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4720A - 권한 기술을 통한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 - Google Patents

권한 기술을 통한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4720A
KR20030044720A KR1020010075565A KR20010075565A KR20030044720A KR 20030044720 A KR20030044720 A KR 20030044720A KR 1020010075565 A KR1020010075565 A KR 1020010075565A KR 20010075565 A KR20010075565 A KR 20010075565A KR 20030044720 A KR20030044720 A KR 20030044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ract
user
digital item
descri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문증
최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5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4720A/ko
Publication of KR20030044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720A/ko

Links

Landscapes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상거래에 관련된 활동에서 디지털 아이템, 사용자 정보, 권한허용정보, 계약정보를 분리하여 운용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유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서버에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가 사용자의 식별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의 신상 명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디지털 아이템 서버에 저장되는 디지털 아이템 정보가 사용자에 대한 역할 정보와 지적재산에 대한 저작권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권한 허용서버에 저장되는 권한허용 정보가 그에 대한 식별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디지털 아이템 식별 정보, 권한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 권한에 대한 분류 정보, 권한을 이행하기 위한 조건 정보와 약정 정보를 포함하고, 계약 서버에 저장되는 계약 정보가 그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디지털 아이템 식별 정보, 계약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 계약에 관련된 권한허용 정보를 가리키는 식별 정보, 그리고 이전에 진행되었던 계약이 있으면 그 계약 정보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권한 기술을 통한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OF DIGITAL ITEMS USING RIGHTS EXPRESSIONS}
본 발명은 전자 상거래에 관련된 활동에서 디지털 아이템의 유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생성, 가공, 거래, 전달, 관리, 저장, 소모 등의 전자 상거래에 관련된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취급 단위에 대하여 융통성, 일관성, 상호 호환적인 규약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생성, 가공, 거래, 전달, 관리, 저장, 사용 등의 전자 상거래를 위한 데이터의 취급 단위를 디지털 아이템이라고 한다. 즉, 지적 재산 가치가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반 취급 활동의 단위로 디지털 형태로 표현(혹은 코딩, 포맷팅)되어 네트워크나 터미널에서 취급, 거래, 이용되는 기본적이고 구조적인 디지털 컨텐츠 단위를 디지털 아이템(Digital Item)이라고 한다.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전자 상거래 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비추어 볼 때 전자 상거래를 위한 멀티 미디어 데이터의 취급 단위에 대한 정의 모델의 부재는 전자 상거래시의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는 잠재적 요인으로 잠복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전자 상거래 비즈니스 모델의 모든 사용자(디지털 아이템 생성자, 공급자, 분배자, 소비자, 지적 재산권 행사자, 산업 재산권 행사자, 금융 서비스자, 상거래 감시자 등, 전자 상거래의 비즈니스 모델과 관련된 모든 주체)의 역할 관계를 최대한 고려한, 국제 표준 기구인 ISO/IEC SC29/WG11 내의 MPEG-21에서 디지털 아이템 정의를 규정하고 디지털 아이템이 전자 상거래 상의 주체나 그와 관련된 요소 기술(description)과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융통성, 일관성, 상호 호환성을 갖도록 국제 표준으로 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전자 상거래 상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타의 생성, 가공, 거래, 전달, 관리, 저장, 이용, 소비(소모) 등의 전자 상거래에 관련된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관리와 보호를 위한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의 발달로 전자 상거래 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전자 상거래를 위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관리 및 보호를 위한 시스템의 부재는 전자 상거래에 필요한 상호 호환적인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이유로, 전자 상거래의 비즈니스 모델 사용자나 그와 관련된 기술과의 연관성을 고려하고, 어떠한 네트워크 환경이나 터미널을 고려하지 않아도, 전자 상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MPEG-21 프레임워크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사용자의 지적 재산 권한을 위한 관리 및 보호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아이템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시, 디지털 아이템의 생성, 가공, 거래, 전달, 관리, 저장, 이용, 소모 등 일련의 과정에 관련된 모든 개인, 기관, 정부 등을 가리켜 모두 사용자(User)라고 한다. 또한 디지털 아이템 생성자, 공급자, 분배자, 소비자, 특허권 행사자 등, 전자상거래 비즈니스 모델과 관련된 모든 주체도 사용자라고 정의한다.
위와 같이 전자 상거래에 관련된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디지털 아이템의 생성, 공급, 분배, 소비, 특허권 행사 등의 권리에 대해 소유권자라고 요구할 수 있는 특권을 권한허용(Permission)이라 하고, 조건과 약정을 정하여 이 디지털 아이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권한 허용에 대한 조건과 약정을 정하는 일련의 모든 행동이나 양식을 계약(Contract)이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계약은 디지털 아이템을 생성하고, 판매하고, 구입하며, 분배하는 모든 과정을 포함한다.
기존의 권한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지적 재산으로서 가치 있는 디지털 아이템을 영속적으로 유지, 관리 및 보호하며, 이를 거래 시 사용자 간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공유하고, 보호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로 특정 응용 분야, 예를 들면 컴퓨터 보안 시스템이나 은행의 인터넷 뱅킹 시스템, 인터넷 서점의 전자책 읽기 시스템 등에 한정되어 있고, 전자 상거래에 필요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지적 재산 권한에 대한 상호 호환적인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았다.
