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3744A - Rod - Google Patents

R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3744A
KR20030043744A KR1020020074187A KR20020074187A KR20030043744A KR 20030043744 A KR20030043744 A KR 20030043744A KR 1020020074187 A KR1020020074187 A KR 1020020074187A KR 20020074187 A KR20020074187 A KR 20020074187A KR 20030043744 A KR20030043744 A KR 20030043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taper
fitting
rod
fish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1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타니가와쇼타로
우츠노노부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30043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744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2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PURPOSE: To provide a shaking out type interline rod capable of smoothly performing taking in and out of a rod body. CONSTITUTION: This fishing rod is provided with a butt rod 1 and an upper butt rod 2 connected in a shaking out manner to the tip side thereof so as to be freely taken in and out. The butt rod 1 has a fitting tapered part 10 havi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o be a fitting female part from the end on the tip side to the side of the rod butt, a first tapered part 11 increasing the diameter continuous to the side of the rod butt of the fitting tapered part 10 and a second tapered part 12 increasing the diameter continuous to the side of rod butt of the first tapered part 11 to the side of the rod butt and having a smaller taper tilt that of the first tapered part 11.

Description

낚싯대{Rod}Fishing rod {Rod}

본 발명은, 복수의 장대를 연결해서 이루어진 낚싯대, 특히, 원대와 그 수선 측에 연결되는 원상대를 뽑이식으로 연결하고, 이들 위치 관계를 조정하는 것으로 낚싯대 전체의 길이의 조정이 가능한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rod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oles, in particular, a fishing rod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ntire fishing rod by adjust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y pulling the connecting rod and the original rod connected to the waterline side. will be.

종래의 뽑이식의 낚싯대는, 복수의 통상(筒狀)의 장대가 수선측의 장대로부터 순차적으로 장대 기단 측의 장대 체내에 삽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낚시를 할 때에는 각 장대를 순차적으로 수선측으로 인출하고 감합 고정하여 한 자루의 장대로서 이용한다. 한편, 수납시에는 수선측의 장대를 순차적으로 장대 기단측의 장대 체내에 수납하여 컴팩트한 상태가 된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fishing rod, a plurality of rods can be inserted into the rod body on the pole base end side sequentially from the pole on the repair side. When fishing, each pole is drawn out to the waterline side by side, and it is fixed and used as a pole.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storing, the pole on the repair side is sequentially stored in the pole body on the pole base end side, and it becomes a compact state.

또한, 종래의 뽑이식의 낚싯대에는, 원상대와 원대에 있어서, 그 위치 관계를 조정하고, 장대 전체의 길이를 변화시켜서 낚시를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 었다. 이렇게 고안된 낚싯대의 원대는, 수선측 단부 내주면에 제 1 감합자부를, 장대 기단측 단부 내주면에 제 2 감합자부를 갖추고 있고, 이 제 1 감합자부 또는 제 2 감합자부가 원상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 및 수선측의 주위면에 있어서 각각 감합 하도록 되어 있다. 즉, 원상대가 수선측으로 인출(引出)된 상태(이하「연신 상태)라고 한다)에서는, 원상대의 감합웅부가 원대의 제 1 감합자부와 감합하고, 원상대가 원대 내에 삽입된 상태(이하「수납 상태」라고 한다)에서는, 원상대의 감합웅부가 원대의 제 2 감합자부와 감합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shing rod of the conventional pull-out type was designed to adjus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and to change the length of the entire pole in the original rod and the rod, to allow fishing. The rod of the fishing rod thus devised has a first fitting part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repair side and a second fitting part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pole proximal end, and the first fitting part or the second fitting part is the pole proximal end of the original rod. And the peripheral surface on the repair side, respectively. That is, the original counterpart is drawn out to the repair side. In a st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 stretched state ''), the mating male part of the far mating member engages with the first fitting part of the far end, and in the st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oring state") that the far end is inserted into the far end, The fitting mat is fitting with the second fitting part of the far end.

이와 같이 해서, 원대와 원상대는 「연신 상태」 「수납 상태」의 어느 쪽의 상태에 있어서도 서로 감합하여 연결 고정이 가능하고, 상황에 따라 장대 전체의길이를 변화시켜서 낚시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far-end and the far-end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fixed in either of the "stretched state" and "storage state", and fishing can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entire pole according to the situation. .

이러한 뽑이식의 낚싯대, 혹은, 뽑이식이고 한층 더 원대와 원상대의 상호 관계에 의해 낚싯대 전체의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타입의 낚싯대에서는, 상호의 감합력 향상을 위해서 원대의 감합자부의 내경과 원상대의 외경이 정밀하게 합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원대가 피스톤의 실린더와 같이 작용하여, 원상대를 원대로부터 인출 또는 수납할 때의 공기 저항이 커져 원활한 원상대의 원대로의 출입이 저해되는 경우도 있다.In the fishing rod of this type of fishing rod, or the type of fishing rod of the type that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whole fishing rod by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rod and the rod, the inner diameter and the circle of the fitting portion of the rod are improved for mutual fit. The outer diameter of the opponent is set to match precisely. For this reason, the far table acts like a cylinder of a piston, and the air resistance at the time of taking out or storing the far table from the far table becomes large, and smooth entrance and exit of the far table may be hindered.

