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211A -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211A
KR20030046211A KR1020010076671A KR20010076671A KR20030046211A KR 20030046211 A KR20030046211 A KR 20030046211A KR 1020010076671 A KR1020010076671 A KR 1020010076671A KR 20010076671 A KR20010076671 A KR 20010076671A KR 20030046211 A KR20030046211 A KR 20030046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nection
terminal
bypass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6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6211A/ko
Publication of KR20030046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21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2Alternate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53IP private branch exchange [PBX] functionality entitie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Internet Telephony Gateway System)에 관한 것으로, 공중 교환 통신망을 이용한 우회경로 설정이 가능한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다수의 가입자 단말에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접속 단자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다수의 가입자 단말에 공중 교환 통신망을 이용한 우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우회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Internet Telephony Gateway System}
본 발명은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Internet Telephony Gateway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중교환통신망(PSTN)을 이용한 우회경로 설정이 가능한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중 교환 통신망인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은 전세계적으로 연결된 음성 위주의 공중 전화망 집합을 의미하며, 상용망과 국가소유 모두를 포함한다. PSTN은 전화를 발명한 벨(Alexander Graham Bell)의 시대로부터 계속해서 발전해온 회선 교환방식 전화망의 집합체로서, 오늘날의 PSTN은 전화국에서 사용자까지의 종단 링크 부분을 제외하고는 기술적으로 거의 완전히 디지털 방식으로 변화되었다.
PSTN은 인터넷과 관련하여 실제로 장거리 기반시설의 대부분을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 : 이하 ISP라 약칭 함)라고 불리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들은 장거리 전화회사들에게 비용을 지불하고 고속의전용회선을 임차한 후, 패킷 교환 방식을 통해 많은 사용자들이 회선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터넷 사용자들 각자는 멀리 떨어져 있는 서버에 접근을 하더라도 별도의 시외 또는 국제 등, 장거리 전화요금을 내지 않아도 되도록 하고 있으며, 많은 ISP들이 단지 월정액의 접속료만으로 서비스를 운영한다.
일반적으로, 인터넷폰(Internet Phone)이란 인터넷을 통한 PC(Personal Computer) 사용자 상호간의 실시간 음성 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저렴한 통신 요금으로 인해 그 수요가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통신 수단에 따라 PC 대 PC, PC 대 전화, 전화 대 전화 방식으로 나누어지는데, 현재까지 PC 대 PC와 PC 대 전화 방식에 대해서는 많은 개발이 되어 있는 상태이다.
한편, PC 대 PC 방식은 해당 PC와 PC를 연결해서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송수신하는 방식으로서, 양측이 같은 시간에 인터넷에 접속한 후, 상호간에 동일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마이크를 통해 들어온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화하고, 이를 압축하여 패킷화된 음성을 인터넷을 통해 상대측 PC로 보내면, 해당 PC는 패킷화된 음성을 복원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PC 대 전화, 전화 대 전화 방식은 인터넷을 접속한 후, 특정 지역에 설치된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Internet Telephony Gateway System)을 통해 공중 교환 통신망인 PSTN과 연동하여 전화를 이용하여 통신하게 하는 방식이다.
한편, 종래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ITGS)에서 교환 시스템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위한 개략적인 망 구성은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이하 ITGS라 약칭 함)(110)은 기본적으로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10), 중앙제어처리 모듈부(20) 및 랜 접속 처리 모듈부(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10)는 아날로그 접속단자인 제 1 접속단자(51)와, 보호회로부(52), 하이브리드 집적회로(IC)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및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A/D, D/A convertor)로 구성된 일반전화 접속부(53), 링을 생성하는 링 생성부(54) 및 코덱(CODEC)(55)을 구비하여 전화 또는 팩스와 같은 아날로그 신호 접속을 지원하는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50)와, 디지털 접속단자인 제 2 접속단자(41), 라인 인터페이스부(42) 및 프레이머/디프레이머부(43)로 구성되어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트렁크 접속을 지원하는 디지털 접속 처리부(40)를 각각 또는 모두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처리 모듈부(20)는 펄스코드변조(Pulse Code Modulation : 이하 PCM 이라 약칭 함) 버스간의 스위칭을 처리하는 PCM 스위칭부(70), 음성 압축 복원을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80) 및 중앙처리장치(이하 CPU라 약칭 함)(64)와롬(ROM : Read Only Memory)(62)과 램(RAM : Random Access Memory)(61) 및 주변제어 로직부(63)로 구성된 프로세서 모듈부(60)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랜 접속처리 모듈부(30)는 상기 중앙제어처리 모듈부(20)와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망간 인터넷 프로토콜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랜 트랜시버부(90) 및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망(IP Network)과 랜 트랜시버부(90)간 접속을 지원하는 제 3 접속단자(1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에 따른 ITGS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포트인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접속 포트를 지원하는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10)내의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50)와 디지털 접속 처리부(4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50)에서는 사용자측에 전화 또는 팩스를 접속할 수 있는 제 1 접속 단자(51)를 제공한다. 가장 보편적인 전화 서비스를 예로 들면 사용자는 기존의 공중 교환 통신망인 공중교환 전화망(PSTN)을 이용한 전화 서비스와 같이 전화기를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110)에서 제공하는 제 1 접속단자(51)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사용자가 전화기를 통해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50)의 제 1 접속 단자(510)를 통해서 수신되는 신호는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50)내의 보호 회로부(52)를 통과하여 하이브리드 집적회로(IC)와 아날로그/디지털 및 디지털/아날로그(A/D 및 D/A) 변환부(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 일반전화 접속부(53)에서 아날로그 신호는 A-law 또는 μ-law 신호로 변환하여 코덱(CODEC)부(55)로 보낸다.
