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8047A - 연마 도구 - Google Patents

연마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8047A
KR20030048047A KR10-2003-7004042A KR20037004042A KR20030048047A KR 20030048047 A KR20030048047 A KR 20030048047A KR 20037004042 A KR20037004042 A KR 20037004042A KR 20030048047 A KR20030048047 A KR 20030048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abrasive
holding
grind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에노마코토
Original Assignee
우에가키 타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가키 타테오 filed Critical 우에가키 타테오
Publication of KR20030048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04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9/00Wheels or drums supporting in exchangeable arrangement a layer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 e.g. sandpaper
    • B24D9/003Wheels having flaps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 supported by a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05Auxiliary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5/00Hand tools or other devices for non-rotary grinding, polishing, or stropping
    • B24D15/04Hand tools or other devices for non-rotary grinding, polishing, or stropping resilient; with resiliently-mounted operativ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수면을 소정 형상으로 연마하는 연마 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마 도구는, 보수면과 대향하는 표면에 연마재를 보유하여 상기 연마재에 의해 보수면을 소정 형상으로 연마하는 연마반 본체와, 이 연마반 본체에 설치되어 연마반 본체의 조작 시에 파지되는 파지부를 갖는다. 파지부는 연마반 본체에 설정된 축을 회동의 중심으로 하여 연마반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연마 도구에 의하면, 조작성이 양호하며 작업자의 노동력 경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마 도구는 보수면에서의 평활성의 불균일이나 샌드페이퍼의 조기 마모 등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마 도구{POLISHING DEVICE}
차량의 도장면에 생긴 흠이나 함몰을 수리할 때에, 그 패널면(강판)에 도장된 프라이머(primer), 서페이서(surfacer), 페인트를 연마하여 벗기는 공정이 있다. 또한, 그 손상부에 퍼티(putty)류를 충전하여, 퍼티 표면과 본체 표면을 하나의 면으로 연마하는 공정이 있다.
통상, 이 공정에서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수면과 대향하는 면에 연마재로서의 샌드페이퍼(101)가 접착된 연마반(硏磨盤) 본체(100)와, 상기 연마반 본체(100)에 고정된 파지부(把持部)(l02, 103)를 구비하는 연마 도구를 이용하여 작업을 행한다.
또한, 파지부는 양손용, 외손용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이루나, 크게 나누어 이하의 2가지 패턴으로 분류된다. 첫 번째 패턴으로서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순히 판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두 번째 패턴으로서는, 막대 형상의 그립을 구비하는 타입이다. 양자 모두 연마반 본체(100)의 중앙에 세워 설치한 상태에서 연마반 본체(100)에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연마 도구를 이용한 연마 작업은 작업 자세가 안락한 평면 부분에서의 작업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타이어 하우스 주위나 도어 하부에서의 돌아 들어간 부분 등, 곡면으로 구성되는 장소나 작업 자세가 부자유스러운 장소에서도 실행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연마 도구의 조작 방향을 변화시키거나, 파지부의 파지 방법을 변화시켜 대처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연마 도구는 파지부와 연마반 본체가 고정되어 있어, 항상 일정한 파지 각도로만 파지할 수 있었다. 즉, 연마 도구에서의 조작성에 자유도가 없었다. 또한, 파지부를 변칙적으로 파지하여 작업을 행한 경우에는, 손의 통증이나 손의 피로로 이어져, 전체적인 작업 능률을 대폭으로 저하시킬 우려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연마 도구에서는 연마반 본체에 세워 설치된 판 형상의 파지부를 파지하여 연마 도구를 조작하기 때문에, 파지부로부터 연마면에 대하여 전달되는 외력(가압력)은 연마면으로부터 상당히 떨어진 지점에 전달된다. 따라서, 연마 도구가 불안정한 상태에서 연마가 실행되기 때문에 보수면(피연마면)에서의 평활성의 불균일이나 샌드페이퍼의 편마모(偏磨耗) 등, 연마 도구의 조작성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 수복(修復) 작업 그 자체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은 보수면(補修面)을 소정 형상으로 연마하는 연마 도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외손용 연마 도구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외손용 연마 도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외손용 연마 도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마 도구에 따른 연마반 본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마 도구에 따른 연마반 본체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마 도구에 따른 연마반 본체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연마 도구에 따른 기반부 및 가동 기반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연마 도구에 따른 기반부 및 가동 기반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연마면 단부를 사용한 연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연마 도구에 따른 가동 기반부의 가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연마 도구에 따른 탄성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연마 도구에 따른 로크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로크 기구의 로크 해제 상태에서의 각 부품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12에 나타낸 로크 기구의 로크 상태에서의 각 부품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양손용 연마 도구의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양손용 연마 도구의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양손용 연마 도구의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연마 도구를 오른손으로 경사 방향으로 조작할 때의 파지부의 고정 각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연마 도구를 왼손으로 경사 방향으로 조작할 때의 파지부의 고정 각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연마 도구를 오른손으로 횡방향으로 조작할 때의 파지부의 고정 각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종래의 연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종래의 연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조작성이 양호하며 작업자의 노동력 경감에 기여할 수 있는 연마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보수면에서의 평활성의 불균일이나 샌드페이퍼의 조기 마모 등을 억제할 수 있는 연마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마 도구는 보수면과 대향하는 표면에 연마재를 보유하여 상기 연마재에 의해 보수면을 소정 형상으로 연마하는 연마반 본체와, 이 연마반 본체에 설치되어 연마반 본체의 조작 시에 파지되는 파지부를 갖는다. 