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4140A -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반도체소자 - Google Patents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반도체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4140A
KR20030044140A KR1020010074730A KR20010074730A KR20030044140A KR 20030044140 A KR20030044140 A KR 20030044140A KR 1020010074730 A KR1020010074730 A KR 1020010074730A KR 20010074730 A KR20010074730 A KR 20010074730A KR 20030044140 A KR20030044140 A KR 20030044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antalum nitride
heat treatment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수
박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74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4140A/ko
Publication of KR20030044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14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3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 H01L21/285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 H01L21/28506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 H01L21/28512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21/28556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by chemical means, e.g. CVD, LPCVD, PECVD, laser CV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탈륨 나이트라이드(TaN)층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 실현 및 소자의 전기적 특성 향상을 위하여 금속 배선의 배리어 메탈층 형성 방법이나 금속 캐패시터의 상부 전극 및/또는 하부 전극 형성 방법에 적용할 수 있도록, 증착 소오스로 Ta 성분의 화학증기를 사용하여 Ta층을 형성하고, 반응 소오스로 NH3가스를 사용하여 Ta층을 Ta-N 결합층으로 만들고, 이러한 공정을 반복하여 적층된 Ta-N층을 형성하고, 적층된 Ta-N층을 열처리하는 원자층 증착법으로 TaN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하여 기술된다.

Description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반도체 소자{Method of forming a tantalum nitride layer and semiconductor device utilizing thereof}
본 발명은 탄탈륨 나이트라이드(TaN)층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착 소오스로 Ta 성분의 화학증기를 사용하고, 반응 소오스로 NH3가스를 사용하여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으로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을 금속 배선의 배리어 메탈층과 금속 캐패시터의 전극에 적용한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가 고집적화되어 감에 따라 배선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배선 재료로 저항이 낮은 알루미늄, 텅스텐, 구리 등과 같은 금속을 주로 사용하며, 금속 배선을 반도체 소자에 적용함에 있어 접합 스파이킹(junction spiking) 방지와 실리콘 노듈(silicon nodule) 방지를 위해 배리어 메탈층(barrier metal layer)을 적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반도체 소자를 더욱 고집적화시키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배리어 메탈층의 역할이 중요하다. 또한, 반도체 소자가 고집적화되어 감에 따라 소자의 동작에 필요한 정전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캐패시터의 유전체막으로 유전율이 큰 물질을 사용하고 있다. 유전율이 큰 물질을 유전체막으로 적용하기 위해 캐패시터를 MIS(Metal Insulator Silicon) 구조나 MIM(Metal Insulator Metal) 구조로 형성하고 있다.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를 위해, 배리어 메탈층 및 금속 캐패시터를 반도체 소자에 적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데, 종래 배리어 메탈층 및 종래의 금속 캐패시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의 배리어 메탈층은 Ti/TiN의 적층 구조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배리어 메탈층으로 Ti를 단독으로 사용하면 콘택홀로 매립되는 금속 배선 재료 예를 들어, 금속 배선 재료로 알루미늄을 사용할 경우 Al 원자와 Ti 원자가 반응하여 350℃ 정도에서 Al3Ti를 형성하게 되고,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콘택홀 저면을 이루는 실리콘 기판의 Si 원자가 알루미늄 금속 배선으로 확산되어 콘택 접합 부위에 Al5Ti7Si2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새로운 합금 물질은 콘택의 저항을 증대시키는 요인이 되어 배리어 메탈층으로 부적절하다. 또한, 배리어 메탈층으로 TiN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도 실리콘 기판과의 계면 특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배리어 메탈층은 Ti층이 갖는 장점과 TiN층이 갖는 장점을 살려 Ti/TiN 적층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Ti층이나 TiN층을 형성함에 있어 스퍼터링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스퍼터링 방식은 스텝-커버리지(step-coverage) 특성이 나빠 애스팩트 비(aspect ratio)가 큰 콘택홀에서는 배리어 메탈층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애스팩트 비가 큰 콘택홀을 갖는 고집적 소자에 종래의 Ti/TiN 배리어 메탈층을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Ti층을 플라즈마 스퍼터 등의 물리적 기상 증착(PVD)법으로 형성한 후, Ti층 상부에 TiN층을 스텝-커버리지 특성이 우수한 화학기상증착(CVD)법으로 형성하고 있다. TiN층을 형성할 때 소스 가스로 TiCl4(사염화티탄)와 NH3(암모니아) 또는 질소 원자를 갖는 분자 예를 들면 메틸 히드라진를 사용한다.