시스템에 사용하는 권한 기술의 예로는 IMPRIMATUR, ODRL(Open Digital Rights Language), XrML(eXtensible rights Markup Language), <indecs> 등이 있다. 상기 IMPRIMATUR, ODRL, XrML, <indecs> 등은 기술 언어(표현 형태)로서, IMPRIMATUR은 디지털 아이템의 생성, 가공, 거래, 전달, 관리, 저장, 소모 등의 전자 상거래에 관련된 비지니스 모델(bussiness model)을 정의한 것이며, ODRL은 디지털 형태의 재산(asset)에 대한 'terms and condition'을 표현한 표준 'vacabulary'를 정의한 것이며, XrML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권리(rights), 수수료(fee), 조건(condition), 스펙(spec)을 기술한 언어이고, <indecs>는 지적 재산권 관리 기술 모델을 정의한 것이다.
이러한 기존 기술의 특징은 디지털 아이템 내의 기술자(Descriptor) 요소 내에 모든 권한에 관련된 요소들이 표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여러 명의 소비자가 어떤 디지털 아이템을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다고 하자. 그러면, 이 디지털 아이템에는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와 각 사용자에게 적용되는 권한 조건을 기록한다. 그리고, 다른 디지털 아이템에도 마찬가지의 경우로 정보가 기록, 저장되게 된다. 그런데, 만약 어떤 한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여러 디지털 아이템을 동일한 권한으로 이용하려 한다면, 각 디지털 아이템에는 이 사용자에 대한 동일한 정보가 기록되게 되며, 권한 정보 또한 동일한 내용이 기록되게 된다. 이렇게 저장된 모든 디지털 아이템은 하나의 서버에서 관리된다.
도1은 이와 같은 일반적인 디지털 아이템 서비스 시스템을 보여준다. 디지탈 아이템 서버(1)에서 여러 사용자(2,3)에게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디지털 아이템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디지털 아이템 내의 기술자(Descriptor) 요소 내에 모든 권한에 관련된 요소들이 표현되고 이를 하나의 서버에서 서비스하고 있다.
그러므로, 어떤 사용자들이 어떤 디지털 아이템에 대해서 소유권 이전이나 판매 등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였으면, 소유권이 이전되는 모든 디지털 아이템의 소유자 정보와 권한 조건 정보를 이 서버에 접근하여 찾아 모두 수작업으로 변경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디지털 아이템 내에서 권한에 관한 정보를 서술하기 위해 디지털 아이템의 타입에 맞추어 모델을 선택하고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각 모델에 맞는 시스템만을 이용해야 함은 물론, 다른 타입의 디지털 아이템과 합성되는 과정이 일어나면 타 시스템과의 호환성이 없어 이용에 불편을 야기시키게 되었다. 또한, 각 디지털 아이템에 기록되는 데이터들의 중복, 저장되어 발생되는 저장 공간의 낭비와 중복 데이터로 생기는 오류는 효율적이지 못한 시스템을만들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설명한 기존 기술에서 동일한 정보가 반복하여 저장됨으로써 발생되는 중복 데이터를 없애기 위해, 사용자 정보와 권한허용 정보 및 계약 정보를 기본 데이터로 분류하여, 반복되는 데이터를 최소한의 데이터로 관리하여, 데이터 크기를 줄임과 동시에 저장 공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정보, 디지털 아이템 정보, 권한 정보, 그리고 계약 정보 등을 저장, 관리, 보호할 수 있도록, 서버(혹은 시스템)를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각 서버 간의 관련성을 제거함으로써 개인의 신상 정보와 같은 데이터에 대해 비밀성이 보장될 수 있는 안전한 유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정보, 디지털 아이템 정보, 권한 정보, 계약 정보를 각각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해당 정의 모델을 기술하는 방법과, 이 정의 모델을 기술하는 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은 계약 정보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계약의 주체인 사용자에 대한 정보, 계약의 대상인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정보,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권한허용에 관한 정보, 계약에 관한 정보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은상기 분리된 사용자 정보, 디지털 아이템 정보, 권한 허용 정보, 계약 정보는 서로의 연관성을 제거하여 각각 분리된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은 상기 분리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정보 서버에 저장되며 이 서버에서는 사용자의 식별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의 신상 명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은 상기 분리된 디지털 아이템 정보는 디지털 아이템에 의한 정보로서, 디지털 아이템 서버(켄턴츠 서버 혹은 오리진 서버)에 저장되며, 사용자에 대한 역할 정보와 지적재산에 대한 저작권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아이템에 삽입되는 기호(Mark)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은 상기 분리된 권한허용 정보는 권한허용 서버에 저장되며, 권한허용 정보에 대한 식별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디지털 아이템 식별 정보, 권한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 권한에 대한 분류 정보, 권한을 이행하기 위한 조건 정보와 약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은 상기 분리된 계약 정보가 계약 서버에 저장되며, 계약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디지털 아이템 식별 정보, 계약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 계약에 관련된 권한허용 정보를 가리키는 식별 정보, 그리고 이전에 진행되었던 계약이 있으면 그 계약 정보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디지털 아이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아이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에서 디지털 아이템의 관리 및 보호에 관한 기술(Description) 정의 모델과 각 요소 기술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 정보 기술 정의 모델과 각 요소 기술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에서 권한 허용 표현 기술 정의 모델과 각 요소 기술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에서 계약 표현 기술 정의 모델과 각 요소 기술구조를 나타낸 도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은 계약 정보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계약의 주체인 사용자에 대한 정보, 계약의 대상인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정보,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권한허용에 관한 정보, 계약에 관한 정보로 분리함으로써 디지털 아이템에 반복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를 줄이고, 시스템의 일관성 및 무결성을 보장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아이템에는 소유자에 대한 식별자(Identifier) 정보만을 기록하고,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와 사용자 신상 명세 정보를 다른 서버에 저장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로 소유자에 대한 정보의 위치를 가리키게 함으로써 디지털 아이템에 작성되는 사용자 정보의 중복을 피하는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아이템 서버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2에 의하는 바와 같이 상기 분리된 사용자 정보, 디지털 아이템 정보, 권한 허용 정보, 계약 정보는 서로의 연관성을 제거하여 각각 분리된 서버에 의해 관리된다. 즉,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버(4)로부터 사용자(5a,5b,5c)에 디지털 아이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서버(4)가 디지털 아이템 서버(6), 사용자 서버(7), 권한허용 서버(8), 계약 서버(9)로 분리되어 각각의 서버에 의해서 해당 디지털 아이템이 관리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관리는 디디털 아이템 서버(6)에서 수행하고, 신상 정보와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서버(7)에서 관리하고, 디지털 아이템에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로 사용자 정보의 위치를 가리키게 한다. 또한, 누가 어느 기간 동안 어떠한 디지털 아이템에 대해서 어떠한 조건으로 이용하겠다 라는 권한허용 정보는 권한허용 서버(8)에서 관리하며, 사용자 간에 디지털 아이템의 권한을 양도 혹은 이양하게 되었는지에 관한 정보는 계약 서버(9)에서 관리한다.
