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5339A -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5339A
KR20030045339A KR1020010075988A KR20010075988A KR20030045339A KR 20030045339 A KR20030045339 A KR 20030045339A KR 1020010075988 A KR1020010075988 A KR 1020010075988A KR 20010075988 A KR20010075988 A KR 20010075988A KR 20030045339 A KR20030045339 A KR 20030045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voltage
clutch
battery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의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텍
Priority to KR1020010075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5339A/ko
Publication of KR20030045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33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8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requiring starting of a prime-mo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의 내부에 발전장치와 구동장치를 구비하여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완전충전을 가능하게 하며, 배터리의 충전조건에 대응하여 충전전력을 일정한 세기로 제어함으로써 안정적인 충전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기기의 본체에 내장되어 수동조작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수단; 및 상기 발전수단에서 발전된 전력을 지정된 전압으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전압의 세기를 배터리의 충전전압에 상응하는 세기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수단은 그 일측 중앙부에 지지축 기능을 하는 요홈이 내측으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며, 그 중앙부에 하우징을 관통하는 회전축이 구비된 지지수단; 상기 하우징의 요홈 외주면에 끼워지며, 권선시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수단; 상기 탄성수단의 단부가 그 내면에 고정되어 회전동력을 지지수단에 제공하는 회전동력 제공수단; 및 상기 회전동력 제공수단의 일측에 끼워지며, 그와 연동하여 상기 지지수단에 회전토크를 전달하는 토크전달수단을 포함하는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A self-charge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일반 휴대용 단말기, 휴대폰등과 같은 전자기기나 배터리가 필요한 각종 완구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자기충전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동동작으로 발전기구를 수회 작동시켜 배터리가 충분히 충전될 수 있도록 한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입자 단말기가 위치하는 장소와 시간적인 제약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상대측과의 통신이 가능한 개인이동통신서비스가 시행되면서부터 휴대폰이나 셀룰라 폰, 개인휴대 단말기등과 같은 통신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통신기기는 실생활에 매우 밀접하게 적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각종 휴대용 통신기기에는 통화대기 또는 통화중에 소요되는 정격전압의 급전을 위해 충전식 배터리팩이 필수적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그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의 수에 따라 휴대가능 통신장치의 통화대기시간 또는 통화시간이 결정되고 있다.
상기 배터리팩은 리튬이온 배터리셀, 수소 배터리셀, 니켈-카드뮴 배터리셀등이 있으며, 통상 어댑터를 구비한 충전기에 일정한 시간동안 충전시켜야만 안정적인 작동전원이 공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배터리팩이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는 배터리셀의 충전전압이 정격전압레벨의 이하로 방전되면, 통신장치에 정상적인 작동전원을 공급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해당 통신기기의 발신 또는 착신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통화중에 충전전압이 정격레벨 이하로 저하될 경우, 정상적인 통화메세지의 교환이 중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를 소지하는 사용자나 배터리팩이 사용되는 완구등은 수시로 충전할 수 없으므로, 추가적으로 예비 배터리를 휴대해야만 하는데, 이 경우에 분실의 염려가 항상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핸드폰 통화량이 많은 사람이나 출장이 잦은 직장인, 장기간 주거지를 벗어나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예비 배터리와는 별도로 반드시 충전기를 소지해야 하는데, 상기 충전기가 어댑터와 거치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무겁고 휴대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또 충전시에는 수시간을 소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여러가지 배터리의 자기충전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데, 그 일예로 국내 특허등록 제0244934호에 개시된 자기충전용 축전지는 태양광에 의해 축전되는 태양전지와,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와, 태양전지 및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기의 극성에 관계없이 균일한 극성으로 축전지에 충전하는 제어부와, 이 제어부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는 축전지 및 이 축전지의 전기를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에 공급되게 전원단과 결합되는 출력단으로 구성되어 자가충전을 하고 있다.
상기의 장치는 구성부품이 많으며, 소형화할 수 없기 때문에 휴대폰에 내장할 수 없으며, 또 태엽스프링의 탄성만으로는 충전하기에 충분한 발전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치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출력의 발전기와 태엽스프링의 감김부가 상당히 크게 되어야 하며, 또한 부피가 크고 내장할 수 없는 구조인 경우에는 기존의 충전기와 마찬가지로 사용상의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손의 악력이나 발로 밟아서 얻어진 에너지로 충전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들면 실용신안등록 제0225233호가 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충전장치들은 휴대하기가 불편하고, 구동시키는데 매우 힘이 들 뿐만 아니라, 충분한 양의 전력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기기의 내부에 발전장치와 구동장치를 구비하여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완전충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전조건에 대응하여 충전전력을 일정한 세기로 제어함으로써 안정적인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에 내장가능한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자기충전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요부인 발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정단면도.
