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4687A -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4687A
KR20030044687A KR1020010075528A KR20010075528A KR20030044687A KR 20030044687 A KR20030044687 A KR 20030044687A KR 1020010075528 A KR1020010075528 A KR 1020010075528A KR 20010075528 A KR20010075528 A KR 20010075528A KR 20030044687 A KR20030044687 A KR 20030044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roadcast
user
received
broadcas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75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4687A/ko
Publication of KR20030044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68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관심있는 데이터 방송의 종류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데이터 방송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표시 설정부와; 수신되는 데이터 방송의 종류를 판단하고, 수신된 데이터 방송의 종류와 상기 사용자 표시 설정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관심 데이터 방송의 종류를 비교하여, 수신된 데이터 방송의 수신 알림 여부를 제어하는 데이터 방송 알림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 방송 알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데이터 방송의 수신 상태가 표시되는 영상 표시부;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의 운용방법은, (a)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는 단계와; (b) 수신된 데이터 방송이 사용자의 관심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된 데이터 방송이 사용자의 관심 정보인 경우에는,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계 (c)에서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함에 있어, 사용자의 관심 정보의 종류에 따라 구별될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또한, 단계 (b)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된 데이터 방송이 사용자의 관심 정보가 아닌 경우에는,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 및 그 운용방법{Digital broadcasting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 선호도를 반영하여 수신되는 데이터 방송의 종류를 표시하여 줄 수 있는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텔레비젼이란 디지털로 전송하는 텔레비젼 방송의 총칭을 말한다. 미국에선 ATV(Advanced television)라 불리는 차세대 텔레비젼에 디지털 방식을 채택하기로 결정했으며, 유럽에서는 스웨덴방송 등의 HD DIVINE, 영국의 SPECTRE, 프랑스 방송의 DIAMOND 등 많은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등 디지털 텔레비젼은 B-ISDN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와 연동한 차세대 텔레비젼 방식으로 각국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디지털 방송에서 전송되는 스트림(stream)은 영상/음성 신호와 함께 데이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음성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데이터 정보는 ATVEF(Advanced Television Enhancement Forum)의 HTML, DASE(Digital TV Application Software Environment)의 XDML과 같은 마크업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정보와, DASE의 Xlet과 같은 자바 기반의 데이터 정보 등이 있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을 대비해서 많은 업체들이 디지털 방송과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텔레비젼이나 셋탑박스를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차후, 디지털 텔레비젼의 이용이 보편화 되었을 경우에, 가장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는 데이터 방송과 관련된 사항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 방송을 위한 수신 방식에 대한 규정(specification)이 정의되어 있으며, 또한 지속적으로 보완/발전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보면, 일반적으로 데이터 방송이 존재함을 표시해 주고, 해당 데이터 방송을 모두 수신한 이후에, 사용자에게 데이터 방송을 사용할 수 있게 알려주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에서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에서는 영상/음성 방송을 영상 표시부에 출력시키다가,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면 시청자에게 'I-mark'를 표시해 줌으로써, 시청자가 데이터 방송에 대한 시청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데이터 방송에 대한 알림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시청자는 단지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다는 정보만을 획득할 수 있으며, 어떠한 종류의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시청자는 해당 데이터 방송을 표시하도록 선택하여야만, 수신된 데이터 방송에 어떠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건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수신된 데이터 방송의 종류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수신된 데이터 방송에 대한 시청 여부를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분야의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해당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는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에서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의 운용방법에 의하여,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의 운용방법에 의하여,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의 운용방법에 의하여, 수신된 데이터 방송의 종류를 표시하여 주는 아이콘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
210... 사용자 표시 설정부
220... 데이터 방송 알림 제어부
230... 영상 표시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관심있는 데이터 방송의 종류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데이터 방송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표시 설정부와;
수신되는 데이터 방송의 종류를 판단하고, 수신된 데이터 방송의 종류와 상기 사용자 표시 설정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관심 데이터 방송의 종류를 비교하여, 수신된 데이터 방송의 수신 알림 여부를 제어하는 데이터 방송 알림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 방송 알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데이터 방송의 수신 상태가 표시되는 영상 표시부; 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의 운용방법은,
(a)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는 단계와;
(b) 수신된 데이터 방송이 사용자의 관심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된 데이터 방송이 사용자의 관심 정보인 경우에는,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를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c)에서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함에 있어, 사용자의 관심 정보의 종류에 따라 구별될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된 데이터 방송이 사용자의 관심 정보가 아닌 경우에는,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지 않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관심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된 데이터 방송의 종류별 아이콘을 표시하여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된 데이터 방송의 종류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수신된 데이터 방송에 대한 시청 여부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분야의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해당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관심있는 데이터 방송의 종류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데이터 방송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표시 설정부(210)와; 수신되는 데이터 방송의 종류를판단하고, 수신된 데이터 방송의 종류와 상기 사용자 표시 설정부(21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관심 데이터 방송의 종류를 비교하여, 수신된 데이터 방송의 수신 알림 여부를 제어하는 데이터 방송 알림 제어부(220); 및 상기 데이터 방송 알림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하여, 데이터 방송의 수신 상태가 표시되는 영상 표시부 (230)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의 운용방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의 운용방법에 의하여,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의 운용방법에 의하여,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a)와 같이 영상/음성 방송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면(단계 301), 데이터 방송 알림 제어부(220)는 사용자 표시 설정부(210)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관심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302).
