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5536A - 간이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의 메니저의 네트워크장비의대표상태를 관리 및 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간이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의 메니저의 네트워크장비의대표상태를 관리 및 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5536A
KR20030045536A KR1020010076288A KR20010076288A KR20030045536A KR 20030045536 A KR20030045536 A KR 20030045536A KR 1020010076288 A KR1020010076288 A KR 1020010076288A KR 20010076288 A KR20010076288 A KR 20010076288A KR 20030045536 A KR20030045536 A KR 20030045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information
manager
trap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4330B1 (ko
Inventor
이종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6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330B1/ko
Priority to US10/307,303 priority patent/US20030105861A1/en
Priority to CN02154394.1A priority patent/CN1445959A/zh
Priority to JP2002352907A priority patent/JP2003203022A/ja
Publication of KR20030045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3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장비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것으로, 특히 간이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메니저(Manager)가 네트워크의 맵상에서 관리하는 네트워크장비로 부터 발생되는 SNMP의 트랩(Trap)정보를 분석하여 해당정보를 관리하고 여기 관리된 정보로 부터 네트워크맵상의 네트워크 장비 심볼에 경보의 대표의 상태를 반영하여 다양한 수단으로 제공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네트워크장비로 부터 트랩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트랩정보로부터 E(Enterprise),G(Generic),S(Specific)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추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각 장치알람연결구조(alarm_conf)에 따라 중요도를 결정하고, 각 장치구별 명(dn)구조(dn_conf)로부터 상기 dn을 결정한다. 상기 결정된 중요도가 해제에 대한 것이면 알람정보구조(alarm_info)내에 저장되어 있는 경보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해제에 대한 중요도가 아니면 dn으로 새로운 경보정보를 alarm_info에 저장하고 이에 대해 사용자가 네트워크장비에 대해 다양하게 표시할수 있도록 변환하여 네트워크장비에 적용하도록 되어있다.

Description

간이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의 메니저의 네트워크장비의 대표상태를 관리 및 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Display and Management the Representative severity of Network Element in SNMP Manager }
본 발명은 네트워크장비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것으로, 특히 간이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메니저(Manager)가네트워크의 맵상에서 관리하는 네트워크장비에 대하여 장비로 부터 발생되는 SNMP의 트랩(Trap)정보를 분석하고 해당정보를 관리하며 여기서 관리된 정보로 부터 네트워크 맵상의 네트워크 장비 심볼에 대하여 다양한 수단으로 상태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해당 장비의 대표적인 상태정보를 제공토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것이다.
최근 통신망의 관리기술의 하나로 간이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가 주목받고 있다. 상기 SNMP는 미국에서 인터넷 관리를 위해 표준으로 개발되어 TCP/IP와 마찬가지로 실질적인 표준기술로 전세계에서 채용되고 있다.
도 1는 일반적인 간이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메니저(Manager)와 에이젼트(Agent)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일반적으로 SNMP를 적용하는 시스템에서는 관리시스템을 메니저(Manager)(100)라고 통칭하며, 관리대상을 에이전트(Agent)(101~103)라고 통칭한다. 상기 메니저(100)와 에이전트(101~103)를 연결하는 관리정보의 전달망은 TCP/IP 방식에 준거한 것이며, SNMP를 사용한 통신은 메니저(100)와 에이전트(101~103)사이에서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관리정보베이스)를 기초로 관리정보검색, 관리정보연속검색, 관리정보바꿔쓰기(set), 예외동작의 통지등의 명령을 사용하여 이루워진다. 또한, 상기 SNMP는 메니저(100)와 에이전트(101~103)간에 상호 관리정보베이스(MIB)를 상호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써 라우터를 콘솔장비가 아닌 외부에서 관리할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SNMP를 적용한 라우터 관리시스템은 라우터마다 자체의 상태를 관리정보베이스(MIB)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SNMP는 패킷 데이터 유니트(PDU;Packet Data Unit)기능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한 명령어의 예와같이 메니저(100)가 에이전트(101~103)에 대하여 관리정보를 보내도록 지시하는 GetResponse, 동일 에이전트로부터 다른 관리항목의 정보를 연속하여 인출할 때의 GetNextResponse와 상기 PDU에 대해 에이전트가 응답하는 Response 및 장애등의 긴급사태가 발생했을 경우 에이전트는 트랩(Trap;Traffic Measurement Output)이라는 PDU를 메니저(100)에게 전송하여 알리도록 되어 있다. 이는 도 2의 SNMP의 메시지 포??에서 상세히 살펴 볼수 있는 것으로, 이는 "William Stalling" 편저 "1996년 Addison Wesley"사 발행 "SNMP1~3,RMON 1~2" 의 173~190페이지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어 더 이상은 생략한다. 상기 메니저(100)는 수신 받은 SNMP의 트랩(trap)에 대하여 네트워크장비의 중요도를 반영토록 중요도를 결정할수 있는 유일한 인자는 SNMP 트랩(trap)의 PDU로부터 결국 추출 받는다. 이와 같은 내용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01-27156호 또는 "PC TCP/IP"에 대해 설명하는 기술서적(예; 그림으로 보는 PC TCP/IP, 김지관 편저, 교보문고 발행)에 상세히 개시하고 있다.