코덱(CODEC)부(55)는 수신 받은 A-law 또는 μ-law 신호를 PCM신호로 변환하여 중앙제어 처리 모듈부(20)의 PCM 스위칭부(70)로 보내고, 중앙제어 처리 모듈부(20)의 PCM 스위칭부(70)에서 전송된 PCM 신호를 A-law 또는 μ-law 신호로 변환하여 일반전화 접속부(53)로 전송한다.
즉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20)내의 PCM 스위칭부(70)로부터 제 1 PCM 버스를 통해 수신된 PCM 데이터는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50)의 코덱부(55)로 전달되어 A-law 또는 μ-law 신호로 변환되어 일반전화 접속부(53)를 거쳐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보호 회로부(52)를 통해 제 1 접속 단자(51)로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코덱부(55)에서는 수신된 펄스코드변조 신호를 A-law 또는 μ-law 신호로 변환하면서 전화번호 정보를 검출하여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50)내에서의 처리될 접속 단자를 선택하고 링거(Ringer)를 이용하여 지정된 접속단자로 링 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화가 왔음을 알려주고,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은 후에는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링(Ring) 신호 발생을 중단한다.
디지털 접속 처리부(40)에서는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트렁크와 접속이 가능한 단자를 제공하는데 사설 교환기의 공중 교환 통신망(PSTN)을 지원하는 디지털 트렁크(E1/T1)가 연동 될 경우에는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트렁크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는 디지털 접속 처리부(40)의 제 2 접속 단자(41)를 통해 수신되어 라인 인터페이스부(42)에서 E1/T1 프레임으로 변환되어 E1/T1 프레임을 PCM 신호로 변환하거나 PCM 신호를 E1/T1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E1/T1 프레이머/디프레이머부(43)로 전달되어 PCM 신호로 변환되어 제 2 PCM 버스를 통해 중앙제어처리 모듈부(20)의 PCM 스위칭부(70)로 전달된다.
또한 제 2 PCM 버스를 통해 PCM 스위칭부(70)로부터 전송된 PCM 데이터는 E1/T1 프레이머/디프레이머부(43)로 전달되어 E1/T1 프레임으로 변환되어 라인 인터페이스부(42)를 거쳐 제 2 접속단자(41)를 통해서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트렁크로 연결되어 사설교환기에 연결된 가입자 단말에 ITGS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디지털 접속 처리부(40)에서는 라인 인터페이스부(42)와 프레이머/디프레이머부(43)를 각각 구현하거나 또는 상기의 기능을 하나의 칩 셋(CHIP SET)으로 구현할 수 있다.
중앙처리제어 모듈부(20)에서는 사용자 접속처리 모듈부(10)로부터 제 1, 제 2 PCM 버스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프로세서 모듈부(60)내의 CPU(64)에서 PCM 스위칭부(70)의 제어를 통하여 미리 지정한 경로인 제 3 PCM 버스를 통하여 음성 처리부(80)로 전달한다.
음성 처리부(80)는 제 1, 제 2 PCM 버스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된 알고리즘(예를 들면, G.729, G.723)에 따라 음성을 압축하거나 HPI(Host Processor Interface) 버스를 통해 수신된 압축 데이터를 복원처리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80)는 제 3 PCM 버스를 통해서 PCM 스위칭부(70)로부터 수신 받은 데이터를 프로세서 모듈부(60)의 CPU(64)에서 정의한 압축방식에 따라 압축한 후 HPI 버스를 통해 중앙처리장치(64)로 전송한다.
프로세서 모듈부(60)의 CPU(64)는 HPI 버스를 통해 수신받은 음성 압축 데이터와 목적지 주소, 압축방식정보 등과 같은 오버헤드 정보를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화하여 LAN(Local Access Network) 접속 처리 모듈부(30)의 LAN 트랜시버(90)로 전달되어 제 3 접속 단자(100)를 통해서 외부의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목적지 주소의 장비로 전달한다.
반대의 경우 외부의 IP 네트워크에서 제 3 접속단자(100)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는 LAN 트랜시버(90)를 거쳐 중앙제어 처리 모듈부(20)내의 프로세서 모듈부(60)의 CPU(64)로 전달되며, CPU(64)에서는 수신된 IP 패킷 내에서 오버헤드 정보와 압축된 음성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 다음 CPU(64)는 추출된 오버헤드 정보에서 목적지 정보에 의해서 압축된 음성 데이터가 복원되어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PCM 스위칭부(70)를 제어하여 경로를 설정하고, 압축 음성 데이터의 압축 방식 정보에 대응하는 복원 방식을 음성 처리부(80)로 전달한다. 그리고 압축된 음성 데이터는 HPI 버스를 통하여 음성 처리부(80)로 전달한다.
HPI 버스를 통해 압축된 데이터를 수신받은 음성 처리부(80)에서는 CPU(64)에서 정의한 복원방식에 따라 압축된 데이터를 복원하여 제 3 PCM 버스를 통해 PCM 스위칭부(70)로 전달한다.
