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2168A - 인터넷을 통한 무선컨텐츠 접속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통한 무선컨텐츠 접속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2168A
KR20030042168A KR1020010072706A KR20010072706A KR20030042168A KR 20030042168 A KR20030042168 A KR 20030042168A KR 1020010072706 A KR1020010072706 A KR 1020010072706A KR 20010072706 A KR20010072706 A KR 20010072706A KR 20030042168 A KR20030042168 A KR 20030042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irtual terminal
wireless
mobile phon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1594B1 (ko
Inventor
정승선
Original Assignee
정승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선 filed Critical 정승선
Priority to KR10-2001-0072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594B1/ko
Publication of KR20030042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5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무선컨텐츠를 변경하지 않고 유선 인터넷 사용자가 직접 무선컨텐츠를 사용하되, 그에 대한 접근을 제어할 수 있고 과금을 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사용자는 게이트웨이에 사용자 등록을 한다. 등록을 한 사용자는 ID와 전화번호를 할당받는다. 전화번호로는 사용자의 실제 핸드폰의 전화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등록된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게이트웨이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 또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미리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놓고 이를 구동하여 게이트웨이에 접속하도록 할 수도 있다.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은 실제 핸드폰의 기능을 시뮬레이션한다. 사용자가 가상단말기를 사용하여 무선컨텐츠 서버에 접속하면, 게이트웨이는 가상단말기와 무선컨텐츠 사이의 데이터 변환 및 과금정보 생성을 한다. 변환된 데이터는 가상단말기에 전달되어 실제 핸드폰에서 나타나는 것과 동일하게 컨텐츠가 나타나게 된다. 생성된 과금정보는 과금서버에 전달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통한 무선컨텐츠 접속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access to mobile contents through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무선컨텐츠 접속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컨텐츠를 변경하지 않고 유선 인터넷 사용자가 직접 무선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식의 핸드폰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핸드폰을 사용하여 접속할 수 있는 무선 컨텐츠가 질과 양적인 면에서 많이 발전되고 있다. 무선 컨텐츠는 초기에는 문자로 된 날씨 정보, 뉴스 정보 등 일부 분야에만 한정되었으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증가되면서 그래픽 정보, 게임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이러한 무선 컨텐츠는 각 무선망 사업자에 가입되어 있는 핸드폰 사용자만이 사용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다른 무선망 사업자에 가입되어 있는 핸드폰 사용자나, 핸드폰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사람은 특정 무선 컨텐츠를 사용할 수 없었다. 한편, 핸드폰 가입자들도 핸드폰을 사용하여서만 해당 무선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전송 속도나 사용 요금면에서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일부 무선망 사업자들은 인터넷망에 일부 무선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무선 컨텐츠를 있는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무선 컨텐츠를 가져와서 유선 인터넷용의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변경을 하거나, 또는 동일한 내용의 무선 컨텐츠를 유선 인터넷에 맞게끔 새로 작성을 한 것이다. 따라서, 기존 방법으로는 모든 무선 컨텐츠에 대해서 유선 인터넷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유선 인터넷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변경하는 작업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무선컨텐츠 상에서 제공되는 커뮤니티 속에서 일련의 생성, 성장, 사망 등의 과정을 겪음으로써 얻게 되는 사용자 환경의 연속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무선 컨텐츠를 변경하지 않고도 유선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을 통한 무선 컨텐츠 접속에 대해서도 무선망을 통해 무선 컨텐츠를 접속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환경의 연속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핸드폰 가입자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들도 무선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고 타 사업자의 무선 컨텐츠에도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선 인터넷을 사용하여 무선 컨텐츠에 접속하는 경우에도 접근제어와 과금을 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가상핸드폰 이용자가 무선 컨텐츠를 이용하는 절차를 개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는 게이트웨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3b는 가입자 DB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c는 가상단말기 DB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가상단말기가 사용자의 컴퓨터에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의 일예이다.