최근,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SNMP의 메니저로써 미국 "HP"사의 "HP OVM NNM"의 경우의 예를 살펴보면, 그 성능과 안정성에서 인정을 받아 왔었다. 이시스템은 다양한 SNMP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SNMP의 중 네트웍 맵은 네트 워크 환경내의 IP어드레스에 따라 SNMP를 지원하는 모든 네트워크장비에 대하여 해당 심볼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네트웍 메니저(NNM)는 IP통신의 오류보고나 기능확인등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인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를 통하여 해당 네트워크장비의 상태를 파악하도록 되어있으나 네트워크장비가 기동되지 않는 경우는 네트웍 맵상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비의 심볼을 단일 칼러(빨간색)로 변경함으로 사용자는 이의 상태를 알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들과 같이 종래는 단순히 네트워크 장비의 생존 유무 만을 다루는 정보만으로 망을 관리하여 다음과 같이 사용자를 만족시킬수 없었다. 그이유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장비의 심볼은 네트워크장비의 상태의 여하에 따라 긴급(Critical), 중요(Major), 경고(Warning)등의 중요도를 가지게 되며, 이의 중요도에 따라 네트웍 맵상의 심볼의 상태가 변경되어야 하는데, 상기 네트웍 맵의 경우는 이러한 다양한 긴급 상태를 반영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각 상태의 중요도에 따른 상태를 구성할수 없도록 구현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용자를 만족시킬수 없었다. 즉, 이는 상기와 같이 네트웍 맵상에서 다양하게 네트워크의 상태를 알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 장비의 생존 여부만을 알수 있으며, 각 상태의 중요도에 따른 대표적인 상태를 구성할수 없도록 되어 있었고, 게다가, 상기 네트웍 맵에서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네트워크 장비마다 이에 제공하는 고유의 SNMP 트랩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려면 각 네트워크 장비별로 별도의 기능을 제공해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SNMP를 지원하는 모든 네트워크의 장비에 대해 대표상태를 적용할수 있도록 하는 자료에 대해 구성을 달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SNMP 메니저의 심볼을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태의 정보를 사용자가 구별하기 쉽도록 제공함과 동시에 해당 장비의 대표적인 상태정보를 제공할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알람 프로세서와 연계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하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강력한 EMS 및 NMS로써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리하고자 하는 네트워크장비로 부터 SNMP 트랩(trap)의 PDU를 수신하여 중요도를 결정할수 있는 인자를 추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추출한 트랩(trap) PDU로부터 중요도를 결정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결정된 중요도가 해제에 대한 중요도이면 해제시킬 대상을 구하여 저장된알람입력값들을 삭제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결정된 중요도가 해제에 대한 중요도가 아니면 새로운 알람입력값을 저장하고 이를 알람프로세서로 통보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으로 부터 서브넷 및 NE 심볼을 탐색이 완료 되었는지를 검출하여 여기서 검출이 않되었으면 기동상태에서 서브넷워크와 NE심볼을 탐색하고 이미 이들이 탐색되었으면 알람입력으로부터 통지 및 트랩을 수신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수신된 알람입력에 의해 네트워크 장비별 대표 중요도를취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상태를 출력토록 하는 값으로 변환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에서 변환된 