 대체한 후에 메시지 도착을 알리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 유해 낱말/문장을 등록하는 제 1 단계; 사용자가 단전문 메뉴의 발신 기능을 선택하면 문장 입력 화면을 제공하여 문장을 입력받고, 전화번호 입력화면을 제공하여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제 2 단계; 사용자가 발신키를 누르면, 유해 문장 검사를 수행하여 유해 문장이 있으면 편집 기능을 제공하여 유해 문장을 재편집하도록 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재편집이 끝나면 유해 문장 검사를 재차 수행하여 유해 문장이 발견되지 않으면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전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단전문 메시지(Short Massage)를 주고받는 SMS 서버(ShortMessage Service Server:110)를 구비하고 단전문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SMS 관리 센터(110), SMS 관리 센터(110)로부터 받은 메시지를 해당 기지국(130)으로 전해주거나 그 역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교환기(120), 및 이동 단말기(140a~140n)로 메시지를 무선 전파하거나 그 역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130), 신고센터(15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SMS 관리센터(110)는 유해 낱말/문장 집합을 저장하고 있으며, 새로히 생성되는 유해 낱말이나 문장에 대하여 관리자에 의하여 저장하고 있는 유해 낱말/문장 집합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를 한다.
그리고, 업데이트된 유해 낱말/문장 집합을 단말기(140a~140n)로 전송하게 되며, 유해 낱말/문장 집합을 전송받은 단말기(140a~140n)는 단말기(140a~140n)에 유해 낱말/문장으로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메모리에유해 낱말/문장으로 등록하고, 사용자에게 유해 낱말/문장에 추가되었음을 알린다.
또한, SMS 관리 센터(110)은 신고센터(150)의 전화번호가 변경되는 경우에 변경된 전화번호를 신고센터(150)로부터 전송받아 이동통신교환기(120)와 기지국(130)을 거쳐 다수의 단말기(140a~140n)로 변경된 전화번호를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해 정보 송수신 차단 기능이 제공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전문메시지를 이용한 유해 정보 송수신 차단 기능이 제공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내부 구성은 제어부(210), 메모리(220), 키입력부(230), 표시부(240), 송수신부(250), 오디오부(260)를 구비하고 있다.
우선, 제어부(210)는 디지탈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하고,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Microprocessor)로 실현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휴대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210)에 의해 디지탈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메모리(220)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유해 낱말/문장 집합"에 저장되어 있으며, 신고 센터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220)에는 맞춤법 검사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잘못된 낱말이나 단어에 대하여 추천을 할 수 있는 단어나 낱말등이 저장되어 있다.
키 입력부(230)는 다수의 숫자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누를 때 해당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표시부(24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를 포함하고, 제어부(210)에 의해 제어되며, 키입력부(230)에서 발생되는 키데이터 및 제어부(210)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24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로 구현할 수 있다. 오디오부(260)는 스피커(SP)와 마이크(MIC)를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오디오부(260)는 기지국으로부터 링신호가 발생할 때-단전문 메시지가 도착할 때-송수신부(250)를 통해 상기 링신호를 감지한 후 링거(Ringer)를 통해 링음을 송출한다. 송수신부(25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중간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하고,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210)는 단전문 메시지나 전자메일을 수신하면 단말기에서 사용 가능한 문자들의 집합으로 만든다. 그리고, 수신된 단전문 메시지에 "유해 낱말/문장 집합"에 존재하는 유해 낱말이 있는지를 검사하여 유해 낱말/문장이 있으면, 사용자에게 알람으로 경고하고 표시부(240)에 그 내용을 표시한다. 이때 사용되는 "유해 낱말/문장 집합"에 메뉴 선택 화면에서 유해 낱말/문장 입력 메뉴를 선택하고 유해 낱말을 입력함으로 유해 낱말/문장 집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SMS 관리 센터로부터 유해 낱말/문장을 전송받아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유해 문장 고발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210)는 신고센터로 전화를 걸어 유해 문장 수신에 대하여 고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수신거부 등록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수신 거부 등록자 명단에 단전문 메시지를 송신한 송신자의 전화번호를 등록하게 되며, 이후 당해 송신자로부터 전송되는 전화번호에 의한 단전문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문장 전체 삭제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여 문장 전체 삭제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문장 전체를 삭제하고 종료하며, 문장부분삭제 기능/대체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문장을 부분을 삭제하고, 문장의 삭제된 부분을 대체한 후에 사용자에게 알람을 통하여 단전문 메시지 수신을 알리고 표시부(240)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단전문 메시지나 전자메일을 발신시에도 동일하게 유해문장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데 제어부(210)는 단전문 메시지 발신시에 유해 문장이 존재하는지 검사하여 유해 문장이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알려 유해 문장에 대하여 수정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맞춤법 검사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자동적으로 맞춤법 검사를 수행하여 맞춤법에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발견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알려 맞춤법에 맞는 문장을 구성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해 낱말/문장 등록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의 키입력부의 키를 이용하여 유해 낱말/문장 등록 메뉴를 선택하면(단계 S110), 유해 낱말/문장 등록 화면을 제공하여(단계 S112), 유해 낱말/문장을 입력받는다(단계 S114).