사용자는 게이트웨이에 사용자 등록을 한다. 등록을 한 사용자는 ID와 전화번호를 할당받는다. 전화번호로는 사용자의 실제 핸드폰의 전화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등록된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게이트웨이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 또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미리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놓고 이를 구동하여 게이트웨이에 접속하도록 할 수도 있다.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은 실제 핸드폰의 기능을 시뮬레이션한다. 사용자가 가상단말기를 사용하여 무선컨텐츠 서버에 접속하면, 게이트웨이는 가상단말기와 무선컨텐츠 사이의 데이터 변환 및 과금정보 생성을 한다. 변환된 데이터는 가상단말기에 전달되어 실제핸드폰에서 나타나는 것과 동일하게 컨텐츠가 나타나게 된다. 생성된 과금정보는 과금서버에 전달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1. 네트워크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인터넷 사용자(100)는 인터넷(A)을 통해 무선 컨텐츠 서버(300)에 접속하고, 핸드폰 가입자(500)는 기지국(550)을 거쳐서 이동통신망(B)을 통해 무선 컨텐츠 서버(300)에 접속한다. 핸드폰 가입자(500)가 무선 컨텐츠 서버(300)에 접속할 때에는 무선 인터넷 게이트웨이(400)가 무선 컨텐츠 서버(300)와 이동통신교환시스템과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도 1에서는 편의상 게이트웨이(200)가 무선 컨텐츠 서버(300)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인터넷망을 통해 다수의 무선 컨텐츠 서버(300)에 연결되어 있다. 무선 인터넷 게이트웨이(400)에는 또한 이동통신망 사업자의 과금서버(600)가 연결되어, 핸드폰 사용자(500)가 이용한 무선 컨텐츠에 대해서 과금을 한다.
본 발명에서 인터넷 사용자(100)는 무선 컨텐츠 서버(300)에 접속하기 위하여 가상단말기를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한다. 가상단말기는 독자적인 프로그램일 수도 있고, 웹브라우저에서 구동되는 플러그인의 형태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게이트웨이(200)를 통해서 들어오는 무선 컨텐츠를 가상단말기를 사용하여 이용하게 된다. 가상단말기는 무선 컨텐츠를 마치 진짜 핸드폰으로 보는 것처럼 그대로 사용자가 유선 인터넷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해준다.
또는, 인터넷 사용자(100)는 가상단말기에 가입만 하고, 일반적인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게이트웨이(200)에 접속하면, 게이트웨이(200)에서 무선 컨텐츠를 웹브라우저에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보내주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게이트웨이(200)는 과금서버(600)에 연결되어 있어서, 인터넷 사용자(100)가 이용한 무선 컨텐츠에 대해서 과금을 할 수 있다. 과금 방법은 무선 인터넷 게이트웨이(400)를 통한 컨텐츠 이용과 동일하게 할 수도 있고, 인터넷망(A)을 통하여 접속하는 경우에는 과금방식을 달리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인터넷 사용자(100), 즉 가상핸드폰 사용자(100)가 무선 컨텐츠를 이용하는 절차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가상핸드폰 이용자가 무선 컨텐츠를 이용하는 절차를 개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가상핸드폰 사용자(100)는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가상핸드폰 또는 게이트웨이(200)가 가상핸드폰 사용자(100)의 웹브라우저에 제공하는 가상핸드폰을 사용하여 무선컨텐츠를 요구한다(①). 이때의 무선컨텐츠 접속방법은 일반핸드폰을 사용하여 무선컨텐츠에 접속할 때와 동일한 인터페이스 및 절차를 사용한다.
게이트웨이(200)는 가상핸드폰 사용자(100)의 요청을 무선 컨텐츠 서버(300)에 전달한다(②). 이때 게이트웨이(200)는 가상핸드폰 사용자(100)로부터의 데이터를 무선 컨텐츠 서버(300)가 받아들일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전달한다.