값으로 네트워크장비에 대한 대표에 대한 맞는 값으로 다양하게 표시하는 제6과정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방법으로 하는 본 발명은 관리하고자 하는 네트워크장비로 부터 트랩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트랩정보로부터 E(Enterprise),G(Generic),S(Specific)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추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각 장치알람연결구조(이하 "alarm_conf"라 칭함)에 따라 중요도를 결정하고, 각 장치구별 명(dn; distingiush name)구조(이하 "dn_conf"라 칭함)로부터 상기 dn을 결정한다. 상기 결정된 중요도가 해제에 대한 것이면 알람정보구조(이하 "alarm_info" 라 칭함)내에 저장되어 있는 경보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해제에 대한 중요도가 아니면 dn으로 새로운 경보정보를 alarm_info에 저장하고 이에 대해 사용자가 네트워크장비에 대해 다양하게 표시할수 있도록 변환하여 네트워크장비에 적용하도록 되어있다.
도 1는 일반적인 간이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메니저(Manager)와 에이젼트(Agent)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간이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메시지 포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의 메니저의 네트워크장비의 대표상태를 관리 및 표시하는 흐름도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MP의 메니저(100)의 네트워크장비의 대표상태를 관리 및 표시하는 흐름도이다.
네트워크장비로 부터 SNMP트랩(trap)의 PDU를 수신하여 중요도를 결정할수 있는 인자(E=Enterprise, G=Generic, S=Specific)를 추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추출한 트랩(trap) PDU로부터 변수를 나타내는 수(variable_no)가 되는 요소의 값의 존재 유무를 체크하여 없으면 직접 알람 ID(alarm ID)와 서버리티(Severity)를 결정하고 있으면 트랩 PDU로부터 해당 변수의 값을 추출한후에 알람 ID(alarm ID)와 서버리티(Severity)를 결정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결정된 알람 ID와 서버리티와 dn_conf로부터 트랩의 dn정보를 추출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의 추출된 dn정보로 부터 목적로 하는 목표알람정보(Target_alarm)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여 있으면 ip, dn, alarm_id, severity 정보를 알람 정보로 저장하는 제4과정과,
상기 dn정보로 부터 목표알람정보(Target_alarm)가 없으면 목표알람정보(Target_alarm)과 dn으로부터 알람(alarm)정보를 삭제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4,5과정에서 처리된 알람정보의 삭제 또는 새로 저장된 값을 알람 입력값(dbin)으로 통보하고 서브넷 및 NE 심볼을 탐색했는지를 확인하는 제6과정과,
상기 제6과정에서 탐색이 되었으면 알람 입력값(dbin)으로부터 트랩과 통지값을 수신하며 상기 탐색이 않되었으면 기동여부를 확인하여 가동상태에서 서브넷워크 및 NE심볼을 탐색한후 알람 입력값(dbin)으로부터 트랩과 통지값을 수신하도록 하는 제7과정과,
상기 제 7과정에서 알람 입력값(dbin)으로부터 트랩과 통지값의 수신에 의해 네트워크장비별로 대표 중요도를 취하여 사용자들이 다양하게 상태를 출력하도록 하는 값으로 변환하는 제8과정과,
상기 제8과정에서 변환된 값에 의해 네트워크장비에 대한 대표 중요도를 처리하도록 하는 제9과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서는 우선 SNMP(100)를 지원하는 모든 네트워크 장비에 대해서 대표 상태를 적용할 수 있도록 자료가 구성되어야 한다. 여기서 자료의 구성은 SNMP(100)의 트랩(trap)에 대하여 유일한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도 4의 예와 같이 alarm_conf 구조와 SNMP trap으로부터 dn(distinguished name)을 추출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dn_conf 구조, 그리고 실제 trap 정보를 관리하는 구조인 alarm_info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의 설명되는 자료 구조는 XML DTD로 기술된다.