제 3 PCM 코드를 통해 PCM 스위칭부(70)로 전달된 데이터는 CPU(64)의 제어에 의해 지정된 경로를 따라 제 1 또는 제 2 PCM 버스를 통해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50) 또는 디지털 접속 처리부(4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있어서는 IP망을 통해 기존의 공중 교환 전화망(PSTN)에서 지원하는 전화 또는 팩시밀리와 같은 서비스를 지원함에 있어서, IP 네트워크에서의 장애 발생 또는 시스템의 전원공급 중단과 같은 상황에서는 어떠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별도의 외장형 장비를 설치하여 시스템의 전원공급 중단과 같은 상황에서 우회경로를 설정하고 있으나, 그와 같은 경우에는 ITGS와 외장형 장비와의 인터페이스 장비 역시 따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IP 네트워크 장애 발생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운영 관리자를 두어 항상 ITGS의 운용 상태를 감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현시 주전송로인 IP 네트워크의 장애발생 또는 시스템의 전원공급 중단과 같은 장애 발생에 대비하여 보조 전송로로써 공중교환 통신망을 이용한 우회 경로 설정 기능이 가능한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다수의 가입자 단말에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접속 단자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다수의 가입자 단말에 공중 교환 통신망을 이용한 우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우회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우회 접속부는 상기 공중 교환 통신망과 상기 접속단자 사이에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와 상기 가입자 단말의 전화 및/또는 팩스 서비스를 지원하거나,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우회 접속부를 통해 상기 가입자 단말의 전화 및/또는 팩스 서비스를 지원하고, 수신된 전화 및/또는 팩스 데이터를 상기 접속 단자 또는 접속 단자와 우회 접속부를 통해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제공하는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와의 전화 및/또는 팩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랜(LAN) 접속 처리 모듈부와, 상기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와 상기 랜 접속 처리 모듈부간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가입자 단말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 표준에 적합하도록 변환하고, 상기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 및 랜 접속 처리 모듈부를 제어하는 중앙제어 처리 모듈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는 상기 전화 및/또는 팩스와의 접속을 처리하는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와,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트렁크와 접속을 처리하는 디지털 접속 처리부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제어처리 모듈부는 상기 전화 및/또는 팩스 데이터에 대하여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 또는 디지털 접속 처리부로의 스위칭을 처리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 및 디지털 접속 처리부와 송수신되는 전화 및/또는 팩스 데이터에 대한 압축 복원을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 및 상기 스위칭부, 음성 처리부, 랜 트랜시버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모듈부로 구성되며, 상기 랜 접속처리 모듈부는 상기 압축 또는 복원된 전화 및/또는 팩스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와 송수신하는 랜 트랜시버부 및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와 상기 랜 트랜시버부간 연결을 담당하는 접속단자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에서 상기 가입자 단말에 연결되는 아날로그 접속 단자와, 상기 디지털 접속 처리부에서 사설 교환기를 통해 가입자 단말과 통신하는 디지털 접속 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우회 접속부는, 상기 공중 교환 통신망과 연결되어 통신 신호를 주고받는 아날로그 우회접속단자와, 상기 아날로그 접속단자가 상기 아날로그 우회접속단자와 보호회로부 중 하나와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는 제어 로직부로 구성된 아날로그 우회 접속부와, 상기 사설 교환망과 연결되어 통신 신호를 주고받는 디지털 우회접속 단자와, 상기 디지털 접속단자가 상기 디지털 우회접속단자와 라인 인터페이스부 중 하나와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는 제어 로직부로 구성된 디지털 우회 접속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는, 상기 아날로그 접속 단자와, 상기 아날로그 접속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 회로부와, 상기 보호 회로부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A-law 또는 μ-law 신호로 변환하여 코덱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코덱부에서 전송된 A-law 또는 μ-law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보호 회로부를 통해 상기 접속 단자로 전송하는 일반전화 접속부와, 상기 일반전화 접속부에서 전송된 A-law 또는 μ-law 신호를 펄스코드변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스위칭부에서 전송된 펄스코드변조 신호를 A-law 또는 μ-law 신호로 변환하는 코덱부와, 상기 아날로그 접속 단자와 상기 보호 회로부 사이에 구성된 상기 아날로그 우회 접속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디지털 접속 처리부는, 상기 디지털 접속 단자와, 상기 디지털 접속 단자를 통해 수신된 E1/T1 프레임을 인터페이스하여 프레이머/디프레이머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프레이머/디프레이머부에서 전송된 E1/T1 프레임을 상기 디지털 접속 단자로 전송하는 라인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부에서 전송된 E1/T1 프레임을 펄스코드변조 신호를 상기 스위칭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스위칭부에서 전송된 펄스코드변조 신호를 E1/T1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프레이머/디프레이머부와, 상기 디지털 접속 단자와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부 사이에 구성된 상기 디지털 우회 접속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아날로그 우회 접속부의 상기 제어로직부는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 접속 단자가 상기 보호 회로부 또는 아날로그 우회 접속 단자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우회 접속부의 상기 제어로직부는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접속 단자가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부 또는 디지털 우회 접속 단자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애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 자체의 장애이거나 상기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전원공급 중단인 경우에는, 상기 전화 및/또는 팩스 서비스가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우회 접속부를 통한 공중교환통신망만을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장애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의 일시적인 대역폭 감소인 경우에는 상기 전화 및/또는 팩스 서비스의 일부는 상기 접속단자와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서비스의 나머지는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우회 접속부를 통한 공중교환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ITGS)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우회 접속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우회 접속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우회 접속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제 4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우회 접속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7은 일반적인 공중 교환 통신망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망 구성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활용한 통신 서비스 망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우회 접속부를 구비한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통신 서비스 망 구성도
도 10은 일반적인 공중교환통신망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망 구성도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활용한 통신 서비스 망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우회 접속부를 구비한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통신 서비스 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ITGS) 역시 기본적으로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10), 중앙제어처리 모듈부(20) 및 랜 접속 처리 모듈부(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10)는 주로 전화 및 팩스와의 접속 처리를 하는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50)와,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트렁크와 접속을 담당하는 디지털 접속 처리부(4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처리 모듈부(20)는 PCM 버스간의 스위칭을 처리하는 PCM 스위칭부(70)와, 아날로그/디지털 접속 처리부(50,40)와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압축 복원을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80) 및 중앙처리장치(이하 CPU라 약칭 함)(64)와 롬(ROM)(62)과 램(RAM)(61) 및 주변제어 로직부(63)로 구성된 프로세서 모듈부(60)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랜 접속처리 모듈부(30)는 랜 트랜시버부(90) 및 랜 접속단자인제 3 접속단자(1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10)의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5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1 우회접속부(200) 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2 우회 접속부(300)를 더 포함하고, 디지털 접속 처리부(40) 역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3 우회 접속부(400) 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4 우회 접속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 1 내지 제 4 우회 접속부(200,300,400,500)를 구비한 본 발명 ITGS 내부의 LAN 접속 처리 모듈부(30)를 통한 IP 네트워크와의 동작시, 외부 IP 네트워크가 일정한 대역을 보장하여 주면서 ITGS에 대한 전원 공급 역시 정상적이라는 가정하에서는 종래 기술과 같은 동작 원리로 동작하게 된다.