상기 파지부는 연마반 본체에 설정된 소정의 축을 회동의 중심으로 하여 연마반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연마 도구는 연마반 본체에 대한 파지부의 부착 각도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보수면의 형상에 맞추어 파지부의 파지 각도를 원하는 위치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파지부를 변칙적으로 파지하지 않더라도 보수면의 연마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소정의 축은 연마반 본체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축, 파지부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축의 양쪽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파지부는 연마반 본체의 반면과 평행한 면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연마 도구는 연마반 본체의 반면과 평행한 2차원 방향에서 파지부의 부착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마반 본체에 대한 파지부의 회동을 소정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파지부를 연마반 본체에 대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힘들인 조작 시에도 파지부의 부착 각도는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서는 연마 도구의 조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 수단은 파지부에서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이반(離反)한 위치에서연마반 본체와 파지부를 고정시키는 것이 좋다. 이 경우, 파지부의 회전 중심에서 연마반 본체와 파지부를 고정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연마반 본체와 파지부의 고정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고정 수단은 정상 상태에서 연마반 본체 및 파지부를 서로 고정시키는 로크 위치와, 연마반 본체 및 파지부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파지부의 회동을 허가하는 로크 해제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크 부재를 갖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고정 수단으로서, 파지부의 회동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로크가 걸리는 로크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파지부의 연마반 본체에 대한 부착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는 조작 시에 면으로 손바닥에 접하는 팽창 돌출부와, 상기 팽창 돌출부의 양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 시에 끼워 보유되는 손가락 걸이 오목부를 갖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파지부를 손 전체로 감싸는 것처럼 파지했을 때에, 가장 안정된 파지 상태가 얻어지는 형상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팽창 돌출부의 양 측방에는 손가락 걸이 오목부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힘을 가한 연마 시에도 팽창 돌출부로부터 손바닥이 미끄러져 벗어나지 않고, 안정된 파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마면에 대하여 균일한 가압력이 작용한다. 또한, 연마면에 가까운 지점에서 파지부로부터의 외력(가압력)이 연마면에 전달된다.
또한, 팽창 돌출부와 손가락 걸이 오목부와의 접속 부분은 연속된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손과 접하는 부분은 손에 익숙해지기 쉬운 연속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팽창 돌출부는 연마반 본체의 중앙으로부터 이반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는, 팽창 돌출부를 연마반 본체의 중앙으로부터 시프트시켜 배치함으로써, 연마반 본체의 전체에 대하여 손 전체에 의한 균일한 가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파지부는 복수의 팽창 돌출부를 구비하고, 그 복수의 팽창 돌출부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소정의 축을 통과하는 직선 상에서 상기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배치된 팽창 돌출부를 갖기 때문에, 연마 도구를 양손으로 매우 적합하게 파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파지부를 팽창 돌출부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부재로 구성하고, 각 부재는 소정의 축에 대하여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오른손 파지용 파지부와 왼손 파지용 파지부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고, 각 파지부를 상기 소정의 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오른손 및 왼손에서의 파지 각도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연마반 본체는 보수면과 대향하는 표면에 연마재를 보유하는 기반부와, 이 기반부의 단부에 굴곡 가능하게 나착(螺着)되어 상기 보수면과 대향하는 표면에 연마재를 보유하는 가동 기반부와, 가동 기반부의 표면을 기반부의 표면에 대하여 하나의 면으로 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이 구성에서는 보수면을 연마하는 연마면의 단부를 굴곡 가능하게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연마면 단부를 사용한 연마 시에도, 연마면이 선 형상이 아니라 면 형상으로 보수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과도한 연마 등의 연마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리가 없는 파지 각도로 연마 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손의 통증이나 손의 피로 등으로부터 작업자를 해방시킬 수 있다. 또한, 손 전체로 감싸는 것처럼 파지했을 때에 가장 안정된 파지 상태가 얻어지는 파지부를 채용하기 때문에, 연마반 본체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조작성이 양호하며 작업자의 노동력 경감에 기여할 수 있는 연마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수면에서의 평활성의 불균일이나 샌드페이퍼의 조기 마모 등도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연마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의 회동 중심이 되는 축은 가상의 축일 수도 있다. 즉, 파지부를 연마반 본체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활 형상의 가이드 레일 등의 기구를 연마반 본체와 파지부와의 접속부에 설치하면, 회동 중심에는 실제의 축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연마 도구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우선 처음으로,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형태에 따른 연마 도구 중에서 한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는 외손용 연마 도구에 대해서 설명을 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손용 연마 도구(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수면과 대향하는 표면에 연마재로서의 샌드페이퍼(S)가 접착된 연마반 본체(2)와, 연마반 본체(2)에 설치된 소정의 지축(支軸)(33)을 회동의 중심으로 하여 연마반 본체(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파지부(3)와, 연마반 본체(2)에 대한 파지부(3)의 회동을 소정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로크 기구(32)를 구비하고 있다.