따라서, 도2의 본 발명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분리된 디지털 아이템 정보는 디지털 아이템에 의한 정보로서, 디지털 아이템 서버(6) 즉, 컨텐츠 서버 혹은 오리진 서버에 저장되며, 사용자에 대한 역할 정보와 지적재산에 대한 저작권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아이템에 삽입되는 기호(Mark) 정보 등을 포함하게 된다. 도3은 이와 같은 디지털 아이템의 관리 및 보호에 관한 기술 정의모델과 그 요소기술 구조에 대해서 보여준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2의 본 발명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에 따르면, 분리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서버(7)에 저장되며 이 사용자 서버(7)에서는 사용자의 식별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의 신상 명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도4는 이와 같은 사용자 정보 기술 정의모델 및 그 요소기술 구조에 대해서 보여준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2의 본 발명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에 따르면, 분리된 권한허용 정보는 권한허용 서버(8)에 저장되며, 권한허용 정보에 대한 식별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디지털 아이템 식별 정보, 권한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 권한에 대한 분류 정보, 권한을 이행하기 위한 조건 정보와 약정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도5는 이와 같은 권한 허용 표현 기술 정의모델 및 그 요소 기술구조에 대해서 보여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에 하기로 한다.
또한, 도2의 본 발명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분리된 계약 정보는 계약 서버(9)에 저장되며, 계약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디지털 아이템 식별 정보, 계약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 계약에 관련된 권한허용 정보를 가리키는 식별 정보, 그리고 이전에 진행되었던 계약이 있으면 그 계약 정보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도6은 이와 같은 계약 표현 기술 정의모델 및 그 요소 기술구조에 대해서 보여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에 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2의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에서 디지털 아이템 서버는 디지털 아이템의 등록, 변경, 추가, 이동, 삭제 등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고 디지털 아이템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 서버(6)에서는 디지털 아이템의 식별자(Identifier)와 기술자(Descriptor) 등 기본적인 기술 정보 및 자원 정보와 디지털 아이템 소유자에 대한 식별자 정보를 관리하고, 디지털 아이템을 찾을 수 있는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도3에 디지털 아이템 서버(6)에서 정의되는 요소 중 관리 및 보호(IPMP)(10)에 관한 요소 기술의 기능을 정의하였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털 아이템의 관리 및 보호에 관한 기술은 로울(ROLES)(11), 마크(MARK)(12), 인증자(AUTHENTICATOR)(13)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울(ROLES)(11)은 크리에이터(CREATOR)(14), 디스트리뷰터(DISTRIBUTER)(15), 라이트홀더(RIGHTS_HOLDER)(16), 유니크 식별자 이슈어(UNIQUE_ID_ISSUER)(17), 프로바이더(PROVIDER)(18), 컨슈머(CONSUMER)(19)를 포함한다.
상기 로울(ROLES)(11)은 디지털 아이템의 생성, 공급, 분배, 소비, 권리 행사 등 약속된 권리를 정의한 기술이며, 상기 마크(MARK)(12)는 디지털 아이템에 추가될 수 있는 표시 정보, 예를 들면 "Title: 'Zeke Zack - The Moby Dog Story' Copyright 1994 Zeke Jones All Rights Reserved"와 같은 표시정보의 기술이며, 상기 인증자(AUTHENTICATOR)(13)는 이 문서를 인증해 준 인증자에 대한 정보를 기술한다. 여기서, 역할 요소의 정의는 'IMPRIMATUR'서 정의한 사용자 분류 정의를 이용하였다.
각 사용자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ID)와 사용자가 디지털 아이템의 소유자, 생성자, 공급자라고 인증해준 인증자에 대한 정보를 갖게 된다. 즉, 크리에이터(CREATOR)(14)는 디지털 아이템의 생성자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고, 디스트리뷰터(DISTRIBUTOR)(15)는 디지털 아이템의 분배자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고, 라이트 홀더(RIGHTS_HOLDER)(16)는 디지털 아이템의 권리행사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고, 유니크 식별자 이슈어(UNIQUE_ID_ISSUER)(17)는 인증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고, 프로바이더(PROVIDER)(18)는 디지털 아이템의 공급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고, 컨슈머(CONSUMER)(19)는 디지털 아이템의 소비에 대한 정보를 기술한다.