즉, 원대는 가장 장대 기단측에 위치하는 대경의 장대이기 때문에, 끝이 가는 통상체(筒狀體)로 형성되어도, 일반적으로 단일 테이퍼율 혹은 테이퍼 변화가 적은 장대였다. 이 때문에, 원대의 감합자부와 원상대의 감합웅부의 지름의 설정을 정밀하게 합치하게 하면, 감합 부분 이외의 장소에 있어서도 공기가 새는 틈새(양장대의 지름의 차이)가 작기 때문에, 앞서 말한 바와 같은 피스톤화 현상을 낳을 우려가 있는 것이다. 특히, 원상대의 수선측의 장대에, 중실(中實)의 장대나 낚시줄 계지구(係止具)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현상이 현저하다.That is, since the far end is a pole of the large diameter which is located in the most long base end side, even if it is formed with a thin plain body, generally it was a pole with little single taper rate or taper change. For this reason, if the setting of the diameters of the fitting part of the far end and the fitting male part of the far end is precisely matched, since the gap (difference in the diameter of the rod) of the air leaks also in the place other than the fitting part, as mentioned above, There is a risk of producing a piston. In particular, this phenomenon is remarkable when a solid pole and a fishing line gripping zone exist on the pole on the repair side of the original rod.

이러한 원대와 원상대의 피스톤 현상은, 원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장착 되어 있는 윗 마개(底栓)의 틈새로부터의 물이나 먼지 등의 흡입을 유발하는 것도 있고, 또한, 원상대의 출입시에 불쾌한 소리도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The piston phenomenon of the far end and the far end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far end of the far end. Upper stopper Inhalation of water, dust, etc. from the gap may be caused, and in some cases, an unpleasant sound may also be generated when the original body enters and exits.

본 발명의 과제는, 원상대의 원대로의 출입이 원활히 될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shing rod that can smoothly go in and out of an original ship.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채용한 낚싯대의 전체도.1 is an overall view of a fishing rod employ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원대(1)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far table 1 of FIG. 1.

도 3은 도 1의 원대(1)과 원상대(2)의 연신(延伸) 상태를 도시한 도.3 is a view showing an extended state of the far table 1 and the far table 2 of FIG.

도 4는 도 1의 원대(1)과 원상대(2)의 수납 상태를 도시한 도.FIG. 4 is a view showing a storage state of the far table 1 and the far table 2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원대1:

2: 원상대2: original partner

2a: 감합웅부(嵌合雄部)2a: Hwagyeonggungungbu

7: 너트부재7: Nut member

10: 감합 테이퍼 부분10: fitting taper part

11: 제 1 테이퍼 부분11: first taper portion

12: 제 2 테이퍼 부분12: second taper portion

13: 제 3 테이퍼 부분13: 3 third taper

14: 제 4 테이퍼 부분14: fourth taper portion

발명 1의 낚싯대는, 낚시에 이용하는 낚싯대이고, 대경 장대와 대경 장대의 수선측으로 뽑이식으로 자유자재로 출입하도록 연결되는 소경(小經) 장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대경 장대는, 수선측 단부부터 장대 기단측에 걸쳐 내주면이 감합자부되는 감합 테이퍼 부분과, 감합 테이퍼 부분의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고 장대 기단측에 걸쳐 대경화한 제 1 테이퍼 부분과, 제 1 테이퍼 부분의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고 장대 기단측에 걸쳐 대경화하고 제 1 테이퍼 부분보다 테이퍼 경사가 작은 제 2 테이퍼 부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소경 장대는, 장대 기단측 단부에 다른 부분보다 확경(擴徑)하여 감합 테이퍼 부분의 내주면에 감착(嵌着)이 가능한 감합웅부를 가지고 있다.The fishing rod of invention 1 is a fishing rod used for fishing, and is provided with the small diameter pole connected so that a large diameter pole and a large diameter pole can be pulled in and out freely to the repair side. The large diameter pole includes a fitting taper portion in whic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itted from the repair side end portion to the pole base end side, a first taper portion continuously cured over the pole base end side of the fitting taper portion, and the first taper portion; It has a 2nd taper part which is continuous to the pole base end side of one taper part, is large hardened over the pole base end side, and whose taper inclination is smaller than a 1st taper part. Moreover, the small diameter pole has a fitting male part which can be enlarged in diameter at the base end side of a pole rather than another part, and can be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a fitting taper part.