연마반 본체(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부(3)의 부착 부분으로 되는 보유반(21)과, 보유반(21)의 하면 측에 설치되어 보수면(피연마면)(도시 생략)과 대향하는 표면에 샌드페이퍼(S)를 착탈 가능하게 보유하는 기반부(22)와, 상기 기반부(22)의 단부(22a)에 굴곡 가능하게 나착되어 상기 보수면과 대향하는 표면에 샌드페이퍼(S)를 착탈 가능하게 보유하는 가동 기반부(23)와, 보유반(21)의 하면 측에 기반부(22) 및 가동 기반부(23)를 동일 평면 상에서 지지시키는 탄성부재(24)와, 연마 시에 생기는 티끌을 연마 도구(1)와는 별도로 설치된 흡진(吸塵) 장치(도시 생략)로 유도하는 흡진 통로(R)를 갖는다.
또한, 여기서 보유반(21)의 하면 측은 연마 도구(1)의 사용 상태에서 보수면과 대향하는 면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하면 및 아래쪽이라고 설명할 경우에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보수면과 대향하는 면 및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기반부(22) 및 가동 기반부(23)에 있어서, 보수면과 대향하는 면을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순히 연마면(M)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보유반(21)은 직사각형을 이루는 알루미늄 판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 부분에는 파지부(3)를 보유반(21)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할 때에 사용되는 파지부 지지 구멍(2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파지부 지지 구멍(21a)으로부터 이반한 위치에는, 보유반(21)에 대한 파지부(3)의 회동을 원하는 회동 각도에서 고정시킬 때에 사용되는 로크 구멍(21b)이 파지부 지지 구멍(21a)을 중심으로 한 동일 곡률반경 상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유반(2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선 상에는, 연마 시에 발생하는 티끌(연마 부스러기)을 흡진 장치로 유도하는 집진 구멍(21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파지부 지지 구멍(21a), 로크 구멍(21b), 집진 구멍(21c)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파지부(3)의 설명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유반(21)의 하면 측에 설치되는 기반부(22) 및 가동 기반부(23)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직사각형을 이루는 얇은 두께의 수지판으로 구성되고, 각각 탄성 부재(24)를 통하여 보유반(21)의 하면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기반부(22) 및 가동 기반부(23)에서의 연마면(M)은 탄성 부재(24)에 의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고, 그 연마면(M)에는 1개의 점착 시트(M1)가 접착되어 있다(도 8 참조).
즉, 가동 기반부(23)는 점착 시트(M1)를 통하여 기반부(22)의 단부(22a)에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고, 기반부(22)의 표면과 하나의 면으로 되는 위치로부터 보유반(21)의 단부(22a)에 접촉할 때까지의 범위에서 가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가동 기반부(23)와 기반부(22)는 그 긴 변 측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점착 시트(M1)는 샌드페이퍼(S)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트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반부(22)와 가동 기반부(23)를 점착 시트(M1)에 의해 서로 연결하고 있으나, 기반부(22)와 가동 기반부(23)를 1개의 얇은 수지판으로 형성하고, 기반부(22)와 가동 기반부(23)의 경계 상에 대응하여 얇은 플랜지부를 형성하며, 가동 기반부(23)를 굴곡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기반부(22) 및 가동 기반부(23)를 보유반(21)에 고정시키는 탄성 부재(24)는,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반부(23)의 주위를 따라 세워 설치되는 동시에 기반부(23)를 보유반(21)에 지지시키고, 경질(硬質) 스펀지로 형성되는 제 1 탄성 지지부(24a)와, 가동 기반부(23)에 복수 설치되어 상기 가동 기반부(23)를 보유반(21)에 지지시키고, 경질 스펀지 및 스프링(24c)으로 형성되는 제 2 탄성 지지부(24b)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 1 탄성 지지부(24a)는 기반부(22)의 주위를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보유반(21)과 기반부(23) 사이에 외부와 격리된 내부 공간(L)을 형성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나타낸 연마 도구(1)에서는, 이 내부 공간(L)을 이용하여 상술한 흡진 통로(R)를 연마반 본체(2) 내에 형성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보유반(21)의 집진 구멍(21c)을 이 내부 공간(L)에 연통(連通)시키도록 형성하고, 또한, 기반부(22) 및 가동 기반부(23)로 형성되는 연마면(M)에도 동일하게, 내부 공간(L)에 연통한 흡진 구멍(M2)를 형성하여, 흡진 구멍(M2)→내부 공간(L)→집진 구멍(21c)과 같은 흡진 통로(R)를 연마반 본체(2) 내에 형성하고 있다(도 1 참조).