즉, 제 1 내지 제 4 우회 접속부(200,300,400,500)가 이용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IP 네트워크상의 장애나 ITGS 시스템에 대한 전원공급이 중단되는 상황 중 전화 또는 팩스와 같은 아날로그 신호 접속은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50)의 제 1 우회 접속부(200)가,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트렁크 접속은 디지털 접속 처리부(40)의 제 3 우회 접속부(400)가 이용되고, 외부 IP 네트워크상의 장애나 ITGS 시스템에 대한 전원공급이 정상적인 상태에서 대역폭이 일시적으로 줄어드는 상황에서는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50)의 경우에는 제 2 우회 접속부(300)가, 디지털 접속 처리부(40)의 경우에는 제 4 우회 접속부(500)가 이용된다.
도 3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우회 접속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우회 접속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우회 접속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 제 4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우회 접속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1 우회 접속부(200)는 제 1 우회 접속 단자(210)와 릴레이부(230) 및 제어 로직부(220)로 구성된다. 이때, 릴레이부(230)는 제 1, 제 2 릴레이부(231,232)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제 2 릴레이부(231,232)의 스위치는 제어 로직부(220)로부터의 제어신호(CTR 0, CTR 1)에 따라 제 1 접속 단자(51)와 보호 회로부(52)및 제 1 우회 접속 단자(210)간의 팁/링(TIP_A, TIP_B/RING_A, RING_B) 연결을 스위칭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2 우회 접속부(300)는 제 2 우회 접속 단자(310)와 릴레이부(330), 제어 로직부(320) 및 링 신호를 감지하는 링 감지부(340)로 구성된다. 이때, 릴레이부(330)는 제 1, 제 2 릴레이부(331,332)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제 2 릴레이부(331,332)의 스위치는 제어 로직부(320)로부터의 제어신호(CTR 0, CTR 1, CTR 2, CTR 3)에 따라 제 1 접속 단자(51)와 보호 회로부(52) 및 제 2 우회 접속 단자(310)간의 선택적인 팁/링(TIP_A, TIP_B/RING_A, RING_B) 연결을 스위칭한다. 이때 HPI 버스를 통해 제어 로직부(320)와 링 감지부(340)에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제 1 접속 단자(51)와 제 2 우회 접속 단자(310)간의 연결은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3 우회 접속부(400)는 제 3 우회 접속단자(410)와 릴레이부(430), 제어 로직부(420)로 구성된다. 이때, 릴레이부(430)는 제 1 내지 제 4 릴레이부(431,432,433,434)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내지 제 4 릴레이부(431,432,433,434)의 스위치는 제어 로직부(420)로부터의 제어신호(CTR 0, CTR 1, CTR 2, CTR 3)에 따라 제 2 접속 단자(41)와 라인 인터페이스부(42) 및 제 3 우회 접속 단자(410)간의 선택적인 송수신 팁/링(T-TIP_A, R-TIP_B/T-RING_A, R-RING_B) 연결을 스위칭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4 우회 접속부(500)는 제 4 우회 접속 단자(510)와 릴레이부(530), 제어 로직부(520), 내부 프레이머/디프레이머부(540) 및 내부 라인 인터페이스부(550)로 구성된다. 이때, 릴레이부(530)는 제 1 내지 제 4 릴레이부(531,532,533,534)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내지 제 4 릴레이부(531,532,533,534)의 스위치는 제어 로직부(520)로부터의 제어신호(CTR 0, CTR 1, CTR 2, CTR 3, CTR 4, CTR 5, CTR 6, CTR 7)에 따라 제 2 접속 단자(41)와 라인 인터페이스부(42) 및 제 4 우회 접속 단자(510)간의 선택적인 팁/링(T-TIP_A, R-TIP_B/T-RING_A, R-RING_B) 연결을 스위칭한다. 이때 HPI 버스를 통해 제어 로직부(520)와 내부 프레이머/디부레이머부(540)에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 2 접속 단자(41)와 라인 인터페이스부(42) 및 제 4 우회 접속 단자(510)간의 팁/링(T-TIP_A, R-TIP_B/T-RING_A, R-RING_B) 연결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일반적인 공중교환 전화망(PSTN)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망 구성도이고,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활용한 통신 서비스 망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우회 접속부를구비한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통신 서비스 망 구성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일반적인 PSTN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망에서 제 1, 제 2 사설 교환기(710,720)의 각각에 다수의 전화(또는 팩스)가 연결된 경우에 있어서, 제 1, 제 2 사설 교환기(710,720) 각각의 가입자간(예를 들면 800-1001 내지 800-100n간 또는 900-1001 내지 900-100n간)의 전화 또는 팩스 서비스는 각각의 사설 교환기를 통해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제 1, 제 2 사설 교환기(710,720)에 연결된 가입자간(예를 들면 800-1001에서 900-1001)의 전화 또는 팩스 서비스와 같은 아날로그 접속은 PSTN(600)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ITGS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망의 구성 중 도 2에 나타낸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50)에 연결된 제 1, 제 2 ITGS(110a,110b) 각각의 가입자간(예를 들면 800-1001 내지 800-100n간 또는 900-1001 내지 900-100n간)의 전화 또는 팩스 서비스를 나타낸 것으로, 동일 ITGS에 연결된 가입자 각각의 전화 또는 팩스 서비스는 ITGS를 통해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제 1, 제 2 ITGS(110a,110b)에 연결된 가입자간(예를 들면 800-1001에서 900-1001)의 전화 또는 팩스 서비스와 같은 아날로그 접속은 IP 