그러나, 화학기상증착법으로 TiN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스퍼터링 방식으로 형성할 때 보다는 소자의 고집적화에 기여하지만, 0.1㎛ Tec. 이하 제품과 같은 초고집적 소자에서는 콘택홀에서 배리어 메탈층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둘째, 반도체 소자가 고집적화를 위해 현재 유전체막으로 Ta2O5등과 같은 유전율이 큰 물질을 사용하고 있으며, Ta2O5와 같은 유전율이 큰 물질을 유전체막으로 사용하기 위해 캐패시터를 MIS(Metal Insulator Silicon) 구조나 MIM(Metal Insulator Metal) 구조로 형성하고 있다.
MIS 캐패시터 구조의 상부 전극은 TiN/Poly-Si의 적층 구조를 사용하고 있으며, MIM 캐패시터 구조의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은 TiN을 사용하고 있다. MIS 캐패시터나 MIM 캐패시터에서 전극의 재료로 TiN을 사용하는 것은 TiN이 폴리실리콘보다 일 함수(work function)값이 높아 누설 전류 특성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MIS 캐패시터 및 MIM 캐패시터의 전극으로 TiN을 사용하고, 유전체막으로 Ta2O5를 사용함에 있어 몇 가지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첫째, TiN 전극은 TiCl4와 NH3를 이용한 화학기상증착법으로 형성하게 되는데, 형성 공정중 Ta2O5유전체막이 할로겐 가스에 의해 누설 전류를 증가시키게 된다.
둘째, 화학기상증착법으로 TiN 막을 형성할 때, Ta2O5유전체막과 TiN 전극사이에 산화 반응이 발생하여 Ta2O5유전체막에 함유된 산소를 잃어버리게 되므로, Ta2O5유전체막에 산소 공핍(oxygen vacancy)이 생기게 되고, 이로 인해 누설 전류를 증가시키게 된다.
셋째, 하기의 반응식 1과 같이 Ta2O5유전체막과 TiN 전극 사이의 산화 반응으로 접촉 계면에 TiO2막이 생성되는데, 이 TiO2막은 자연적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막질이 불량하며, 이로 인하여 캐패시터의 전기적 특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5TiN + 2Ta2O5---> 5TiO2+ 4TaN + 1/2N2
넷째, 소자의 고집적화로 캐패시터의 토폴러지(topology) 증가 및 사이즈(size) 감소로 애스펙트 비가 증가될 경우 화학기상증착법으로 형성하는 TiN 전극의 스텝-커버리지 특성의 확보가 어려워 더욱 고집적화된 소자를 구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TiN은 금속 배선의 배리어 메탈층이나 금속 캐패시터의 전극용으로 사용되어져 왔으나, 상기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소자의 고집적화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TaN으로 금속 배선의 배리어 메탈층이나 금속 캐패시터의전극을 형성하므로,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를 실현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은 증착 챔버에 웨이퍼를 로딩하는 제 1 단계; Ta 성분의 화학 증기를 펄스시켜 상기 웨이퍼 상에 Ta층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증착 챔버를 1차 퍼지 시키는 제 3 단계; NH3가스를 펄스시켜 상기 Ta층에 N이 결합된 Ta-N 결합층을 형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증착 챔버를 2차 퍼지 시키는 제 5 단계; 상기 제 2 단계로 부터 상기 제 5 단계까지를 한 주기로 적어도 2번 이상 진행하여 상기 Ta-N 결합층을 적층시키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적층된 Ta-N 결합층을 열처리하여 TaN층을 형성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방법을 형성된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을 금속 배선의 배리어 메탈층이나 금속 캐패시터의 상부 전극 및/또는 하부 전극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은 증착 챔버에 웨이퍼를 로딩하는 제 1 단계; Ta 성분의 화학 증기를 펄스시켜 상기 웨이퍼 상에 Ta층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증착 챔버를 1차 퍼지 시키는 제 3 단계; NH3가스를 펄스시켜 상기 Ta층에 N이 결합된 Ta-N 결합층을 형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2 단계로 부터 상기 제 4 단계까지를 한 주기로 적어도 2번 이상 진행하여 상기 Ta-N 결합층을 적층시키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적층된 Ta-N 결합층을 열처리하여 TaN층을 형성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웨이퍼12, 22: Ta층
13, 23: Ta-N 결합층130, 230: TaN층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으로 반도체 소자의 탄탈륨 나이트라이드(TaN)층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먼저, 증착 챔버에 웨이퍼(11)를 로딩(loading)하고, 증착 소오스인 Ta 성분의 화학 증기를 펄스(pulse)시켜 웨이퍼(11) 상에 Ta층(12)을 형성한다(도 1a). N2가스나 Ar 가스를 사용하여 증착 챔버를 1차 퍼지(purge)시킨다(도 1b). 반응 소오스인 NH3가스를 펄스시켜 Ta층(12)의 Ta원자와 NH3가스의 N원자를 반응시켜 Ta-N 결합층(13)을 형성한다(도 1c). 다시 N2가스나 Ar 가스를 사용하여 증착 챔버를 2차 퍼지(purge)시킨다(도 1d).