그리고, 입력된 유해 낱말/문장이 이미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116) 이미 저장되어 있으면 저장된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고(단계 S118), 단계 S112부터 반복수행하며, 이미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유해 낱말/문장으로 등록을 한 후에 단계 S112부터 반복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SMS 관리 센터에 의한 유해 낱말/문장 등록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SMS 관리 센터로부터 유해 낱말을 포함한 유해 낱말/문장 등록 요구 신호가 수신되면(단계 S210), 유해 낱말/문장 집합을 검색하여(단계 S212) 이미 유해 낱말/문장으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214).
판단 결과, 이미 등록되어 있으면 종료하고, 이미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SMS 관리 센터로부터 유해 낱말/문장 등록 요구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고(단계 S218), 등록할 것인지를 문의한다(단계 S218).
사용자가 등록을 원하지 않으면 종료하고, 등록을 원하면 유해 낱말/문장으로 등록하고(단계 S220),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 수신 차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이동통신단말기가 단전문 메시지나 전자메일을 수신하면(단계 S310), 단전문 메시지를 사용 가능한 문자들의 집합으로 구성한다(단계 S312).
이후에, 단전문 메시지에 등록된 유해 낱말/문장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사하여(단계 S314), 유해 낱말이 존재하지 않으면 메시지 도착을 알리고(단계 S318), 종료한다.
그리고, 검사 결과 유해 낱말/문장이 포함되어 있으면 유해 낱말을 신고센터에 고발하도록 고발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320), 설정되어 있으면 신고 센터로 유해 문장을 고발하고(단계 S322), 수신거부 등록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324).
수신거부 등록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수신 거부 등록에 단전문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자 전화번호를 등록하여(단계 S326) 이후에 당해 전화번호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단전문 메시지 수신을 거부하도록 한다.
이후에, 전체 삭제 또는 부분삭제/대체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328) 전체 삭제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전체를 삭제하고(단계 S330), 종료하고, 부분삭제/대체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부분삭제/대체를 수행한 후에 메시지 도착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단계 S334).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 송신 차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단전문 메뉴를 선택하여(단계 S410), 단전문 발신 기능을 선택하면(단계 S412), 문장 작성 화면을 제공하여 문장을 작성하도록 하고(단계 S414), 전화번호 입력화면을 제공하여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받는다(단계 S416).
이후에, 발신키를 누르면(단계 S418), 유해문장 검사 수행 기능이 설정되어있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420),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맞춤법 검사를 수행하고, 설정되어 있으면 유해 문장 검사를 수행한다(단계 S422).
유해 문장 검사 수행 결과, 유해 문장이 없으면(단계 S424), 맞춤법 검사를 수행하고, 유해 문장이 있으면 편집 화면을 제공하여(단계 S426), 사용자로 하여금 문장을 편집하도록 한다(단계 S428), 단계 S422부터 반복수행한다.