네트워크(800)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도 8의 구성에 따른 동작 설명 및 문제점은 도 1의 종래 기술에서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 9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제 2 우회 접속부(200,300)를 구비한 ITGS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망을 나타낸 것으로, 제 1, 제 2 우회 접속부(200,300)를 구비한 ITGS의 동작 그중에서도 도 7에 나타낸 PSTN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1 우회 접속부(200)를 이용한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ITGS 통신 서비스를 도 2, 도 3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ITGS의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10) 중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50) 자체는 정상이지만 외부 IP 네트워크의 장애로 인한 ITGS의 비정상 동작으로 IP 네트워크상의 대응시스템과 연결되지 않은 경우 PSTN을 이용하여 지속적인 ITG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송신의 경우에는 송신측 ITGS(예를 들면 제 1 ITGS(110a))의 중앙제어 처리 모듈부(20)의 프로세서 모듈부(60)에서 아날로그 접속 단자인 제 1 접속단자(51)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보호 회로부(52)를 통하지 않고 제 1 우회 접속부(200)의 제 1 우회 접속 단자(210)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제어 로직부(220)로 전달하고, 그에 따라 제어 로직부(220)에서 릴레이(230)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제어 로직부(220)에서는 수신 받은 값을 이용하여 릴레이(230)를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발생하여 제 1 접속 단자(51)와 제 1 우회 접속 단자(210)간의 경로를 설정하여 사용자에 대한 ITGS 서비스를 LAN 접속 처리 모듈부(30)를 통한 IP 네트워크(800)가 아닌 PSTN(600)을 이용하여 제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대응 시스템(예를 들면 제2 ITGS(110b))에서의 수신을 위한 동작은 송신 ITGS와 동일하게 우회 접속 단자(210)와 제 1 접속 단자(51)간의 경로를 설정하여 PSTN(600)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제 1, 제 2 ITGS(110a,110b)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50)의 제 1 접속 단자(51)와 우회접속단자(210)간의 경로 설정이 되도록 제어 로직부(220)에서 릴레이(230)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현하여 제 1 또는 제 2 ITGS(110a,110b)의 전원공급 중단 또는 IP 네트워크의 장애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ITGS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 2 우회 접속부(300)를 이용한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ITGS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를 도 2, 도 4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ITGS의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10) 중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50) 자체는 정상이지만 IP 네트워크에서 보장하는 대역폭이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경우에 ITGS 시스템에 연결된 전화사용자들에게 PSTN을 이용하여 지속적인 ITG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통상적으로 1채널의 서비스를 위하여 IP 네트워크(800) 상에서의 대역폭은 오버헤드를 포함하여 15Kbps를 지원해야 하는데 제 1, 제 2 ITGS(110a,110b)를 이용하는 최대 전화 사용자 지원수를 N이라 했을 때 최소한 N ×15Kbps 의 대역폭이 보장되어야 서비스의 지원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예를 들어 최대 24명의 사용자를 지원하도록 제 1, 제 2 ITGS(110a,110b)를 구현하였다면 360Kbps의 대역폭을 보장하여야 한다.
그러나 지원 가능한 대역폭이 200Kbps인 경우에는 10채널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 1, 제 2 ITGS(110a,110b)에 연결된 전화 서비스를 요구하는 사용자가 5명이 증가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요구한 5채널의 서비스 요구 중 3채널의 서비스를 IP 네트워크(800)를 통하여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나 2채널에 대해서는 서비스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 1, 제 2 ITGS(110a,110b)에서는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50)에서 제 1 PCM 버스를 통해 13채널의 정보를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20)로 전송하여 LAN 접속 처리 모듈부(30)를 이용하여 IP 네트워크(800)를 통한 ITGS 서비스를 제공하며, 나머지 2채널에 대해서는 제 2 우회 접속부(300)의 제 2 우회접속 단자(310)를 통해서 PSTN(600)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프로세서 모듈부(60)내의 CPU(64)내의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주변 제어로직부(63)로 데이터를 전달하여 릴레이(330)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제 1 접속 단자(51)와 제 2 우회접속단자(310)간의 경로를 설정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나머지 2채널에 대해서는 PSTN(600)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대응장비(제 1 ITGS(110a) 또는 제 2 ITGS(110b))에서는 PSTN(600)을 통해 제 2 우회 접속부(300)의 우회접속단자(310)를 통해 수신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링 감지부((320)에서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전기적인 신호 중 링 신호를 감지하여 현재의 우회접속단자(310)에서 신호가 감지되고 있음을 중앙제어 처리 모듈부(20)내의 프로세서 모듈부(60)로 전달한다.