무선 컨텐츠 서버(300)는 요청받은 컨텐츠를 게이트웨이(200)에 보낸다(③). 이때의 컨텐츠는 일반 핸드폰으로 보내는 컨텐츠와 동일한 데이터 형식으로 되어 있다. 게이트웨이(200)는 이 컨텐츠를 가상핸드폰 사용자(100)에게 전달한다(④). 이때, 게이트웨이(200)는 무선 컨텐츠 서버(300)로부터의 컨텐츠를 가상핸드폰 사용자(100)의 웹브라우저에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전용의 가상핸드폰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게이트웨이(200)는 무선 컨텐츠 서버(300)로부터의 컨텐츠를 그대로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사용자측의 가상핸드폰 프로그램에서 이를 화면에 보여주도록 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200)는 무선 컨텐츠 서버(300)로부터의 컨텐츠를 가상핸드폰 사용자(100)에게 전송하고 나서, 또는 전송하면서 컨텐츠의 전송에 따른 과금정보를 과금서버(600)로 보낸다(⑤). 이때의 요금은 일반 핸드폰을 사용하여 무선컨텐츠를 사용하였을 때의 요금과 같도록 하거나 또는 별도의 요금체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과금서버(600)는 일정 기간, 예를 들면 한달동안 사용한 컨텐츠에 대한 이용요금을 사용자에게 청구한다(⑥).
2. 게이트웨이
도 3에 게이트웨이(200)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웹서버(210)는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게이트웨이(2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가상단말기 처리부(220)는 사용자가 선택한 핸드폰의 기능을 시뮬레이션해 주는 가상단말기를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구현되도록 한다. 즉, 가상단말기 처리부(220)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가상단말기의 모습을 디스플레이 시켜주고, 사용자가 가상단말기를 사용하여 입력하는 데이터를 실제 휴대폰에서와 같은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주거나, 무선컨텐츠 서버(300)로부터의 무선컨텐츠를 사용자의 컴퓨터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가상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한다.
데이터변환부(230)는 무선컨텐츠 서버(300)로부터의 데이터를 가상단말기에서 볼 수 있는 또는 들을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가상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를 무선인터넷 프로토콜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하여 준다. 예를 들면, 011과 같은 일부 무선사업자는 무선인터넷 인터페이스로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사용하고 있다. WAP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운영되는 응용 서비스들에 대하여 인터넷과 이동통신에 적합하도록 정의한 표준이다. WAP은 그 사용언어로 무선단말기의 특성과 낮은 대역폭을 갖는 이동통신에 적합하게 WML(Wireless Markup Language)를 정의하였다. WML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에 기반을 둔 마크업 언어 중 하나이다. WML은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양방향 호출기와 같은 무선 단말기에서 제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특성을 고려하고, 텍스트 기반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컴퓨터 화면상에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를 사용하는 일반 브라우저와 달리, 무선 단말기는 작은 장치에 적합하도록 개발된WML을 사용한다. 따라서, 일반 브라우저를 사용해서는 WML로 작성된 무선컨텐츠를 볼 수 없다. 또한, 무선컨텐츠에서는 일반 웹브라우저에서 동작되는 자바(Java)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GVM(Game Virtual Machine), SWAP(Sinji Wireless Application Plugin), 브루(Brew) 등의 다양한 플랫폼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플랫폼을 사용하여 작성된 컨텐츠를 가상단말기에서 구동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데이터변환부(230)는 유선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가상단말기를 사용하여 무선인터넷 환경에 맞게 작성된 무선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변환하여 준다. 한편, 무선컨텐츠를 데이터변환부(230)에서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가상단말기에 전송하면, 가상단말기에서 변환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다양한 플랫폼에 대해서 대응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변환부(230)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금서버 인터페이스(270)는 가상단말기 사용자가 이용한 무선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과금서버(6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여러 무선통신사업자의 무선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과금서버 인터페이스(270)는 각 사업자의 과금서버별로 각각 마련된다.
