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3473A - 브이오아이피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브이오아이피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3473A
KR20030043473A KR1020010074672A KR20010074672A KR20030043473A KR 20030043473 A KR20030043473 A KR 20030043473A KR 1020010074672 A KR1020010074672 A KR 1020010074672A KR 20010074672 A KR20010074672 A KR 20010074672A KR 20030043473 A KR20030043473 A KR 20030043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ing
cable modem
change
terminal system
scheduling sche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1305B1 (ko
Inventor
계환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4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305B1/ko
Priority to US10/305,077 priority patent/US7764604B2/en
Publication of KR20030043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네트워크의 스케쥴링 상태에 맞춰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에, VoIP맥 프레임에 인코딩된 확장 헤더 타입정보를 이용해 특정 세션의 스케쥴링 방식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케이블 네트워크의 서비스 품질(QoS)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이 물리적인 하나의 서비스 채널을 이용하는 세션들의 스케쥴링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이를 이용해 현 스케쥴링 상태에 적합한 스케쥴링 방식을 결정한 후, 현 스케쥴링 상태에 적합한 스케쥴링 방식으로 변경하라는 명령을 VoIP맥 프레임의 맥 헤더에 인코딩하여 케이블 모뎀으로 전송하면, 상기 변경 명령을 전송받은 케이블 모뎀이 해당 세션들의 스케쥴링 방식 변경이 가능한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스케쥴링 방식을 변경하도록 하는 단계들이 요구된다.

Description

브이오아이피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Switching Method of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cheduling Type}
본 발명은 케이블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브이오아이피(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VoIP)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네트워크는 원격지 접속 분야에서 종합정보통신망(ISDN), 멀티디지털가입자회선(xDSL)등과 함께 대두되고 있는 네트워크로서,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에 접속하여 초고속의 데이터 전송 속도로 가입자에게 재택근무, 영상회의, 웹검색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케이블 네트워크는 일측이 가입자 설비(CPE: Customer Premises Equipment)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PC)와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케이블망을 통해 케이블모뎀 단말시스템과 연결되어 가입자가 케이블모뎀 단말시스템과 연결된 백본(back - bone)망을 통해 인터넷 서버가 제공하는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이러한 일반적인 케이블 네트워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케이블모뎀(11∼14, CM: Cable Modem)이 케이블망(20)의 형태로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케이블모뎀(11∼14)에는 가입자 설비(CPE)인 퍼스널 컴퓨터(PC)가 연결되어 있으며, 업스트림(upstream) 및 다운스트림(downstream)채널을 제공하는 케이블모뎀 단말시스템(30, CMTS: 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이 케이블망(20)과 백본망(40) 사이에 연결되어 있어, 가입자는 백본망(40)을 통해 서버(50)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케이블 네트워트상에서 초고속의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제공하여 주는 장치인 케이블 모뎀은 현재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전세계의 케이블 서비스를 주도하는 북미주의 여러 회사들은 "Cablelabs"라는 케이블 텔레비전 연구소를 만들어서 "DOCSIS"(Data Over Cable 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라는 케이블 모뎀의 서비스 인터페이스 규격을 개시하였다.
현재 DOCSIS는 버전1.1까지 개시되어 있으며, 특히 VoIP맥 프레임과 같은 음성 데이터 패킷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 QoS)을 보장하고 있는데,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은 이러한 서비스 품질을 복수개의 세션(session)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스케쥴링(Scheduling)을 실시한다.
즉, 하나의 물리적 서비스 채널을 복수 개의 세션들이 공유하고 있는 현실에서 이 물리적 서비스 채널의 다중화(Mutiplexing)를 위해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이 스케쥴링을 실시하는데, 이러한 스케쥴링 방식에는 일반적으로 UGS(Unsolicited Grant Service)방식과 UGS/AD(Unsolicited Grant Service with Activity Detection)방식이 있다.
먼저 UGS방식은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이 해당 케이블 모뎀에게 타임슬롯을 주기적으로 할당하면, 상기 케이블 모뎀은 하나의 물리적인 서비스 채널을 공유하고 있는 복수의 세션들에게 타임슬롯을 할당하여 자기에게 할당된 타임슬롯동안에만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맥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이 때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은 실질적으로 음성데이터가 전송되는 액티브 (active)상태냐 또는 음성데이터가 압축(suppression)되는 인액티브(inactive)상태이냐에 관계없이 항상 타임슬롯을 주기적으로 해당 케이블 모뎀에게 할당한다.
