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0280A -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영업이익 자동환원을 위한전자결재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영업이익 자동환원을 위한전자결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0280A
KR20030040280A KR1020030022803A KR20030022803A KR20030040280A KR 20030040280 A KR20030040280 A KR 20030040280A KR 1020030022803 A KR1020030022803 A KR 1020030022803A KR 20030022803 A KR20030022803 A KR 20030022803A KR 20030040280 A KR20030040280 A KR 20030040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pping mall
server
processor
produc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욱
Original Assignee
김홍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욱 filed Critical 김홍욱
Priority to KR1020030022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0280A/ko
Publication of KR20030040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280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 판매수익을 회원에게 자동 환원시키는 종합쇼핑몰 전자결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상의 '판매수익 자동환원 전자결재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상품 구매자가 종합쇼핑몰 전문 홈페이지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종합쇼핑몰 상품 구매자가 로그인하는 단계, 상기 종합쇼핑몰 상품 구매자가 '이익환원종합쇼핑몰' 전문 홈페이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종합쇼핑몰 상품 구매자가 검색된 종합쇼핑몰 중 원하는 종합쇼핑몰을 가상 체험하는 단계, 상기종합쇼핑몰 상품 구매자가 상기 종합쇼핑몰 상품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종합쇼핑몰 상품 구매자가 상기 종합쇼핑몰에 대해서 대금결제하는 단계, 판매대금중 원가를 공제한 수익을 회원에게 환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상의 종합쇼핑몰 전문 홈페이지의 시스템은, 회원의 신상정보가 저장된 회원정보 DB, 종합쇼핑몰 정보가 저장된 종합쇼핑몰 정보 DB, 표준 모델 이미지, 종합쇼핑몰의 현장을 구현한 종합쇼핑몰 및 이벤트 가상영상이 저장된 동영상DB 및 상기 회원정보 DB, 종합쇼핑몰 정보 DB 및 동영상 DB와 연결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종합쇼핑몰정보와 상기 표준모델이 상기 종합쇼핑몰의 현장을 가상 체험하는 종합쇼핑몰 가상영상을 제공하는 종합쇼핑몰 전문 홈페이지 서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매수익 자동환원 전자결재시스템'이란 쇼핑몰에 있어서 각 상품마다 1명의 회원을 연계배정한 다음, 상품 구매자가 가상체험을 통해서 종합쇼핑몰에서 상품을 구입하면, 그 해당상품에 연계배정된 회원에게 원가를 공제한 수익이 자동적으로 전자결재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갑이 쇼핑몰의 회원으로 가입하면 그의 기여도를 일정기간 살펴본 다음에 그에게 알맞은 1개 내지 수개의 상품을 배정하여 준다. 그 상품이 '디지털카메라'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앞으로 디지털카메라를 판매해서 생기는 수익은 무조건 자동적으로 갑의 계좌에 전자입금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영업이익을 쇼핑몰 회원에게 환원시켜 줌으로써 '고객제일주의'를 실현하는 동시에 쇼핑몰의 회원을 단시간내에 확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동시에 쇼핑몰 회원들에게 쇼핑몰에 대한 애착심과 애정, 성취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겠다. 보다 좋은 상품을 배정받아 보다 높은 수익을 창출하려는 회원들의 노력이 기대되므로, 쇼핑몰의 매출증대를 위해서도 상당히 유효한 방안이다.

Description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영업이익 자동환원을 위한 전자결재시스템{A electronic banking system for operating 'a shopping-mall for having share in the profits' on the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 상의 이익환원 종합쇼핑몰 전문 홈페이지의 "판매수익자동환원 전자결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합쇼핑몰 상품 구매자가 인터넷상에서 종합쇼핑몰과 각종 상품별 가상 판매점들과 본 사이트에 하이퍼링크된 관련 쇼핑물의 현장을 가상인물(아바타)로서 가상체험한 후 상품을 구입하면 해당 상품과 연계된 회원에게 자동으로 이익이 전자결재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인터넷(Internet)을 통해서 세계 각국의 네티즌(Netizen)들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있으며, 특히 다양한 콘텐츠(Contents)를 제공하는 사이버쇼핑몰을 이용하여 종합쇼핑몰 상품 등을 홍보 및 판매하고 있다.