DB 서버(240)는 가입자 DB(250), 가상단말기 DB(260)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도 3b에 가입자 DB(250)의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가입자 DB(250)에는 사용자의 ID와 패스워드, 이름, 주소 등과 같은 일반적인 내용 이외에, 가입자가 사용할 전화번호와 전화기의 종류가 지정된다. 전화번호로는 가입자가 실제로 소유하고 있는 핸드폰의 전화번호 또는 가입자가 임의로 정한 전화번호가 사용될 수 있다. 가입자가 자신의 핸드폰 전화번호와 다른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경우를 대비해서 가입자의 실제 핸드폰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필드를 더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상단말기는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핸드폰을 시뮬레이션할 수도 있고, 가상의 단말기를 시뮬레이션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핸드폰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핸드폰을 선택할 수 있다. 전화기 종류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핸드폰의 ID 또는 모델명이 저장된다.
도 3c에 가상단말기 DB(260)의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가상단말기 DB(260)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가상단말기 종류마다 각 가상단말기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가상단말기는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핸드폰을 시뮬레이션할 수도 있고, 가상의 단말기를 시뮬레이션할 수도 있다. 실제의 핸드폰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가상단말기 종류를 선택할 때의 편리성을 위하여 제공가능한 핸드폰을 제조사별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상단말기 DB(260)에는 해당 핸드폰의 제조사 및 모델명이 저장된다. 또한, 해당 핸드폰의 모습을 보여주는 전화기 이미지맵도 저장된다. 이 이미지맵은 도 4와 같이 사용자의 컴퓨터에 가상단말기를 보여줄 때 사용된다. 또한, 이미지맵에는 각 이미지의 특정 영역가 어떤 기능(버튼, 또는 LCD)을 가지게 되는지를 지정한 데이터가 함께 저장된다. 가상단말기 DB(260)에는 또한 가상단말기의 특성정보(LCD 크기, 색상, 벨소리 종류 등)가 저장된다. LCD 크기란 LCD의 가로 및 세로 도트수를 말하며, 색상은 흑백, 4 그레이, 16 그레이, 256 칼라, 풀칼라(full color) 등 LCD가 표현할 수 있는 색의 수를 말한다. 벨소리 종류란 1 폴리(poly), 4 폴리, 16 폴리 등과 같이 가상단말기에서 처리가능한 벨소리 형태를 말한다.
3. 가상단말기
3.1 가상단말기의 구성
가상단말기는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독자적으로 구동이 가능한 독립적인 프로그램의 형태로 만들 수도 있고,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게이트웨이에 접속하였을 때 플러그인(plug-in) 형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자바 애플릿(Java Applet), 비주얼베이직 스트립트(Visual Basic script), 쇼크웨이브(Shockwave), 액티브 X(ActiveX) 등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가상단말기가 사용자의 컴퓨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가상단말기에는 실제 핸드폰과 유사한 모양으로 LCD창(110)과 버튼(120)이 구비되며, 가상단말기 사용시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부가서비스 버튼(130)이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부가서비스 버튼(130) 대신에 일반적인 프로그램의 메뉴 형식으로 부가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공 가능한 부가서비스 기능의 예로서는, 무선컨텐측 접속 시작, 현재의 페이지 다음에 접속했던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앞으로 가기, 바로 전에 접속한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뒤로 가기, 접속종료, 현재의 페이지의 바로 위 단계의 페이지로 가기 위한 상위로 올라가기, 자주 찾는 무선컨텐츠 서버의 주소를 저장해두고 바로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즐겨찾기, 핸드폰의 자판 대신에 컴퓨터의 키보드로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입력 등을 들 수 있다.
가상단말기는 사용자가 클릭한 버튼에 관한 정보를 게이트웨이(200)에 전송하며,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들어오는 무선컨텐츠를 LCD창(110)에 표시하거나 소리로 출력한다.