이 낚싯대에서는, 대경 장대와 소경 장대는 뽑이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소경장대는 대경 장대 체내에 자유자재로 출입한다. 낚시를 할 때에는, 소경 장대를 대경 장대의 수선측으로 인출하여, 소경 장대의 감합웅부를 대경 장대의 감합 테이퍼부분의 내주면에 감착시켜 고정한다. 또한, 수납시에는 이 감착을 해제하여 소경 장대를 대경 장대 체내에 수납하게 된다..In this fishing rod, the large diameter pole and the small diameter pole are connected by a pull-out type, and the small diameter pole enters and exits freely in the large diameter pole body. When fishing, the small diameter pole is pulled out to the repair side of the large diameter pole, and the fitting male part of the small diameter pole is fix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tting taper portion of the large diameter pole. Further, at the time of storing, this attachment is released to store the small diameter pole in the large diameter pole body.

여기서, 대경 장대는 부분적으로 테이퍼 경사가 커지는 제 1 테이퍼 부분을 가지고, 이 제 1 테이퍼 부분이 대경 장대에 있어서의 감합 테이퍼 부분과 제 2 테이퍼 부분과의 내경(內徑)의 차이를 확대화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대경 장대의 제 2 테이퍼 부분의 내경과 소경 장대의 외경(外徑)(특히, 감합웅부의 외경)과의 지름의 차가 커져 그 사이에 충분한 크리어런스(clearance)가 유지된다. 그리고,이 크리어런스가 이른바 피스톤화 현상을 억제한다. 또한, 부분적으로 제 1 테이퍼 부분을 설치하는 것으로, 부당하게 대경 장대 전체로써 테이퍼 변화가 커져 버리는 것도 방지된다.Here, the large-diameter pole has a first tapered portion in which the taper inclination increases in part, and the first tapered portion enlarges the difference in the inner diameter between the fitting taper portion and the second tapered portion in the large-diameter pole. have. As a result, the difference in diameter betwee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tapered portion of the large diameter pole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mall diameter pole (especially, the outer diameter of the fitting male part) becomes large, so that sufficient clearance is maintained therebetween. And this clearance suppresses what is called a piston phenomenon. Moreover, by providing a 1st taper part partly, it can also prevent that a taper change becomes large unfairly as a whole large diameter pole.

발명 2의 낚싯대는, 발명 1의 낚싯대이고, 대경 장대의 제 2 테이퍼 부분의 수선측 단부에 있어서의 내경과, 소경 장대의 감합웅부의 외경과의 차이가 0. 5 mm~1. 0mm정도로 설정되어 있다.The fishing rod of invention 2 is a fishing rod of invention 1,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diameter in the repair side edge part of the 2nd taper part of a large diameter pole,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fitting male part of a small diameter pole is 0.5 mm-1. It is set to about 0mm.

이 낚싯대에서는, 소정의 지름의 차이를 소정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으로, 필요 및 충분한 대경 장대 체내부로의 공기 통로를 확보한다.In this fishing rod, setting a difference of a predetermined diameter to a predetermined range ensures a necessary and sufficient air passage to the large diameter pole body.

발명 3의 낚시대는, 발명 1 또는 2의 낚시대이고, 대경 장대와, 감합 테이퍼 부분의 테이퍼율이 2/1000~4/1000이고, 제 1 테이퍼 부분의 테이퍼율이 20/1000~30/1000이고, 제 2 테이퍼 부분의 테이퍼율이 0.1/1000~2.0/1000이다.The fishing rod of invention 3 is a fishing rod of invention 1 or 2, the taper rate of a large diameter pole and a fitting taper part is 2/1000-4/1000, and the taper rate of a 1st taper part is 20/1000-30/1000 The taper rate of the second tapered portion is 0.1 / 1000 to 2.0 / 1000.

이 낚시대는, 대경 장대의 각 부분의 테이퍼율을 소정의 범위로 설정하고 있다. 이 정도의 테이퍼를 순차적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대경 장대와 소경 장대의 피스톤화가 해소된다.This fishing rod sets the taper rate of each part of a large diameter pole in a predetermined range. By setting such a taper sequentially, the pistonization of a large diameter pole and a small diameter pole is eliminated.