또한, 연마면(M)에 형성되는 흡진 구멍(M2)은, 도 11의 가상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반부 상뿐만 아니라, 가동 기반부(23)와 기반부(22)의 경계선(T) 상에도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탄성 지지부(24a)의 일부는, 이 경계선(T) 상에 설치된 흡진 구멍(M2)을 우회하도록 가동 기반부(23) 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경계선(T) 상에 발생한 티끌도 흡진 통로(R)로 유도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다. 또한, 흡진 통로(R)는 후술하는 파지부(3)에 설치된 흡진 통로(R1)를 거쳐 흡진 장치(도시 생략)로 유도된다. 또한, 흡진 통로(R1)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는 파지부(3)의 설명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흡진 장치로서는, 흡기원을 갖는 범용의 흡진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채용하는 연마반 본체(2)에는, 가동 기반부(23)로 구성되는 연마면(M)의 단부(M3)가 굴곡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마면 단부(M3)를 사용한 연마 시에도, 연마면 단부(M3)가 면으로 보수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과도한 연마가 없는 양호한 보수면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연마면 단부(M3)를 사용한 연마 작업으로서는, 예를 들어, 차량 패널면으로부터 구(舊)도장면에 걸쳐 완만하게 경사를 가하는 페더 에지(feather-edge) 작업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어서, 파지부(3)에 대한 설명을 행한다.
파지부(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 시에 파지되는 중공(中空)의 파지부 본체(31)와, 상기 파지부 본체(31)의 내부에 수용되어 연마반 본체(2)에 대한 파지부(3)의 회동을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로크 기구(32)와, 파지부 본체(31)를 연마반 본체(2)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는 지축(33)을 갖는다.
파지부 본체(31)는 사용 시에 사용자의 손바닥과 면으로 접하는 팽창 돌출부(34)와, 상기 팽창 돌출부(34)의 양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 시에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끼워 보유되는 손가락 걸이 오목부(35)를 갖고, 전체적으로 연속된 곡면으로 구성되는 둥그스름한 형상의 외관을 이룬다. 또한, 팽창 돌출부(34)는 파지부(3)과 연마반 본체(2)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연마반 본체(2)의 중앙으로부터 이반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팽창 돌출부(34)의 내측에는 상기한 로크 기구(32)나 지축(33)의 베어링부(33a)가 설치되어 있다.
즉, 파지부(3)는 사용자의 손 전체를 사용하여 감싸는 것처럼 파지하면 가장 안정된 파지 상태가 얻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마면(M) 전체에 대하여 균일하게 가압력이 발생하여, 샌드페이퍼(S)의 조기 마모나 비연마면에서의 평활성의 불균일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연마 도구(1)의 조작 시에 연마면(M)에 대하여 파지부(3)로부터 전달되는 외력(가압력)은 연마면(M)에 가까운 지점에서 전달된다. 따라서, 연마반 본체(2)의 움직임이 억제되어, 연마 도구(1)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사용자의 손과 접하는 부분은 손에 익숙해지기 쉬운 연속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바닥의 통증이나 손의 피로 등을 방지할수 있다.
또한, 베어링부(33a)는 파지부 본체(31)의 중앙에서 상기 파지부 본체(31)와 지축(33)을 고정시켜 지지하고 있다. 한편, 지축(33)은 상기 보유반(21)에 설치된 파지부 지지 구멍(21a)에 삽입된 후, 기반부(22)의 연마면(M) 측으로부터 기반부(22)를 사이에 개재시켜 나사 고정되어 있다. 또한, 나사(33b)는 지축(33)의 단면과 나사(33b) 사이에서 기반부(22)가 용이하게 회동할 수 있을 정도의 체결 토크로 나사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지축(33)은 파지부 지지 구멍(21a) 내에서 회동하여 연마반 본체(2)에 대한 파지부 본체(31)의 회동이 허용된다.