3.2 가상단말기의 개통
인터넷 사용자(100)는 무선 컨텐츠 접속을 위한 게이트웨이(200)에 접속하여 가상핸드폰을 신청한다. 이때 자신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핸드폰, 또는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핸드폰의 종류를 지정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0)는 사용자(100)의 신분확인절차를 거쳐서 가상단말기를 개통한다. 가상단말기 개통이 되면,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가상단말기 번호와, 사용자명/패스워드 매핑 테이블 엔트리가 생성된다. 또한, 사용자는 게이트웨이(200)로부터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서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한다. 또는, 일반적인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무선 컨텐츠를 볼 수 있도록 게이트웨이(200)에서 웹브라우저에서 볼 수 있는 형식으로 컨텐츠 내용을 변환하여 보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가상단말기 사용자의 신분확인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1) 실제 핸드폰이 있는 경우 - 유선 인터넷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실제 핸드폰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 정보중의 실제 보유중인 핸드폰 번호란에 자신의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그러면, 게이트웨이(200)는 단문메시지등을 사용하여 해당 핸드폰으로 암호번호를 전송하게 되고, 사용자는 수신된 암호번호를 입력한다. 게이트웨이(200)는 입력된 암호번호가 핸드폰으로 보냈던 암호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신분이 확인된 것으로 처리한다. 이때 가상단말기의 번호로는 실제 핸드폰의 번호와 동일한 번호가 주어진다.
(2) 실제 핸드폰이 있는 경우 - 핸드폰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핸드폰을 사용하여 게이트웨이(200)에 접속할 수 있다. 핸드폰을 통해 게이트웨이(200)에 접속하여 가상단말기를 신청하면, 별도의 절차없이 신분확인 된 것으로 처리된다. 이때 가상단말기의 번호로는 실제 핸드폰의 번호와 동일한 번호가 주어진다.
(3) 실제 핸드폰이 없는 경우
실제 핸드폰이 없는 경우에는 오프라인으로 핸드폰 대리점에 방문하여 가상단말기 번호를 할당받을 수 있다. 또는, 인증된 전자서명이 있는 경우에는 인터넷으로 게이트웨이(200)에 접속하여 전자서명을 사용하여 신분확인을 할 수도 있다.
3.3 가상단말기의 해지
가상단말기를 해지하기 위해서 사용자(100)는 가상단말기를 사용하여 게이트웨이(200)에 접속하여 해지신청을 할 수도 있고, 실제 핸드폰을 사용하여 게이트웨이(200)에 접속하여 해지신청을 할 수도 있다. 해지신청이 있으면, 게이트웨이(200)는 과금서버(600)에 미납된 요금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미납된 요금이 없으면 게이트웨이(200)는 사용자명/패스워드 매핑 테이블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엔트리를 삭제한다.
4. 컨텐츠의 이용 및 과금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고,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게이트웨이(200)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가상단말기를 실행하면 도 4와 같은 화면이 사용자의 모니터에 뜨게 된다. 어느 경우든지 사용자(100)가 누구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로그인 과정을 거치게 된다.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로그인 과정이 자동으로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을 구동하면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은 자동으로 게이트웨이(200)에 접속하여 ID와 패스워드를 전송한다. 사용자(100)가 게이트웨이(200)에 접속하여 가상단말기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게이트웨이(200)에 접속할 때 사용자(100)가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게 된다.
로그인을 한 사용자(100)는 핸드폰을 사용하여 무선컨텐츠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 4의 화면에서 핸드폰의 버튼을 사용하여 원하는 무선컨텐츠 사이트(300)에 접속하게 된다. 한편, 실제 핸드폰을 사용하여 무선컨텐츠에 접속할 때에는 011, 016 등과 같이 해당 무선사업자가 제공하는 무선컨텐츠만을 이용할 수 있으나, 가상단말기를 사용하여 접속할 때에는 어느 무선사업자의 무선컨텐츠도 모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면, 어느 무선사업자의 무선컨텐츠에 접속할 것인지를 먼저 선택한 다음에 무선컨텐츠 사이트에 접속하게 된다.