이후에, 유해 문장 검사가 끝나면 맞춤법 검사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432) 맞춤법 검사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맞춤법 검사를 실시하여(단계 S436), 맞춤법에 어긋난 문장이나 낱말이 있으면 편집 화면을 제공하여(단계 S438), 문장을 편집하도록 하고(단계 S440), 문장 편집이 끝나면 단전문 메시지를 발송한다(단계 S434).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바른말 고운말을 통신상으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철자법에 맞는 낱말과 문장을 사용함으로써 올바른 통신문화 장착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 유해 낱말/문장을 등록하는 제 1 단계;
    단전문 메시지/전자우편을 수신하여 사용가능한 문자들의 집합으로 만드는 제 2 단계;
    유해 낱말/문장 검사를 수행하여 유해 낱말/문장이 존재하지 않으면 메시지 도착을 알리고, 존재하면 전제 삭제인지 부분삭제/대체인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 결과, 전체 삭제이면 문장 전체를 삭제하고, 부분삭제/대체이면 부분을 삭제하고 대체한 후에 메시지 도착을 알리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해 정보 수신 차단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의 유해 문장 검사 결과 유해 문장이 존재하면 유해 문장 고발 기능이 선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의 판단 결과, 유해 문장 고발 기능이 선택되어 있으면 신고 센터로 유해 정보 수신을 고발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해 정보 수신 차단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유해 문장 검사 결과 유해 문장이 존재하면, 수신 거부 등록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의 판단 결과, 수신 거부 등록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수신 거부 등록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해 정보 수신 차단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의 키입력부의 키를 이용하여 유해 낱말/문장 등록 메뉴를 선택하면, 유해 낱말/문장 등록 화면을 제공하는 제 1-1 단계;
    상기 키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유해 낱말/문장을 입력받는 제 1-2 단계;
    입력된 유해 낱말/문장이 이미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1-3 단계;
    이미 저장되어 있으면 저장된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상기 제 1-1 단계의 등록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부터 반복수행하는 제 1-4 단계; 및
    이미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유해 낱말/문장으로 등록을 한 후에 상기 제 1-1 단계의 등록화면을 제공하는 과정부터 반복 수행하는 제 1-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해 정보 수신 차단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이동통신단말기가 SMS 관리 센터로부터 유해 낱말을 포함한 유해 낱말/문장 등록 요구 신호가 수신하는 제 1-1 단계;
    유해 낱말/문장 집합을 검색하여 이미 유해 낱말/문장으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1-2 단계; 및
    상기 제 1-2 단계의 판단 결과, 이미 등록되어 있으면 종료하고, 이미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등록하는 제 1-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해 정보 수신 차단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 단계에서 등록하는 과정은,
    사용자에게 SMS 관리 센터로부터 유해 낱말/문장 등록 요구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고, 등록할 것인지를 문의하여, 등록을 원하면 유해 낱말/문장으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정보 수신 차단 방법.
  7.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 유해 낱말/문장을 등록하는 제 1 단계;
    사용자가 단전문 메뉴의 발신 기능을 선택하면 문장 입력 화면을 제공하여 문장을 입력받고, 전화번호 입력화면을 제공하여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제 2 단계;
    사용자가 발신키를 누르면, 유해 문장 검사를 수행하여 유해 문장이 있으면 편집 기능을 제공하여 유해 문장을 재편집하도록 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재편집이 끝나면 유해 문장 검사를 재차 수행하여 유해 문장이 발견되지 않으면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해 정보 송신 차단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에서 유해 문장이 발견되지 않으면 맞춤법 검사를 수행하여 맞춤법에 어긋나는 낱말 또는 문장이 있으면 편집화면을 제공하여 편집하도록 한 후에 문장 편집이 끝나면 전송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해 정보 송신 차단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의 키입력부의 키를 이용하여 유해 낱말/문장 등록 메뉴를 선택하면, 유해 낱말/문장 등록 화면을 제공하는 제 1-1 단계;
    상기 키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유해 낱말/문장을 입력받는 제 1-2 단계;
    입력된 유해 낱말/문장이 이미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1-3 단계;
    이미 저장되어 있으면 저장된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상기 제 1-1 단계의 등록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부터 반복수행하는 제 1-4 단계; 및
    이미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유해 낱말/문장으로 등록을 한 후에 상기 제 1-1단계의 등록화면을 제공하는 과정부터 반복 수행하는 제 1-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해 정보 송신 차단 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이동통신단말기가 SMS 관리 센터로부터 유해 낱말을 포함한 유해 낱말/문장 등록 요구 신호가 수신하는 제 1-1 단계;
    유해 낱말/문장 집합을 검색하여 이미 유해 낱말/문장으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1-2 단계; 및
    상기 제 1-2 단계의 판단 결과, 이미 등록되어 있으면 종료하고, 이미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등록하는 제 1-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해 정보 송신 차단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 단계에서 등록하는 과정은,
    사용자에게 SMS 관리 센터로부터 유해 낱말/문장 등록 요구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고, 등록할 것인지를 문의하여, 등록을 원하면 유해 낱말/문장으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정보 송신 차단 방법.