도4에는 상기 도2의 사용자 서버(7)에서 다루는 디지털 아이템의 사용자 정보 기술 정의모델과 그 요소 기술구조를 나타내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서버(7)는 사용자의 신상에 관한 기록을 관리하고, 인증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 사용자 서버(7)에서는 사용자 정보의 등록, 추가, 삭제, 수정 등 인증 및 정보 관리 기능 뿐만 아니라 사용자 간 정보 교환과 역할에 따른 사용자 분류와 정보 검색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도4에 나타낸 사용자 서버에서 정의되는 사용자 정보 모델의 요소 기술(2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개인(INDIVIDUAL)(21), 그룹(GROUP)(22), 그리고 개인이나 그룹의 권한을 대행하여 주는 에이전트(AGENT)(23)로 분류하며, 여기에도 인증자 정보가 'AUTHENTICATOR(24)'로 기술될 수 있다.
'INDIVIDUAL(21)'은 사용자 레퍼런스(USER_REFERENCE)(25), 사용자 식별자(USER_ID)(26), 개인 정보(INDIVIDUAL_INFO)(27)를 포함한다. 사용자 레퍼런스(USER_REFERENCE)(25)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고, 사용자 식별자(USER_ID)(26)는 개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기술하며, 이름과 주소 등의 개인 정보는 개인정보(INDIVIDUAL_INFO)(27)에 기술된다.
도4에서, 그룹(GROUP)(22)은 그룹(GROUP) 내에 다른 그룹(혹은 그룹 내의 회원이나 구성원)이 있으면 이들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는 사용자 레퍼런스(USER_REFERENCE)(28)를 포함하며, 또한 그룹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자(USER_ID)(29)와 사용자의 주소, 이력 등 그룹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는 그룹정보1(PERSON_GROUP_INFO)(30)이나 그룹정보2(ORGANIZATION_INFO)(31) 중에서 선택하여 기술한다. 그리고 그룹의 멤버(개인)에 대한 개인정보를 기술하는 'INDIVIDUAL(32)'과 그룹의 멤버(그룹)에 대한 그룹정보를 기술하는 'GROUP(33)'을 포함한다.
상기 그룹정보1(PERSON_GROUP_INFO)(30)는 단체나 소모임 등의 정보를 기술하고, 그룹정보2(ORGANIZATION_INFO)(31)는 기업이나 협회 등의 정보를 기술한다.
여기서, 위와 같은 사용자 정보 기술 정의 모델 및 요소 기술구조에 의해서 정보의 중복 저장(기록)이 방지되는 예를 설명한다.
만약에 어떤 사용자가 'INDIVIDUAL(21)'로 그 사용자 정보가 기술되어 있고 이 사용자가 어떤 그룹의 멤버로 가입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GROUP'에 대한 정보를 기술할 것이지만, 이 사용자가 그룹의 멤버이기 때문에 사용자 정의 모델 구조상 'GROUP(22)' 아래의 'INDIVIDUAL(32)'이라는 요소에 같은 정보가 또 작성될 것이고 이 것은 곧 데이터의 중복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USER_REFERENCE(28)'에 이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가리킬 수 있는 식별자를 표시한다. 그러면 그룹에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알기를 원할 때 'USER_REFERENCE(28)'에 표기된 식별자로 사용자 정보를 찾아간다(여기서 식별자는 이 식별자가 가리키고 있는 정보의 위치를 알고 있다). 또한 'INDIVIDUAL(21)'에서의 'USER_REFERENCE(25)'는 그룹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이 사용자가 다른 곳에 자신을 등록시키고자 할 때 이전에 자신이 등록해 놓은 곳의 정보를 이용하고자 한다면 상기 'USER_REFERENCE(25)'에 자신의 식별자(사용자 식별자)를 표시해 두면 되므로 정보의 중복이 방지된다.
한편, 도4에서 에이전트(AGENT)(23)는 사용자 식별자(USER_ID)(34)를 포함하며, 에이전트 개인정보(INDIVIDUAL_INFO)(35), 그룹정보1(PERSON_GROUP_INFO) (36a), 그룹정보2(ORGANIZATION_INFO)(36b)를 포함하고, 그랜터(GRANTOR)(37)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랜터(GRANTOR)(37)는 사용자 식별자(USER_ID)(38)와 커미션(COMMISSION)(39)을 포함하고, 커미션(COMMISSION)(39)은 아이템 식별자(ITEM_ID)(40)와 사용자 권한허용(USAGE_PERMISSION)(41)을 포함한다.
상기 에이전트(23)에 포함되는 사용자 식별자(USER_ID)(34)는 에이전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ID)를 기술하며, 에이전트 개인정보(INDIVIDUAL_INFO)(35)는 에이전트 정보를 기술하고, 그룹정보1(PERSON_GROUP_INFO)(36a)이나 그룹정보2(ORGANIZATION_INFO)(36b)도 에이전트 정보를 기술하는데, 에이전트 개인정보(INDIVIDUAL_INFO)(35)는 에이전트 개인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고, 그룹정보1(PERSON_GROUP_INFO)(36a)는 에이전트가 단체나 모임일 경우 그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고, 그룹정보2(ORGANIZATION_INFO)(36b)는 에이전트가 협회나 기업인 경우 그에 대한 정보를 기술한다. 즉, 에이전트 정보는 'INDIVIDUAL_INFO(35)'와 'PERSON_GROUP_INFO(36a)', 혹은 'ORGANIZATION_INFO(36b)' 중에서 선택하여 기술한다.
도4에서 그랜터(GRANTOR)(37)는 에이전트에게 대행을 요청한 사용자를 기술하는데, 위임을 요청한 사용자 식별자(USER_ID)(38)와 위임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는 커미션(39)을 포함하는데, 상기 커미션(39)은 위임을 요청할 디지털 아이템의 식별자(ITEM_ID)(40)와 위임 권한 조건을 정의(기술)하는 위임 권한허용(USAGE_PERMISSION)(41)을 포함한다.