사용자(100)가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에서 입력하는 버튼 내용은 게이트웨이(200)에서 마치 사용자가 핸드폰을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포맷으로 변경되어 무선컨텐츠 사이트(300)에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게이트웨이(200)는 무선컨텐츠 사이트(300)로부터의 무선컨텐츠를 가상핸드폰에서 보여주거나 들려줄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가상단말기에 전송한다.
또한, 게이트웨이(200)는 사용자가 사용한 컨텐츠에 따른 과금정보를 과금서버(600)에 전달한다. 한편, 무선사업자에 상관없이 무선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실제 핸드폰 또는 가상 핸드폰이 가입되어 있는 무선사업자의 과금 서버로 과금정보가 전달된다. 실제 핸드폰이 있는 경우에는 가상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실제 핸드폰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므로, 핸드폰의 전화요금에 가산하여 과금이 가능하다. 과금서버에 전달되는 과금정보의 형태나 동작은 기존과 대동소이하다. 또한, 가상단말기를 사용한 컨텐츠 이용에 대해서는 별도의 플랙(flag)을 표시해서 과금서버(600)에 알림으로써 가상단말기를 통한 접속에 대해서는 일정한 할인율을 적용하는 등의 차별화된 과금을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5. 보안
사용자(100)와 게이트웨이(200) 사이는 암호화된 형태로 통신을 하고, 게이트웨이(200)와 무선 컨텐츠 서버(300)는 방화벽(Firewall) 기능 등을 활용함으로써 유선 인터넷의 보안상의 문제점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가상단말기 프로그램과 게이트웨이(200)에는 암호화 및 암호해석 모듈을 포함시키고, 게이트웨이(200)에 방화벽을 설치한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폰 가입자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들도 인터넷을 통해 무선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고 타 사업자 무선컨텐츠도 접속할 수 있으므로, 무선 컨텐츠 사용 인구 및 사용 빈도가 대폭 증가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드폰 가입자도 고속의 인터넷을 통해 무선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핸드폰의 사용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무선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고 또한 고속으로 무선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선 인터넷을 사용하여 무선 컨텐츠에 접속하는 경우에도 과금을 할 수 있으므로, 무선 컨텐츠 제공자들의 수익이 증대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사용자가 사용신청을 함에 따라 ID와 전화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하는 등록단계와,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로그인함에 따라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을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구동시키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데이터를 무선인터넷 프로토콜에 맞게 변환하여 무선인터넷망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무선인터넷망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용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과금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인터넷을 통한 무선컨텐츠 접속 방법.
  2. 사용자가 사용신청을 함에 따라 ID와 전화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컴퓨터에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등록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데이터를 무선인터넷 프로토콜에 맞게 변환하여 무선인터넷망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무선인터넷망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용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과금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인터넷을 통한 무선컨텐츠 접속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는 사용자의 실제 핸드폰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무선컨텐츠 접속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정보에는 사용자가 가상단말기를 사용하여 무선컨텐츠를 이용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무선컨텐츠 접속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단계는 사용자가 원하는 휴대폰 종류를 지정함에 따라 해당 휴대폰 종류를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상단말기 프로그램은 상기 지정된 휴대폰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무선컨텐츠 접속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사용자가 이용할 무선통신사업자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내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컨텐츠 접속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해지신청을 함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ID와 전화번호를 삭제하는 해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컨텐츠 접속 방법.
  8.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무선컨텐츠 접속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웹서버와,
    사용자가 선택한 핸드폰의 기능을 시뮬레이션해 주는 가상단말기를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구현되도록 하는 가상단말기 처리부와,
    가상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를 무선인터넷 프로토콜에 맞는 형태로 변환하고, 무선컨텐츠 서버로부터의 데이터를 가상단말기에서 실행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와,
    가입자의 ID, 패스워드, 전화번호, 사용하는 가상단말기의 종류를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 DB와,
    가입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가상단말기의 모델명, 이미지, 가상단말기의 특성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상단말기 DB와,
    이들 DB를 관리하기 위한 DB 서버
    를 구비하는 무선컨텐츠 접속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DB는 가입자의 실제 휴대폰 전화번호도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컨텐츠 접속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가입자가 이용한 무선컨텐츠에 관한 과금정보를 과금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과금서버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컨텐츠 접속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서버 인터페이스는 무선사업자의 과금서버별로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컨텐츠 접속 시스템.