또한, 파지부 본체(31)에서의 상기 보유반(21)과의 접촉면에는, 상기 보유반(21)에 설치된 집진 구멍(21c)이 내측에 면하는 흡진 통로(R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진 통로(R1)는 연마 도구(1)와는 별도로 설치한 흡진 장치에 호스(P)를 통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보유반(21)에 설치되는 집진 구멍(21c)은 보유반(21)의 중앙선 상에 정렬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으나, 파지부 본체(31)에 형성되는 흡진 통로(R1)의 폭은 파지부(3)의 회동 시에도 항상 집진 구멍(21c)과의 연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집진 구멍(21c)의 폭에 비하여 충분히 넓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파지부 본체(31)에 수용되는 로크 기구(3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부 본체(31)에서의 회동의 중심(지축(33))으로부터 이반한 위치에서 연마반 본체(2)와 파지부(3)를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로크 기구(32)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부 본체(31)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파지부 본체(31)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보유반(21)에 설치된 로크 구멍(21b)에 결합하는 로크 핀(32a)(로크 부재)과, 파지부 본체(31)의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단 부분이 파지부 본체(31) 밖으로 돌출 설치되어 로크 핀(32a)과 로크 구멍(21b)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조작 로드(32b)와, 로크 핀(32a) 및 조작 로드(32b)를 지지하는 지지 본체(32c)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로크 핀(32a)과 조작 로드(32b)는 지지 본체(32c)에 의해 교차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로크 핀(32a)과 조작 로드(32b)의 교차 부분에는, 조작 로드(32b)의 조작 시에 로크 핀(32a)을 위쪽으로 밀어 올리는 가이드 홈(32d) 및 가이드 부재(32e)로 구성되는 가이드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기구에 대해서 설명하면, 가이드 홈(32d)은 조작 로드(32b) 측에 설치되고, 조작 로드(32b)를 지지 본체(32c) 내에 밀어 넣음에 따라, 그 홈의 깊이가 얕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32e)는 로크 핀(32a)에 고정되고, 가이드 홈(32d)과의 결합 상태를 항상 유지하도록 스프링(32f)에 의해 가이드 홈(32d) 내에 가압되고 있다.
따라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로드(32b)를 지지 본체(32c) 내에 밀어 넣으면, 가이드 부재(32e)와 가이드 홈(32d)의 접촉 부분(U)이 상기 가이드 홈(32d) 내에서 위쪽으로 이동하여, 그에 따라 로크 핀(32a)도 위쪽으로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로크 핀(32a)과 로크 구멍(21b)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파지부(3)의 회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조작 로드(32b)는 정상 상태에서 지지 본체(32c)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스프링(32g)에 의해 가압되고 있다. 또한, 여기서 상태는 조작 로드(32b)의 비조작 시를 의미한다. 이 때문에, 조작 로드(32b)의 조작을 정지시키면, 가이드 부재(32e)와 가이드 홈(32d)의 접촉 부분(U)이 상기 가이드 홈(32d) 내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하고(도 14 참조), 그에 따라 로크 핀(32a)도 보유반(21) 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로크 핀(32a)과 로크 구멍(21b)이 결합하여 파지부(3)의 회동이 규제된다.
또한, 로크 핀(32a)과 로크 구멍(21b)이 결합할 수 없는 상태에서 조작 로드(32b)의 조작을 정지시키면, 로크 핀(32a)이 보유반(21)의 면반(面盤) 부분에 접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로크 핀(32a)과 로크 구멍(21b)이 일치하는 위치까지 파지부(3)를 회동시키면, 로크 핀(32a)이 스프링(32f)의 장력에 의해 로크 구멍(21b)과 자동적으로 결합한다. 즉, 조작 로드(32b)를 파지부 본체(31) 내에 밀어 넣는 것만으로 로크 상태가 해제되고, 연마반 본체(2)1에 대한 파지부 본체(31)의 회동을 행하면서 조작 로드(32b)의 조작을 정지시키면, 가장 가까운 로크 위치(로크 구멍(21b))에서 자동적으로 로크가 걸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연마 도구(1)에서는, 연마반 본체(2)에 대한 파지부(3)의 부착 각도를 작업자의 희망에 따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변칙적인 파지 방법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연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연마반 본체(2)와 파지부(3)를 소정의 회동 위치에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로크 기구(32)를 구비하기 때문에, 간단한 작업으로 연마반 본체(2)와 파지부(3)의 부착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연마면 단부(M3)가 굴곡 가능하게 형성된 연마반 본체(2)를 적용했으나, 연마면(M)이 평판으로 형성된 범용의 연마반 본체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파지부(3)에는 전체적으로 둥그스름한 형상을 채용했으나, 파지부(3)의 형상은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형태에 따른 연마 도구(1) 중에서 양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는 양손용 연마 도구(1A)에 대해서 설명을 행한다. 또한, 연마반 본체(2) 및 파지부(3)의 구조는 상기한 외손용 연마 도구(1)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첨부하여 설명을 행한다.