이와 같이, Ta 성분의 화학 증기 펄스 단계, 1차 퍼지 단계, NH3가스 펄스 단계 및 2차 퍼지 단계의 4단계를 한 주기(1 cycle)로 하여 Ta-N 결합층(13)을 형성는데, 원자층 증착법의 특성상 한 주기 동안 증착되는 Ta-N 결합층(13)의 두께는 얇다. 따라서, 이러한 주기를 여러번 반복 실시하여 금속 배선의 배리어 메탈층이나 금속 캐패시터의 전극으로 적용하기에 적당한 두께로 적층된 Ta-N 결합층(13)을형성한다.
일정 두께로 적층된 Ta-N 결합층(13)을 형성한 후, 열처리를 실시하여 Ta-N 결합층(13)을 고밀도화(densification) 및 결정화시켜 일정 두께의 TaN층(130)을 형성한다(도 1e).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Ta층(12) 형성하는 Ta 성분의 화학 증기는 TaH2F7나 Ta(OC2H5)5와 같은 Ta 화합물을 MFC(Mass Flow Controller)와 같은 유량조절기를 통해 정량된 양을 증발기 또는 증발관으로 공급한 다음, 150℃ 내지 200℃ 의 온도 범위에서 증발시켜 얻어진다. Ta-N 결합층(13)을 고밀도화 및 결정화시키기 위한 열처리는 N2, Ar 또는 NH3의 가스 분위기에서 400℃ 이상 예를 들어, 400 내지 850℃ 범위의 고온에서의 급속 열처리 공정(RTP)을 실시하거나, 350℃ 이상 예를 들어, 350 내지 750℃ 범위의 온도에서 퍼니스 어닐(Furnace anneal)을 실시한다. 열처리를 진행할 때, 공기중에 함유된 산소에 의해 TaN층(130)이 산화되면 비저항이 증가하여 특성 열화가 나타나므로, 열처리를 진행할 때에는 증착 시스템에 웨이퍼(11)가 로딩될 때부터 산소의 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장착된 장비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압보다는 진공 열처리가 유리하다. 즉, 열처리는 웨이퍼(11) 로딩시에 산소의 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N2퍼지 박스(box)가 장착된 장비에서 진공 열처리하거나, 산소의 농도 제어 뿐만 아니라 진공 제어가 가능한 로드-락(load-lock) 시스템이 포함된 장비를 사용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으로 반도체 소자의 탄탈륨 나이트라이드(TaN)층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먼저, 증착 챔버에 웨이퍼(21)를 로딩(loading)하고, 증착 소오스인 Ta 성분의 화학 증기를 펄스(pulse)시켜 웨이퍼(21) 상에 Ta층(22)을 형성한다(도 2a). N2가스나 Ar 가스를 사용하여 증착 챔버를 퍼지(purge)시킨다(도 2b). 반응 소오스인 NH3가스를 펄스시켜 Ta층(22)의 Ta원자와 NH3가스의 N원자를 반응시켜 Ta-N 결합층(23)을 형성한다(도 2c).
