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894A -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 - Google Patents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894A
KR20030046894A KR1020010077208A KR20010077208A KR20030046894A KR 20030046894 A KR20030046894 A KR 20030046894A KR 1020010077208 A KR1020010077208 A KR 1020010077208A KR 20010077208 A KR20010077208 A KR 20010077208A KR 20030046894 A KR20030046894 A KR 20030046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drill
screw
center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흠
이관희
성욱중
김학규
Original Assignee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야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7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6894A/ko
Priority to CN 01144749 priority patent/CN1268463C/zh
Publication of KR20030046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89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6Drills with lubricating or coo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5/00Fixation of cutting inserts in holders
    • B23B2205/04Fixation screws, bolts or pins of particular form
    • B23B2205/045Fixation screws, bolts or pins of particular form orientated obliquely to the hole in the insert or to the seat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5/00Fixation of cutting inserts in holders
    • B23B2205/12Seats for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4Angles, e.g. cutting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44Margins, i.e. the narrow portion of the land which is not cut away to provide clearance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50Drilling tools comprising cutt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드릴 몸체의 선단부와 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우수한 가공 정밀도를 나타낼 수 있고 제작비가 저렴하며 수명이 다한 인써트만의 교체가 가능하여 경제적인 인덱스블 인써트 드릴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릴 몸체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인써트 시이트의 바닥면과 상기 인써트 시이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릴 인써트의 바닥면을 서로 대응하도록 브이(V)자 형상으로 구성하고, 드릴 인써트를 지지하는 고정 스크루를 수용하기 위한 스크루 삽입공을 원뿔형으로 설계하여, 드릴 몸체의 선단부에 드릴 인써트를 체결할 때 센터링이 양호하고 제작이 간편하며 우수한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드릴 몸체의 선단부 여유면에 절삭유 공급용 오일 홀을 천공하고 이를 드릴 몸체 내부의 중심 오일 홀에 부드럽게 연통시킴으로써, 충분한 양의 오일을 원활하게 공급하여 드릴링 가공중 발생하는 절삭열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절삭칩의 배출을 원활히 이루어지게 한다. 그 결과, 공구수명 및 홀가공 정밀도를 향상시켜 우수한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Drill with an indexable solid insert}
본 발명은 절삭가공중 구멍가공에 사용되는 드릴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릴 몸체의 선단부와 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우수한 가공 정밀도를 나타낼 수 있고 제작비가 저렴하며 수명이 다한 인써트만의 교체가 가능하여 경제적인 인덱스블 인써트 드릴에 관한 것이다.
드릴은 피가공물의 천공에 사용되는 것으로, 초기 드릴은 드릴의 몸체, 칩 배출용 플루트, 선단 절삭날부가 한가지 재질로 이루어진 일체형의 솔리드 드릴이었으나, 공구비의 절감을 위하여 드릴의 날부를 인써트화하여 인써트의 수명이 다하면 드릴의 몸체는 그대로 사용하고 인써트만 새것으로 교체하는 인덱스블 드릴이 개발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인덱스블 드릴은 초기에는 주로 2개의 인써트를 사용하는 방식이었으나, 가공후 구멍의 정밀도가 솔리드 드릴에 비하여 열세하므로 정밀가공용으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것으로서는 본출원인 명의로 특허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0-80292 호가 있다.