상기 제2과정의 SNMP trap별 유일한 중요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수신받은 도 2의 (2b)와같이 SNMP trap에 대하여 네트워크 장비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는 유일한 인자를 SNMP trap의 PDU(Packet Data Unit)으로부터 추출한다. 일반적인 경우는 하나의 trap이 보통 하나의 중요도를 대표하므로, 아래의 alarm_conf 구조로 충분히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trap PDU의 enterprise와 generic type 및 specific type 정보만을 가지고 중요도의 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결국 도 2의 (2d)의 예와 같이 trap PDU의 enterprise와 generic type 및 specific type의 SNMP포??으로 구성된다. 이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DOCTYPE alarm_conf [
<!ELEMENT alarm_conf(alarm_id, severity_value, enterprise, generic, specific)>
<!ELEMENT alarm_id (#PCDATA)>
<!ELEMENT severity_value (#PCDATA)>
<!ELEMENT enterprise (#PCDATA)>
<!ELEMENT generic (#PCDATA)>
<!ELEMENT specific (#PCDATA)>
]>
여기에서, alarm_id는 유일한 서버티(severity)를 가질 수 있는 trap의 대표 ID enterprise와 generic, specific은 SNMP PDU의 구성 정보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경우는 trap PDU에서 위의 정보만으로 하나의 trap에 대해 alarm ID 혹은 중요도를 구분할 수는 있으나, 다소 특별한 경우에는 유일한 중요도를 구분하는 것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즉, 비록 하나의 trap에 경보 정보가 수신되나, 도 2의 (2d)의 예와 같이 trap내의 변수 묶음(variable binding)을 해석하여 변수 묶음(variable binding)의 값에 따라 trap의 중요도가 달라 질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변수 묶음(variable binding)의 값이 1 이면 긴급으로, 0 이면 긴급 해제로 정보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위의 구조에서 몇 번째 변수 묶음(variable binding)의 어떤 값에 대하여 중요도가 달라지는 지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 한다. 이에 따른 구조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DOCTYPE alarm_conf [
<!ELEMENT alarm_conf(alarm_id, severity_value, enterprise, generic, specific,
variable_no?, variable_value?)>
<!ELEMENT alarm_id (#PCDATA)>
<!ELEMENT severity_value (#PCDATA)>
<!ELEMENT enterprise (#PCDATA)>
<!ELEMENT generic (#PCDATA)>
<!ELEMENT specific (#PCDATA)>
<!ELEMENT variable_no (#PCDATA)>
<!ELEMENT variable_value (#PCDATA)>
]>
여기에서, 변수를 나타내는 수(variable_no)는 도 2의 (2e)의 예와 같이 trap의 변수 묶음(variable binding)에서 몇 번째 변수를 검색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이고, 해당 변수의 값이 "variable_value"라 한다. 두 정보는 trap에 따라 있을 수도 혹은 없을 수도 있으므로, 발생 지시자가 '?'로 표시되었다.
한편, 상기 제5과정에서의 중요도 해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trap이 발생하여 일정한 상태의 중요도를 가지는 네트워크 장비에 대하여 해제 trap이 수신되어 기존에 네트워크 장비에 대하여 유지되었던 상태 정보가 해제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해제 trap이 기존에 유지되어 있던 경보 상태 중 어느 것에 대한 해제 정보인가를 구분해 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alarm_conf 구조에 다음과 같은 요소가 추가된다.
<!DOCTYPE alarm_conf [
<!ELEMENT alarm_conf(alarm_id, severity_value, enterprise, generic, specific, variable_no?, variable_value?, target_alarm*)>
<!ELEMENT alarm_id (#PCDATA)>
<!ELEMENT severity_value (#PCDATA)>
<!ELEMENT enterprise (#PCDATA)>
<!ELEMENT generic (#PCDATA)>
<!ELEMENT specific (#PCDATA)>
<!ELEMENT variable_no (#PCDATA)>
<!ELEMENT variable_value (#PCDATA)>
<!ELEMENT target_alarm (#PCDATA)>
]>
여기에서 target_alarm은 해제 trap의 경우 해제해야 할 대상 경보의 ID를 지정한다. 통상적으로 target_alarm은 존재할 수도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여러 개에 대해서 해제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발생 지시자가 '*'로 표시된다.