반면에, 또 다른 스케쥴링 방식인 UGS/AD방식은 액티브 상태시에는 UGS방식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지만, 인액티브 상태에서는 단지 액티브 상태시에 필요한 해당케이블 모뎀의 타임슬롯 개수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폴링 서비스(PollingService)동작을 수행한다.
즉, 인액티브 상태에서는 상기 케이블 모뎀이 액티브시에 필요한 타임 슬롯의 갯수에 관한 정보를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은 이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다가 액티브 상태가 될 경우 필요한 갯수만큼의 타임 슬롯들을 해당 케이블 모뎀에게 할당한다.
도 2는 이러한 스케쥴링 방식(UGS, UGS/AD)에 사용되는 VoIP맥 프레임의 일반적인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VoIP맥 프레임은 크게 맥 헤더(Mac Header)필드와 페이로드(payload) 영역인 PDU(Payload Data Unit)필드로 구분된다.
상기 맥 헤더는 맥 헤더 타입을 정의하는 FC(Frame Control), 맥 파라미터 필드인 MAC_PARM (Parameter), 맥 프레임의 길이를 나타내는 LEN(Length)필드, 맥 프레임의 비트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HCS(Header Check Sequence)필드, 스케쥴링 방식을 나타내는 확장 헤더인 EHDR(Extended Header ; EH)필드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확장 헤더(EHDR)에는 해당 스케쥴링 방식이 타입/길이/값(Type/LENGTH/VALUE)형태로 부호화되어 해당 영역에(EH-Type/EH-LEN/EH-VALUE)에 표시된다.
또한, 상기 PDU필드는 목적지 주소를 나타내는 DA(Destination Address) 필드와, 출발지주소를 나타내는 SA(Source Address) 필드, 이더넷 타입 또는 그 길이를 나타내는 Type/Len(Type/Length) 필드, 가변길이의 음성데이터를 나타내는 User Data 및 그 오류 검출을 위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 필드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맥 프레임의 기본 포맷은 UGS 방식이나 UGS/AD방식이 동일하며, 다른 점은 UGS/AD방식은 확장 헤더(EHDR)의 "EH - VALUE"필드에 액티브 상태시에 필요한 타임 슬롯의 갯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가 추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물리적인 서비스 채널의 다중화를 위한 스케쥴링 방식에는 UGS방식이나 UGS/AD방식이 있고, 케이블 네트워크는 이러한 두 가지 스케쥴링 방식중에서 하나의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케이블 네트워크의 스케쥴링 상태에 따라 종종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면, UGS 방식에 따라 스케쥴링되는 물리적인 서비스 채널을 여러 개의 세션들이 공유하고 있는데, 새로운 세션이 추가되어 추가된 세션에 더 이상의 타임슬롯을 할당 할 수 없는 경우라면, 상기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은 특정 세션들의 스케쥴링 타입을 UGS/AD로 변경하여 이 UGS/AD의 인액티브 구간을 이용해 추가되는 세션들에게 타임 슬롯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UGS방식은 음성데이터가 전송되는 액티브 상태일 뿐만 아니라, 단지 음성데이터가 압축되는 인액티브 상태에서도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이 일정 크기의 타임 슬롯을 케이블 모뎀에게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불필요하게 대역폭을 낭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낭비되는 대역폭을 새로운 세션에게 타임슬롯을 제공하는데 이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대역폭을 관리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에 관한 방법이 현재까지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설령 DSC시그널링(Dynamic Service Change Signaling)을 통한 스케쥴링 파라미터들의 변경으로 기존 스케쥴링 방식을 새로운 스케쥴링 방식으로변경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DSC시그널링은 각각의 세션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없었기 때문에 서비스 채널을 공유하는 모든 세션들을 일괄적으로 하나의 스케쥴링 방식으로 변경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대역폭의 낭비와 시그널링을 종료하기까지의 시간적 지연이 문제가 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 네트워크의 스케쥴링 상태에 맞춰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에 특정 세션의 스케쥴링 방식을 변경하여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VoIP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VoIP스케쥴링 변경 방법은,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CMTS)이 스케쥴링 상태의 변경 유무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스케쥴링 상태의 변경이 있을 경우 기존 세션들의 스케쥴링 방식을 변경된 스케쥴링 상태에 적합한 스케쥴링 방식으로 변경하라는 명령을 케이블 모뎀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명령을 전송받은 케이블 모뎀이 기존 세션들의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이 가능한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이 가능한 경우, 기존 세션들의 스케쥴링 방식을 변경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VoIP맥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브이오아이피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고,
도 4,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확장 헤더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VoIP맥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브이오아이피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이오아이피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은,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이 물리적인 하나의 서비스 채널을 이용하는 세션들의 스케쥴링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제 10 단계(S10)와, 상기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이 모니터링한 정보를 이용해 상기 세션들의 스케쥴링 상태에 적합한 최상의 스케쥴링 방식을 판단하는 제 20 단계(S20)와, 상기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이 세션들의 기존 스케쥴링 방식을 현 스케쥴링 상태에 적합한 최상의 스케쥴링 방식으로 변경하라는 명령을 VoIP맥 프레임의 맥 헤더에 인코딩하여 케이블 모뎀으로 전송하는 제 3 단계(S30)와, 상기 변경 명령을 전송받은 케이블 모뎀이 세션들의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이 가능한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S40)와, 상기 판단 결과 스케쥴링 방식 변경이 가능한 경우, 상기 케이블 모뎀이 전송받은 변경 명령에 따라 스케쥴링 방식을 변경하는 제 5 단계(S50)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이루어지는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은, 먼저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이 물리적인 하나의 서비스 채널을 이용하는 세션들의 스케쥴링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S10).
