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835A -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835A
KR20030046835A KR1020010077103A KR20010077103A KR20030046835A KR 20030046835 A KR20030046835 A KR 20030046835A KR 1020010077103 A KR1020010077103 A KR 1020010077103A KR 20010077103 A KR20010077103 A KR 20010077103A KR 20030046835 A KR20030046835 A KR 20030046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value
slope
equal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관보
김덕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7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6835A/ko
Publication of KR20030046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83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undervoltage or no-volta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4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the rate of change of electrical quantities
    • H02H3/44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the rate of change of electrical quantities of DC quanti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
본 발명은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배터리를 통해 디브이디 플레이어를 구동 중에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 레벨로 이하로 떨어지면 배터리의 전류 방전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배터리의 전압이 급격히 떨어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구동 전원을 차단함으로서 배터리에 충전된 전류를 최대한 사용하면서 인버터에 공급되는 전류가 부족하여 화면이 흔들리거나 이상 발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이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배터리의 전압 값을 감지하며, 감지된 배터리의 전압 값이 설정된 임계 전압값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배터리의 전압값이 설정된 임계 전압값 이하로 확인되면 현재 측정된 배터리 전압값의 기울기가 임계 기울기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값의 기울기가 임계 기울기 이상일 경우에는 배터리 충전을 요구하는 메시지의 출력과 함께 계속적으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값의 기울기가 임계 기울기 이하일 경우에는 시스템 동작을 중지하고, 시스템에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f power supply in potable system}
본 발명은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용 시스템들이 소비자들의 요구에 의해 제품의 종류와 그 제품에 따른 기능 또한 다양해지고 있으며, 노트북, 개인통신 단말기 뿐 만 아니라 고화질 및 음성을 지원하는 디브이디(DVD) 플레이어도 휴대용으로 개발된 상태이다.
이러한, 휴대용 디브이디 플레이어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화질을 지원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로 TFT-LCD(30)를 채용하고 있으며, 전원은 모든 휴대용 시스템과 동일하게 어뎁터에 의해 외부의 AC 전원을 입력받거나, 내장된 배터리(20)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고 있다.
특히, 상기 디브이디 플레이어는 고화질을 제공하는 특성상 구동 전원이 일정 레벨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보통 어뎁터로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받으면 전원을 일정한 레벨을 유지할 수 있으나, 배터리에 의해 디브이디 플레이어를 구동할 경우에는 배터리에 충전된 전압 레벨이 떨어지면서 고화질의 디스플레이에 지장을 주게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지면 강제로 시스템에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즉,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전원을 계속적으로 감시하여 전압 검출부(210)는 배터리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압 레벨 값을 마이컴(220)에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의 마이컴(220)에서는 입력되는 전압 레벨 값이 설정된 레벨 이하로 떨어지면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배터리의 충전 전압이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지면서 인버터에 공급되는 전류가 부족하여 화면이 흔들리거나, 이상 발진으로 높은 주파수의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셀 편차를 갖는 배터리들의 방전 상태를 보여주는 그래프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의 방전 곡선은 "S" 형태를 이루고, 도면에서는 3가지의 시료를 측정하였다. 또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셀(Cell)의 편차에 따라서 배터리의 방전 특성에 차이가 발생함을 보여주고 있다.
즉, 방전 특성 곡선을 보면, 시료 A는 235분에 배터리 단절 전압값에 도달하고, 시료 B는 240분에 배터리 단절 전압값에 도달하였으며, 상기 시료 C는 250분에 배터리 단절 전압값에 도달하였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단절 전압값은, 전류가 부족하여 화면이 흔들리거나, 이상 발진으로 높은 주파수의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시스템에서 설정된 전압 레벨이다.
따라서, 종래의 시료를 통해서도 확인한 바, 종류에 관계없이 배터리에 일률적으로 단절 전압값을 적용하고 있어 배터리의 전류가 충분히 있는데도 불구하고, 시스템을 오프하도록 함으로서 배터리를 충전 전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를 통해 디브이디 플레이어를 구동 중에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 레벨로이하로 떨어지면 배터리의 전류 방전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배터리의 전압이 급격히 떨어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구동 전원을 차단함으로서 배터리에 충전된 전류를 최대한 사용하면서 인버터에 공급되는 전류가 부족하여 화면이 흔들리거나 이상 발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휴대용 디브이디의 개략적인 외관 구성도.