중앙제어처리 모듈부(20)내의 프로세서 모듈부(60)에서는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50)의 해당 접속 단자와 상호 연동되는 제 2 우회 접속부(300)의 우회 접속단자(310)와의 우회 경로 매핑 테이블에서 연결해야 할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50)의해당 포트가 IDLE 상태인지를 확인한 후 IDLE 상태라면 접속단자(제 1 접속 단자(51)와 우회 접속 단자(310))간의 연결을 위해 제어 로직부(320)로 데이터를 전달하여 해당 접속 단자(제 1 접속 단자(51)와 우회 접속 단자(310))간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제어 신호를 발생하게 하여 제 1 접속 단자(51)에 연결된 전화기로 수신 받은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여 PSTN(600)을 통한 전화서비스가 지원되도록 한다. 만약 IDLE이 아니라면 IDLE 상태로 변화되기 전까지는 우회경로 설정을 하지 않는다.
도 10은 일반적인 공중 교환 전화망(PSTN)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망 구성도이고,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ITGS)을 활용한 통신 서비스 망 구성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우회 접속부를 이용한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ITGS)의 통신 서비스 망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낸 일반적인 PSTN으로 이에 대하여는 도 7에서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 11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ITGS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망의 구성 중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디지털 트렁크 접속을 지원하는 디지털 접속 처리부(40)에 연결된 가입자간(예를 들면 800-1001 내지 800-100n간 또는 900-1001 내지 900-100n간)의 전화 서비스를 나타낸 것으로, 동일 ITGS에 연결된 가입자각각의 전화서비스는 각각의 ITGS를 통해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제 1, 제 2 ITGS(110a,110b)에 연결된 가입자간(예를 들면 800-1001에서 900-1001)의 전화 서비스는 IP 네트워크(800)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도 10의 구성에 따른 동작 설명 및 문제점 역시 도 1의 종래 기술에서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 12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3, 제 4 우회 접속부(400,500)를 구비한 ITGS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망을 나타낸 것으로, 제 3, 제 4 우회 접속부(400,500)를 구비한 ITGS의 동작 그 중에서도 도 10에 나타낸 PSTN(600)을 이용하는 방법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3 우회 접속부(400)를 이용한 본 발명 제 3 실시예에 따른 ITGS 통신 서비스를 도 2, 도 5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ITGS의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10) 중 디지털 접속 처리부(40) 자체는 정상이지만 외부 IP 네트워크(800)의 장애로 인하여 IP 네트워크(800)상의 대응시스템(착신측 ITGS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 PSTN(600)을 이용하여 지속적인 ITG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송신의 경우에는 송신측 ITGS(예를 들면 제 1 ITGS(110a))의 프로세서 모듈부(60)에서는 제 2 접속 단자(41)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를 라인 인터페이스부(42)를 통과하지 않고, 제 3 우회 접속부(400)내의 우회 접속 단자(410)로 연결되도록 제어 로직부(420)에서 릴레이(430)를 제어하도록 하는 신호를 HPI 버스를 통해 제어 로직부(420)로 전송한다.
제어 로직부(420)에서는 수신 받은 값을 이용하여 릴레이부(43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켜 제 2 접속단자(41)와 우회 접속 단자간(410)의 경로를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ITGS 서비스를 LAN 접속 모듈부(30)를 통한 IP 네트워크(800)가 아닌 PSTN(600)을 통해 제공한다.
그리고 제 1, 제 2 ITGS(110a,110b)에 전원공급이 중단되었을 경우에는 디지털 접속 처리부(40)의 제 2 전속 단자(41)와 우회접속단자(410)간의 경로 설정이 되도록 제어 로직부(420)에서 릴레이(430)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현하여 제 1, 제 2 ITGS(110a,110b)의 전원공급 중단 또는 IP 네트워크(800)의 장애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 4 우회 접속부(500)를 이용한 본 발명 제 4 실시예에 따른 ITGS 통신 서비스를 도 2, 도 6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ITGS의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10) 중 디지털 접속 처리부(40) 자체는 정상이지만 IP 네트워크에서 보장하는 대역폭의 일시적인 감소하는 경우에 ITGS에 연결된 전화 사용자들에게 PSTN(600)을 이용하여 지속적인 ITG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 1, 제 2 사설 교환기(710,720)의 디지털 트렁크와 접속시에는 최대 30채널의 음성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다고 하였을 때, 통상적으로 1채널의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IP 네트워크 사에서의 대역폭은 오버헤드를 포함하여 15Kbps를 지원해야 한다.