(발명의 실시형태)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낚싯대의 전체의 구조][Structure of the whole fishing rod]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채용한 낚싯대는, 도 1에 도시된 대로, 원대(1)과, 원대(1)의 수선측에 연결된 원상대(2)와, 원상대(2)의 수선측에 연결된 중대(中竿)(3)과, 중대(3)의 수선측에 연결된 초릿대(4)를 갖추고 있다. 이들 원대(1)~초릿대(4)는 탄소섬유 또는 유리 섬유등에 합성수지를 함침(含浸)시킨 프리 프레그(수지 침투 가공재, prepreg)로부터 형성된 끝이 가는 통상(筒狀)의 부재이다. 그리고, 원상대(2)~초릿대(4)는 수선측으로부터 차례로 장대 기단측의 장대의 내부에 삽입되고 자유자재로 출입되어, 이른바 뽑이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덧붙여 장대의 갯수는 필요로 하는 낚싯대 전체의 길이 등에 의해 적정 설정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4개로 한정 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개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shing rod which employ | adopted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shown in FIG. 1 in the base 1, the base 2 connected to the repair side of the base 1, and the repair side of the original 2. The squadron 3 which was connected, and the chocolate bar 4 which were connected to the waterline side of the squadron 3 are provided. These raw belts 1 to 4 are largely thin end members formed from prepreg (prepreg resin impregnated material) impregnated with synthetic resin in carbon fiber or glass fiber. Then, the original bed 2 to the chocolate bar 4 are inserted into the pole on the pole base end side one by one from the repair side, freely enter and exit, and are connected by a so-called pull type. In addition, the number of poles is suitably set by the length of the whole fishing rod etc. which are needed, It is not limited to four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use arbitrary numbers.

또한, 가장 수선측에 위치하는 초릿대의 수선측 단부에는 낚시줄 계지구(5)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낚시줄 계지구(5)에 낚시줄(L)이 연결된다. 낚시줄 계지구(5)는 주지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뱀 구멍」이라고 불리는 것 같은 모사(毛絲)형상의 부재나, 통상체의 내부에 회전 볼 및 회전체를 배치해서, 이 회전체에 낚시줄을 계지 가능하게 한 것 같은 것을 예시 할 수 있다. 덧붙여 이 초릿대 대해서는, 소경화를 위해 다른 장대와 달리 중실의 장대를 이용 해도 좋다.In addition, a fishing line latch 5 is connected to the water line side end of the chord table located at the most waterline side. And a fishing line L is connected to this fishing line latching district 5. The fishing line latch 5 can use a well-known thing, for example, arrange | positions a ball-shaped member like a "snake hole", and arrange | positions a rotating ball and a rotating body in the inside of a normal body. Thus, there may be exemplified that the fishing line can be hooked to this rotating body. In addition, you may use solid pole for this hardening pole unlike other poles for small hardening.

[원대(1)과 원상대(2)의 구조][Structure of faraway (1) and faraway (2)]

이 낚싯대의 원상대(2)와 원대(1)은 연신 상태 및 수납 상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상호 고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 원대(1)및 원상대(2)의 구조 를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original table 2 and the original table 1 of this fishing rod are mutually fixable in both an extended state and a storage state. The structure of the far table 1 and the far table 2 is demonstrated in detail below.

우선, 원상대(1)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original counterpart 1 is demonstrat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대(1)은, 전체로서 수선측 만큼 소경화된 테이퍼가 설치된 통상체이다. 그리고, 장대 기단측 단부에는 밑 마개(6)이 자유자재로착탈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원대(1)의 장대 기단측 단부 내부에는 너트부재(7)이 배치되고, 그 수선측의 내주면에는 스톱퍼 링(8)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너트부재(7)에 밑 마개(6) 자유자재로 탈착되도록 나합하고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far table 1 is a normal body provided with the taper reduced by the waterline side as a whole. Then, the bottom cap 6 is attached to the pole proximal end so as to be detached freely. The nut member 7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pole base end side of the far base 1, and the stopper ring 8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line side. Then, the nut member 7 is screwed together so that the bottom cap 6 can be detached freely.

이 스톱퍼 링(8)은 내주면에 지름 안쪽 방향으로 돌출하면서 축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돌기를 갖추고, 이 돌기의 내주에 있어서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 (감합웅부 2a)의 외주면과 감착하도록 되어있다. 돌기의 수선측 단부는 완만하게 모따기등을 실시해도 좋다.The stopper ring 8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while protruding in the radially inner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le proximal end (fitting male part 2a) of the original counterpart 2 is fitt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rotrusion. It is supposed to. You may perform a chamfer gently etc. at the repair side edge part of a processus | protrusion.

원대(1)은, 자세하게는 이하와 같은 부분적으로 변화하는 각각의 테이퍼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 2에 모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원대(1)은, 수선측 단부로부터 장대 기단측에 걸쳐 내주면이 감합자부 되는 감합 테이퍼 부분(10)과, 감합 테이퍼 부분(10)의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고 장대 기단측에 걸쳐 대경화한 제 1 테이퍼 부분(11)과, 제 1 테이퍼 부분(11)의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여 장대 기단측에 걸쳐 대경화하고 제 1 테이퍼 부분(11)보다 테이퍼 경사가 작은 제 2 테이퍼 부분(12)와, 제 2 테이퍼 부분(12)의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여 장대 기단측에 걸쳐 대경화하고 제 2 테이퍼 부분(12)보다 테이퍼 경사가 큰 제 3 테이퍼 부분(13)과, 제 3 테이퍼 부분(13)의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여 장대 기단측에 걸쳐 대경화하고 제 3 테이퍼 부분보다 테이퍼 경사가 작은 제 4 테이퍼 부분(14)를 갖추고 있다.The far table 1 consists of each taper part which changes in part as follows in detail. That is, as shown typically in FIG. 2, this far table 1 is the pole of the fitting taper part 10 and the fitting taper part 10 whic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engages from the repair side edge part to the pole base end side. The first tapered portion 11 continuous to the proximal side and being largely cured over the pole proximal side, and the first tapered portion 11 being largely cured over the pole proximal side and continuously to the pole proximal side of the first tapered portion 11. The second taper portion 12 having a smaller taper inclination than) and the second taper portion 12 are continuously hardened to the pole base end side of the second taper portion 12, and have a larger taper slope than the second taper portion 12. The 3rd taper part 13 and the 4th taper part 14 which are large hardened over the long base end side continuously in the long base end side of the 3rd taper part 13, and whose taper inclination is smaller than a 3rd taper part are provided.