즉,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이 세션들에게 할당된 스케쥴링 방식, 새로운 세션의 추가 유무 및 그 추가 세션에 할당할 타임슬롯의 존재 유무등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
그런 다음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은 상기 모니터링한 정보를 이용해 현 세션들의 스케쥴링 상태에 적합한 스케쥴링 방식을 결정한다(S20).
예를 들면, 스케쥴링 방식이 UGS방식으로 셋팅되어 있는 서비스 채널의 대역폭이 포화상태이어서 새로운 타임슬롯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이 해당 세션의 UGS 방식을 UGS/AD로 변경하도록 하여 UGS/AD방식의 인액티브 구간을 새로운 타임슬롯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채널의 대역폭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이와 달리 스케쥴링 방식이 UGS/AD로 셋팅되어 있는 서비스 채널의 대역폭이 넉넉한 상황이라면 상기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이 해당 세션의 UGS/AD방식을 UGS방식으로 변경하도록 하여 해당 세션들이 주기적으로 타임슬롯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이 현 스케쥴링 상태에 적합한 하나의 스케쥴링 방식을 결정하면(S20), 결정한 스케쥴링 방식으로 기존 세션의 스케쥴링 방식을 변경하라는 명령을 VOIP맥 헤더의 확장 헤더(Extended Header ; EH)필드에 타입/길이/값(Type/LENGTH/VALUE ; TLV)으로 부호화하여 인코딩한다(S30).
이를 위해 종래 VoIP맥 헤더의 확장 헤더 타입을 새로이 구성해야 하는데, 도 4는 DOSIS(Data Over Cable 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에서 규정한 일반적인 확장 헤더의 필드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널 구성 셋팅 정보(Null Configuration Setting), 다운스트림 페이로드의 헤더 압축 정보(Downstream Payload Header Suppression)등이 각기 TLV형태로 셋팅되어 있고, 특히 UGS스케쥴링 방식이 확장 헤더 타입(EH - Type) 6으로 셋팅되어 있다.
이 때, 확장 헤더 타입 7 - 9까지는 "예비용 타입"으로 VoIP맥 프레임을 전송할 때 아직 사용되고 있지 않은 타입인데, 본 발명에서는 이 3개의 타입중에서 2개를 선택하여, 그것들이 세션의 스케쥴링 방식을 변경하라는 명령을 나타내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GS방식을 UGS/AD로 변경하라는 명령(Switch UGS type to UGS/AD type)은 타입"8"로 지정하고, UGS/AD를 UGS로 변경하라는 명령(Switch UGS/AD type to UGS type)은 타입 "9"로 지정한 새로운 확장 헤더 타입을 VoIP 맥 헤더에 셋팅하는데, 얼마든지 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새로운 확장 헤더 타입이 해당 스케쥴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변경할 스케쥴링 방식의 해당 스케쥴링 파라미터들을 VoIP맥 프레임에 인코딩하여야 하는데, 도 6은 이러한 스케쥴링 파라미터들이 인코딩된 VoIP맥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할 스케쥴링 파라미터들을 VoIP맥 프레임을 구성하는 페이로드 데이터 유닛(Payload Data Unit ; PDU)필드 영역중 사용자 데이터(USER DATA) 필드 영역에 인코딩한다.