종래의 종합쇼핑몰을 판매하는 쇼핑몰은 종합쇼핑몰 상품구매자에게 종합쇼핑몰 상품의 특징, 가격 및 사진 등의 종합쇼핑몰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종합쇼핑몰 상품 구매자가 제공된 종합쇼핑몰 상품정보를 참고로 하여 종합쇼핑몰 상품을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종합쇼핑몰 사이트는 종합쇼핑몰 상품 구매자에게 단순히 2차원적인 종합쇼핑몰 상품의 사진과 종합쇼핑몰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종합쇼핑몰 상품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며, 종합쇼핑몰 상품을 직접 체험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떨어져 종합쇼핑몰 상품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많은 쇼핑몰 사이트들이 영업이익 증대를 위하여 제품의 질이 떨어지는 상품을 배송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많은 불만적 요소를 제공하여 온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종합쇼핑몰 상품 구매자가 안심하고 상품을 선택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 현금대신 자산액의 데이터 지수를 전송 및 수신함으로써 결재가 이루어지는 전자결재의 사용이 증가일로에 있다. 전자결재시스템을 이용하면 인터넷을 통해서도 결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더더욱 그 사용이 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전자결재시스템은 여러단계의 복잡한 확인절차가 필요한 것이 사실이었다. 본 전자결재시스템은 쇼핑몰에 합당한 전용 프로그램으로 상품구매가 이루어지고 대금결재의 승인이 떨어지면, 자동적으로 해당상품과 연계된 회원에게 '이익환원결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이익환원종합쇼핑몰 전용 전자결재 시스템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쇼핑몰에 있어서 각 상품마다 1명의 회원을 연계배정한 다음, 상품 구매자가 가상체험을 통해서 종합쇼핑몰에서 상품을 구인하면 그 해당상품에 연계배정된 회원에게 원가를 공제한 수익이 자동적으로 전자결재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데 있다.
예를 들어 갑이 쇼핑몰의 회원으로 가입하면 그의 영업기여도를 일정기간 살펴본 다음에 그에게 알맞은 1개내지 수개의 상품을 배정하여 준다. 그 상품이 '오디오'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앞으로 오디오를 판매해서 생기는 수익은 무조건 자동적으로 갑의 계좌에 전자입금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종합쇼핑몰 상품구매자가 종합쇼핑몰 전문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본인을 대신할 특정 캐릭터를 선택하여 종합쇼핑몰 상품을 가상적으로 경험하도록 함으로써 종합쇼핑몰 상품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인티넷상의 종합쇼핑몰전문 홈페이지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한 방안이기도 하다.
또한 이익위주에서 벗어나 이익환원의 공리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질의 우수한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 실소비자들에게 공급하고 그 이익마저도 회원들에게 환원시킴으로써 그야말로 '고객제일주의'의 사이트를 구축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다양한 상품별 사이버 상점들을 구축하여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는 동시에, 각종 관련 사이트와도 하이퍼링크하여 고객에게 보다 많은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도 아울러 지니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결재시스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결재시스템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구입에서 송금완료까지의 과정을 설명하는 과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종합쇼핑몰 상품구매자
10: 종합쇼핑몰 전문 홈페이지 서버
12: 회원 DB
14: 종합쇼핑몰 상품 DB
16: 동영상 DB
18: 대금지불시스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상의 종합쇼핑몰 전문홈페이지의 운영방법은, 종합쇼핑몰 상품구매자가 종합쇼핑몰 전문홈페이지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종합쇼핑몰 상품구매자가 로그인하는 단계; 상기 상품구매자가 상기 종합쇼핑몰 상품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종합쇼핑몰 상품 구매자가 검색된 상기 종합쇼핑몰 상품을 가상체험하는 단계;상기 상품구매자가 상기 종합쇼핑몰 상품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종합쇼핑몰상품구매자가 상기 종합쇼핑몰 상품에 대해서 대금결제하는 단계;판매대금중 원가를 공제한 수익을 회원에게 환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업이익 자동환원을 위한 전자결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전자결재시스템은 서버와 단발기로 구성되어져 있다. 단말기는 인터넷을 포함하여 각종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와 연결되어져 있다.