상기 제4과정에서와 같이 수신되는 실제 경보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함께 실제 수신되는 trap을 관리하기 위한 구조는 단순하다. 네트워크 장비를 식별할 수 있는 NE ID(일반적으로는 IP address를 사용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장비의 어느 부분에서 해당 정보가 발생하였는지를 구분하는 dn, 및 alarm_conf 구조로부터 alarm_id와 severity로 구성된다.
<!DOCTYPE alarm_info [
<!ELEMENT alarm_info(ip, dn, alarm_id, severity_value)>
<!ELEMENT ip (#PCDATA)>
<!ELEMENT dn (#PCDATA)>
<!ELEMENT alarm_id (#PCDATA)>
<!ELEMENT severity_value (#PCDATA)>
]>
상기 구별 명(dn)을 관리하도록 하는 alarm_info 구조에서 구별 명(dn)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trap PDU내 어느 변수 묶음(variable binding)으로 구별 명(dn)을 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구조가 필요하다.
[!DOCTYPE dn_conf [
<!ELEMENT dn_conf(dn, varible_no*, variable_value*)>
<!ELEMENT dn (#PCDATA)>
<!ELEMENT variable_no (#PCDATA)>
<!ELEMENT variable_value (#PCDATA)>
]>
여기에서, 변수의 수(variable_no)는 trap PDU중 몇 번째 변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이고, 변수의 값(variable_value)는 해당 변수의 값이다. 위 두 값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혹은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발생 지시자가 '*'로 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실시예를 도 1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1) 네트워크 장비의 중요도를 결정할 경보정보를 저장하는 동작,
(3a)과정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SNMP trap을 수신하고, (3b)과정에서 수신된 trap의 PDU로부터 도 2의 (2d)의 포??에서 enterprise OID(Object ID), generic trap type, specific trap type에 대한 정보를 추출해낸다. (3d)과정에서는 (3b)과정에서 추출해 낸 정보를 바탕으로 alarm_conf 구조로부터 현재 수신된 trap의 alarm_id와 중요도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3c)과정에서 해당 trap이 도 2의 (2d)의 variable binding의 내용에 따라 여러 가지 중요도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변수의 수(variable_no )요소의 값을 점검한다. 상기 변수의 수(variable_no) 요소의 값이 존재하면, (3d)과정에서 주어진 값에 해당하는 순서의 변수를 trap PDU로부터 해석하고, 이 값으로 현재 수신된 trap의 alarm_id와 severity를 alarm_conf 구조로 부터 결정한다. 그리고 (3f)과정에서 dn_conf 구조로부터 dn을 결정할 variable binding들의 정보를 수집하여 trap PDU로부터 정보를 읽어 dn을 추출한다. 그러나 상기 (3c)과정에서 변수를 나타내는 변수(variable _no)가 없었을시 (3e)과정에서 PDU로 부터 해당 변수값을 다시 추출하여 상기 (3d)과정부터 계속 실시한다. 다음 (3g)과정에서 (3f)과정의 검출 값으로부터 target_alarm 의 존재여부를 체킹한다. 만약, 결정된 중요도가 해제에 대한 중요도이면, 기존 경보 정보로부터 해제시킬 대상 alarm_id를 구하기 위하여 다시 alarm_conf 구조로부터 target_alarm 을 얻는다. 즉, (3f)과정에서 dn 정보로 부터 (3g)과정에서 target_alarm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target_alarm가 있을시 (3h)과정에서 alarm_info 구조 내에 저장되었던 경보 정보들을 삭제한다. 그러나 (3i)과정에서 target_alarm가 존재하지 않으면 결정된 중요도가 해제가 아니므로 (3i)과정에서 trap PDU로부터 ip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과정에서 얻은 alarm_id와 severity 그리고 상기 과정으로부터 얻은 dn으로 새로운 경보 정보(dnin)를 alarm_info에 저장한다. 다음 (3j)과정에서 (3i)와 (3h)과정의 경우 모두 alarm 정보를 저장한 후 이를 네트워 맵상에 대표 중요도를 표시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경보(alarm)프로세스에게 통보한다.