감합 테이퍼 부분(10)은, 그 내주면에 후술의 원상대(2)의 감합웅부(2a)의 외주면이 감착하는 부분이다. 원대(1)의 전체의 길이등에 좌우되는 것이지만, 예를들면, 원대(1) 전체의 축방향 길이를 700~800 mm정도로 가정할 경우, 예를 들면, 그 축방향 길이는 100~150 mm정도이고, 테이퍼율은 2/1000~4/1000 정도로 설정된다.The fitting taper part 10 is a part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tting male part 2a of the original base 2 mentioned later adheres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lthough it depends on the whole length of the fleece 1, etc. For example, when the axial length of the fleece 1 whole is assumed to be about 700-800 mm, for example, the axial length is about 100-150 mm. The taper rate is set to about 2/1000 to 4/1000.

제 1 테이퍼 부분(11)은, 감합 테이퍼 부분(10)에 비해 크게 장대 기단측으로 확경하는 부분이다. 이 부분도 원대(1)의 전체의 길이 등에 좌우되는 것이지만, 예를들면, 상기의 가정에 근거하면, 그 축방향 길이는 20~40 mm정도로 비교적 짧고, 테이퍼율은 20/1000~30/1000 정도로 크게 설정된다.The 1st taper part 11 is a part which enlarges diameter to the long base end side large compared with the fitting taper part 10. As shown in FIG. This part also depends on the entire length of the base 1, etc. For example, based on the above assumption, the axial length thereof is relatively short, about 20 to 40 mm, and the taper rate is 20/1000 to 30/1000. Is set large enough.

제 2 테이퍼 부분(12)는, 제 1 테이퍼 부분(11)에 비해 작고 완만하게 장대 기단측으로 확경하는 부분이다. 제 2 테이퍼 부분(12)는 거의 테이퍼의 변화가 없는 스트레이트 테이퍼로 설정해도 괜찮다. 이 부분도 원대(1)의 전체의 길이 등에 좌우되는 것이지만, 예를 들면, 상기의 가정에 근거하면, 그 축 방향 길이는 원대(1)의 주요 부분을 차지하는 300~500 mm정도로 비교적 길고, 테이퍼율은 0.1/1000~2/1000 정도로 작게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테이퍼율은 1.0~1.5 정도이다.The second tapered portion 12 is a portion that is smaller and gentler than the first tapered portion 11 and is enlarged to the long base end side. The second taper portion 12 may be set to a straight taper with almost no change in taper. Although this part also depends on the whole length of the base 1, etc. For example, based on the said assumption, the axial length is comparatively long about 300-500 mm which occupies the main part of the base 1, and is tapered. The rate is set as small as 0.1 / 1000 to 2/1000. Preferably, this taper rate is about 1.0-1.5.

제 3 테이퍼 부분(13)은, 제 2 테이퍼 부분(12)에 비해 크게 장대 기단측으로 확경하는 부분이다. 이 부분도 상기의 가정에 근거하면, 그 축방향 길이는 20~50mm정도로 비교적 짧고, 테이퍼율은 30/1000~40/1000 정도로 크게 설정된다. 또한, 이 제 3 테이퍼 부분(13)의 축방향 양단에 있어서는, 각각 연속하는 제 2 테이퍼 부분 (12) 및 후술의 제 4 테이퍼 부분(14)와의 연속성을 완만하게 유지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완만한 곡면을 설정해도 좋다.The third taper portion 13 is a portion that is enlarged to the long base end side as compared with the second taper portion 12. This part is also based on the above assumption, and its axial length is relatively short, about 20 to 50 mm, and the taper rate is set to about 30/1000 to 40/1000. In addition, in the axial end of this 3rd taper part 13, in order to maintain continuity with the 2nd taper part 12 and the 4th taper part 14 mentioned later, respectively, it is gentle in the axial direction. One surface may be set.