서버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연결된 저장영역'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DSU(Date Service Unit)를 포함하며, 저장영역에 저장된 전자결재시스템 통제하에서 결재 과정을 진행한다.
저장영역은 하드디스크 디바이스(Hard-disk Device)와 램(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하며, 전자결재 데이터베이스, 전자결재프로그램, World wide Web 서버 프로그램, 대체페이지 데이터와 메일도구를 저장하고 있다.
저장영역은 저장영역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를 프로세서로부터의 접근에 반응하여 프로세서에 공급한다. 저장영역은 또한 프로세서로부터의 접근에 반응하여 전자결재시스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새롭게 한다.
전자결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는 서로 관련되어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그 데이터의 내용은 A:전자결재의 사용자를 확인시켜주는 사용자ID(Identification),
B:사용자 ID에 의해 확인된 사용자가 갖고 있는 전자결재의 잔액에 대한 잔액 데이터 표시기, C:잔액이 잔액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전자결재가 연결되어 사용되어지는 것이 일시적으로 금지되어지는 무효량 데이터, D: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진 양의 무효를 유효화시키기 위해 서버(S12)에 공급되어질 유효 ID를 포함한다.
전자화폐는 자산액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ID에 의해 확인된 사용자는 사용자가 물건을 화폐로 전환하고 싶다는 사실을 운영자에게 알리는 임의의 방법을 통해 사용자 ID와 전환량에 대한 서버(S12)에 대하여 운영자에게 알린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에게 주어진 전자화폐의 잔액 속에 운영자에게 알린 전환량에 해당하는 만큼의 상환을 받을 수가 있다. 이런 경우에 이 사용자의 사용자 ID와 관련된 잔액 데이터는 임의의 과정을 통한 전환량에 의해 전보다 더 낮은량을 표시하도록 갱신된다.
WWW(World wide Web)서버 프로그램(A4)은 서버(S12)로 하여금 WWW서버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데이터의 논리적 위치를 보여주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WWW 서버 프로그램(A4)을 실행하는 서버에 공급되어질 때 서버는 저장영역(S14)와 다른 프로세서(A1)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영역의 저장영역 사이에 URL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논리적 위치에 놓여있는 데이터를 읽는다. 그런 다음 서버(S12)와의 리드 데이터(read data)를 URL 공급원으로 되돌려 받는다.
대체 페이지 데이터(A5)는 서버(S12)가 아래 설명된 과정에 따라 단말기들로 하여금 표시 시키도록 해주는 웹페이지인 어느 한 대체페이지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이것은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와 같은 언어에 의해 표현된다.
대체페이지는 전자화폐의 사용자가 전자화폐를 프로세싱에 따라 서버(S12)에전달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등록하기 위해 설치된 웹페이지이다. 예를들어 대체 페이지는 송금인 란, 수취인 란 및 전송버튼을 포함한다.