도2c는 도2b에서의 클러치와 기어의 결합상태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요부인 발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정단면도.
도3c는 도3b에서의 클러치와 기어의 결합상태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요부인 발전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정단면도.
도4c는 도4b에서의 클러치와 기어의 결합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요부인 PCB 블럭도.
도6은 본 발명의 자기충전장치가 휴대폰에 내장되는 일예시를 보여준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구동부 2: 발전부
3: 컨버터 회로부 4: 충전지
11: 하우징 12: 기어
13: 태엽스프링 14: 풀리
15: 핸드로프 와이어 16: 클러치
17: 제너레이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기기의 본체에 내장되어 수동조작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수단; 및 상기 발전수단에서 발전된 전력을 지정된 전압으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전압의 세기를 배터리의 충전전압에 상응하는 세기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그 일측 중앙부에 지지축 기능을 하는 요홈이 내측으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며, 그 중앙부에 하우징을 관통하는 회전축이 구비된 지지수단; 상기 하우징의 요홈 외주면에 끼워지며, 권선시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수단; 상기 탄성수단의 단부가 그 내면에 고정되어 회전동력을 지지수단에 제공하는 회전동력 제공수단; 및 상기 회전동력 제공수단의 일측에 끼워지며, 그와 연동하여 상기 지지수단에 회전토크를 전달하는 토크전달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는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고 자기발전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배터리에 안정적인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의 본체에 내장되어 수동조작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1)와; 상기 구동부(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부(2)와; 상기 발전부(2)에서 발전된 전력을 지정된 전압으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전압을 공칭전압에 상응하는 전압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컨버터 회로부(3)와; 상기 컨버터 회로부(3)를 통하여 제어된 전압이 인가되는 충전지(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1)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 중앙부에 지지축 기능을 하는 요홈(11a)이 내측으로 형성된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장착되며, 하우징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회전축(12a)이 구비된 기어(12)와; 상기 하우징(11)의 요홈(11a) 외주면에 끼워지며, 권선시 탄성력을 발생하는 태엽 스프링(13)과; 상기 태엽스프링(13)의 단부가 그 내면에 고정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태엽스프링(13)이 감겨지도록 하는 풀리(14)와; 상기 풀리(14)에 감겨져 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핸드 로프 와이어(15)와; 상기 풀리(14)의 일측 양부에 끼워지며, 각운동을 하면서 회전토크를 기어(12)에 전달하는 클러치(16); 및 상기 기어(12)의 회전축(12a)에 끼워져 그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발생하는 제너레이터(17)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클러치(16)는 그의 일측이 상기 풀리(14)에 끼워져 고정되며, 그 타측은 풀리(14)의 회전에 따라 각운동을 하여 기어(12)의 치 사이의 걸림부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기어(1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조, 즉 기어(12)의 내측에 클러치(16)가 위치되어 기어(12)의 치에 걸리도록 하는 외치형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16)가 기어(12)의 외측에 위치되어 기어(12)의 치에 걸리도록 하는 내치형 구조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외치형 구조보다 보다 높은 회전력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풀리(14)의 내측에 태엽스프링(13)이 감겨져 하우징(11)의 요홈(11a)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풀리(14)에 감겨진 핸드 로프 와이어(15)를 당기게 되면, 상기 풀리(14)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태엽스프링(13)이 감겨지게 된다. 상기 풀리(14)의 회전력은 클러치(16)와 기어(12)를 통하여 상기 기어(12)의 회전축(12a)에 연결된 제너레이터(17)에 전달되어 전력을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풀리(14)가 회전을 하게 되면 그에 결합된 클러치(16)의 타측이 각운동을 하여 기어(12)의 치 사이 걸림턱에 끼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기어(12)와 함께 클러치(16)가 회전하여 회전토크를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핸드로프 와이어(15)를 놓게 되면, 태엽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감김방향 반대쪽으로 풀어지면서 상기 풀리(14)가 역회전을 하고,핸드로프 와이어(15)가 상기 풀리(14)에 감겨지게 된다.
여기에서도, 상기 클러치(16)는 풀리(14)와 동일한 역방향으로 각운동으로 하여 기어(12)의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되어 초기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핸드로프 와이어(15)를 수회동안 당겼다 놓게 되면, 기어(12)는 계속적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너레이터(17)가 전력을 발생하고, 이 전력이 충전지에 충전되는 것이다.