예를 들면, UGS 스케쥴링 방식에 필요한 스케쥴링 파라미터들에는 VoIP맥 프레임의 주기적인 시간 간격(Nomimal Grant Interval), VoIP맥 프레임 도착시간의 허용 편차(Tolerated Grant Jitter)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들이 있는데, 만약 기존 스케쥴링 방식이 UGS로 셋팅되어 있고 변경할 스케쥴링 방식이 UGS/AD방식일 경우에는, UGS/AD 방식에 필요한 스케쥴링 파라미터인 폴링 간격(Nominal Polling Interval), 폴링 딜레이 허용범위(Tolerated Poll Jitter)를 VoIP맥 프레임의 사용자 데이터(USER DATA)필드에 인코딩한다.
이 때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은 기존 스케쥴링 방식과 변경할 스케쥴링 방식을 비교하여 상이한 파라미터들만 선택해서 인코딩함으로 불필요한 서비스 채널의 대역폭 낭비를 줄이도록 한다.
아울러 VoIP세션들의 헤더정보를 갖고 있는 PHSI(Payload Header Suppression Index)를 세션들을 구분하는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데, 만약 PHSI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세션의 아이피 주소를 상기 사용자 데이터(USER DATA)필드에 인코딩하여 해당 세션별로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여러 개의 세션들이 하나의 서비스 채널을 공유할 때 각각의 세션마다 서로 다른 아이피 출발지 및 목적지 주소를 부여함으로 각 세션들을 식별하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은 스케쥴링 타입을 변경할 때 해당 세션만을 변경할 수 있도록 아이피 출발지 및 목적지 주소를 VoIP맥 프레임의 사용자 데이터(USER DATA)필드에 인코딩해서 전송함으로 케이블 모뎀이 이 아이피 주소가 매칭되는 해당 세션의 스케쥴링 방식만을 변경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이 스케쥴링 방식을 변경하라는 명령을 확장 헤더에 인코딩하고, 변경할 스케쥴링 방식에 필요한 파라미터들과 해당 세션의 아이피 주소는 사용자 데이터(USER DATA)필드에 인코딩한 VoIP 맥 프레임을 구성하여 이를 케이블 모뎀으로 전송한다.
다음 상기 VoIP맥 프레임을 전송받은 케이블 모뎀이 해당 세션의 스케쥴링 방식 변경이 가능한가를 판단한다(S40).
판단 결과,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이 가능한 경우에는 전송받은 VoIP 맥 프레임의 변경 명령에 따라 기존 스케쥴링 방식을 현 스케쥴링 상태에 적합한 스케쥴링 방식으로 변경하여 그 과정을 종료한다(S50).
반면에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이 가능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변경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한 상기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이 상기 변경 명령을 케이블 모뎀으로 재 전송하는 동작(S30)을 상기 케이블 모뎀이 스케쥴링 방식 변경이 가능하다고 판단할 때까지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시행하도록 한다.
즉, 상기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이 상기 케이블 모뎀이 판단하는 스케쥴링 방식 변경의 가부를 모니터링하다가 상기 케이블 모뎀이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이 가능하지 않다고 하는 정보를 상기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으로 전송하면, 그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변경 명령을 케이블 모뎀으로 재전송한다.
이 때 상기 재전송 동작은 케이블 모뎀이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이 가능하다고 판단할 때까지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시행하도록 한다.
그래서 상기 동작을 시행한 후에도 케이블 모뎀의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은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과정을 드롭(drop)시켜 그 과정을 종료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스케쥴링 방식이 UGS로 셋팅되어 있는 n개의 세션들 중에서 세션 m의 스케쥴링 방식을 UGS/AD로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세션 m은 다른 세션들과 마찬가지로 UGS방식을 나타내는 확장 헤더 타입6으로 셋팅되어 있으며, PDU의 사용자 데이터(USER DATA)필드에는 일반적인 VoIP데이터와 UGS 스케쥴링 파라미터가 인코딩되어 있다.
먼저 세션 1부터 세션 n까지 주기적으로 일정한 크기의 타임 슬롯을 이용해 VoIP 맥 프레임을 전송하다가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CMTS)이 세션 m의 스케쥴링 방식을 UGS/AD로 변경하기 위해서 확장 헤더 타입이 8인 VoIP맥 프레임을 케이블 모뎀(CM)에게 전송한다.