송금인 란은 전자화폐(송금인 ID)와 보내어질 전자화폐량(송금액) 및 전파화폐를 받는 사용자(수취인)에 대한 이메일 주소를 보내는 사용자(송금인)에 대한 사용자 ID와 수취인에 대한 메세지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메일도구(A6)는 서버(S12)로 하여금 네트워크로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네트워크을 통해 이메일을 받기 위한 과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단말기는 고객에게 기능을 수행해주는 컴퓨터로 구성되어져 있다. 그것들은 키보드, 마우스 및 액정 크리스탈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가지고 있는 입력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단말기 각각은 WWW 브라우저에 대한 과정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행해진 작동에 따라서 URL을 입력하고 있을 때 단말기 각각은 서버에 접근하게 되고 URL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논리적 위치에 놓인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한다. 그런 다음 각 단말들은 이 요구에 반응하여 서버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받고 각 단말들의 표시장치의 표시 스크린 위에 받은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이미지를 표시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문자들을 송금인 또는 수취인 란 위에 입력시키기 위해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작동시킬 때 대체페이지를 표시했던 단말은 송금인 또는 수취인 란상에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게 된다.
더우기 사용자가 대체페이지 속에 포함된 전송버튼을 클릭하기 위해 이 단말의 마우스를 작동할 때, 이 단말은 송금인 또는 수취인 란상에 입력된 문자들의 데이터 표시를 서버(S12)에 전송한다.
도2와 관련해서 전자화폐이용시스템의 작동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도2는 전자결재시스템의 작동에 대한 단계들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서버의 프로세서는 저장영역(S14)로부터 전자 결재 프로그램(A3)에 대한 과정을 시작하고 있을 때 프로세서(A1) 저장영역(S14)로부터 WWW서버 프로그램(A4)을 읽고 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프로세서(A1)는 WWW 브라우저(k:1보다 크거나 같고 (n+1)보다 작은 정수)에 대한 과정을 실행하는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작동시킬때 단말기는 서버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서버는 이러한 요구에 반응하여 저장영역으로부터 대체페이지 데이터(A5)를 단말기에 전송한다.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대체페이지 데이터를 받고 대체페이지를 표시한다.
그런 다음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송금인 ID와 송금액 그리고 수취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송금인 란상에 입력된 수취인에 대한 메세지를 서버(S12)에 입력한다(S224단계).
S224단계에서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각각의 데이터를 받고 그것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있을 때 서버(S12)의 프로세서(A1)는 수취인으로 하여금 송금액의 확인을 재촉하도록하는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확인이미지를 만들고, 만들어진 데이터를 단말기에 전송한다(S232단계).
확인이미지는 S224단계에서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각각의 데이터와 송금액이확인되었음을 서버에 알리기 위한 확인버튼을 포함한다.
단말기는 S232단계에서 서버에 의해서 전송된 확인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받고 그 확인 데이터를 표시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확인이미지에 포함된 확인버튼을 클릭하기 위해 단말기의 마우스를 작용시킬 때 단말기는 송금인이 송금액을 확인했음을 서버에 알린다(S226단계).
송금인이 단말기로부터 송금액을 확인했다는 지시를 받고 있을때 서버의 프로세서(A1)는 저장영역에 의해 저장된 전자결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프로세서(A1)는 S224단계에서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송금액에 해당하는 양만큼 감소시키기 위해 S224단계에서 단말기에 의해 보내어진 송금인 ID와 관련된 잔액 데이터를 갱신시킨다(S234단계).
다음으로 프로세서(A1)는 송금인에 의해 전송된 전자결재를 받은 수취인을 확인하는 사용자 ID인 앞서 언급한 수취인 ID를 만들고 그것을 전자화폐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236단계). 더우기 S236단계에서 프로세서(A1)는 S224단계에서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송금액과 똑같은 잔액과 해당잔액이 무효로 되었음을 나타내는 무효량 데이터를 나타내주는 잔액 데이터를 만든다. 프로세서(A1)는 이 두가지 데이터를 새로 저장된 수취인 ID와 관련되어 질 전자화폐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 이 두가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런 다음 프로세서(A1)는 수취인 ID와 S224단계에서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메세지를 S224단계에서 단말기에 의해서 전송된 수취인의 이메일 주소로 전송한다.