도5는 상기 도2에서 권한허용 서버(8)에 따른 권한 허용 표현 기술(42)의 정의모델 및 그 요소 기술구조에 대해서 보여준다. 권한허용 서버(8)는 디지털 아이템을 이용하기 위한 권한 조건이나 약정을 등록하고 인증해 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 권한 허용 서버(8)에서는 디지털 아이템을 등록함과 동시에 본 서버에서 이용 권한을 등록해야 한다. 또한 권한에 대한 이용 기한 설정, 조건 수정, 이용 지역 제한, 사용자 접근 제한, 그리고 사용자 간 합의에 의한 권한 이양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도5에 나타낸 권한허용 서버에서 표현(Expression)될 권한허용 표현 모델의 요소를 설명한다.
권한허용 표현 모델의 요소는 권한허용 식별자(PERMISSION_ID)(43), 사용자 식별자(USER_ID)(44), 아이템 식별자(ITEM_ID)(45), 타임(TIME)(46), 권한허용 스테이트(PERMISSION_STATE)(47), 권한허용 리스트(PERMISSION_LIST)(48), 인증자(AUTHENTICATOR)(49)를 포함한다.
상기 권한허용 식별자(PERMISSION_ID)(43)는 권한 표현(Expression) 문서가 작성되었을 때 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기술한다. 상기 사용자 식별자(USER_ID)(44)는 디지털 아이템의 권한을 갖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며, 아이템 식별자(ITEM_ID)(46)는 디지털 아이템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기술하고, 타임(TIME)(46)은 이 문서가 작성된 시점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술한다.
권한허용 스테이트(PERMISSION_STATE)(47)는 현재까지의 권한허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술하며, 이를 위하여 권한이 허용되었다는 정보를 기술하는 억셉트(ACCEPT)(50), 권한이 거절되었다는 정보를 기술하는 리젝트(REJECT)(52), 조정하는 중이라는 정보를 기술하는 어저스트(ADJUST)(52)를 포함한다.
권한허용 리스트(PERMISSION_LIST)(48)는 권한 허용 조건을 기술하며, 인증자(AUTHENTICATOR)(49)는 이 문서를 인증하여 준 인증자에 대한 정보를 기술한다.
권한허용 리스트(PERMISSION_LIST)(48)는 사용허용(USAGE_PERMISSION)(53), 사용조건(USAGE_CONDITIONS)(54), 의무(OBLIGATION)(55)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허용(USAGE_PERMISSION)(53)은 사용 허용 타입(Usage Permission Type)(53a)으로 트랜스포트(TRANSPORT)(56), 렌더(RENDER)(57), 딜리버티브(DERIVATIVE)(58), 파일 매니지먼트(FILE_MANAGEMENT)(59), 컨피규레이션(CONFIGURATION)(60)을 포함하며, 각각의 요소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기술한다.
트랜스포트(TRANSPORT)(56)는 디지털 아이템의 복사본을 생성하고 이동할 수 있도록 정의하고, 렌더(RENDER)(57)는 디지털 아이템을 시스템 밖에서 표현하여 생성할 수 있도록 정의한다. 딜리버티브(DERIVATIVE)(58)는 여러 디지털 아이템을 혼합하여 새로운 디지털 아이템을 생성하거나, 전체 또는 일부분의 디지털 아이템을 재 이용하도록 정의하고, 파일 매니지먼트(FILE_MANAGEMENT)(59)는 두 곳의 저장소에 접근하게 되었을 때, 디렉토리와 파일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정의하며, 컨피규레이션(CONFIGURATION)(60)은 저장 매체에 디지털 아이템을 설치하고 제거할 수 있도록 정의한다.
한편, 도5에서 사용조건(USAGE_CONDITIONS)(54)은 권한을 이용하기 위한 조건에 대해서 정의(기술)하는데, 이를 위하여 타임(TIME)(61), 카운트(COUNT)(62), 억세스(ACCESS)(63), 수수료(FEE)(64), 지역(TERRITORY)(65) 등의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조건(USAGE_CONDITION)(54)을 기술하는 요소에서 타임(TIME)(61)은 권한이 이행되는 시점을 기술하고, 카운트(COUNT)(62)는 권한이 이행되는 횟수를제한하는 정보를 기술하며, 억세스(ACCESS)(63)는 권한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를 제한하는 정보를 기술하고, 수수로(FEE)(64)는 권한 이행과 관련하여 수수료를 정의한다. 그리고 지역(TERRITORY)(65)은 권한이 이행되는 지역을 제한하는 정보를 기술한다.
한편, 상기 도5에서 책무(OBLIGATION)(55)는 권한을 이행하기 위해서 만족시켜야 하는 조건을 기술하는데 그 요소로는, 로얄티(ROYALTY)(66), 사용 트래킹(USAGE_TRACKING)(67), 브랜딩(BRANDING)(68), 인식(ACKNOWLEDGEMENT)(69), 리갈 노티스(LEGAL_NOTICES)(70), 마크(MARK)(71)를 포함하여 정의된다.