KR10-2001-0078068A 2001-12-11 2001-12-11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 송수신 차단 방법 KR100450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068A KR100450722B1 (ko) 2001-12-11 2001-12-11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 송수신 차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068A KR100450722B1 (ko) 2001-12-11 2001-12-11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 송수신 차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201A true KR20030048201A (ko) 2003-06-19
KR100450722B1 KR100450722B1 (ko) 2004-10-01

Family

ID=29574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068A KR100450722B1 (ko) 2001-12-11 2001-12-11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 송수신 차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072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609A (ko) * 2002-08-19 2004-02-2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제어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스펨성 단문 메시지 차단 방법
KR100465137B1 (ko) * 2002-07-26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기시스템의 수신데이터 삭제기능 제어방법
KR100659549B1 (ko) * 2004-01-15 2006-12-19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이동 통신 단말 및 과금 제어 장치
KR101201045B1 (ko) * 2003-06-20 2012-11-1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발신 스팸의 감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스패머가 아닌 것 같은 활동의 주기적 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 스팸 감소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1352160B1 (ko) * 2011-12-20 2014-01-15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금칙어 검사 기능을 채용한 사용자 단말기 및 금칙어 검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083A (ko) * 1998-12-31 2000-07-25 어기준 컴퓨터 음란물 야설(음란 소설) 검색 프로그램
KR20010083014A (ko) * 2000-02-22 2001-08-31 황재엽 전화기한글입력장치의 오타 자동수정 장치 및 방법
KR100690706B1 (ko) * 2001-03-31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KR20020080729A (ko) * 2001-04-17 2002-10-26 장철호 통신 회선 제어 방법 및 제어기기
KR100425712B1 (ko) * 2001-10-11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정보 단말기의 수신 거부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137B1 (ko) * 2002-07-26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기시스템의 수신데이터 삭제기능 제어방법
KR20040016609A (ko) * 2002-08-19 2004-02-2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제어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스펨성 단문 메시지 차단 방법
KR101201045B1 (ko) * 2003-06-20 2012-11-1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발신 스팸의 감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스패머가 아닌 것 같은 활동의 주기적 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 스팸 감소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0659549B1 (ko) * 2004-01-15 2006-12-19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이동 통신 단말 및 과금 제어 장치
US8190138B2 (en) 2004-01-15 2012-05-29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dentify and report undesirable content
KR101352160B1 (ko) * 2011-12-20 2014-01-15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금칙어 검사 기능을 채용한 사용자 단말기 및 금칙어 검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0722B1 (ko) 200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66310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CN1954588A (zh) 便携式电子装置和使用由呼叫方定制的振铃音的方法
US20050143104A1 (en) Message transmitting scheme of mobile terminal
KR2005005327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검색 방법
KR20020060489A (ko) 이동 전화기에서 이미지 파일 송신 및 수신방법
KR2003001838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발신자표시방법
KR10086303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메시지 수신 방법
KR2001005453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폰북내용을 단문서비스로 송수신하기위한 방법
KR100450722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 송수신 차단 방법
KR100664384B1 (ko) 송,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한 화면에 표시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표시 방법
KR20010058797A (ko) 휴대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1003386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송신 방법
KR1006724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작성방법
JP2007201755A (ja) 携帯電話機
JP200332338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0850991B1 (ko) 휴대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을 이용하는 방법
KR100606766B1 (ko)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KR2002006337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20040037377A (ko) 스팸 단문메시지 차단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전화기
KR20020069987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인 비서 기능을 갖는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KR20040089237A (ko) 동보전송 주소록을 이용한 단문 메시지 발송방법
KR1007825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838016B1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 구분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KR100703302B1 (ko) 유무선 단말기에서 특정 콜메시지를 거부하는 방법
KR2003001363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선택적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