이밖에 다른 실시예로 도4a 내지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 회전장치를 사용하여 한 방향으로만 동력이 전달되고 다른 방향으로는 태엽스프링(13)에 의해 외부만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리(14)의 하부 내측에 끼워지며, 시계방향(정방향)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폭이 좁은 후미부와 폭이넓은 선미부를 가지는 굴곡홀(31a)이 120°방향으로 3개 형성된 클러치(31)와; 상기 클러치(31)의 굴곡홀(31a)내에 위치하며, 그 중앙부에 제너레이터(17)를 함께 지지하는 축(32a)이 구비된 마찰원판(32)과; 상기 풀리(14)의 정방향 회전시 클러치(31)의 굴곡홀(31a) 후미부에 끼워져 마찰원판(32)과 접촉하여 그에 회전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풀리(14)의 역방향 회전시, 상기 클러치(31)의 굴곡홀(31a) 후미부에서 상기 굴곡홀(31a)의 선미부로 위치이동되어 상기 선미부에 자유상태로 위치하는 단차 형상의 롤러(33)로 구성된다.
상기의 일방향 회전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상기 핸드로프 와이어(15)를 잡아당기면, 상기 풀리(14)가 정회전을 하여 클러치(31)에 인가한다.상기 클러치(31)가 정방향 회전을 할때, 롤러(33)가 클러치(31)의 굴곡홀(31a)의 후미부에 끼워져 상기 마찰원판(32)에 접촉하고, 마찰력에 의해 상기 클러치(31)와 함께 정회전을 하여 제너레이터(17)에 회전토크가 전달되는 것이며, 반대로 상기 핸드로프 와이어(15)를 놓게 되면, 태엽스프링(1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풀리(14)가 역방향(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클러치(31)도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롤러(33)는 굴곡홀(31a)의 후미부에서 이탈되어 마찰원판(32)과의 접촉이 해제된 상태로 선미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마찰원판(32)에는 역방향 회전토크가 전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배터리의 충전조건(용량)에 대응하여 일정한 세기의 전력이 배터리에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대하여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27)의 충전전압과 기준전압 발생부(26)로부터 출력되는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출력하는 에러앰프(21)와; 상기 제너레이터(17)로부터 DC 전압이 발생될 경우 하이신호를 발진하며, 기준전압 근처에서 방전을 수행하는 캐패시터 타임(CT)이 연결된 발진부(22)와; 상기 에러앰프(21)에서 출력된 신호와 발진부(22)에서 출력된 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23)와; 상기 앤드 게이트(23)의 출력신호를 일시적으로 유지 기억하는 래치부(24)와; 상기 래치부(24)에서 인가된 신호를 스위칭하여 배터(27)에 일정한 세기의 전압을 제공하도록 온/오프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 조정기(25)와; 상기 에러앰프의 입력단에 피드백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저항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본체에 내장되도록 소형화가 가능하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본체(41)의 하부에 본 발명의 충전기 모듈(42)이 장착되되, 상기 PCB에 연결된 배터리 단자(42a)가 배터리(43)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본체(41)의 커버(44)는 충전기 모듈에 맞춰 하부가 약간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일측면에는 충전기 모듈(42)의 핸드 로프 와이어(45)가 인출될 수 있도록 홀(44a)이 형성된다.
상기 제너레이터(17)에서 발생된 전력이 충전지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과정을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배터리(27)의 충전전압과 기준전압 발생부(26)로부터 출력된 기준전압을 에러 앰프(21)에서 비교하여 기준전압과 동일 레벨일 경우 로우(low)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27)의 충전전압이 기준전압과 동일레벨이 아닐 경우, 즉 높거나 낮을 경우 하이(high)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 신호는 앤드 게이트(AND gate)의 일측 a단자에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에러앰프(21)의 입력단에는 제1 및 제2 저항을 통하여 배터리(27)로부터 피드백된 전압이 공급된다.
상기 제너레이터(17)에서 DC전압이 발생되어 발진부(22)에 입력되면, 상기 발진부(22)는 "하이"신호를 앤드 게이트(23)의 타측 b단자에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앤드 게이트(23)의 a, b입력단자에 인가된 하이 또는 로우신호의 연산을 수행하여 출력 c단자에 인가한다. 상기 앤드 게이트(23)의 출력c단자에서 출력된 신호는 래치부(24)에 인가되어 일시 저장된다.