로열티(ROYALTY)(66)는 권한 소유자에게 지불되는 일정량의 수수료를 정의하며, 사용 트래킹(USAGE_TRACKING)(67)은 디지털 아이템의 권한에 대한 이력(history)(예를 들면 권한 서버에서 매 5분마다 디지털 아이템이 몇번 복사되고 있는지 등)을 기술하고, 브랜딩(BRANDING)(68)은 로고(LOGO)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내며, 인식(ACKNOWLEDGEMENT)(69)는 예를 들면 사진이 복사되거나 프린트(인쇄)될 때마다 사진사의 이름을 명시하는 것처럼 'Acknowledgement'의 상태를 기술하며, 리갈 노티스(LEGAL_NOTICES)(70)는 디지털 아이템과 관련된 모든 사용자가 요구하는 어떤 요구 사항들(예를 들면 작가가 자신의 책에 대해서 팔수만 있고 대여는 안되며 되팔지도 못한다고 명시하는 것)을 기술하고, 마크(MARK)(71)는 도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아이템에 추가될 수 있는 표시 정보를 기술한다.
도2에서 계약 서버(9)는 사용자 간에 디지털 아이템의 권한을 이양하거나,혹은 사고 팔 때 발생하는 합의 사항을 등록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 계약 서버(9)는 사용자 간에 발생한 모든 계약(디지털 아이템의 판매, 대여, 권한 이양 등) 및 이력을 등록, 수정, 삭제,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6에 이 계약 서버(9)에서 정의되는 계약 모델의 요소 기술을 정의하였다.
계약 모델의 요소 기술(72)은 계약 식별자(CONTRACT_ID)(73), 스테이트(STATE)(74), 이슈타임(ISSUED_TIME)(75), 리퀘스터(REQUESTER)(76), 리셉터(RECEPTOR)(77), 허용(PERMISSION)(78), 그리고 전계약(PREVIOUS_CONTRACT)(79)으로 정의하며, 또한 이 모델로 작성된 문서를 인증한 인증자에 대한 정보인 인증자(AUTHENTICATOR)(80)도 정의한다.
상기 계약 식별자(CONTRACT_ID)(73)는 이 모델로 작성된 문서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이고, 스테이트(STATE)(74)는 계약 조건의 진행 상황을 기술한다.
스테이트(STATE)(74)는 계약을 하기 위해 문의중에 있다는 상태를 기술하는 인콰이어(INQUIRE)(81), 계약 조건의 허용을 기술하는 억셉트(ACCEPT)(82), 계약 조건을 거절하였다는 정보를 기술하는 리젝트(REJECT)(83), 조정중이라는 정보를 기술하는 어저스트(ADJUST)(84)를 포함한다.
이슈타임(ISSUED_TIME)(75)은 이 문서가 작성된 시점을 기술하며, 리퀘스터(REQUESTER)(76)는 계약을 요청한 사용자의 정보를 기술하고 그 사용자의 식별자(USER_ID)(85)를 포함하며, 리셉터(RECEPTOR)(77)는 계약을 수용한 사용자의 정보를 정의(기술)하고 그 사용자의 식별자(USER_ID)(86)를 포함한다.
그리고 허용(PERMISSION)(78)은 어떤 권한을 계약할 것인가를 기술하며 그에대한 식별자(PERMISSION_ID)를 포함하고, 전계약(PREVIOUS_CONTRACT)(79)은 이전에 현재의 계약 방법으로 체결된 계약 문서의 정보를 기술하며 그에 대한 식별자(CONTRACT_ID)(88)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디지털 아이템 정의모델의 기술정보는 해당 서버의 데이터 저장공간에 기록될 수 있다. 즉, 상기 도3 내지 도6에서 설명한 디지털 아이템의 기술 정의 모델에 따른 디지털 아이템 기술구조가 디지털 데이터를 읽어들일 수 있는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기록된 디지털 아이템 정의 모델 기술정보로부터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서버가 해당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다. 서비스 수행 시에는 상기 정의된 모델의 기술내용에 대한 수정기록이 적절한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도3 내지 도6에서 설명한 각 서버에서의 기술 정의모델 및 그 요소기술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도2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의 상세한 흐름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 A(5a)는 자신의 이름과 주소, 그리고 간단한 소개를 사용자 서버(7)에 등록한다. 그 다음, 사용자 A(5a)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아이템을 디지털 아이템 서버(6)에 등록한다. 사용자 A(5a)는 자신이 등록한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권한을 발효하고자 권한허용 서버(8)에 자신이 등록한 디지털 아이템들에 대해서 권한 등록 신청을 한다. 그러면, 권한허용 서버(8)에서는 해당 디지털 아이템의 권한 등록 인증서를 발급해 주고, 등록을 하게 된다. 모든 등록을 마치면, 사용자 A(5a)는 자신이 등록한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권한을 이양하겠다고 디지털 아이템등록, 관리 홈페이지에 공고를 낸다. 이 공고를 본 사용자 B(5b)(사용자 B도 사용자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임)는 사용자 A(5a)에게 공고된 디지털 아이템 중 몇 개의 디지털 아이템에 대해서 권한을 사겠다고 요청을 한다. 그러면, 사용자 A(5a)는 사용자 B(5b)의 요청을 받아들여서 권한 이양에 합의된 결과를 계약 서버(9)에 등록 요청을 한다. 그러면 계약 서버(9)는 계약 승인서를 발급하고 계약 정보를 서버(9)에 등록한다.
그런데, 사용자 B(5b)가 몇몇 디지털 아이템에 대해서 권한 조건을 수정하겠다고 사용자 A(5a)에게 요청을 한다. 그러면, 사용자 A(5a)는 수정 요청을 받아들여, 계약 서버(9)에 접근하여 계약된 내용을 수정하고, 계약 서버(9)에게 재등록 요청을 한다. 계약 서버(9)는 재등록 요청을 승인하여, 계약 승인서를 재발급하고, 수정된 계약 정보를 재등록한다.