따라서 최대 지원능력을 고려하면 450Kbps의 대역폭이 보장되어야 원할한 ITGS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는데, 제 1, 제 2 사설 교환기(710,720)와의 연동을 통해 하나의 ITGS(예를 들면 제 1 ITGS(110a))에서 300Kbps로 15채널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 1 또는 제 2 사설 교환기(710,720)에 연결된 전화사용자가 추가적으로 10채널의 음성 서비스를 같은 시점에서 요구하는 경우, 5채널은 제 1 ITGS(110a)내의 LAN 접속 처리 모듈부(30)하여 IP 네트워크(800)를 통하여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나 나머지 5채널에 대해서는 제 1 ITGS(110a)를 이용한 정상적인 서비스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 1 ITGS(110a)에서는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10)를 통하여 제 2 PCM 버스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에서 IP 네트워크(800)를 통해 ITGS 서비스가 불가능한 5채널에 대해서는 프로세서 모듈부(60)의 CPU(64) 내의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PCM 스위칭부(70)를 제어하여 서비스가 불가능한 5채널은 제 4 PCM 버스를 통해 디지털 접속 처리부(40)의 제 4 우회 접속부(500)내에 구비된 내부 프레이머/디프레이머부(540)로 전달한다.
제 4 우회 접속부(500)내의 내부 프레이머/디프레이머부(540)는 제 4 PCM 버스를 통해 수신받은 데이터를 E1/T1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제 4 우회 접속부(500)내의 내부 라인 인터페이스부(550)로 보내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우회 접속 단자(510)를 통하여 PSTN(600)으로 전달한다.
대응장비 즉 착신측 ITGS(110b)에서는 PSTN(600)을 통해서 제 4 우회 접속부(500)의 우회 접속단자(510)를 통해 수신된 전기적인 신호를 내부 라인 인터페이스부(550)로 보내어 E1/T1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프레이머/디프레이머부(540)로 전달하고, 프레이머/디프레이머부(540)는 이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 4 PCM 버스를 통해 PCM 스우칭부(70)로 전달한다.
이때 중앙제어 처리 모듈부(20)내의 프로세서 모듈부(60)에서는 IP네트워크(800)를 통해 수신되어 제 3 PCM 버스를 통해 PCM 스위칭부(70)로 전달하는 20채널과 E1/T1 프레임내에서 얻을 수 있는 시그널링 정보를 분석하여 제 4 PCM 버스를 통해 수신된 유효한 5채널 등 총 25채널이 제 2 PCM 버스로 전달할 수 있도록 PCM 스위칭부(70)를 제어한다.
그러면 제 2 PCM 버스를 통해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10)의 디지털 접속 처리부(40)로 수신된 신호는 종래 기술의 동작과 같은 과정을 거쳐 사설 교환기로 전달되어 사설 교환기와 연결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주 전송로인 IP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장애 발생 또는 장애가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음성 서비스 요구 폭주 또는 주 전송로상의 대역폭의 순간적인 변화시에 우회 경로를 통해 ITGS 서비스를 계속해서 제공할 수 있으므로 ITGS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다수의 가입자 단말에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접속 단자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다수의 가입자 단말에 공중 교환 통신망을 이용한 우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우회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 접속부는 상기 공중 교환 통신망과 상기 접속단자 사이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와 상기 가입자 단말의 전화 및/또는 팩스 서비스를 지원하거나,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우회 접속부를 통해 상기 가입자 단말의 전화 및/또는 팩스 서비스를 지원하고, 수신된 전화 및/또는 팩스 데이터를 상기 접속 단자 또는 접속 단자와 우회 접속부를 통해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제공하는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와의 전화 및/또는 팩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랜(LAN) 접속 처리 모듈부와,
    상기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와 상기 랜 접속 처리 모듈부간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가입자 단말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 표준에 적합하도록 변환하고, 상기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 및 랜 접속 처리 모듈부를 제어하는 중앙제어 처리 모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는 상기 전화 및/또는 팩스와의 접속을 처리하는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와,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트렁크와 접속을 처리하는 디지털 접속 처리부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제어처리 모듈부는 상기 전화 및/또는 팩스 데이터에 대하여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 또는 디지털 접속 처리부로의 스위칭을 처리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 및 디지털 접속 처리부와 송수신되는 전화 및/또는 팩스 데이터에 대한 압축 복원을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 및 상기 스위칭부, 음성 처리부, 랜 트랜시버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모듈부로 구성되며,
    상기 랜 접속처리 모듈부는 상기 압축 또는 복원된 전화 및/또는 팩스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와 송수신하는 랜 트랜시버부 및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와 상기 랜 트랜시버부간 연결을 담당하는 접속단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에서 상기 가입자 단말에 연결되는 아날로그 접속 단자와, 상기 디지털 접속 처리부에서 사설교환기를 통해 가입자 단말과 통신하는 디지털 접속 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우회 접속부는,
    상기 공중 교환 통신망과 연결되어 통신 신호를 주고받는 아날로그 우회접속단자와, 상기 아날로그 접속단자가 상기 아날로그 우회접속단자와 보호회로부 중 하나와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는 제어 로직부로 구성된 아날로그 우회 접속부와,
    상기 사설 교환망과 연결되어 통신 신호를 주고받는 디지털 우회접속 단자와, 상기 디지털 접속단자가 상기 디지털 우회접속단자와 라인 인터페이스부 중 하나와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는 제어 로직부로 구성된 디지털 우회 접속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접속 처리부는,
    상기 아날로그 접속 단자와, 상기 아날로그 접속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 회로부와, 상기 보호 회로부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A-law 또는 μ-law 신호로 변환하여 코덱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코덱부에서 전송된 A-law 또는 μ-law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보호 회로부를 통해 상기 접속 단자로 전송하는 일반전화 접속부와, 상기 일반전화 접속부에서 전송된 A-law 또는 μ-law 신호를 펄스코드변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스위칭부에서 전송된 펄스코드변조 신호를 A-law 또는 μ-law 신호로 변환하는 코덱부와, 상기 아날로그 접속 단자와 상기 보호 회로부 사이에 구성된 상기 아날로그 우회 접속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디지털 접속 처리부는,