상기 래치부(24)에서 "하이"값이 세팅될때, 스위칭 조정부(25)에서는 하이 전압인지 로우전압인지를 판단하여 온/오프 동작을 함으로써 배터리(27)의 충전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발진부(22)의 제어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발진부(22)의 듀티주기 제어가 진행되고 있는 동안이나 배터리(27)의 출력값이 충전전압이하일 경우에 "하이"신호가 앤드 게이트(23)의 b단자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앤드 게이트(23)의 출력 c단자는 "하이"신호로 래치부(24)에 세팅된다. 상기 발진부(26)가 기준전압 근처에 도달했을 때, 캐패시터 타임(capacitor time; CT)은 방전을 시작하고, "로우(low) 신호가 앤드 게이트(23)의 입력 a단자에 공급된다.
"로우"신호가 앤드 게이트(23)에 공급될 경우에는 상기 듀티주기 제어가 펄스 폭을 좁게 하여 로우 상태를 유지한다. 만약 또다시 배터리(27)의 충전전압이 부하의 환경조건등으로 인하여 떨어질 때에는 피드 백(feed back)저항 R1을 통하여 에러앰프(21)에서 기준전압 발생부(26)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앤드 게이트(23)의 a단자에 "하이"신호를 공급하고, 발진부(22)에서는 듀티 주기값을 다시 "하이" 상태로 펄스값을 넓게 하여 "하이"값을 앤드게이트(23)의 b단자에 입력한다.
이때, 상기 래치부(24)는 "하이"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스위치 조정부(25)에서 배터리 전압을 충전전압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에서는 배터리(27)의 충전전압을 항상 일정하게 하여 전압 강하가 발생시 에러앰프(21)에서 감지하여 일정전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하며, 이때 상기 발진부(22)에서는 듀티주기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앤드게이트(23)의 출력신호에 따라 스위치 조정기(25)를 동작시켜 충전을 함으로서 배터리(27)에서 요구하는 충전전압을 발전기 출력의 변화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하여 배터리(27)의 충전조건에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충전용 어댑터가 필요없이 자기 발전을 가능하게 하여, 핸드폰 통화량이 많거나 장거리 여행시에도 필요시마다 배터리를 신속히 충전할 수 있으며, 휴대기기 본체에 내장됨으로써 휴대가 간편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배터리의 충전용량에 대응하여 충전을 행함으로써 배터리에 안정적인 충전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1)

  1. 그 일측 중앙부에 요홈이 내측으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며, 그 중앙부에 하우징을 관통하는 회전축이 구비된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의 회전축에 끼워지며, 지지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수단;
    상기 하우징의 요홈 외주면에 끼워지며, 권선시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수단;
    그 외주면에 핸드로프 와이어가 감겨지고, 그 내면에 상기 탄성수단의 단부가 고정되어 회전동력을 지지수단에 제공하는 회전동력 제공수단; 및
    상기 회전동력 제공수단의 일측에 끼워지며, 그와 연동하여 상기 지지수단에 회전토크를 전달하는 토크전달수단을 포함하는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이 태엽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동력 제공수단은
    그 일측 양부에 토크전달수단을 끼워 지지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풀리로 이루어진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이 기어로 이루어진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전달수단은
    일방향 회전장치로 이루어진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그 일측이 풀리에 끼워지며, 그 타측은 상기 풀리의 회전동작에 따라 각운동을 하여 기어의 내치면에 걸리는 클러치로 이루어진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전달수단은
    그 일측이 풀리에 끼워지며, 그 타측은 상기 풀리의 회전동작에 따라 각운동을 하여 기어의 외치면에 걸리는 클러치로 이루어진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이 마찰원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토크전달수단은
    풀리의 하부 내측에 끼워지며, 시계방향(정방향)을 향하여 폭이 넓어지도록 폭이 좁은 후미부와 폭이 넓은 선미부를 가지는 다수의 굴곡홀이 소정 각도에 형성된 클러치; 및
    상기 풀리의 정방향 회전시 클러치의 굴곡홀 후미부에 끼워져 상기 마찰원판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풀리의 역방향 회전시 상기 굴곡홀의 선미부에 자유상태로 위치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의 굴곡홀은 120°방향으로 3개 형성된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수단에서 발전된 전력을 지정된 전압으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전압의 세기를 배터리의 충전전압에 상응하는 세기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배터리의 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출력하는 비교수단;
    상기 발전수단으로부터 전력이 발생될 경우, 하이신호를 발진하며 기준전압 근처에서 방전을 수행하는 캐패시터 타임이 연결된 발진수단;
    상기 비교수단에서 출력된 신호와 발진수단에서 출력된 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논리곱 연산수단;
    상기 논리곱 연산수단의 출력신호를 일시적으로 유지, 기억하는 래치수단; 및
    상기 래치수단에서 인가된 신호를 스위칭하여 배터리에 일정한 세기의 전압을 제공하는 스위칭 조정수단
    을 포함하는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