프로세서는 또한 송금인이 전송할 것이라고 확인된 전자화폐의 송금액에 해당되는 양을 유효로 하기 위해 유효 ID를 만든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는 전자결재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수취인 ID와 관련되어져 있다는 형식으로 생성된 유효 ID를 전자결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런 다음 이 유효 ID를 알리기 위해 프로세서(A1)는 이 유효 ID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만들고 그것을 단말기로 전송한다(S238단계).
단말기는 S238단계에서 서버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받고 이 데이터에의해 나타내어지는 이미지를 표시한다.
반면 전자화폐의 수취인은 단말기중에 어느 하나나 네트워크에 연결된 임의의 장치를 사용해서 S236단계에서 서버에 의해 수취인에게 전송된 이메일을 받는다.
그런 다음 수취인인 사용자는 대체페이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WWW브라우저(j: 1보다 크거나 같고 (n+1)보다 작은 임의의 정수)에 대한 과정을 실행하는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작동하고 있다고 가정된다. 결과적으로 단말(2-j)는 실질적으로는 S222단계에서 단말기로서 동일한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대체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해 서버로 부터 대체페이지 데이터를 받는다(S248단계).
사용자는 단말(2-j)이 대체페이지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수취인 란상에 수취인 ID를 입력시키기 위해 단말(2-j)의입력장치를 작동시킨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대체페이지의 전송버튼을 클릭하기 위해 단말(2-j)의 마우스를 작동시킨다. 결과적으로 단말(2-j)는 수취인 란상에 입력된 수취인 ID를 서버(1)에 전송한다(S250단계).
S302단계에서 단말(2-j)에 의해 전송된 수취인ID를 받고 있을 때 서버의 프로세서(A1)는 수취인에 의해 보내어진 송금액에 해당하는 전자화폐를 인계할 의도를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한다(S240단계). 그런 다음 프로세서(A1)는 전자화폐의 인계가 완결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만들고 그것을 단말(2-j)에 전송한다(S242단계).
단말기는 S242단계에서 서버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받고 그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이미지를 표시한다. S242단계에서 만들어진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이미지와 연결하여 어느 이미지라도 그것이 송금인ID나 수취인에 의해 인계된 송금액을 표시한다면 가능할 수도 있다.
반면에, 송금인은 S238단계에서 서버에 의해 단말기에 보내진 유효 ID를 전자 화폐로 여러 단말기 중에 하나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정해지지 않은 장치를 사용하여 수취인의 유효 ID를 통지하기 위해 수취인의 이메일주소에 전송한다(S228단계). 유효 ID가 전송되는 시간은 정해져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송금인은 만약 전자 화폐가 상품대금으로 전송되었다면 상품을 받은 후에 유효 ID를 보낼 것이다.
그런 후에, WWW 브라우저에 대한 과정을 수행하는 단말기는 사용자(수취인)의 작동에 의한 S248단계에서 실질적으로 같은 전송페이지를 보이고 있다(S252단계). 또한 수취인 ID와 유효 ID는 이러한 대체 페이지의 수취인란에 입력되어진 것이고, 그 전송 버튼은 눌러진 것이 되어진다. 결과적으로, 단말기는 서버의 수취인란에 입력된 수취인 ID와 유효 ID를 전송한다(S254단계). 서버의 프로세서(A1)는수취인 ID와 전송된 확인ID를 받는다.
S242단계까지 과정이 이미 완성될 때 수취인 ID와 유효 ID를 받은 프로세서(A1)는 S254 단계에서 전송된 수취인 ID와 관련된 무효양 데이터를 지우기 위해 전자 화폐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의 접근권을 얻는다(또는 무효된 양이 0인 것을나타내는 무효양의 데이터를 갱신한다). 결과적으로, 무효양인 데이터에 의해 표현되는 양은 유효하게 된다(S244단계). 그런 후에 프로세서(A1)는 전자 화폐의 유효성이 완성된 것을 알리는 이미지를 표현하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것을 단말기에 전송한다.