사용자 B(5b)가 계약 서버(9)에 접근하여 계약 내용을 승인하게 되면, 계약 서버(9)는 사용자 A(5a)와 사용자 B(5b)에게 계약이 완료, 처리되었다고 통보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A(5a)는 권한허용 서버(8)에 접근하여 해당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권한을 사용자 B(5b)에게 이양하겠다고 승인 요청을 한다. 그러면, 권한허용 서버(8)는 승인 요청을 받아들여, 사용자 A(5a)의 권한을 사용자 B(5b)에게 권한 이양한 후, 사용자 B(5b)에게 권한 이양 인증서를 발급해 준다. 그 후, 사용자 B(5b)는 해당 디지털 아이템을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아이템 내에 모든 데이터를 표현함으로써 발생되는 정보데이터의 중복을 없애기 위해, 사용자 정보와 권한허용 및 계약 정보 중 기본 데이터를 분류하므로, 반복되는 정보 데이터를 줄여, 시스템적으로 데이터의 저장 공간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하고 복잡하게 전개되는 전자상거래 환경에서, 디지털 아이템 서버, 사용자 정보 서버, 권한 허용 서버, 계약 서버 등 4가지 서버로 분류하므로 각 표현(Expression)간의 관련성이 제거됨과 동시에 공통의 데이터로 관리되어 효율적인 정보 관리의 효과가 있다.
또한 4가지 서버로 분류하므로 각 정보에 대한 비밀성과 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향후 광범위하게 이용될 인터넷 서비스, 위성통신, 전자상거래와 관련된 전자매체 (DVD, PDR 등) 그리고 이동 통신 등의 광범위한 분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4)

  1. 계약의 대상인 디지털 아이템의 관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아이템 서버와, 디지털 아이템 사용 계약의 주체인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하는 사용자 정보서버와,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권한 허용정보를 서비스하는 권한 허용서버와, 디지털 아이템의 계약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하는 계약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이템 서버, 사용자 정보서버, 권한 허용서버, 계약 서버 각각에서 관리되는 디지털 아이템 정보, 사용자 정보, 권한 허용정보, 계약정보는 서로의 연관성이 제거되어 각각 분리된 해당 서버에서 서비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이템 서버는 상기 분리된 디지털 아이템 정보를 저장하고, 이 디지털 아이템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역할정보와 지적재산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서버는 상기 분리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이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의 신상 명세에 관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허용서버는 상기 분리된 권한 허용정보를 저장하고, 이 권한 허용정보는 해당 권한 허용정보에 대한 식별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디지털 아이템 식별정보, 권한의 진행상황을 나타내는 정보, 권한에 대한 분류정보, 권한을 이행하기 위한 조건정보와 약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정보서버는 상기 분리된 계약 정보를 저장하고, 이 계약 정보가 계약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디지털 아이템 식별정보, 계약 진행상황을 나타내는 정보, 계약에 관련된 권한 허용정보를 가리키는 식별정보, 이전에 진행되었던 계약 정보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
  7. 계약의 대상인 디지털 아이템과, 디지털 아이템 사용 계약의 주체인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권한 허용정보와, 디지털 아이템의 계약에 대한 정보를 서로 연관성을 제거하고 분리하여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정의 모델 기술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이템 정보가 사용자에 대한 역할정보와 지적재산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기술하는 요소기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정의 모델 기술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이템 정보가 디지털 아이템의 사용에 대하여 약속된 권리를 기술하는 정보, 디지털 아이템에 추가될 수 있는 표시정보를 기술하는 정보, 해당 문서를 인증해준 인증자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권리를 기술하는 정보가 디지털 아이템의 생성, 분배, 권리행사, 인증, 공급, 소비에 관한 정보를 기술하는 요소기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정의 모델 기술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가 사용자의 식별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의 신상 명세에 관한 정보를 기술하는 요소기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정의 모델 기술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가 개인, 그룹, 개인이나 그룹을 대행해주는 에이전트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는 요소기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정의 모델 기술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는 요소기술은 해당 사용자 식별정보와 그 사용자의 신상 명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는 요소기술은 해당 그룹에 대한 식별자와 그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에이전트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는 요소기술은 해당 에이전트에 대한 식별자와 그 에이전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정의 모델 기술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허용정보가 해당 권한 허용정보에 대한 식별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디지털 아이템 식별정보, 권한의 진행상황을 나타내는 정보, 권한에 대한 분류정보, 권한을 이행하기 위한 조건정보와 약정 정보를 기술하는 요소기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정의 모델 기술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의 진행상황을 나타내는 정보가 권한 허용의 수락, 거절, 조정에 대하여 기술하는 요소기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정의 모델 기술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을 이행하기 위한 조건정보와 약정정보를 기술하는 정보가 디지털 아이템의 생성이나 이동, 재구성이나 재이용, 접근 권한, 설치나 제거에 대하여 기술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정의 모델 기술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을 이행하기 위한 조건정보와 약정정보를 기술하는 정보가 권한을 이용하기 위한 조건으로; 권한 이행 시점, 권한 이행 횟수, 수수료, 권한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의 제한, 권한이 이용되는 지역에 대하여 기술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정의 모델 기술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을 이용하기 위한 조건정보와 약정정보를 기술하는 정보가 권한을 이용하기 위해서 만족시켜야 할 조건으로; 지불해야 할 수수료, 디지털 아이템 권한에 대한 이력, 로고의 디스플레이, 인증(acknowledgement)의 상태, 디지털 아이템과 관련된 모든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항들에 대하여 기술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정의 모델 기술방법.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정보가 계약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디지털 아이템 식별정보, 계약 진행상황을 나타내는 정보, 계약에 관련된 권한 허용정보를 가리키는 식별정보, 이전에 진행되었던 계약 정보에 대한 식별정보를 기술하는 요소기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정의 모델 기술방법.