이와 같이, Ta 성분의 화학 증기 펄스 단계, 퍼지 단계 및 NH3가스 펄스 단계의 3단계를 한 주기(1 cycle)로 하여 Ta-N 결합층(23)을 형성는데, 원자층 증착법의 특성상 한 주기 동안 증착되는 Ta-N 결합층(23)의 두께는 얇다. 따라서, 이러한 주기를 여러번 반복 실시하여 금속 배선의 배리어 메탈층이나 금속 캐패시터의 전극으로 적용하기에 적당한 두께로 적층된 Ta-N 결합층(23)을 형성한다.
일정 두께로 적층된 Ta-N 결합층(23)을 형성한 후, 열처리를 실시하여 Ta-N 결합층(23)을 고밀도화(densification) 및 결정화시켜 일정 두께의 TaN층(230)을 형성한다(도 2d).
상기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Ta층(22) 형성하는 Ta 성분의 화학 증기는 TaH2F7나 Ta(OC2H5)5와 같은 Ta 화합물을 MFC(Mass Flow Controller)와 같은 유량조절기를 통해 정량된 양을 증발기 또는 증발관으로 공급한 다음, 150℃ 내지 200℃ 의 온도 범위에서 증발시켜 얻어진다. Ta-N 결합층(23)을 고밀도화 및 결정화시키기 위한 열처리는 N2, Ar 또는 NH3의 가스 분위기에서 400℃ 이상 예를 들어, 400 내지 850℃ 범위의 고온에서의 급속 열처리 공정(RTP)을 실시하거나, 350℃ 이상 예를 들어, 350 내지 750℃ 범위의 온도에서 퍼니스 어닐(Furnace anneal)을 실시한다. 열처리를 진행할 때, 공기중에 함유된 산소에 의해 TaN층(230)이 산화되면 비저항이 증가하여 특성 열화가 나타나므로, 열처리를 진행할 때에는 증착 시스템에 웨이퍼(21)가 로딩될 때부터 산소의 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장착된 장비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압보다는 진공 열처리가 유리하다. 즉, 열처리는 웨이퍼(21) 로딩시에 산소의 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N2퍼지 박스(box)가 장착된 장비에서 진공 열처리하거나, 산소의 농도 제어 뿐만 아니라 진공 제어가 가능한 로드-락(load-lock) 시스템이 포함된 장비를 사용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의 차이점은 제 1 실시예의 2차 퍼지 단계를 제 2 실시예에서 생략했다는 것인데, 이는 NH3가스가 증착 가스가 아니라 Ta와 결합하여 Ta-N 결합(bond)만 형성하는 반응 가스이기 때문에 2차 퍼지 단계를 생략(skip)하여도 양호한 Ta-N 결합층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제 1 실시예로 TaN층을 형성할 경우 제 2 실시예보다 양질의 TaN층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제 2 실시예로 TaN층을 형성할 경우 제 1 실시예보다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에 의해 TaN층(130 또는 230)을 형성하는데, 본 발명의 TaN층(130 또는 230) 형성 방법을 적용하여 금속 배선의 TaN 배리어 메탈층을 형성할 수도 있고, 금속 캐패시터의 TaN 전극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TaN층 형성 방법을 금속 배선의 배리어 메탈층 형성 방법에 적용할 경우, 기존의 배리어 메탈층인 Ti/TiN보다 Si 계면과의 반응성이 우수하여 접합 스파이킹(junction spiking) 방지 특성이 우수하고, TiN에 비하여 결정립이 작고 표면 거칠기가 작아 전기장 모서리 집중에 의한 누설 전류를 억제시킬 뿐 만 아니라, 원자층 증착법으로 증착이 가능하여 스텝-커버리지를 개선할 수 있어, 애스펙트 비가 큰 금속 콘택홀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TaN층 형성 방법을 Ta2O5와 같은 유전율이 큰 물질을 유전체막으로 사용해야 하는 MIS(Metal Insulator Silicon) 구조나 MIM(Metal Insulator Metal) 구조와 같은 금속 캐패시터의 전극 형성 방법에 적용할 경우, 하기 반응식 2 및 반응식 3과 같이 TaN 전극은 기존의 TiN 전극에 비하여 Ta2O5유전체막과의 계면 특성이 우수하여 유전체의 특성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Ta2O5+ 2TaN ---> 2TaN + Ta2O5
TaN + 1/2Ta2O5---> Ta2N + 5/2O2