그러나 위 출원발명에서는 양방향 고정스크루를 사용함으로서 그 경제적인 면등에 있어서는 의문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릴 몸체의 선단부와 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드릴 인써트가 드릴 몸체에 체결될 때 센터링이 양호하게 이루어지고, 드릴 인써트의 제작이 용이하여 기존의 솔리드 드릴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릴 몸체의 선단부에 장착된 드릴 인써트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 스크루를 수용하는 스크루 삽입공을 테이퍼형으로 설계함으로서, 드릴 인써트가 드릴 몸체에 견고하게 체결되어 드릴 절삭가공시 진동이 생기지 않는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릴 몸체의 상부에 절삭유 공급 구멍을 드릴 몸체의 중심을 향하여 완만한 각도로 천공하여 드릴 몸체 내의 중심 오일 홀에 부드럽게 연통시킴으로써, 절삭유의 공급경로를 완만하게 하여 절삭유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그 결과 공구수명 및 홀가공 정밀도가 향상되어 우수한 생산성을확보할 수 있는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테이퍼형 스크루 삽입공에 체결되는 테이퍼형 고정스크루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릴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여러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드릴의 평면도,
도 5a는 도 4의 선 A-A를 따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b는 도 4의 선 B-B를 따라 도시한 종단면도, 그리고
도 5c는 도 4의 선 C-C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a, 111b : 측면부 113a, 113b : 바닥면
115a, 115b : 여유면 117a, 117b : 씨닝면
121 : 중심오일홀 122 : 자루부,
123a, 123b : 오일홀 124 : 날부
125 : 인써트 시이트 126 : 드릴몸체 플루트
127a, 127b : 스크루 삽입공 130 : 고정스크루
131 : 머리부 132 : 제 1 본체부
133 : 제 2 본체부 134 : 제 3 본체부
135 : 나사부 140 : 인써트
143 : 스크루 고정홀 148a, 148b : 인써트 측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써트 시이트와 여유면상에 형성되는 오일홀, 몸체씨닝면 및 스크루 삽입공이 상부에 형성되고 날부와 드릴몸체 플루트를 구비하여 하부의 자루부로 구성되는 드릴몸체와;
상기 드릴 몸체의 시이트부에 수용되며, 절인부와 절인여유면과 씨닝면칩플루트와 외주면과 외주여유면과 측면 및 바닥면을 구비하며 스크루 삽입홀이 형성되는 인써트 및;
상기 몸체의 인써트 시이트에 수용되는 인써트와 몸체를 몸체의 스크루 삽입공과 인써트의 스크루 삽입홀을 통해 고정체결하기 위한 고정스크루로 이루어지는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에 있어서, 상기 드릴몸체의 인써트시이트는 수직한 몸체측면 및 드릴몸체의 방사상 외측에서 내측으로 서로 마주대하여 일정각으로 경사지며 만나는 V자형의 바닥면을 구비하고, 상기 오일홀은 몸체 내측종방향으로 연장되어 몸체 내측에서 중심오일홀 과연통되며;
상기 인써트의 바닥면는 상기 인써트시이트 바닥면에 대응되도록 가운데 부분이 돌출된 V자형상을 가지고,
상기 고정스크루는 머리부, 제 1 본체부, 제 2 본체부, 제 3 본체부 및 나사부로 구성되는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스크루 삽입공중 일측 삽입공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써트의 스크루 삽입홀은 타측이 일측보다 직경이 큰단면상 테이퍼형이며, 상기 고정스크루의 제 1 본체부 및 제 3 본체부는 단면이 테이퍼형으로 형성하여 체결력을 강화시킨다.
또한, 상기 몸체의 바닥면은 경사각(θ) 80∼170°의 각으로 마주보고 있게 형성시킴이 바람직하고,
상기 삽입공은 체결시 스크루 중심선(CL2)과 나사산 중심선(CL3)의 편심유격(L3)가 0.01∼0.3㎜ 범위가 되고, 편심각도(α)가 X축을 기준으로 0∼45°의 각을 이루게 형성시켜 체결력 강화를 보다 증진시킨다.
또한, 상기 삽입공은 그 중심축(A)과 스크루 중심선(CL3)이 체결시 고정각(β) 90°의 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고정스크루의 제 3 본체의 테이퍼 각(η)은 0∼30°로하고 상기 고정스크루의 제 1 본체의 테이퍼 각(入)은 20∼180° 범위로 하며, 이에 맞는 고정스크루 삽입공을 몸체가 갖고있고, 스크루 삽입홀을 인써트가 갖고 있게하여 체결시 인서트의 한쪽만 고정스크루와 접하고 이와 반대되는 쪽의 고정스크루는 몸체의 한쪽만 접하게 하여 완전 체결시 상기 인서트를 상기 몸체에 견고히 고정하게 한다.
또한, 상기 인써트 고정홈 중심에서의 직경(d1)은 스크루체결시 인써트 중심부에서의 스크류 직경(d2)보다 크고 그 유격(d1-d2)은 0.1∼3.0㎜로 되게 하고,
상기 오일홀의 방향은 오일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드릴몸체의 회전중심 방향으로 10∼130°의 각도(γ)로 형성시키고, 상기 오일홀은 인써트와 1∼8㎜ 범위의 유격(L2)을 갖고 있게하며, 드릴몸체의 중심으로부터 드릴인써트의 외주면이 이루는 외경(D)에 대하여 0.2D∼0.45D의 범위인 거리(L1)를 갖고 있게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드릴(100)은 드릴 몸체(120) 및 드릴 몸체(120)의 선단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릴 인써트(140)를 구비한다.