2),경보정보로부터 네트워크장비 심볼의 대표 중요도를 반영하는 동작,
경보(alarm)프로세스는 알람입력(dbin)프로세스와의 연동과는 무관하게 일단 네트워크 맵상에 대표 중요도를 반영하기 위한 준비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우선적으로, (3l)과정에서 서브네트워크 및 NE심볼의 탐색여부를 체킹한다. 여기서 탐색이 않되었으면 네트워크맵의 기동여부를 (3m)과정에서 파악한다. 기동이 확인이 되면 (3n)과정에서 서브네트워크를 탐색하고, (3o)과정에서 NE심볼을 탐색한다. 즉, 기동되어 있으면, 현재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있는 서브네트워크를 찾아 이로부터 해당하는 네트워크 장비(NE)의 심볼을 찾아낸다. 상기 (3l)과정에서 서브네트워크 및 NE심볼 탐색이 되었으면 (3p)과정에서 dbin 프로세스로부터 새로운 경보가 발생하여 대표 중요도의 변경 가능성이 있음을 알리는 통보를 수신한다. 다음 (3q)과정에서 수신된 alarm정보로부터 해당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대표 중요도를 alarm_info 정보로부터 추출하여 취합하고 (3r)과정에서 사용자의 다양한 표시를 위한 값으로 변환하여 (3s)과정에서 해당 대표 중요도에 맞는 칼라 또는 여러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출력토록 하며, 네트워크 장비의 대표 중요도를 변경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구조 및 알람입력(dbin)프로세스로 인하여 SNMP를 지원하는 모든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경보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 맵에서 네트워크 장비의 다양한 중요도 및 대표 중요도를 표현할수 있어 프로세스와 연계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강력한 EMS 및 NMS로써의 기능을 제공할 수 이점이 있다.

Claims (3)

  1. 간이네트워크관리 포로토콜(SNMP)의 메니저의 네트워크장비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간이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의 메니저가 네트워크의 맵상에서 관리하는 장비로 부터 발생되는 SNMP의 트랩(Trap)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정보를 중요도의 상태에 따라 새로운 알람 입력값으로 받아 관리하며,
    상기 관리된 알람입력정보로 부터 네트워크 맵상의 네트워크 장비 심볼에 대하여 다양한 수단으로 상태정보로 제공함과 동시에 해당 장비의 대표적인 상태정보를 제공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의 메니저의 네트워크장비의 대표상태를 관리 및 표시하는 시스템.
  2. 간이네트워크관리 포로토콜(SNMP)의 메니저의 네트워크장비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간이네트워크관리 포로토콜(SNMP)의 메니저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네트워크장비로 부터 SNMP 트랩(trap)의 PDU를 수신하여 중요도를 결정할수 있는 인자를 추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추출한 트랩(trap) PDU로부터 중요도를 결정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결정된 중요도가 해제에 대한 중요도이면 해제시킬 대상을구하여 저장된알람입력값들을 삭제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결정된 중요도가 해제에 대한 중요도가 아니면 새로운 알람입력값을 저장하고 이를 통보하는 제3과정과,
    서브넷 및 NE 심볼을 탐색이 완료 되었는지를 검출하여 여기서 검출이 않되었으면 기동상태에서 서브넷워크와 NE심볼을 탐색하고 이미 이들이 탐색되었으면 알람입력으로부터 통지 및 트랩을 수신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수신된 통고 및 트랩값에 의해 네트워크 장비별 대표중요도를 취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하게 표시토록 하는 값으로 변환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에서 변환된 값으로 네트워크장비에 대한 대표에 대한 맞는 값으로 다양하게 표시하는 제6과정으로 간이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의 메니저의 네트워크장비의 대표상태를 관리 및 표시하는 방법.