상기 단계 302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표시 설정부(210)에 사용자 관심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301에서 수신된 데이터 방송이 사용자가 등록한 관심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303).
한편, 상기 단계 303에서 수신된 데이터 방송이 사용자가 등록한 관심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방송 규격에서 이를 지원해 주어야 한다. 즉, 데이터 방송 종류에 대한 구분과 이를 전송해 주는 방식, 그리고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 방송 종류를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 예는 데이터 방송 규격 중의 하나인 DASE 시스템을 기반으로 설명한 것이다.
1. 데이터 방송 종류 분류 방식.
데이터 방송의 종류를 쇼핑, 스포츠, 뉴스, 증권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분류된 데이터 방송의 종류를 DASE 시스템에서 정의한 RRT(Rating Region Table)을 확장하여 각각의 분류에 따른 값을 정의한다.
2. 어플리케이션 종류 설정 방식.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DASE 시스템 내의 DST(Data Service Table)에 정의가 된다. 따라서, DST 테이블에 RRT 테이블과 연계를 시켜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기술한다.
즉, RRT에 설정된 값이 '1:쇼핑, 2:스포츠, 3:뉴스, 4:증권 등'으로 설정된 경우에, DST에서 'ApplicationType=1'로 설정함으로써, 쇼핑 관련 어플리케이션임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 303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단계 301에서 수신된 데이터 방송이 사용자가 등록한 관심 정보인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영상 표시부(230)에 표시한다(단계 304). 이때,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함에 있어, 사용자의 관심 정보의 종류에 따라 구별될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관심 정보의 종류 및 해당 아이콘의 표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는 그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의 운용방법에 의하여, 수신된 데이터 방송의 종류를 표시하여 주는 아이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상기 단계 303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단계 301에서 수신된 데이터 방송이 사용자의 관심 정보가 아닌 경우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지 않고 계속 영상/음성 방송만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단계 302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표시 설정부(210)에 사용자의 관심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데이터의 종류별 아이콘을 표시하여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린다(단계 313). 이때, 수신된 데이터의 종류별 아이콘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류되여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분류(예컨대 쇼핑, 스포츠, 뉴스, 증권 등)에 속하지 않는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표준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도 5 참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방송 알림 제어부(220)는 수신된 데이터 방송의 알림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수신된 데이터 방송을 직접 시청하지 않고서도, 표시된 아이콘의 형상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방송의 분야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관심 분야를 설정한 경우에는, 수신되는 많은 데이터 방송 중에서, 사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분야에 해당되는 데이터 방송만을 알림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는 필요없는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의하면, 수신된 데이터 방송의 종류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수신된 데이터 방송에 대한 시청 여부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분야의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해당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사용자로부터 관심있는 데이터 방송의 종류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데이터 방송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표시 설정부와;
    수신되는 데이터 방송의 종류를 판단하고, 수신된 데이터 방송의 종류와 상기 사용자 표시 설정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관심 데이터 방송의 종류를 비교하여, 수신된 데이터 방송의 수신 알림 여부를 제어하는 데이터 방송 알림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 방송 알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데이터 방송의 수신 상태가 표시되는 영상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
  2. (a)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는 단계와;
    (b) 수신된 데이터 방송이 사용자의 관심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된 데이터 방송이 사용자의 관심 정보인 경우에는,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의 운용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함에있어, 사용자의 관심 정보의 종류에 따라 구별될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의 운용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된 데이터 방송이 사용자의 관심 정보가 아닌 경우에는,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의 운용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관심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된 데이터 방송의 종류별 아이콘을 표시하여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의 운용방법.
KR1020010075528A 2001-11-30 2001-11-30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030044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528A KR20030044687A (ko) 2001-11-30 2001-11-30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528A KR20030044687A (ko) 2001-11-30 2001-11-30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687A true KR20030044687A (ko) 2003-06-09

Family

ID=29572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528A KR20030044687A (ko) 2001-11-30 2001-11-30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46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563B1 (ko) * 2006-10-04 2008-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방송 자동 갱신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563B1 (ko) * 2006-10-04 2008-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방송 자동 갱신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378B1 (ko)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0686158B1 (ko)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20131615A1 (en) Content viewing/listening device and content display device
US84077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ing program guide information
US20030126602A1 (en) Method for selecting channel in digital television
JP2010523069A (ja) 情報を表示する方法及び装置
EP11688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text based information service
JP5723297B2 (ja) 暗号化されたコンテンツのプレビュー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343704B1 (ko) 방송신호의 부가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00059639A (ko) 위젯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KR20030044687A (ko)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 및 그 운용방법
EP1126699B1 (en) OSD system
KR20010092727A (ko) 수신가능 프로그램들에 대해 어드바이스하기 위한 장치 및그 방법
KR100410976B1 (ko)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의 운용방법
JP2002320157A (ja) 情報受信装置
KR10086211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 운용방법
KR100320219B1 (ko) 방송신호 수신기의 자막 표시장치 및 방법
KR101341465B1 (ko) 방송 단말기 및 방송 단말기의 데이터 객체 표시 방법
KR20030065711A (ko)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의 운용방법
KR20070081583A (ko)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음악방송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1016473A1 (ja) コンテンツ情報表示装置
KR101074592B1 (ko)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40040500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20090075264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시청 이력 표시 방법
JP2000358199A (ja) 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