드릴 몸체(120)는 드릴을 공작기계(도시되지 않음)나 아버(arbor)(도시되지 않음)에 고정시키기 위한 자루부(122) 및 자루부(122)로부터 드릴 몸체(120)의 선단부 쪽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날부(124)를 구비한다. 날부(124)의 방사상 외측에는 나선형 홈 형상의 드릴몸체 플루트(126)가 형성된다. 이 플루트(126)는 칩배출 및 절삭유 공급을 위해서 자루부(122)와 드릴 몸체(120)의 선단부 사이에서 연장하여 형성된다.
드릴 몸체(120)의 선단부 내측에는 드릴 인써트(140)를 수용하기 위한 인써트 시이트(125)가 절개하여 형성된다. 인써트 시이트(125)는 수직한 몸체 측면부(111a,111b) 및 상기 드릴 인써트(140)의 바닥 장착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몸체 바닥면(113a,113b)을 구비한다. 이때, 몸체 바닥면(113a)와 (113b)는 드릴 몸체(120)의 방사상 외측에서 내측으로 서로 마주 대하여 일정 각도만큼 기울지면서 만난다. 따라서, 몸체 바닥면(113a,113b)은 전체적으로 가운데 부분이 움푹하게 들어가는 브이(V)자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몸체 바닥면(113a,113b)은 드릴 몸체(120)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80∼170˚의 경사각(θ)을 이룬다(도 5c 참조).
만일, 몸체 바닥면(113a)와 (113b)가 이루는 경사각이 80도 미만인 경우에는, 드릴 인써트(140)의 회전 중심축과 드릴 몸체(120)의 회전 중심축을 일치(이하, "센터링"이라 칭함)시키기는 용이하나, 이들이 이루는 브이(V)자 형상의 시트면 깊이가 깊어져서 회전 방지면의 회전 토오크를 견딜 수 있는 힘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몸체 바닥면(113a)와 (113b)가 이루는 경사각이 170도 이상인 경우에는, 드릴링 가공시 회전중심부 근방에서 발생하는 스러스트(thrust) 힘에 대한 내구성이 약해서 체결된 드릴 인써트(140)의 중심축이 드릴 몸체(120)의 중심축을 벗어나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드릴링 가공시 진동 및 드릴 인써트(140)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드릴 몸체(120)의 선단부에서 인써트 시이트(125)의 양측에는 절삭가공시 피삭재와 몸체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고 회전방지를 위한 몸체 여유면(115a,115b) 및 드릴의 회전 중심부에서 칩배출을 원활히 하는 몸체 씨닝면(117a,117b)이 제공된다.
드릴 몸체(120)의 선단부에서 몸체 여유면(115a,115b)과 몸체 씨닝면(117a,117b)의 아랫쪽에는 스크루 삽입공(127a,127b)이 관통하여 형성된다.스크루삽입공(127a)에는 나사가 형성되고 스크루삽입공(127b)에는 나사가 형성되지 않는다. 스크루 삽입공(127a,127b)에는 드릴 인써트(140)를 드릴 몸체(120)의 선단부에 체결시키기 위한 고정 스크루(130)가 끼워진다. 상기 고정스크루(130)는 머리부(131), 제 1 본체부(132), 제 2 본체부(133), 제 3 본체부(134) 및 나사부(13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본체부(132)와 제 3 본체부(134)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드릴의 평면도이고, 도 5a는 도 4의 선 A-A를 따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4의 선 B-B를 따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4의 선 c-c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스크루 삽입공(127a,127b)은 드릴 인써트(140)를 드릴 몸체(120)의 선단부에 견고히 밀착 고정시키기 위하여 3차원으로 형성된다. 