제 4 테이퍼 부분(14)는, 제 3 테이퍼 부분(13)에 비해 작게 장대 기단측으로 확경하는 부분이다. 이 부분도 상기의 가정에 근거하면, 그 축방향 길이는 10~30 mm정도로 비교적 짧고, 테이퍼율은 대략 0.1/1000~1.0/1000정도로, 혹은, 스트레이트 테이퍼로서 설정된다. 이 제 4 테이퍼 부분(14)에 있어서, 상술의 너트 부재 (7) 및 스톱퍼 링(8)이 배치된다.The fourth tapered portion 14 is a portion that is enlarged to the long base end side smaller than the third tapered portion 13. This part is also based on the above assumption, and its axial length is relatively short at about 10 to 30 mm, and the taper rate is set at about 0.1 / 1000 to 1.0 / 1000 or as a straight taper. In the fourth tapered portion 14, the nut member 7 and the stopper ring 8 described above are disposed.

이하, 원상대(2)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riginal counterpart 2 is demonstrated.

도 3에 모식적으로 자세하게 도시한 대로, 원상대(2)는, 원대(1)과 같이, 끝이 가는 테이퍼가 설치된 통상체이다.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이 다른 부분 보다 약간 대경화해서 형성되어 있고, 이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면이 감합웅부(2a)로 되어 있다. 또한,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는 필요에 따라서 윗 마개(9)를 배치해도 좋다. 이 감합웅부(2a)는, 예를 들면, 부분적으로 프리프레그 소재를 가외로 적층(積層)하여 대경화하는 방법이나, 원대(1)과 같이 장대 기단측 단부에 있어서 테이퍼의 변화를 설치한 부분을 부분적으로 형성해서 대경화하는 방법등에 의하여, 형성 가능하다. 그리고, 이 감합웅부(2a)의 외경은, 상술한 원대(1)의 감합 테이퍼부(10)의 내경 및 스톱퍼 링(8)의 내경에 합치하도록, 필요에 따라서 테이퍼 변화를 설치하면서 설정되어 있다(도 4 참조).As typically shown in detail in FIG. 3, the far table 2 is a normal body provided with a tapered tape like the far table 1. The long base end sid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other parts, and this long base end side outer peripheral surface becomes the fitting male part 2a. In addition, you may arrange | position the upper stopper 9 to the pole base end side edge part of the original base 2 as needed. The fitting male part 2a is, for example, a method of partially stacking a prepreg material and extra-hardening, or a part in which a change of taper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long-term base end like the far table 1. Can be formed by, for example, a method of partially forming the film and hardening it. And the outer diameter of this fitting male part 2a is set, providing a taper change as needed so that it may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itting taper part 10 of the far table 1,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stopper ring 8 mentioned above. (See Figure 4).

이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외경(øB)와, 원대(1)의 제 2 테이퍼 부분(12)의 수선측 단부에 있어서의 내경(øA)와의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5 mm이상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er diameter øB of the pole proximal end of the far table 2 and the inner diameter øA at the waterline side end of the second tapered portion 12 of the far table 1 is preferably 5 mm. It is good to set so that it may become abnormal.

덧붙여, 원상대(2)로부터 수선측의 각 장대에 있어서는, 종래의 뽑이식의 낚싯대와 같이 감착 부분이 설치된다.In addition, in each pole on the repair side from the original base 2, a fitting part is provided like the conventional fishing rod.

이러한 구조를 갖춘 낚싯대에서는, 낚시를 할 때에는, 각 장대를 차례로 수선측으로 인출하여,각 장대를 뽑이식으로 서로 감착한 한 자루의 낚싯대와, 낚시줄 계지구(5)로 낚시줄(L)를 연결하여 낚시를 한다. 또한, 수납시에는 각 장대의 감착을 해제하고 차례로 장대 기단측의 장대 체내에 수선측의 장대를 수납하여 컴팩트한 상태가 되게 한다. 게다가 원대(1)과 원상대(2)에 있어서는, 원상대(2)를 원대(1)로부터 인출한 상태(연신 상태)뿐만 아니라, 수납하고 있는 상태(수납 상태)에서도 서로 감착 시킬 수가 있어, 낚싯대 전체의 길이를 조정하면서 낚시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fishing rod with such a structure, when fishing, each rod is pulled out to the waterline side one by one , and each fishing rod L is attached to the fishing rod gripping strip 5 with a fishing rod attached to each other by pulling each pole. Connect and fish. At the time of storing, the rods on each side of the rod are released and the rods on the repair side are stored in a compact state. In addition, in the far table 1 and the far table 2, not only the state (extended state) with which the far table 2 was pulled out from the far table 1, but also the state (storing state) stored, can be mutually attached, It is also possible to fish while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ntire fishing rod.