이 때 상기 확장 헤더 타입이 8인 VoIP맥 프레임의 사용자 데이터(USER DATA)필드에는 세션 m의 PHSI나 아이피 주소를 삽입해서 다른 세션들과 구분해 주도록 하며, 여러 개의 세션을 동시에 UGS/AD방식으로 변경하려면 필요한 수만큼의 세션 정보들 즉 변경할 세션의 해당 PHSI나 아이피 주소를 삽입해서 전송한다.
또한 UGS/AD방식으로 변경될 경우에 필요한 스케쥴링 파라미터인 폴링 간격(Nominal Polling Interval), 폴링 딜레이 허용범위(Tolerated Poll Jitter)들을 상기 사용자 데이터(USER DATA)에 함께 삽입해서 전송한다.
이렇게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CMTS)이 확장 헤더 타입 8인 VoIP맥 프레임을 전송하면, 케이블 모뎀(CM)은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그래서 변경이 가능한 경우에는 세션 m의 확장 헤더 타입을 6대신 8로 셋팅하여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CMTS)으로 VoIP맥 프레임을 전송하고,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확장 헤더 타입 이 6으로 셋팅된 VoIP맥 프레임을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CMTS)으로 전송한다.
이 때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CMTS)은 세션 m의 확장 헤더 타입을 일정시간동안 모니터링하다가 확장 헤더 타입 8로 셋팅되어 있지 않다면 다시 확장 헤더 타입 8의 VoIP맥 프레임을 케이블 모뎀(CM)에게 전송해서 세션 m이 UGS/AD로 변경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동작을 정해진 횟수만큼 시행해도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CMTS)은 UGS에서 UGS/AD로 변경하는 그 과정을 드롭(drop)시킨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이오아이피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은, 케이블 네트워크의 스케쥴링 상태에 맞춰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에, VoIP맥 프레임에 인코딩된 확장 헤더 타입정보를 이용해 특정 세션의 스케쥴링 방식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케이블 네트워크의 서비스 품질(QoS)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CMTS)이 스케쥴링 상태의 변경 유무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변경된 스케쥴링 상태에 적합한 해당 스케쥴링 방식을 결정하는 제 1 단계와 ;
    상기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이 결정된 해당 스케쥴링 방식으로 기존 세션들의 스케쥴링 방식을 변경하라는 명령을 케이블 모뎀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
    상기 스케쥴링 방식 변경 명령을 전송받은 상기 케이블 모뎀이 기존 세션들의 스케쥴링 방식 변경이 가능한가를 판단하여 기존 세션들의 스케쥴링 방식을 변경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지는 브이오아이피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
    상기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이 상기 스케쥴링 방식 변경 명령과 함께 해당 스케쥴링 방식의 파라미터를 상기 케이블 모뎀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오아이피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해당 스케쥴링 방식의 파라미터 전송은 ;
    상기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이 해당 스케쥴링 방식의 파라미터와 기존 세션들의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비교하여 상이한 파라미터만 상기 케이블 모뎀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오아이피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변경 명령은 ;
    VoIP맥 프레임의 확장 헤더 필드에 TLV(Type/Length/Value)형태로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브이오아이피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은 해당 세션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오아이피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이 해당 세션별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 모뎀 단말 시스템은 해당 세션의 아이피 출발지 및 목적지 주소를 VoIP맥 프레임에 인코딩하여 상기 케이블 모뎀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오아이피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방식은 ;
    UGS(Unsolicited Grant Service) 또는 UGS/AD 방식(Unsolicited Grant Service with Activity Detec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오아이피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
KR10-2001-0074672A 2001-11-28 2001-11-28 브이오아이피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 KR100401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672A KR100401305B1 (ko) 2001-11-28 2001-11-28 브이오아이피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
US10/305,077 US7764604B2 (en) 2001-11-28 2002-11-27 Method of controlling MACs between 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and cable mod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672A KR100401305B1 (ko) 2001-11-28 2001-11-28 브이오아이피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473A true KR20030043473A (ko) 2003-06-02
KR100401305B1 KR100401305B1 (ko) 2003-10-10

Family

ID=19716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672A KR100401305B1 (ko) 2001-11-28 2001-11-28 브이오아이피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64604B2 (ko)
KR (1) KR1004013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6850A1 (fr) * 2005-01-19 2006-07-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ede de traitement pour la gestion de surcharge de dispositif da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KR100749648B1 (ko) * 2004-09-14 2007-08-14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관제서비스에서의 메시지 전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045B1 (ko) * 2004-12-20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통신망의 큐오에스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8060624B1 (en) 2005-08-23 2011-11-1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Initiating a communication session from a presence enabled media host device