이것은, 드릴 몸체(120)의 인써트 시이트(125) 내에 드릴 인써트(140)가 장착될 때, 고정 스크루(130)는 드릴 인써트(140)의 회전 중심이 드릴 몸체(120) 선단부의 회전 중심과 일치되게 하고 드릴링 가공후 드릴(100)이 피삭재로부터 빠져 나올때 드릴 인써트(140)가 드릴 몸체(12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해야 한다. 또한, 드릴 몸체(120)의 선단부에 드릴 인써트(140)를 체결시 하기에서 설명할 드릴 인써트(140)의 측면(148a,148b)(도 3 참조)이 인써트 시이트(125)의 몸체 측면부(111a,111b)에 각각 견고하게 밀착되어 드릴링 가공시 진동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드릴인써트(140)의 측면(148a, 148b)이 드릴몸체(120)의 선단부에형성된 인써트시이트(125)의 몸체측면부(111a, 111b)에 잘 밀착되도록하기 위하여, 스크루 삽입공(127a, 127b)은 드릴몸체(120)의 중심축에 β각도, X축에 α각도의 위치에 형성된다. 편심유격(L3)은 완전체결시, 고정스크루 중심선(CL2)와 스크루 삽입공(127a)의 중심선(CL3) 사이의 거리로서(도5a 참조) 0.01∼0.3㎜ 범위가 바람직하다. 스크루 삽입공(127a, 127b)의 중심선은 X축을 기준으로 α(0∼45°) 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크루 삽입공(127a, 127b)은 드릴인써트(140)가 드릴몸체(120)의 중심축(A)과 스크루 중심선(CL2)(제 5a 도 참조)이 β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β각은 90°가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스크루(130)의 제 3 본체(133) 삽입되는 인써트 내의 고정홀(143a, 143b)은 제 3 본체(134)의 테이퍼각(η) 0∼30°로 형성되나 제 3 본체(134)의 직경보다 미세하게 커서 체결시 한쪽은 스크루(130)와 인써트(140)가 접하지 않게 되고(L5) 반대편만 접하게(T1) 된다. 또한 몸체의 스크루 삽입공(127a, 127b)중 스크루(130) 제 1 본체(132)가 삽입되는 스크루 삽입공(127b)은 제 1 본체(132)의 테이퍼각(入) 20∼180°로 형성되나 상기 제 1 본체(133)의 직경보다 미세하게 커서 체결시 제 1 본체(132)와 대응하는 몸체스크루 삽입공(127b)의 한쪽은 접하지 않고 (L4) 반대편만 접하며(T2) 체결되어 인서트의 V자형 시트면과 상기 몸체의 바닥면이 견고히 밀착 고정되다.
결국 도 5a에서와 같이 인써트(140) 고정홈 중심에서의 직경(d1)은 스크루 체결시 인써트 중심부에서의 직경(d2)보다 크고 그 유격(d1-d2)은 약 0.1∼3.0㎜ 정도가 바람직하다.
한편, 드릴가공에 있어서 초기 드릴링 진입시는 드릴 인써트(140)의 절삭날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나, 2mm 이상의 깊이로 진입되면 절삭날 부분이 가공된 구멍안으로 완전히 진입하여 보이지 않게 되고, 그 결과 절삭시 발생하는 절삭열의 감소, 칩 배출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절삭유의 공급이 매우 곤란해진다. 따라서, 구멍내에서 이루어지는 드릴링 가공중에 절삭유를 드릴 인써트(140) 부근으로 원활히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해결과제이다. 이때, 절삭유는 공급되는 절삭유의 양이 충분해야하고 공급되는 압력이 충분해야한다.
본 발명에서는 절삭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는 자루부(122)와 날부(124)의 내부 중앙에 절삭유가 유통되는 중심 오일 홀(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드릴 몸체(120)의 몸체 여유면(115a,115b)에 오일 홀(123a,123b)을 천공하여 절삭가공시 충분한 절삭유가 드릴 인써트(140)의 절인부(141a,141b)에 공급되게 한다.