도 1b는 종래의 일반적인 전압 검출 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셀 편차를 갖는 배터리들의 방전 상태를 보여주는 그래프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배터리의 방전 상태를 보여주는 그래프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의 흐름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배터리의 전압 값을 감지하며, 감지된 배터리의 전압 값이 설정된 임계 전압값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배터리의 전압값이 설정된 임계 전압값 이하로 확인되면 현재 측정된 배터리 전압값의 기울기가 임계 기울기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값의 기울기가 임계 기울기 이상일 경우에는 배터리 충전을 요구하는 메시지의 출력과 함께 계속적으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값의 기울기가 임계 기울기 이하일 경우에는 시스템 동작을 중지하고, 시스템에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프로세서를 구비한 휴대용 시스템이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입력되는 배터리의 전압 값을 감지하며, 감지된 배터리의 전압 값이 설정된 임계 전압값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제 1 기능; 상기 배터리의 전압값이 설정된 임계 전압값 이하로 확인되면 현재 측정된 배터리 전압값의 기울기가 임계 기울기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 2 기능; 상기 제 2 기능의 판단 결과,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값의 기울기가 임계 기울기 이상일 경우에는 배터리 충전을 요구하는 메시지의 출력과 함께 계속적으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2 기능의 판단 결과,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값의 기울기가 임계 기울기 이하일 경우에는 시스템 동작을 중지하고, 시스템에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배터리의 방전 상태를 보여주는 그래프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의 전압은 부하의 사용에 의해 "S"자 곡선 형태로 떨어지고 있으며, 베터리의 전압 기울기는 방전 전압을 일치 미분한 값이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은 235분 정도 사용시에 배터리 단절 전압값에 도달한다. 이때, 배터리의 전원은 시스템에 계속 공급된다. 또한, 배터리의 전압을 전압 기울기로 기준으로 하여 계속적으로 감시 중에 급격히 전압 레벨이 저하되는 시점이 오면 이때를 기준으로 하여 배터리 전원의 공급을 차단한다.
따라서, 235분이 아닌 300분까지 연장하여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있다. 물론, 300분까지는 배터리의 낮은 전압으로 인해 노이즈 및 에러가 발생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시스템의 동작을 수행하며, 전원 감지 및 태스크에서 배터리의 전원을 감지한다(S401.S402).
이때, 전압 레벨 검출부(미도시)를 통해 검출된 배터리의 전압값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전압값을 노이즈 필터를 통해 노이즈를 걸러낸다(S403,S404).
그리고, 상기 노이즈가 걸러진 전압값은 이동 평균 필터를 통해 일정 횟수에 걸쳐 평균값으로 계산되고(S405), 상기 계산된 평균값을 토대로 전압 기울기 값을 계산한다(S406).
여기서, 상기 전압 기울기값은 기준 시간동안에 전압 레벨 변환값을 통해 구할 수 있는데, 배터리의 전류 방전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배터리의 전압이 급격히 떨어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전압 기울기의 기준값을 구할 수 있다.
그 후, 평균 전압값이 배터리 단절 전압값 이하 인지를 판단한다(S407).
상기 과정(S407)에서 판단한 결과, 계산된 평균 전압값이 배터리 단절 전압값 이하가 아닌 경우 즉, 평균 전압값이 배터리 단절 전압보다 클 경우에는 현재 계산된 전압 레벨을 화면을 통해 외부로 디스플레이하고 본 서브 루틴을 종료한다(S412).
상기 과정(S407)에서 판단한 결과, 계산된 평균 전압값이 배터리 단절 전압값 이하인 경우에는 현재의 평균 전압값이 전압 기울기의 기준값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408).
상기 과정(S408)에서 판단한 결과, 평균 전압값이 전압 기울기의 기준값 이하가 아닌 경우에는 베터리의 충전 잔량이 부족함을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면서, 계속적으로 기존의 부하에 전원을 공급한다(S413).