  3. 간이네트워크관리 포로토콜(SNMP)의 메니저의 네트워크장비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간이네트워크관리 포로토콜(SNMP)의 메니저에서 네트워크장비로 부터 SNMP트랩(trap)의 PDU를 수신하여 중요도를 결정할수 있는 인자(E=Enterprise, G=Generic, S=Specific)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추출한 트랩(trap) PDU로부터 변수를 나타내는 수(variable_no)가 되는 요소의 값의 존재 유무를 체크하여 없으면 직접 알람ID(alarm ID)와 서버리티(Severity)를 결정하고 있으면 트랩 PDU로부터 해당 변수의 값을 추출한후에 알람 ID(alarm ID)와 서버리티(Severity)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상기 결정된 알람 ID와 서버리티와 dn_conf로부터 트랩의 dn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추출된 dn정보로 부터 목적로 하는 목표알람정보(Target_alarm)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여 있으면 ip, dn, alarm_id, severity 정보를 알람 정보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dn정보로 부터 목표알람정보(Target_alarm)가 없으면 목표알람정보(Target_alarm)과 dn으로부터 알람(alarm)정보를 삭제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처리된 알람정보의 삭제 또는 새로 저장된 값을 알람 입력값(dbin)으로 통보하고 서브넷 및 NE 심볼을 탐색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탐색이 되었으면 알람 입력값(dbin)으로부터 트랩과 통지값을 수신하며 상기 탐색이 않되었으면 기동여부를 확인하여 가동상태에서 서브넷워크 및 NE심볼을 탐색한후 알람 입력값(dbin)으로부터 트랩과 통지값을 수신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알람 입력값(dbin)으로부터 트랩과 통지값의 수신에 의해 네트워크장비별로 대표 중요도를 취하여 사용자들이 다양하게 상태를 출력하도록 하는 값으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변환된 값에 의해 네트워크장비에 대한 대표 중요도를 처리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의메니저의 네트워크장비의 대표상태를 관리 및 표시하는 방법.
KR10-2001-0076288A 2001-12-04 2001-12-04 간이네트워크관리프로토콜(snmp) 메니저의 네트워크장비의 대표상태의 관리 및 표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464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288A KR100464330B1 (ko) 2001-12-04 2001-12-04 간이네트워크관리프로토콜(snmp) 메니저의 네트워크장비의 대표상태의 관리 및 표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307,303 US20030105861A1 (en) 2001-12-04 2002-12-02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displaying representative severity of network element in SNMP
CN02154394.1A CN1445959A (zh) 2001-12-04 2002-12-04 管理和显示网络单元的典型严重程度的系统和方法
JP2002352907A JP2003203022A (ja) 2001-12-04 2002-12-04 簡易ネットワーク管理プロトコルマネージャーでネットワーク要素の代表状態を管理及び表示する方法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媒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288A KR100464330B1 (ko) 2001-12-04 2001-12-04 간이네트워크관리프로토콜(snmp) 메니저의 네트워크장비의 대표상태의 관리 및 표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536A true KR20030045536A (ko) 2003-06-11
KR100464330B1 KR100464330B1 (ko) 2005-01-03

Family

ID=19716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288A KR100464330B1 (ko) 2001-12-04 2001-12-04 간이네트워크관리프로토콜(snmp) 메니저의 네트워크장비의 대표상태의 관리 및 표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30105861A1 (ko)
JP (1) JP2003203022A (ko)
KR (1) KR100464330B1 (ko)
CN (1) CN14459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2972A1 (en) * 2002-12-20 2004-06-24 Gibson Edward S. Method of guaranteed delivery of SNMP traps across a wide area network
CN100452716C (zh) * 2004-08-27 2009-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集中网络管理系统告警处理方法及集中网络管理系统
CN101163031B (zh) * 2006-10-10 2010-09-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用户的网管告警的提示方法
US7702803B2 (en) * 2007-02-24 2010-04-20 Wipro Limited Security enhancement for SNMPv2c protocol
US9413615B1 (en) * 2012-03-02 2016-08-09 Juniper Networks, Inc. Trap filtering within a device management protocol
US10382252B2 (en) 2012-06-26 2019-08-13 Juniper Networks, Inc. Filtering within device management protocol queries
KR101685892B1 (ko) * 2015-03-25 2016-12-13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가상 장비 네트워크 시스템