오일 홀(123a,123b)은 드릴 가공시 발생하는 절삭열을 식혀주고 절삭칩 배출을 원활히 하는 절삭유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드릴 몸체(120)의 선단부 내측에서 드릴 인써트(140) 시이트(125)의 양측 위치인 몸체 여유면(115a,115b)에 형성된다. 이때, 오일 홀(123a,123b)은 몸체 여유면(115a,115b)으로부터 드릴 몸체(120)의 내측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오일 홀(123a, 123b)은 드릴 몸체(120)의 방사상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드릴 몸체(120)의 내측에서 중심 오일 홀(121)과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오일 홀(123a,123b)은 드릴 인써트(140)의 측면 회전 방지면과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드릴 인써트(140)와 일정한 유격(L2)을 가지고 드릴 몸체(120)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거리(L1)를 두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격(L2)은 인써트 시이트(125)의 몸체 측면(111a,111b)과 오일 홀(123a,123b)의 중심까지의 거리로서, 1∼8mm 범위가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거리(L1)은 드릴 몸체(120)의 중심으로부터 오일 홀(123a,123b)의 중심까지의 거리로서, 본 발명에 따른 드릴(100)의 직경을 결정하는 기준면인 드릴 인써트(140)의 외주면(147a,147b)이 이루는 외경(D)에 대하여 0.2D∼0.45D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오일 홀(123a,123b)의 직경(Φd)은 0.07∼0.2D 이며, 오일 홀(123a,123b)은 오일 홀(123a,123b)의 중심과 드릴 선단부의 Y축을 기준으로 20∼60도 각도(δ)의 범위에 천공된다. 또한, 오일 홀(123a,123b)의 방향은 오일 홀(123a,123b)의 중심을 기준으로 드릴 몸체(120)의 회전중심방향으로 감마(γ)의 각으로 천공되어 드릴 몸체(120)의 회전중심부에 천공된 중심 오일 홀(121)과 연통된다. 이때, 상기 각도(γ)는 중심 오일 홀(121)에서 오일 홀(123a,123b)을 경유하여 나오는 절삭유가 초기의 압력과 양적인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급적이면 각도를 적게 함이 유리하나, 너무 작게 하면 드릴 인써트(140)의 브이(V) 형상 몸체 바닥면과의 간섭으로 인하여 제작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각도(γ)는 10∼30도 범위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형성된 중심 오일 홀(121)과 오일 홀(123a,123b)을 통해서 공급된 절삭유는 절삭시 절삭열을 감소시켜주고, 드릴 몸체(120)의 몸체 여유면(115a,115b)과 몸체 씨닝면(302a,302b)을 거쳐서 하기에서 설명할 드릴 인써트(140)의 플루트(145a,145b)와 드릴 몸체(120)의 플루트(126)를 거쳐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절삭유는 드릴 인써트(140)의 절인(141a,141b)에 의해서 절단된 절삭칩의 절삭열을 감소시키고 또한 절삭칩의 배출을 원활하게 해준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여러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드릴 인써트(140)는 드릴 몸체(120)의 선단부에 형성된 인써트 시이트(125) 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최상부면상에 절인(141a,141b), 절인 여유면(142a,142b) 및 씨닝면(144a,144b)을 구비한다. 절인(141a,141b)은 드릴(100)을 이용한 드릴링 가공시 피가공물과 1차적으로 접촉하여 구멍가공에서 피삭재를 절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절인 여유면(142a,142b)은 드릴링 가공시 절인(141a,141b)과 피삭재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씨닝면(144a,144b)은 드릴링 가공시 중심부의 절삭을 용이하게 하고 절삭칩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드릴 인써트(140)의 바닥면(146a,146b)은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서 전체적으로 브이(V)자 형상을 이룬다. 즉, 바닥면(146a)와 (146b)는 이들 사이의 경계인 바닥면 경계부(146c)가 돌출되도록 서로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룬다.
바닥면(146a,146b)과 절인(141a,141b) 사이에는 측면(148a,148b)이 제공되는데, 이 측면(148a,148b)은 드릴 몸체(120)의 선단부에 형성된 회전방지부(301a,301b)의 측면 시트면(311a,311b)에 대응한다.
측면(148a,148b)의 일측 하단에는 드릴 인써트(140)를 드릴 몸체(120)의 인써트 시이트(125) 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143a,143b)이 각각 형성된다. 고정홈(143a,143b)의 인접위치에서 측면(148a,148b)의 외측에는 절단된 배출칩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플루트(145a,145b)가 형성된다. 플루트(145a,145b)는 드릴 몸체(120)에 형성된 플루트(126)에 대응하도록 측면(148a,148b)의 외측에서 바닥면(146a,146b)과 드릴 인써트(140)의 최상부 사이에 연장하여 형성된다.