양손용 연마 도구(1A)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손용 연마 도구(1)와는 파지부 본체(31A)의 크기 및 형상을 달리 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시에 사용자의 손바닥과 면으로 접하는 팽창 돌출부(34)가 지축(33)을 통과하는 직선 상에서 상기 지축(33)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파지부(3)의 양단에 각각 팽창 돌출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팽창 돌출부(34)의 양 측방에는 외손용 연마 도구(1)와 동일하게 손가락 걸이 오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즉, 파지부(3)를 그 양 측방으로부터 양손으로 감싸는 것처럼 파지하면 가장 안정된 파지 상태가 얻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로크 기구(32)는 2개의 팽창 돌출부(34) 중 어느 한쪽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 좋으며, 상기한 외손용 연마 도구(1)와 동일하게, 조작 로드(32b)의 조작 시에 로크 핀(32a)과 로크 구멍(21b)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파지부(3)의 회동을 허용하고, 조작 로드(32b)의 조작을 정지시키면 다시 로크 상태로 되는 로크 기구(32)를 채용하고 있다.
<제 3 실시형태>
이어서, 상기한 양손용 연마 도구(1A)에서의 변형예로서, 각 팽창 돌출부(34)가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는 연마 도구(1B)에 대해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연마 도구(1B)도 상기한 외손용 연마 도구(1) 및 양손용 연마 도구(1A)와 대략 동일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또는 제 2 실시형태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첨부하여 그 설명을 간략화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에서 지축(33)을 통과하는 직선 상에 배치된 팽창 돌출부(34)를 각각 개별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한 양손용 연마 도구(1A)에서는 각 팽창 돌출부(34)가 지축(33)을 중심으로 한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축(33)을 중심으로 하여 각 팽창 돌출부(34)를 각각 개별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파지부(3)가 서로 독립된 2개의 파지부 본체(31)로 형성되고, 각각이 지축(33)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지축(33)과 파지부 본체(31)가 고정되어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마반 본체(2) 측에 지축(33)을 고정시켜, 지축(33)에 대하여각 파지부 본체(31)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또한, 각 파지부 본체(31)에서의 지축(33)과의 연결 부분(X)에는, 동일 방향으로의 회동 시에 다른쪽 파지부 본체(31)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노치(릴리프(relief))(X1)가 마련되어 있고, 이 릴리프로 되는 노치(X1)에 의해 파지부 전체를 V자형이나 역(逆)V자형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각 파지부 본체(31)에는 각각 상기한 로크 기구(32)가 설치되고, 상기 로크 기구(32)에서의 로크 핀(32a)에 대응하여 보유반(21) 측에도 복수 세트의 로크 구멍(21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파지부 본체(31)는 각각 임의의 회동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나타낸 연마 도구(1B)에서는, 상기한 양손용 연마 도구(1)에 비하여, 파지부(3)에서의 파지 각도의 자유도가 증대하여, 연마 도구(1)의 조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외손용 연마 도구(1)를 예로 들어, 그 조작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낸 조작 방법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의 연마 도구(1)에 따른 조작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구체적인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작업자의 부담으로 되기 어려운 이상적인 연마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작업자가 피로를 느끼지 않고 연마할 수 있는 이상적인 연마 동작으로서, 파지부(3)를 파지한 상태에서 팔뚝과 손등이 직선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조건으로 된다. 즉, 연마 방향에서의 팔의 왕복 운동 시의 손목에 불필요한 부하가 걸리지 않는 연마 동작이다.