CN107276813A (zh) * 2017-06-30 2017-10-20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snmp‑trap告警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6306B1 (en) * 1995-06-08 2002-09-24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health status of network devices
US5802146A (en) * 1995-11-22 1998-09-01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Maintenance operations console for an advanced intelligent network
KR0152231B1 (ko) * 1995-12-16 1998-10-15 양승택 원격지 망관리 시스템에서 집중형 액세스 노드 시스템의 장애 관리 방법
US6182157B1 (en) * 1996-09-19 2001-01-30 Compaq Computer Corporation Flexible SNMP trap mechanism
KR0175595B1 (ko) * 1996-10-11 1999-04-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동기식전송방식(atm) 장치에서 단순망관리규약(snmp)을 사용한 원격지에서의 장애관리방법
US6425006B1 (en) * 1997-05-13 2002-07-23 Micron Technology, Inc. Alert configurator and manager
US6044468A (en) * 1997-08-25 2000-03-28 Emc Corporation Secure transmission using an ordinarily insecure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SNMP
US6404743B1 (en) * 1997-11-04 2002-06-1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Enhanced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for network and systems management
US6181776B1 (en) * 1997-12-24 2001-01-30 Nortel Networks Limited Network management of automatic call distributor resources
FR2777723B1 (fr) * 1998-04-15 2000-06-23 Bull Sa Procede et systeme d'administration de reseaux et de systemes
US6253243B1 (en) * 1998-12-04 2001-06-26 Sun Microsystems, Inc. Automated trap control for a distributed network management system
US6446136B1 (en) * 1998-12-31 2002-09-03 Computer Associates Think,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orrelation of events
US6366926B1 (en) * 1998-12-31 2002-04-02 Computer Associates Thin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ynamic filtering and routing of events
KR100627715B1 (ko) * 1999-12-03 2006-09-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망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에스엔엠피 기반의 망 관리 트래픽 제어 방법
KR100416044B1 (ko) * 2001-07-24 2004-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 시스템 상태 정보 처리 방법
KR20030021862A (ko) * 2001-09-08 2003-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엠에스 서버와 에이전트 간의 장애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45959A (zh) 2003-10-01
KR100464330B1 (ko) 2005-01-03
JP2003203022A (ja) 2003-07-18
US20030105861A1 (en) 200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5435B1 (en) Batch transfer system and method for high performance graphic display of network topology
EP1014748B1 (en) Management system for a multi-level communication network
KR100716167B1 (ko)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20165934A1 (en) Displaying a subset of network nodes based on discovered attributes
EP1715621A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devices with a console server
CN107040429A (zh) 一种端口转发性能的测试方法及系统
KR100464330B1 (ko) 간이네트워크관리프로토콜(snmp) 메니저의 네트워크장비의 대표상태의 관리 및 표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1409654A (zh) 一种网络管理系统中处理snmp信息的方法
CN114553672A (zh) 一种应用系统性能瓶颈确定方法、装置、设备、介质
JP2005237018A (ja) ネットワークマネージメントシステムへのデータ送信
US8745181B2 (en) Generic SNMP information collection
Cisco Managing ITP Networks Using SGM
Cisco Workgroup MIB Reference
Cisco Workgroup MIB Reference
Cisco Workgroup MIB Reference
Cisco Workgroup MIB Reference
Cisco Workgroup MIB Reference
Cisco Introduction to Cisco MIBs
Cisco Introduction to Cisco MIBs
Cisco TrafficDirector Release 5.5.1 Installation and Release Notes for Windows NT and Solaris
Cisco Introduction to Cisco MIBs
Cisco Introduction to Cisco MIBs
Cisco Referencing Workgroup MIB
Cisco Referencing Workgroup MIB
JP4167260B2 (ja) 情報取得装置およ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