즉, 원상대(2)를 원대(1)의 수선측으로 인출한 연신 상태에 있어서는, 통상의 뽑이식의 낚싯대와 같이, 원상대(2)의 감합웅부(2a)를 원대(1)의 수선측 단부의 감합 테이퍼 부분(10)의 내주면에 감착시켜 고정한다(도 3 참조). 한편, 원상대(2)를 원대(1)내로 삽입한 수납 상태에 있어서는, 원상대(2)의 감합웅부(2a)를 스톱퍼 링(8)에 삽입해서 감착시킨다(도 4 참조).In other words, in the stretched state in which the original table 2 is drawn out to the repair side of the original table 1, the fitting male part 2a of the original table 2 is moved to the repair side of the original table 1 like a normal fishing rod. It adheres and fixes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tting taper part 10 of an edge part (refer FIG. 3). On the other hand, in the storage state in which the original base 2 is inserted into the original base 1, the fitting male part 2a of the original base 2 is inserted into the stopper ring 8 and made to be fitted (see FIG. 4).

이러한 원상대(2)의 원대(1)로의 출입시에 있어서, 원대(1)의 제 1 테이퍼 부분(11)이 원대(1)에 있어서의 감합 테이퍼 부분(10)과 제 2 테이퍼 부분(12)와의 내경의 차이를 확대화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원대(1)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제 2 테이퍼 부분(12)의 내경과 원상대(2)의 외경(특히, 장대 기단측 단부에 있어서의 최대 외경)과의 지름의 차가 크게 되어, 그 사이에 충분한 크리어런스가 유지된다. 그리고, 이 크리어런스가 이른바 피스톤화 현상을 억제한다. 또한, 부분적으로 제1 테이퍼 부분(11)을 비교적 축방향 길이를 작게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부당하게 원대(1) 전체로서 테이퍼 변화가 커져 버리는 것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밀폐 피스톤화 방지는, 원대(2)의 출입시의 불쾌한 소리의 발생이나, 원대(1)과 밑 마개(6)과의 틈새로부터의 물, 쓰레기의 침입등의 방지를 가능하게 한다.At the time of entry and exit of the far table 2 into the far table 1, the first taper portion 11 of the far table 1 is fitted with a fitting taper portion 10 and a second taper portion 12 in the far table 1. We enlarge difference in inside diameter with). As a result,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tapered portion 12 that occupies most of the far table 1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far table 2 (particularly, the maximum outer diameter at the end of the long pole end) becomes large. In the meantime, sufficient clearance is maintained. And this clearance suppresses what is called piston phenomenon.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first tapered portion 11 with a relatively small axial length,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taper change from being unreasonably large as the entire base 1. Such a closed pistonization prevention enables prevention of generation of an unpleasant sound at the time of entrance and exit of the far end 2, intrusion of water, garbage from the gap between the far end 1 and the bottom cap 6, and the like.

게다가 원대(1)은 장대 기단측 단부에 있어서도, 부분적으로 확경하는 제 3 테이퍼 부분을 설치하는 것으로, 너트 부재(7)이나 스톱퍼 링(8)을 수납하는 스페이스를 원대(1)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far end 1 is provided with a third tapered portion that is partially enlarged at the far end proximal end, and th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nut member 7 and the stopper ring 8 is provided with the far end proximal side of the far end 1. It can be formed partially at the end.

[다른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a)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낚싯대 전체의 길이 조정이 가능한 타입의 낚싯대에 관해서 설명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타입의 낚싯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뽑이식의 낚싯대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 3 테이퍼 부분(13)~제 4 테이퍼 부분(14)는 필요에 따라서 생략할 수 있다.(a) In the said embodiment, the fishing rod of the type which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whole fishing rod is demonstrat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type of fishing rod, It is possible to apply this invention also in a normal fishing rod. In this case, the 3rd taper part 13-the 4th taper part 14 can be omitted as needed.

본 발명의 낚싯대에 의하면, 대경 장대와 소경 장대의 출입을 원활하게 할수 있다.According to the fish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enter and exit the large diameter pole and the small diameter pole.

Claims (3)