또한, TaN 전극은 기존의 TiN 전극에 비하여 일 함수(work function) 값이 크므로 (TiN의 일함수는 5.1eV이고, TaN의 일함수는 5.4eV임), Ta2O5유전체막과의 전위 장벽을 크게 하여 누설 전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Ta 성분의 화학 증기와 NH3가스를 이용하여 원자층 증착법(ALD)으로 반도체 소자의 TaN층 형성 방법을 제공하므로, 본 발명의 TaN층 형성 방법을 금속 배선의 배리어 메탈층 형성 방법에 적용할 경우, 기존의 배리어 메탈층인 Ti/TiN보다 Si 계면과의 반응성이 우수하여 접합 스파이킹 방지 특성이 우수하고, TiN에 비하여 결정립이 작고 표면 거칠기가 작아 전기장 모서리 집중에 의한 누설 전류를 억제시킬 뿐 만 아니라, 원자층 증착법으로 증착이 가능하여 스텝-커버리지를 개선할 수 있어, 애스펙트 비가 큰 금속 콘택홀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TaN층 형성 방법을 금속 캐패시터의 전극 형성 방법에 적용할 경우, TaN 전극은 기존의 TiN 전극에 비하여 유전체막과의 계면 특성이 우수하여 유전체의 특성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기존의 TiN 전극에 비하여 일 함수(work function) 값이 크므로 유전체막과의 전위 장벽을 크게 하여 누설 전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TaN층 형성 방법을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적용할 경우,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소자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보다 고집적화된 소자를 구현시킬 수 있다.

Claims (16)

  1. 증착 챔버에 웨이퍼를 로딩하는 제 1 단계;
    Ta 성분의 화학 증기를 펄스시켜 상기 웨이퍼 상에 Ta층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증착 챔버를 1차 퍼지 시키는 제 3 단계;
    NH3가스를 펄스시켜 상기 Ta층에 N이 결합된 Ta-N 결합층을 형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증착 챔버를 2차 퍼지 시키는 제 5 단계;
    상기 제 2 단계로 부터 상기 제 5 단계까지를 한 주기로 적어도 2번 이상 진행하여 상기 Ta-N 결합층을 적층시키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적층된 Ta-N 결합층을 열처리하여 TaN층을 형성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퍼지는 N2가스나 Ar 가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탄탈륨 나이트라이드 형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a 성분의 화학 증기는 TaH2F7나 Ta(OC2H5)5와 같은 Ta 화합물을 MFC와 같은 유량조절기를 통해 정량된 양을 증발기 또는 증발관으로 공급한 다음, 150℃ 내지 200℃ 의 온도 범위에서 증발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N2, Ar 또는 NH3의 가스 분위기에서 400 내지 850℃ 범위의 고온에서의 급속 열처리 공정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N2, Ar 또는 NH3의 가스 분위기에서 350 내지 750℃ 범위의 온도에서 퍼니스 어닐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웨이퍼 로딩시에 산소의 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N2퍼지 박스(box)가 장착된 장비에서 진공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산소의 농도 제어 뿐만 아니라 진공 제어가 가능한 로드-락 시스템이 포함된 장비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
  8. 상기 제 1 항의 방법에 따라 형성된 탄탄륨 나이트라이드층이 금속 배선의 배리어 메탈층으로 적용된 반도체 소자.
  9. 상기 제 1 항의 방법에 따라 형성된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이 금속 캐패시터의 상부 전극 및/또는 하부 전극으로 적용된 반도체 소자.