KR1020010075988A 2001-12-03 2001-12-03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 KR20030045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988A KR20030045339A (ko) 2001-12-03 2001-12-03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988A KR20030045339A (ko) 2001-12-03 2001-12-03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339A true KR20030045339A (ko) 2003-06-11

Family

ID=29572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988A KR20030045339A (ko) 2001-12-03 2001-12-03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533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141B1 (ko) * 2017-12-28 2019-04-09 주식회사 나스켐 휴대용 자가발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듈
KR101967139B1 (ko) * 2017-12-28 2019-04-09 주식회사 나스켐 휴대용 자가발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듈
KR20220014484A (ko) * 2020-07-29 2022-02-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986A (ko) * 1993-10-04 1995-05-17 김기호 태엽발전장치
US5917310A (en) * 1995-08-07 1999-06-29 Baylis Generators Limited Spring operated current generator for supplying controlled electric current to a load
JP2001231234A (ja) * 2000-02-10 2001-08-24 Hyper Electronics:Kk 携帯用発電機
JP2001257615A (ja) * 2000-03-13 2001-09-21 Office Ozawa:Kk 手動発電装置を備えた携帯電話機
KR20010110538A (ko) * 2000-06-07 2001-12-13 황의식 자가발전수단이 내장된 요요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전자기기
KR200261010Y1 (ko) * 2001-10-29 2002-01-17 (주)마린바이오테크 휴대용수동발전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986A (ko) * 1993-10-04 1995-05-17 김기호 태엽발전장치
US5917310A (en) * 1995-08-07 1999-06-29 Baylis Generators Limited Spring operated current generator for supplying controlled electric current to a load
JP2001231234A (ja) * 2000-02-10 2001-08-24 Hyper Electronics:Kk 携帯用発電機
JP2001257615A (ja) * 2000-03-13 2001-09-21 Office Ozawa:Kk 手動発電装置を備えた携帯電話機
KR20010110538A (ko) * 2000-06-07 2001-12-13 황의식 자가발전수단이 내장된 요요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전자기기
KR200261010Y1 (ko) * 2001-10-29 2002-01-17 (주)마린바이오테크 휴대용수동발전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141B1 (ko) * 2017-12-28 2019-04-09 주식회사 나스켐 휴대용 자가발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듈
KR101967139B1 (ko) * 2017-12-28 2019-04-09 주식회사 나스켐 휴대용 자가발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듈
WO2019132255A1 (ko) * 2017-12-28 2019-07-04 주식회사 나스켐 휴대용 자가발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듈
WO2019132254A1 (ko) * 2017-12-28 2019-07-04 주식회사 나스켐 휴대용 자가발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듈
KR20220014484A (ko) * 2020-07-29 2022-02-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0186B2 (en) Apparatus for supplying auxiliary power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6127801A (en) Battery pack assembly
AU2002236363B2 (en) Back-up battery for a cellular telephone
US6242827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means and a battery pack therefor
JP2008533961A (ja) 双方向性バッテリー充電コントローラ
KR100512399B1 (ko) 배터리 팩
JPH05299125A (ja) 金属−空気電池
US20030040344A1 (en) Power caching pan architecture
KR100321945B1 (ko) 충전전류의인가를제어하기위한내부충전조절기를갖는전자장치및재충전가능전원의재충전방법
GB2307143A (en) Mechanically Powered Radio Transceiver
US7248902B2 (en) Multi-mode power supply device of wireless earphone
KR20030045339A (ko) 휴대기기용 자기충전장치
JPH1032934A (ja) 携帯電話用二次電池の充電装置
KR100267736B1 (ko) 자기충전모듈 내장형 배터리팩
CN213342346U (zh) 一种充电手机壳
KR200220513Y1 (ko) 휴대용 휴대폰 발전기
KR19990042458A (ko) 휴대폰 배터리 팩의 자기충전장치
KR200272187Y1 (ko) 휴대용 자가발전기
KR100449051B1 (ko) 건전지와 니켈도금 자석을 이용한 분리형 휴대폰 충전기
JPH09149559A (ja) 充電装置
JPH065231U (ja) 携帯用通信機器
WO2002052671A1 (en) Self-charged battery free of charger
KR200253479Y1 (ko) 건전지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대용 및 충전장치
KR20030089875A (ko) 휴대용 핸드폰 충전장치
CN116846136A (zh) 全自动手机平板充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