낚시에 이용하는 낚싯대에 있어서,In the fishing rod used for fishing, 대경 장대와, 상기 대경 장대의 수선측으로 뽑이식으로 자유자재로 출입하도록 연결되는 소경 장대를 구비하고,A large diameter pole and a small diameter pole connected to freely enter and exit to the repair side of the large diameter pole; 상기 대경 장대는, 수선측 단부로부터 장대 기단측에 걸쳐서 내주면이 감합 자부되는 감합 테이퍼 부분과, 상기 감합 테이퍼 부분의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여 장대 기단측에 걸쳐 대경화하는 제 1 테이퍼 부분과, 상기 제 1 테이퍼 부분의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여 장대 기단측에 걸쳐 대경화하고 상기 제 1 테이퍼 부분보다 테이퍼 경사가 작은 제 2 테이퍼 부분을 갖추고,The large diameter pole includes a fitting taper portion in whic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itted from the repair side end portion to the pole base end side, a first taper portion which is largely cured over the pole base end side continuously on the pole base end side of the fitting taper portion, and the A second taper portion having a large diameter which is continuously cured over the pole base end side of the first taper portion over the pole base end side and whose taper inclinatio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taper portion, 상기 소경 장대는, 장대 기단측 단부에 다른 부분보다 확경하고 상기 감합 테이퍼 부분의 내주면에 감착 가능한 감합웅부를 가지고 있는The small-diameter pole has a fitting male part which is wider than the other part at the base end side of the pole and can be 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tapered portion 낚싯대.fishing ro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대경 장대의 제 2 테이퍼 부분의 수선측 단부에 있어서의 내경과, 상기 소경 장대의 감합웅부의 외경과의 차가 0.5 mm~1.0 mm정도로 설정된Th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diameter at the waterline side end of the second tapered portion of the large diameter pole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fitting male part of the small diameter pole is set to about 0.5 mm to 1.0 mm. 낚싯대.fishing ro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대경 장대는, 상기 감합 테이퍼 부분의 테이퍼율이 2/1000~4/1000이고, 상기 제 1 테이퍼 부분의 테이퍼율이 20/1000~30/1000이고, 상기 제 2 테이퍼 부분의 테이퍼율이 0.1/1000~2/1000인In the said large diameter pole, the taper rate of the said fitting taper part is 2/1000-4/1000, the taper rate of the said 1st taper part is 20/1000-30/1000, and the taper rate of the said 2nd taper part is 0.1 / 1000-2/1000 낚싯대.fishing rod.
KR1020020074187A 2001-11-27 2002-11-27 Rod KR2003004374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61408 2001-11-27
JP2001361408A JP2003158962A (en) 2001-11-27 2001-11-27 Fishing r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744A true KR20030043744A (en) 2003-06-02

Family

ID=19172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187A KR20030043744A (en) 2001-11-27 2002-11-27 Ro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3158962A (en)
KR (1) KR20030043744A (en)
CN (1) CN1241472C (en)
TW (1) TWI248786B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738B1 (en) * 2000-11-21 2008-01-0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shing rod
KR101108800B1 (en) * 2010-04-06 2012-01-31 정미선 Chopsti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2474A1 (en) * 2003-06-17 2004-12-29 Shimano Inc. Fishing r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2547A (en) * 1995-12-28 1997-07-15 Daiwa Seiko Inc Fishing rod
JPH09205942A (en) * 1996-01-30 1997-08-12 Daiwa Seiko Inc Fishing rod
JPH1014446A (en) * 1996-06-30 1998-01-20 Daiwa Seiko Inc Internally threaded fishing rod of shaking out type
JPH1084820A (en) * 1996-09-15 1998-04-07 Daiwa Seiko Inc Hollow fishing rod
JP2000201587A (en) * 1999-01-11 2000-07-25 Daiwa Seiko Inc Joint type fishing rod using internal solid rod ba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2547A (en) * 1995-12-28 1997-07-15 Daiwa Seiko Inc Fishing rod
JPH09205942A (en) * 1996-01-30 1997-08-12 Daiwa Seiko Inc Fishing rod
JPH1014446A (en) * 1996-06-30 1998-01-20 Daiwa Seiko Inc Internally threaded fishing rod of shaking out type
JPH1084820A (en) * 1996-09-15 1998-04-07 Daiwa Seiko Inc Hollow fishing rod
JP2000201587A (en) * 1999-01-11 2000-07-25 Daiwa Seiko Inc Joint type fishing rod using internal solid rod ba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738B1 (en) * 2000-11-21 2008-01-0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shing rod
KR101108800B1 (en) * 2010-04-06 2012-01-31 정미선 Chopsti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48786B (en) 2006-02-11
CN1241472C (en) 2006-02-15
TW200300327A (en) 2003-06-01
JP2003158962A (en) 2003-06-03
CN1421131A (en) 200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43744A (en) Rod
KR101133909B1 (en) Fishing rod
JP2003319738A (en) Connection structure of rod
KR20030003007A (en) Fitting structure of rod
KR20030084679A (en) Fishing rod
JP2004215510A (en) Fishing rod
JP4225535B2 (en) fishing rod
JP2002354970A (en) Fishing rod
JP3892694B2 (en) fishing rod
JP3752330B2 (en) Housing mating structure
KR101005714B1 (en) Fishing rod
JP2005021132A (en) Connection structure of pipe
JPH0522067Y2 (en)
JP4064231B2 (en) Punch
JP3998124B2 (en) Punch
JP3830099B2 (en) Tamami pattern
JP4270995B2 (en) fishing rod
JPH09233975A (en) Fishing rod
JP2021036815A (en) Telescopic rod
JP4692976B2 (en) Punch
JP3003513U (en) Through rod
JP4502340B2 (en) Housing mating structure
JP3911170B2 (en) fishing rod
JP2708393B2 (en) Fishing rod
JP2002335818A (en) Interline r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