측면(148a)와 플루트(145b)사이에는 외주면(147b)와 외주 여유면(149b)가 제공되고, 측면(148b)와 플루트(145a)사이에는 외주면(147a)와 외주 여유면(149a)가 제공된다. 외주면(147a,147b)은 드릴의 직경을 결정하는 기준면이 되며, 외주 여유면(149a,149b)은 드릴링 가공시 외주면(147a,147b)과 피삭재간의 과도한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드릴 인써트(140)는 드릴 몸체(120)의 선단부에 절개하여 형성된 인써트 시이트(125) 내에 삽입하여 장착된다. 이때, 드릴 인써트(140)의 브이(V)자 형상으로 돌출된 바닥면(146a,146b)은 인써트 시이트(125)의 브이(V)자 형상으로 움푹 들어간 몸체 바닥면(113a,113b)에 밀착되고, 이와 동시에 드릴 인써트(140)의 측면(148a,148b)은 인써트 시이트(125)의 몸체 측면(111a,111b)에 대하여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드릴 몸체(120)의 선단부에 형성된 스크루 삽입공(127a,127b) 내로 고정 스크루(130)를 삽입하여 드릴 인써트(140)를 드릴 몸체(120)의 선단부에 고정 장착하게 된다.
이와같이 드릴 인써트(140)의 장착이 끝난 드릴(100)은 드릴링 가공시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스크루(130)의 나사부(135)가 몸체(120)의 스크루 삽입공(127a)과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인써트(140)가 힘을 받는 방향 하방으로 제 3 본체(134)가 힘을 하방으로 주고 또한 삽입공(127b)쪽의 스크루는 상방으로 힘을 주게되어 강한 체결력이 가해져서 진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그리하여 가공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드릴 몸체(120)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된 중심 오일 홀(121)과 드릴 몸체(120)의 몸체 여유면(115a,115b)에 형성된 오일 홀(123a,123b)을 최적의 상태로 연결하였기 때문에, 절삭가공시 충분한 양의 절삭유가 드릴 인써트(140)의 절삭날부 쪽으로 원활하게 공급된다. 그 결과, 공구수명이 향상되고, 가공 정밀도가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제작되는 드릴(100)은, 기존의 인덱스블 드릴과는 달리 드릴 인써트(140)의 바닥면(146a,146b)과 드릴 몸체(120)의 체결면인 인써트 시이트 바닥면(113a,113b)을 브이(V)자 형상으로 서로 대응되게 구성함으로써, 드릴 몸체(120)의 선단부에 드릴 인써트(140)를 체결할 때 센터링이 양호하고 제작이 간편하다. 또한, 2개의 드릴 인써트(140)의 절인(141a,141b)이 받는 회전 토오크와 스러스트가 드릴 몸체(120)에 전달될 때,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달되므로 드릴 몸체(120)와 드릴 인써트(140)가 접하는 부분에서 회전 토오크와 스러스트가 서로 상쇄되고, 그리하여 실제로 드릴 인써트(140)와 드릴의 몸체(120)는 서로 동일한 상태, 즉 솔리드 드릴과 같은 상태로 체결된다. 따라서, 드릴 몸체(120)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고속회전, 고이송 드릴링에서도 회전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드릴 몸체(120)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드릴 인써트(140)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 스크루(130)의 스크루 삽입공(127a,127b)을 테이퍼형으로 독창적으로 설계함으로써, 우수한 체결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드릴 몸체(120)의 선단부 여유면(115a,115b)에 절삭유 공급용 오일 홀(123a,123b)을 천공하고 드릴 몸체(120)의 내부에 형성된 중심 오일 홀(121)에 부드럽게 연결시킴으로써, 충분한 양의 절삭유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어서 드릴링 가공중 발생하는 절삭열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며 절삭칩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한다. 그 결과, 공구수명 및 홀가공 정밀도를 향상시켜 우수한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드릴(100)은 드릴 인써트(140)의 절인부의 형상을 개선하고 재질의 적절한 선택(=소결 초경합금을 기본으로 함)을 통해서, 탄소강, 합금강등의 일반강의 고속 고이송 드릴링 가공에서 우수한 절삭성을 얻을 수 있고, 구멍의 가공 정밀도가 양호하며 수명 또한 우수하다.
또한, 용착이 쉽고 칩배출이 문제가 되는 알루미늄 합성재료의 드릴링 가공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게다가, 스테인레스강, 경화강등의 가공에서 양호한 절삭유 공급을 보이며, 칩 배출능력의 향상으로 열 발생이 적고 가공경화가 감소하여 우수한 드릴링 효과가 얻어진다.