  10. 증착 챔버에 웨이퍼를 로딩하는 제 1 단계;
    Ta 성분의 화학 증기를 펄스시켜 상기 웨이퍼 상에 Ta층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증착 챔버를 1차 퍼지 시키는 제 3 단계;
    NH3가스를 펄스시켜 상기 Ta층에 N이 결합된 Ta-N 결합층을 형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2 단계로 부터 상기 제 4 단계까지를 한 주기로 적어도 2번 이상 진행하여 상기 Ta-N 결합층을 적층시키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적층된 Ta-N 결합층을 열처리하여 TaN층을 형성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퍼지는 N2가스나 Ar 가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탄탈륨 나이트라이드 형성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Ta 성분의 화학 증기는 TaH2F7나 Ta(OC2H5)5와 같은 Ta 화합물을 MFC와 같은 유량조절기를 통해 정량된 양을 증발기 또는 증발관으로 공급한 다음, 150℃ 내지 200℃ 의 온도 범위에서 증발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N2, Ar 또는 NH3의 가스 분위기에서 400 내지 850℃ 범위의 고온에서의 급속 열처리 공정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N2, Ar 또는 NH3의 가스 분위기에서 350 내지 750℃ 범위의 온도에서 퍼니스 어닐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웨이퍼 로딩시에 산소의 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N2퍼지 박스(box)가 장착된 장비에서 진공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
  16.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산소의 농도 제어 뿐만 아니라 진공 제어가 가능한 로드-락 시스템이 포함된 장비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
KR1020010074730A 2001-11-28 2001-11-28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반도체소자 KR200300441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730A KR20030044140A (ko) 2001-11-28 2001-11-28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반도체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730A KR20030044140A (ko) 2001-11-28 2001-11-28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반도체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140A true KR20030044140A (ko) 2003-06-09

Family

ID=29571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730A KR20030044140A (ko) 2001-11-28 2001-11-28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반도체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41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041B1 (ko) * 2001-12-27 2004-05-24 동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KR100668645B1 (ko) * 2005-09-09 2007-01-16 한국과학기술원 2단계 원자층증착법에 의한 TaN 박막 증착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715A (ko) * 1997-08-08 1999-03-05 윤종용 금속배선층 형성방법
KR19990029260A (ko) * 1997-09-29 1999-04-26 윤종용 화학기상증착법에 의한 금속질화막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장치의 금속컨택 형성방법
KR20000054970A (ko) * 1999-02-02 2000-09-05 정수홍 장벽금속막을 구비한 금속 배선 및 그 제조방법
US6194310B1 (en) * 2000-06-01 2001-02-2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of forming amorphous conducting diffusion barriers
KR20030002792A (ko) * 2001-06-29 2003-01-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탄탈륨 옥사이드 캐퍼시터의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715A (ko) * 1997-08-08 1999-03-05 윤종용 금속배선층 형성방법
KR19990029260A (ko) * 1997-09-29 1999-04-26 윤종용 화학기상증착법에 의한 금속질화막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장치의 금속컨택 형성방법
KR20000054970A (ko) * 1999-02-02 2000-09-05 정수홍 장벽금속막을 구비한 금속 배선 및 그 제조방법
US6194310B1 (en) * 2000-06-01 2001-02-2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of forming amorphous conducting diffusion barriers
KR20030002792A (ko) * 2001-06-29 2003-01-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탄탈륨 옥사이드 캐퍼시터의 형성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041B1 (ko) * 2001-12-27 2004-05-24 동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KR100668645B1 (ko) * 2005-09-09 2007-01-16 한국과학기술원 2단계 원자층증착법에 의한 TaN 박막 증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7539B1 (en) Doped zirconia, or zirconia-like, dielectric film transistor structure and deposition method for same
US6958296B2 (en) CVD TiSiN barrier for copper integration
US6677254B2 (en) Processes for making a barrier between a dielectric and a conductor an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JP4165076B2 (ja) 高誘電率絶縁膜を有する半導体装置
US7816283B2 (en) Method of depositing a higher permittivity dielectric film
KR100400252B1 (ko) 탄탈륨 옥사이드 캐퍼시터의 형성 방법
US9231047B2 (en) Capacitors and methods with praseodymium oxide insulators
US20040072401A1 (en) Method for forming capacitor
US6613669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376299B1 (en) Capacitor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20319855A1 (en) Methods for filling a gap and related systems and devices
US6541330B1 (en) Capacitor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371670B2 (en) Method for forming a (TaO)1-x(TiO)xN dielectric layer in a semiconductor device
US6576528B1 (en) Capacitor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633119B2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high dielectric constant films
KR100504269B1 (ko) WNx 증착을 위한 개선된 PECVD 및 CVD 공정
US8633114B2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high dielectric constant films
KR20030044140A (ko) 탄탈륨 나이트라이드층 형성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반도체소자
US6461910B1 (en) Method of forming a capacitor in a semiconductor device
US7170736B2 (en) Capacitor having low resistance electrode including a thin silicon layer
US7045445B2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by using PECYCLE-CVD process
KR100503965B1 (ko) 반도체 소자의 확산 방지막 형성 방법
KR100702113B1 (ko) 커패시터의 티타늄질화막 형성방법
CN115044886A (zh) 用于形成包含铝、钛和碳的层的方法和系统
KR20030045470A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