KR10-2001-0072706A 2001-11-21 2001-11-21 인터넷을 통한 무선컨텐츠 접속 방법 및 시스템 KR100431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706A KR100431594B1 (ko) 2001-11-21 2001-11-21 인터넷을 통한 무선컨텐츠 접속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706A KR100431594B1 (ko) 2001-11-21 2001-11-21 인터넷을 통한 무선컨텐츠 접속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168A true KR20030042168A (ko) 2003-05-28
KR100431594B1 KR100431594B1 (ko) 2004-05-17

Family

ID=2957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706A KR100431594B1 (ko) 2001-11-21 2001-11-21 인터넷을 통한 무선컨텐츠 접속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5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1192A1 (en) * 2005-11-25 2007-05-31 Strastar A cyber terminal system and method
KR100809441B1 (ko) * 2006-12-05 2008-03-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무선 연계 미디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301A (ko) * 2000-12-05 2002-06-15 구자홍 무선 인터넷 컨텐츠에 대한 문서 변환 시스템 및 그시스템을 이용한 음성 인터넷 컨텐츠 서비스 방법
KR100379572B1 (ko) * 2000-12-28 2003-04-11 주식회사 아이티안 무선 단말언어 실시간 자동 변환 시스템 및 자동 변환 방법
KR20020056593A (ko) * 2000-12-29 2002-07-10 김진혁 유선 컨텐츠를 무선 컨텐츠로 실시간 변환하는 컨텐츠변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44213A (ko) * 2001-01-11 2001-06-05 김연수 이동단말기의 발신자 전화정보를 이용한 과금결재방법과그를 위한 시스템
KR20010074297A (ko) * 2001-05-04 2001-08-04 엄강민 유선으로 전송가능한 무선단말기용 컨텐츠를 pc 및외부전송기기를 통해 개인휴대 및 이동통신 단말기로전송하여 판매하는 형태의 비즈니스모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1192A1 (en) * 2005-11-25 2007-05-31 Strastar A cyber terminal system and method
KR100809441B1 (ko) * 2006-12-05 2008-03-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무선 연계 미디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1594B1 (ko) 200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857B1 (ko) 이동 통신 장치를 위한 스킨
US9426651B2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EP18530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tching the web pag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802615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idirectional Message Communication Services with Portable Terminals
EP1152332A3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markup language based man-machine interface
US20090061943A1 (en) System for obtain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ng using the sms channel
KR20020018991A (ko) 무선 인터넷 사용에 대한 차등 과금 적용 방법 및 시스템
KR100431594B1 (ko) 인터넷을 통한 무선컨텐츠 접속 방법 및 시스템
JP2001358745A (ja) 適合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100700879B1 (ko) 모바일 홈페이지에서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6367A (ko) 모바일웹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0181862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及び情報提供方法
KR100404795B1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파일 송수신 시스템
KR100921013B1 (ko)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GB2334648A (en) Internet access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20020014448A (ko) 무선인터넷 상에서 이동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게임서비스이용 방법
KR100796928B1 (ko) 컨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563679B1 (ko) 통신단말기를 통한 부가정보 제공방법
KR20040094235A (ko) 대화형 인터페이스 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제공방법
KR20020085084A (ko) 무선단말기를 사용한 바이오 리듬 캐릭터 및 운세 캐릭터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587158B1 (ko) 무선 인터넷에서 자동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0732326B1 (ko) 콜백 유알엘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접속 방법
JP2002288224A (ja) サイトマップ配信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917753B1 (ko) 툴바를 이용한 웹 페이지 저장 시스템 및 방법
KR100649979B1 (ko) 컨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