끝으로, 하나의 드릴 몸체(120)에 교체가 가능한 1개의 드릴 인써트(140)를장착하여 사용하므로, 드릴 인써트(140)가 마모되었을 때 드릴 몸체(120)는 그대로 사용하고 드릴 인써트(140)만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공구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써트 드릴의 절삭날부의 형상을 저인과 측면 외주 절인으로 하여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 엔드밀이나 인덱스블 솔리드 볼 노즈 엔드밀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인써트 시이트(125)와 여유면(115a, 115b), 몸체씨닝면(117a, 117b) 및 스크루 삽입공(127a, 127b)이 상부에 형성되고 날부(124)와 드릴몸체 플루트(126)를 구비하여 하부의 자루부(122)로 구성되는 드릴몸체(120)와;
    상기 드릴 몸체의 시이트(125)부에 수용되며, 절인부(141a, 141b)와 절인여유면(142a. 142b)과 씨닝면(144a, 144b)칩플루트(145a, 145b)와 외주면(147a, 147b)과 외주여유면(149a, 149b)과 측면(148a, 148b) 및 바닥면(146a, 146b)을 구비하며 스크루 삽입홀(143)이 형성되는 인써트(140) 및;
    상기 몸체(120)의 인써트 시이트(125)에 수용되는 인써트(140)와 몸체(120)를 몸체(120)의 스크루 삽입공(127a, 127b)과 인써트(140)의 스크루 삽입홀(143)을 통해 고정체결하기 위한 고정스크루(130)로 이루어지는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100)에 있어서,
    상기 드릴몸체(120)의 인써트시이트(125)는 수직한 몸체측면(111a, 111b) 및 드릴몸체(120)의 방사상 외측에서 내측으로 서로 마주대하여 일정각으로 경사지며 만나는 V자형의 바닥면(113a, 113b)을 구비하며,
    상기 인써트(140)의 바닥면(146a, 146b)는 상기 인써트시이트(125) 바닥면(113a, 113b)에 대응되도록 가운데 부분이 돌출된 V자형상을 가지고,
    상기 고정스크루(130)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부와 나사부(13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20)의 스크루 삽입공(127a. 127b)중 일측 삽입공(127a)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써트(140)의 스트루 삽입홀(143)은 타측이 일측보다 직경이 큰단면상 테이퍼형이며, 상기 고정스크루(130)의 테이퍼부는 제 1 본체부(132) 및 제 3 본체부(134)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20)의 바닥면(113a, 113b)은 경사각(θ) 80∼170°의 각으로 마주보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127a, 127b)은 체결시 드릴몸체(120) 중심축 기준으로 편심유격(L3)가 0.01∼0.3㎜ 범위가 되고, 편심각도(α)가 X축을 기준으로 0∼45°의 각을 이루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127a, 127b)은 그 중심축(A)과 스크루 중심선(CL2)이 체결시 고정각(β) 90°의 각으로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구비하는 드릴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크루(130)의 제 3 본체(133)의 테이퍼 각(η)은 0∼30°로하고 상기 고정스크루(130)의 제 1 본체(132)의 테이퍼 각(入)은 20∼180° 범위로 하며, 상기 몸체(120)는 상기 고정스크루(130)에 대응하는 고정스크루 삽입공(127a, 127b)을 갖고 있으며, 상기 인써트(140)에도 상기 고정스크루(130)에 대응하는 스크루 삽입홀(143)을 갖고 있어서, 체결시 고정스크루(130)와 상기 스크루 삽입홀(143)의 일부가 접하고(T1), 상기 스크루 삽입공(127b)의 일부와 고정스크루(130)가 접하고(T2) 각각의 반대편은 유격(L4, L5)을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써트(140) 고정홈 중심에서의 직경(d1)은 스크루 체결시 인써트 중심부에서의 직경(d2)보다 크고 그 유격(d1-d2)은 0.1∼2.0㎜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20)의 여유면(115a, 115b)상에는 오일홀(123a, 123b)이 형성되며, 상기 오일홀(123a, 123b)의 방향은 오일홀(123a, 123b)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드릴몸체(120)의 회전중심방향으로 10∼30°의 각도(γ)로 형성되고, 상기 오일홀(123a, 123b)은 인써트(140)와 1∼8㎜ 범위의 유격(L2)을 갖고 있으며 드릴몸체(120)의 중심으로부터 드릴인써트(140)의 외주면(147a, 147b)이 이루는 외경(D)에 대하여 0.2D∼0.45D의 범위인 거리(L1)를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
KR1020010077208A 2000-12-22 2001-12-07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 KR20030046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208A KR20030046894A (ko) 2001-12-07 2001-12-07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
CN 01144749 CN1268463C (zh) 2000-12-22 2001-12-24 具有组合式整体嵌件的钻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208A KR20030046894A (ko) 2001-12-07 2001-12-07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084U Division KR200383648Y1 (ko) 2005-02-25 2005-02-25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894A true KR20030046894A (ko) 2003-06-18