KR100932900B1 (ko) 2006-12-06 2009-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VoIP 망에서의 실시간 통화품질 측정 및 관리 장치와그 방법
KR100888919B1 (ko) 2007-10-02 2009-03-16 주식회사 엘지파워콤 외장형 브이오아이피 단말을 사용한 인터넷전화의 실시간호감시를 통한 서비스 품질 보장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063218A1 (en) 2011-10-25 2013-05-02 Fourth Wall Media, Inc. Network bandwidth regulation using traffic scheduling
CN106899456B (zh) * 2017-03-14 2020-03-27 深圳市友华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链路检测与修复的实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4452B2 (en) * 2001-01-24 2007-02-06 Broadcom Corporation Method for processing multiple security policies applied to a data packet structure
US6453472B1 (en) * 1999-06-02 2002-09-17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eriodic ranging for cable modems
US6847635B1 (en) * 2000-06-20 2005-01-25 3Com Corporation Method to transmit silence compressed voice over IP efficiently in DOCSIS cable networks
US6807193B1 (en) * 2000-06-20 2004-10-19 3Com Corporation Cable modem with dribble grant access system and method
US6950399B1 (en) * 2000-07-06 2005-09-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for scheduling transport of variable bit-rate data over a network
US7145887B1 (en) * 2001-02-23 2006-12-05 3Com Corporation Communication of packet arrival times to 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and uses thereof
US6636482B2 (en) * 2001-03-08 2003-10-21 Arri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ffic loading of different service levels in a cable data system
US7072312B2 (en) * 2001-05-14 2006-07-0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ssigning physical channels of a new user service in a hybrid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7443873B1 (en) * 2001-08-21 2008-10-28 Juniper Networks, Inc. Virtual upstream channel provisioning and utilization in broadband communication syste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648B1 (ko) * 2004-09-14 2007-08-14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관제서비스에서의 메시지 전송 방법
WO2006076850A1 (fr) * 2005-01-19 2006-07-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ede de traitement pour la gestion de surcharge de dispositif da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64604B2 (en) 2010-07-27
KR100401305B1 (ko) 2003-10-10
US20030101464A1 (en) 200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81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eader suppression and multiple microflows in a network
US6807193B1 (en) Cable modem with dribble grant access system and method
US6104705A (en) Group based control scheme for video compression
US7072344B2 (en) Redistribution of excess bandwidth in networks for optimized performance of voice and data sessions: methods, systems and program products
US8208489B2 (en) Method for reporting downstream packet resequencing status in cable modem
US6847635B1 (en) Method to transmit silence compressed voice over IP efficiently in DOCSIS cable networks
US6654957B1 (en) Real time device polling for multiplexed transmission
CN100375462C (zh) 自适应以太网交换系统和方法
US70399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virtual upstream channels for enhanced lookahead channel parameter testing
JPH03504308A (ja) 通信システム
CN112243268B (zh) 一种基于quic协议的多流传输控制方法
JP2006345399A (ja) 帯域制御装置、帯域制御方法、帯域制御プログラム及び帯域制御システム
US6351469B1 (en) Sound/data sharing communications system
US20110087765A1 (en) Network bandwidth management system
KR100401305B1 (ko) 브이오아이피 스케쥴링 방식의 변경 방법
JP4680766B2 (ja) デジタル・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適応帯域幅利用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254142B2 (en) Method of adjusting a bandwidth capacity of a dynamic channel
JP2003174462A (ja) 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パケット通信方法及び通信方法記録媒体
JP2004514355A (ja) ケーブルモデムサービスフロー内の複数のサービスサブスロー
EP1434397B1 (en) Scheduling in an Ethernet-based optical network
JP2003244220A (ja) 伝送レート制御装置並びに当該装置を含む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経路制御装置
Movahhedinia et al. A slot assignment protocol for indoor wireless ATM networks using the channel characteristics and the traffic parameters
KR100560423B1 (ko) 방송트래픽과 인터넷트래픽을 통합 처리하는 홈게이트웨이장치 및 그 방법
KR100269428B1 (ko) 케이블모뎀시스템에있어서상향채널의대역할당방법
KR100308483B1 (ko) 케이블모뎀의데이터패킷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