  1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정보가 계약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계약 조건의 진행상황에 대하여 기술하는 정보, 작성 시점에 대하여 기술하는 정보, 계약을 요청한 사용자에 대하여 기술하는 정보, 계약을 수용한 사용자에 대하여 기술하는 정보, 어떤 권한을 계약할 것인가를 기술하는 정보, 이전에 현재의 계약 방법으로 체결한 계약 문서에 대하여 기술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정의 모델 기술방법.
  20. 계약의 대상인 디지털 아이템과, 디지털 아이템 사용 계약의 주체인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권한 허용정보와, 디지털 아이템의 계약에 대한 정보를 서로 연관성을 제거하고 분리하여 기술한 디지털 아이템 정의 모델 기술이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 기록매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이템 정보가 사용자에 대한 역할정보와 지적재산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기술하는 요소기술을 포함하여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매체.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가 사용자의 식별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의 신상 명세에 관한 정보를 기술하는 요소기술을 포함하여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매체.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허용정보가 해당 권한 허용정보에 대한 식별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디지털 아이템 식별정보, 권한의 진행상황을 나타내는 정보, 권한에 대한 분류정보, 권한을 이행하기 위한 조건정보와 약정 정보를 기술하는 요소기술을 포함하여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매체.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정보가 계약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디지털 아이템 식별정보, 계약 진행상황을 나타내는 정보, 계약에 관련된 권한 허용정보를 가리키는 식별정보, 이전에 진행되었던 계약 정보에 대한 식별정보를 기술하는 요소기술을 포함하여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매체.
KR1020010075565A 2001-11-30 2001-11-30 권한 기술을 통한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 KR20030044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565A KR20030044720A (ko) 2001-11-30 2001-11-30 권한 기술을 통한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565A KR20030044720A (ko) 2001-11-30 2001-11-30 권한 기술을 통한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720A true KR20030044720A (ko) 2003-06-09

Family

ID=29572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565A KR20030044720A (ko) 2001-11-30 2001-11-30 권한 기술을 통한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47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200A (ko) * 2002-03-25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아이템 생성방법
KR100601667B1 (ko) * 2004-03-02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권한 관리의 상태 보고 장치 및 방법
WO2013066055A1 (ko) * 2011-11-03 2013-05-10 (주)엔소닉스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저작권자의 저작물 직접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작권자의 저작물 직접관리 서비스 제공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706A (ko) * 2000-02-28 2001-09-06 박준호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들의 통합 방법
KR20010087479A (ko) * 2000-02-29 2001-09-21 손희두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방법및 시스템
KR20010094875A (ko) * 2000-04-07 2001-11-03 조현정 정보 관리 시스템
KR20010106325A (ko) * 2001-10-15 2001-11-29 신용태 지동관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증 기능을가진 무선 pda용 전자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706A (ko) * 2000-02-28 2001-09-06 박준호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들의 통합 방법
KR20010087479A (ko) * 2000-02-29 2001-09-21 손희두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방법및 시스템
KR20010094875A (ko) * 2000-04-07 2001-11-03 조현정 정보 관리 시스템
KR20010106325A (ko) * 2001-10-15 2001-11-29 신용태 지동관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증 기능을가진 무선 pda용 전자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200A (ko) * 2002-03-25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아이템 생성방법
KR100601667B1 (ko) * 2004-03-02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권한 관리의 상태 보고 장치 및 방법
WO2013066055A1 (ko) * 2011-11-03 2013-05-10 (주)엔소닉스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저작권자의 저작물 직접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작권자의 저작물 직접관리 서비스 제공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XrML--eXtensible rights markup language
Park et al. Towards usage control models: beyond traditional access control
US104307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pecifying and processing legality expressions
US80691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and managing usage rights associated with an item repository
US200402675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ights expressions by stakeholders of an item
JP2004280846A (ja) ディジタルワークの配給及び使用制御システム並びにディジタルワークへのアクセス制御方法
JP2004310790A (ja) ディジタルワークの安全な配給及び制御のためのシステム
JP2004127307A (ja) 複合ディジタルワークへのアクセス及び使用制御システム
JP2004326818A (ja) ディジタルワーク配給システム
US20120215809A1 (en) Search mediation system
JP2016129052A (ja) 機能判定装置
US6959289B1 (en) Digital rights framework
Coyle Rights expression languages
Wang MPEG-21 rights expression language: Enabling interoperable digital rights management
KR20030044720A (ko) 권한 기술을 통한 디지털 아이템 유통 시스템
Guo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using XrML
KR20100048726A (ko) 컨텐츠 사용권한 거래 시스템 및 방법
Pitkänen Managing Rights in Information Products on the Mobile Internet
Liu et al. Clothing Style Similarity Matching and Classification Recognition Algorithm Based on Double-Layer Model in the Context of the Internet of Things
Mulligan et al. Supporting limits on copyright exclusivity in a rights expression language standard
Li Can NFT Refresh the Field of Digital Copyright Protection? The Positive Role and Potential Risks of NFT in Digital Copyright Protection
de Rosnay Cognitive interfaces for legal expressions description–application to copyrighted works online sharing and transactions
Yin et al. Color Compensation Method of 2-D Clothing Image Based on Visual Commun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et of Things
Taori Non-Fungible Tokens and Property Law: The Legal Enigma Instilled by the Neoteric Property
JP2009193589A (ja) アイテムの使用方法を指定する権利を施行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で使用するためのリポジト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