    상기 디지털 접속 단자와, 상기 디지털 접속 단자를 통해 수신된 E1/T1 프레임을 인터페이스하여 프레이머/디프레이머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프레이머/디프레이머부에서 전송된 E1/T1 프레임을 상기 디지털 접속 단자로 전송하는 라인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부에서 전송된 E1/T1 프레임을 펄스코드변조 신호를 상기 스위칭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스위칭부에서 전송된 펄스코드변조 신호를 E1/T1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프레이머/디프레이머부와, 상기 디지털 접속 단자와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부 사이에 구성된 상기 디지털 우회 접속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우회 접속부의 상기 제어로직부는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 접속 단자가 상기 보호 회로부 또는 아날로그 우회 접속 단자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우회 접속부의 상기 제어로직부는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접속 단자가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부 또는 디지털 우회 접속 단자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 자체의 장애이거나 상기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전원공급 중단인 경우에는, 상기 전화 및/또는 팩스 서비스가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우회 접속부를 통한 공중교환통신망만을 통해 이뤄지고, 상기 장애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의 일시적인 대역폭 감소인 경우에는 상기 전화 및/또는 팩스 서비스의 일부는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 통해 이뤄지고, 상기 서비스의 나머지는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우회 접속부를 통한 공중교환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20010076671A 2001-12-05 2001-12-05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KR20030046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671A KR20030046211A (ko) 2001-12-05 2001-12-05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671A KR20030046211A (ko) 2001-12-05 2001-12-05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211A true KR20030046211A (ko) 2003-06-12

Family

ID=2957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671A KR20030046211A (ko) 2001-12-05 2001-12-05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62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010B1 (ko) * 2002-05-27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이트웨이의 바이패스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7443A (ko) * 1998-03-31 1999-10-25 포만 제프리 엘 Pots를위한패킷망전화인터페이스시스템
WO2000054468A2 (en) * 1999-03-10 2000-09-14 Ine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operability between circuit-switched and packet networks
KR100267536B1 (ko) * 1997-12-23 2000-10-16 서평원 공중전화망용 인터넷 폰 게이트웨이 시스템
JP2000312229A (ja) * 1999-04-27 2000-11-07 Nec Corp 音声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20092547A (ko) * 2001-06-04 2002-12-12 (주)씨에스테크놀로지 인텔리전트 전화교환시스템
KR100383582B1 (ko) * 2001-05-16 2003-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 게이트웨이를 위한 아날로그 전화회선 자동 전환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7536B1 (ko) * 1997-12-23 2000-10-16 서평원 공중전화망용 인터넷 폰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9990077443A (ko) * 1998-03-31 1999-10-25 포만 제프리 엘 Pots를위한패킷망전화인터페이스시스템
WO2000054468A2 (en) * 1999-03-10 2000-09-14 Ine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operability between circuit-switched and packet networks
JP2000312229A (ja) * 1999-04-27 2000-11-07 Nec Corp 音声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383582B1 (ko) * 2001-05-16 2003-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 게이트웨이를 위한 아날로그 전화회선 자동 전환 시스템
KR20020092547A (ko) * 2001-06-04 2002-12-12 (주)씨에스테크놀로지 인텔리전트 전화교환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010B1 (ko) * 2002-05-27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이트웨이의 바이패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991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and data over a local packet network
US68680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multiline phone and data services over a single access facility
US7016377B1 (en) Home network system in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system
EP10357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Internet protocol telephony call routing and call rerouting
US8724482B2 (en) POTS extender for voice fallback in a subscriber line
US6810033B2 (en) Transmission system using packet switched network
US20040170160A1 (en) Internet telephone system with hunting diversion
JPH11225206A (ja) 呼接続を確立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000015957A (ko) 인터넷 프로토콜 지원 기능을 갖춘 모뎀
CA2273713A1 (en) Computer telephony adapter and method
US76570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bining a conversion between time-division multiplexed digital signals and packetized digital signals with a switching system interface
KR20010105042A (ko) 통신단말기의 다중 통신 연결장치
KR20030046211A (ko)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US8379633B2 (en) Concentrator for speech telephones and method of communication over LAN using same
KR100350224B1 (ko) 근거리 통신망과 전화 장치를 결합한 통신 시스템
JP3112860B2 (ja) 網間接続装置
US7382766B1 (en) Line concentrator for telephone set and communication method of LAN
KR200283051Y1 (ko) 원거리 가입자를 위한 브이오아이피 기술을 이용한 소형인터넷 전화 관문장치
JP5091186B2 (ja) Isdnパケット通信をip綱上で実現するip通信システム及びip通信方法
WO2001022671A1 (en) Telephony network/computer network interconnection system
JP2734235B2 (ja) 非パケット形態データのdチャネルパケット通信方式
KR20040028327A (ko) 차세대망에서의 음성서비스 제공 방법
JP2595324B2 (ja) 端末装置の接続方式
US20020118672A1 (en) Concentrator
KR20010090255A (ko)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인터넷 음성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