그래서, 이 조건을 가미하여, 이하의 조작 방법을 매우 적합한 조작 예로서 예시한다. 또한, 도 18은 오른손으로 파지부(3)를 파지하여 연마 도구(1)를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의 파지부(3)의 고정 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9는 왼손으로 파지부(3)를 파지하여 동일하게 연마 도구(1)를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의 고정 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은 연마 도구(1)를 오른손으로 파지하여 횡방향으로 연마 도구(1)를 이동시킬 때의 고정 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18을 참조하여, 오른손에서의 경사 방향으로의 연마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연마 동작에서는, 도면 중의 위쪽을 연마반 본체(2)의 전방으로 하여, 상기 연마반 본체(2)의 전방에 대하여 파지부 본체(31)에서의 팽창 돌출부(34)를 왼쪽 전방에 위치시켜 파지부(3)를 고정시키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작업자가 오른손으로 작업을 행하기 때문에 연마 동작의 중심(C)으로부터 오른쪽에 팔꿈치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파지부(3)를 파지하면, 손등과 팔뚝이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자연스러운 형태로 파지부(3)를 파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특히 도면 중의 화살표 A1 및 A2 방향에서의 작업성이 상당히 향상된다. 또한, 도면 중의 화살표 Bl 및 B2 방향에서의 연마에서도 손목의 비틀림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주로 팔뚝만의 횡이동으로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연마 도구에서 볼 수 있었던 무리한 파지 각도에서의 연마 동작이 불필요해져, 사용자는 상당히 편안하게 연마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어서, 왼손으로 작업을 행하는 연마 동작에 대해서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연마 동작에서는, 도면 중의 위쪽을 연마반 본체(2)의 전방으로 하여, 상기 연마반 본체(2)의 전방에 대하여 파지부 본체(31)에서의 최고 팽창 돌출 부분(34a)을 오른쪽 전방에 위치시켜 파지부(3)를 고정시키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왼손으로 작업을 행하기 때문에 연마 동작의 중심(C)으로부터 왼쪽에 사용자의 팔꿈치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파지부(3)를 파지하면, 손등과 팔뚝이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자연스러운 형태로 파지부(3)를 파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특히 도면 중의 화살표 B1 및 B2 방향에서의 작업성이 상당히 향상된다. 또한, 도면 중의 화살표 Al 및 A2 방향에서도 손목의 비틀림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주로 팔뚝만의 이동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이어서, 오른손으로 연마 도구를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연마하는 연마 동작에 대해서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연마 동작에서는, 도면 중의 위쪽을 연마반 본체(2)의 전방으로 하여, 상기 연마반 본체(2)의 전방에 대하여 파지부 본체(31)에서의 최고 팽창 돌출 부분(34a)을 왼쪽 전방에 위치시켜 파지부(3)를 고정시키는 것이 좋다.
이 경우도 상기한 각 조작 예와 동일하게, 손등과 팔뚝이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자연스러운 형태로 파지부(3)를 파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기존의 연마 도구에서는(도면 중의 왼쪽), 보수면에서의 좌단(도면 중의 왼쪽)에서 크게 손목을 비틀 필요가 있었던 것에 반하여, 본 발명의 연마 도구(1)를 사용한 경우에는 주로 팔뚝의 횡이동만으로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목의 피로나 통증을 수반하지 않고 연마 작업을 편안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요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Claims (11)

  1. 보수면과 대향하는 표면에 연마재를 보유하여 상기 연마재에 의해 보수면을 소정 형상으로 연마하는 연마반(盤) 본체와, 이 연마반 본체에 설치되어 연마반 본체의 조작 시에 파지되는 파지부를 갖는 연마 도구로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연마반 본체에 설정된 축을 회동의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연마반 본체의 반면(盤面)과 평행한 면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도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반 본체에 대한 파지부의 회동을 소정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도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파지부에서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이반(離反)한 위치에서 상기 연마반 본체와 파지부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도구.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정상 상태에서 상기 연마반 본체 및 상기 파지부를 서로 고정시키는 로크 위치와, 상기 연마반 본체 및 상기 파지부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파지부의 회동을 허가하는 로크 해제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크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도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조작 시에 면이 사용자의 손바닥에 접하는 팽창 돌출부와, 상기 팽창 돌출부의 양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 시에 끼워 보유되는 손가락 걸이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도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돌출부와 상기 손가락 걸이 오목부와의 접속 부분은 연속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도구.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돌출부는 상기 연마반 본체의 중앙으로부터 이반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도구.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복수의 팽창 돌출부를 구비하고, 그 복수의 팽창 돌출부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축을 통과하는 직선 상에서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도구.
  10.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팽창 돌출부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각 부재는 상기 축에 대하여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도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반 본체는,
    보수면과 대향하는 표면에 연마재를 보유하는 기반부와,
    이 기반부의 단부에 굴곡 가능하게 나착(螺着)되어 상기 보수면과 대향하는 표면에 연마재를 보유하는 가동 기반부와,
    상기 가동 기반부의 표면을 상기 기반부의 표면에 대하여 하나의 면으로 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도구.