Family

ID=2957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208A KR20030046894A (ko) 2000-12-22 2001-12-07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689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6041A1 (en) * 2004-08-18 2006-04-06 Korloy Inc. Indexable type cutting tool
KR100612908B1 (ko) * 2004-04-23 2006-08-16 (주)예스툴 인서트 드릴
KR100656265B1 (ko) * 2004-08-18 2006-12-11 한국야금 주식회사 인덱서블 절삭공구
KR100662522B1 (ko) * 2004-12-01 2007-01-02 (주)예스툴 인덱서블 드릴
WO2008014367A1 (en) * 2006-07-26 2008-01-31 Allied Machine & Engineering Corp. Cutting tool with replaceable ti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3574A (ja) * 1989-07-31 1991-03-19 Toshiba Corp 回転数検出装置の検査方法
JPH0653012U (ja) * 1992-12-26 1994-07-19 日立ツール株式会社 高精度ボールエンドミル
US5782589A (en) * 1996-06-17 1998-07-21 Cole; John M. Milling cutter
US6071045A (en) * 1998-05-06 2000-06-06 Janness; Daniel Cutting insert and too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3574A (ja) * 1989-07-31 1991-03-19 Toshiba Corp 回転数検出装置の検査方法
JPH0653012U (ja) * 1992-12-26 1994-07-19 日立ツール株式会社 高精度ボールエンドミル
US5782589A (en) * 1996-06-17 1998-07-21 Cole; John M. Milling cutter
US6071045A (en) * 1998-05-06 2000-06-06 Janness; Daniel Cutting insert and tool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908B1 (ko) * 2004-04-23 2006-08-16 (주)예스툴 인서트 드릴
WO2006036041A1 (en) * 2004-08-18 2006-04-06 Korloy Inc. Indexable type cutting tool
KR100656265B1 (ko) * 2004-08-18 2006-12-11 한국야금 주식회사 인덱서블 절삭공구
US7997836B2 (en) 2004-08-18 2011-08-16 Korloy Inc. Indexable type cutting tool
KR100662522B1 (ko) * 2004-12-01 2007-01-02 (주)예스툴 인덱서블 드릴
WO2008014367A1 (en) * 2006-07-26 2008-01-31 Allied Machine & Engineering Corp. Cutting tool with replaceable t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7836B2 (en) Indexable type cutting tool
US7070367B2 (en) Twist drill for drilling having a replaceable drill tip, and a replaceable drill tip for use in a twist drill
EP0942798B1 (en) Tool for chip-removal
EP1338364B1 (en) Roller twist drill
KR101658257B1 (ko) 절삭 인서트 및 절삭 공구
US5860773A (en) Drilling tool with rounded insert support surfaces
KR20040086257A (ko) 절삭 공구 및 홀더
KR20010053273A (ko) 절삭 삽입체
KR20070086184A (ko) 조정 가능한 절삭 인서트를 갖는 칩 제거 가공용 드릴링 툴
KR101544208B1 (ko) 가공대상물을 가공하는 공구
US5782587A (en) Drilling tool
KR20100004921A (ko) 드릴용 인덱서블 인서트와 이의 제조를 위한 블랭크 인서트
KR200383648Y1 (ko)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
KR20030046894A (ko)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
JPH11813A (ja) スローアウェイ式エンドミル及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KR100370329B1 (ko)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
US4813824A (en) Single-lip drilling tool
KR200226471Y1 (ko)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
US5725337A (en) Self centering spade drill
CN215238045U (zh) 一种涂层阶梯复合钻
WO2006036041A1 (en) Indexable type cutting tool
JP2001287110A (ja) ドリル
US5967711A (en) Self-centering spade drill
JP3166650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穴明け工具
JPH0732211A (ja) 組立式リー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