상기 과정(S408)에서 판단한 결과, 평균 전압값이 전압 기울기의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시스템에 동작을 중지하고, 현재 구동중인 부하들의 리셋등을 통해 정리한 후, 최종적으로 배터리를 통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S409-S411).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은 배터리의 전원을 사용하는 휴대용 시스템이 공급되는 전압 레벨을 감지하여 일정 레벨 이하가 되면 배터리의 전류 방전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배터리의 전압이 급격히 떨어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구동 전원을 차단함으로서 배터리에 충전된 전류를 최대한 사용하면서 인버터에 공급되는 전류가 부족하여 화면이 흔들리거나 이상 발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배터리의 전압 값을 감지하며, 감지된 배터리의 전압 값이 설정된 임계 전압값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배터리의 전압값이 설정된 임계 전압값 이하로 확인되면 현재 측정된 배터리 전압값의 기울기가 임계 기울기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값의 기울기가 임계 기울기 이상일 경우에는 배터리 충전을 요구하는 메시지의 출력과 함께 계속적으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값의 기울기가 임계 기울기 이하일 경우에는 시스템 동작을 중지하고, 시스템에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배터리의 전압값이 임계 전압값 이상일 경우에 현재 측정된 전압값을 디스플레이하고, 계속적으로 입력되는 배터리의 전압값을 임계 전압값과의 크기를 확인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값의 기울기는 단위 시간당 변화되는 전압값을 통해 구하고, 상기 임계 전압값 기울기는 전류 방전이 완료되어 배터리 전원이 급격히 떨어지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4.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프로세서를 구비한 휴대용 시스템이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입력되는 배터리의 전압 값을 감지하며, 감지된 배터리의 전압 값이 설정된 임계 전압값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제 1 기능;
    상기 배터리의 전압값이 설정된 임계 전압값 이하로 확인되면 현재 측정된 배터리 전압값의 기울기가 임계 기울기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 2 기능;
    상기 제 2 기능의 판단 결과,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값의 기울기가 임계 기울기 이상일 경우에는 배터리 충전을 요구하는 메시지의 출력과 함께 계속적으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2 기능의 판단 결과,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값의 기울기가 임계 기울기 이하일 경우에는 시스템 동작을 중지하고, 시스템에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0077103A 2001-12-06 2001-12-06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KR20030046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103A KR20030046835A (ko) 2001-12-06 2001-12-06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103A KR20030046835A (ko) 2001-12-06 2001-12-06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835A true KR20030046835A (ko) 2003-06-18

Family

ID=29573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103A KR20030046835A (ko) 2001-12-06 2001-12-06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683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280B1 (ko) * 2004-07-19 200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광디스크 기기에서의 배터리 충전장치 및 방법
KR101377317B1 (ko) * 2007-01-25 2014-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기기의 전원 제어 장치와 단말기기의 종료상태표시방법 및 구동방법 그리고 이들을 포함한 단말기기의전원 제어방법
KR101424251B1 (ko) * 2006-12-26 2014-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 공급 자동 차단 장치 및 방법
NL2030275B1 (en) * 2021-12-23 2023-06-29 Spierings Group B V Method for Preventing Overcurrent and Apparatus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280B1 (ko) * 2004-07-19 200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광디스크 기기에서의 배터리 충전장치 및 방법
KR101424251B1 (ko) * 2006-12-26 2014-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 공급 자동 차단 장치 및 방법
KR101377317B1 (ko) * 2007-01-25 2014-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기기의 전원 제어 장치와 단말기기의 종료상태표시방법 및 구동방법 그리고 이들을 포함한 단말기기의전원 제어방법
NL2030275B1 (en) * 2021-12-23 2023-06-29 Spierings Group B V Method for Preventing Overcurrent and Apparatu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0510B2 (en) Monitoring a battery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3897027B2 (ja) バッテリ装置及びバッテリ装置の放電制御方法
US20050156603A1 (en) Method of testing a battery pack by purposeful charge/discharge operations
US8874393B2 (en) Battery pack, electronic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of battery pack
EP2031730A1 (en) Battery driving device, load control method, integrated circuit and load control program
WO2019156171A1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6518730B2 (en) Power supply unit, battery electrical apparatus, and memory effect detection method
KR20030046835A (ko)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KR100639731B1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작동방법
JP4178141B2 (ja)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JP2003009407A (ja) 情報端末装置
KR10038656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방법
JP2932871B2 (ja) 電池の容量残量表示装置
JP2005156303A (ja) 電池容量判定装置
KR20030046834A (ko) 휴대용 시스템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KR20000074392A (ko) 배터리 잔존 용량 표시 장치 및 방법
JPH1082844A (ja) 電池残量表示装置
JP2002335307A (ja) 電池残量レベル表示機能付き携帯通信端末
JPH07226233A (ja) バッテリ容量を監視し充電を行う方法及び装置
JPH06242195A (ja) 電池の保持時間予測装置
KR100238531B1 (ko) 배터리 잔류량 표시 방법
KR100713337B1 (ko)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아이콘 표시 제어 방법
KR20080060036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가변 컷오프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JP3311545B2 (ja) 電池電圧表示装置
JPH11275776A (ja) 無停電電源装置の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