KR10-2003-7004042A 2000-09-28 2001-09-28 연마 도구 KR200300480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97353 2000-09-28
JP2000297353 2000-09-28
PCT/JP2001/008583 WO2002026446A1 (fr) 2000-09-28 2001-09-28 Dispositif de poliss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047A true KR20030048047A (ko) 2003-06-18

Family

ID=1877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042A KR20030048047A (ko) 2000-09-28 2001-09-28 연마 도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94137B2 (ko)
EP (1) EP1332835A4 (ko)
JP (1) JPWO2002026446A1 (ko)
KR (1) KR20030048047A (ko)
CA (1) CA2424079A1 (ko)
WO (1) WO20020264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526B1 (ko) * 2005-01-31 2007-03-09 주식회사 스타리온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5855B2 (en) * 2005-12-29 2010-08-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anding tool with rotatable handle
US20110294407A1 (en) * 2010-05-28 2011-12-01 Justin Wade Doyle Manual operated detail sander
US20130045668A1 (en) * 2011-05-25 2013-02-21 Saint-Gobain Abrasifs Multi-sided shaped abrasive sanding aid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5446A (en) * 1939-07-10 1941-03-18 Milton H Birger Surfacing means
US2402069A (en) * 1945-10-19 1946-06-11 Charles H Minnick Abrading and polishing tool
FR988686A (fr) * 1949-04-13 1951-08-30 Appareil de polissage et de grattage
US2592093A (en) * 1950-05-04 1952-04-08 Charles W Werntz Hand sander
GB2074062A (en) * 1980-04-11 1981-10-28 Trenchbond Ltd Hand operated abrader
SE446698B (sv) * 1983-09-16 1986-10-06 Atlas Copco Ab "handhallet maskinverktyg innefattande ett motorhus och tva pa huset monterade handtag av vilka atminstone det ena er instellbart anordnat"
US4944128A (en) * 1989-07-10 1990-07-31 Reiter John P Hand sander with automatic slack take-up feature
JP2797482B2 (ja) * 1989-07-21 1998-09-17 東洋紡績株式会社 均繊度の良好な不織布
US5054248A (en) * 1989-09-03 1991-10-08 Thayer Donald R Four-way hand sander
JPH0359158U (ko) * 1989-10-11 1991-06-11
JPH0567456A (ja) 1991-09-09 1993-03-19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密閉型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67456U (ja) * 1991-10-29 1993-09-07 哲郎 小倉 デイスクグラインダ
IT239281Y1 (it) * 1995-03-29 2001-02-26 Gaetano Balbi Attrezzo specifico per stuccare e abradere superfici concave econvesse
US5709596A (en) * 1996-01-22 1998-01-20 Ryobi North America Ergonomically profiled hand grip for a hand-held tool having a pivotable pommel
JPH09225841A (ja) 1996-02-26 1997-09-02 Minnesota Mining & Mfg Co <3M> 研磨手工具
US6053805A (en) * 1997-04-10 2000-04-25 Angelo Sanchez Dust free sander
EP0919337A1 (de) * 1997-11-20 1999-06-02 SIA Schweizer Schmirgel- und Schleifindustrie AG Flexibles Schleifwerkzeug
JP4301350B2 (ja) 1999-06-02 2009-07-22 上垣 健男 研磨具
US6634937B1 (en) * 2000-04-28 2003-10-21 Toby Edwards Clamping sander
US6641469B2 (en) * 2001-11-30 2003-11-04 Donald T. Deshler Sanding block having contoured grip
US6659852B1 (en) * 2002-08-05 2003-12-09 Brad R. Wettstein Sanding blo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526B1 (ko) * 2005-01-31 2007-03-09 주식회사 스타리온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32835A4 (en) 2004-10-06
EP1332835A1 (en) 2003-08-06
CA2424079A1 (en) 2003-03-27
US7094137B2 (en) 2006-08-22
WO2002026446A1 (fr) 2002-04-04
US20040018810A1 (en) 2004-01-29
JPWO2002026446A1 (ja)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9681A (en) Conformable sanding assembly
EP2170560B1 (en) A sander used in particular for sanding of flat, concave, and convex surfaces and the method of its utilisation
CA2366501A1 (en) Grinding tool
US6648737B2 (en) Contour sanding apparatus and kit
WO2002006010A1 (fr) Dispositif de polissage
EP2280805B1 (en) Contour sanding pad
KR20030048047A (ko) 연마 도구
CN101351301B (zh) 带可旋转手柄的砂磨工具
EP2323811B1 (en) Optical grade surfacing tool
GB933640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thods and apparatus for surfacing articles
US20010008829A1 (en) Polisher and ground paper for polishers
EP1179390A3 (en) Intermediate lens pad
US4944128A (en) Hand sander with automatic slack take-up feature
JP4560286B2 (ja) 研磨装置
RU2289501C2 (ru) Насадка шлифовальная, полировальная с дисковым рабочим органом (варианты)
WO2004048031A3 (en) Contour following end effectors for lapping/polishing
JP2950791B2 (ja) 研磨工具
KR20220090280A (ko) 리무버 블록, 리무버 블록을 포함하는 스크래치 리무버 및 스크래치 리무버를 이용한 흠집 제거 방법
US20070037498A1 (en) Sanding apparatus for a sanding machine
US20230321792A1 (en) Hand-held sanding tool
US20070190917A1 (en) Contoured interface pad for an abrasive finishing device
EP1800798B1 (en) Sanding apparatus for a sanding machine
JPH01121160A (ja) フェルール先端の球面研磨装置
CN207888394U (zh) 砂纸打磨装置
GB2398260A (en) Hand held san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