과정이 S242까지 아직 완성되지 않을 때는 프로세서(A1)는 S244단계의 과정을 형성하지 않는다.
단말기는 S244단계에서 서버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받고 그 받은 데이터를 표현한다. S244단계에서 생성된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지는 이미지와 관련해서는, 그 이미지가 수취인이 사용할 수 있는 유효 전자화폐량 또는 전자화폐의 총계를 나타내면 어떠한 이미지라도 가능할 수 있다.
S244에서 S228, S232에서 S244 그리고 S250에서 S254단계에서 앞서 언급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송금인으로부터 수취인까지의 전자 화폐의 전송이 완성된다. 전자 화폐가 이러한 전송에 의해서 송금인에게 제공되었을 때 후에 다른 부분에서는 전자화폐를 전송할 수취인이 송금인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화폐 사용 시스템에 있어서, 송금인이 최초로 전자 화폐를 송달한 이래로 수취인은 문제없이 전자 화폐를 받을 수 있다. 더욱이 송금인이 유효 ID의 송달을 알릴 때까지 전자 화폐는 일단 유효하다. 이러한 이유로 상품의 가격이 전자 결재 사용 시스템을 이용하여 송금되면 송금인은 문제없이 상품을 받을 수 있다. 반면에 무효화된 상태는 그 전송 자체가 송금되지 않은 상태로 완성되어진다. 송금인과 수취인이 갖는 전자 화폐의 잔액은 서버에 의해 공동으로 처리된다. 이것은 송금인이 다수의 사람에게 잔액을 중복하여 전송하는 가능성의 위험없이 잔액 유효성을 고취시킬 수 있다.
이 전자 화폐 사용 시스템의 환경은 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달 페이지의 송금인란은 수취인 ID가 입력된 란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수취인 ID가 이란에 입력되었을때, 단말기는 S224단계의 서버에 수취인 ID를 전송할 것이다.
단말기가 S224단계의 서버에 수취인 ID를 전송했을 때, 서버는 S236단계의 수취인 ID의 생성을 형성하지 않는다. 이것 대신에 서버는 새롭게 생성된 잔액 정보와 무효의 양 정보를 단말기로부터 보내진 수취인 ID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자 화폐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ID들 중에 하나와 함께 연합시킨다. 그런 후에 서버는 저장영역에 이러한 정보를 저장할 것이다.
또한, 대체 페이지의 송금인란이 항상 수취인에게 메시지를 입력하는 란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송금인은 수취인에게 수취인 ID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이용 가능한 정해지지 않은 정보(예를 들면 수취인의 주소)를 수취인의 이메일 주소 대신에 송금인란에 입력할 것이다.
더욱이, S236단계에서 수취인 ID의 통지와 S228단계에서 유효 ID의 통지는항상 이메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하면, 그것들은 항상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송금인과 서버의 매니저는 송금인 ID와 유효 ID를 서류에 의하거나 말로 송금인에게 전송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그들은 송금인ID와 유효ID를 우편으로 거기로 보낼 것이다.
더욱이 전자 화폐의 수취인이 S248단계에서 과정이 수행될 때 유효 ID를 아는 경우에 사용자는 수취인 ID에 부가하여 수취인란에 일치하는 유효 ID를 입력하고, 그것을 단말기로부터 서버에 전송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서버는 S240와 S242의 단계를 수행함이 없이 S244단계에서 직접 수행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합쇼핑몰 상품 구매자가 표준모델을 통해서 상품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며 종합쇼핑몰상품을 완전히 이해한 후 종합쇼핑몰 상품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종합쇼핑몰 상품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종합쇼핑몰 상품의 판매량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양한 상품별 사이버 상점들을 구축하여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는 동시에, 각종 관련 사이트와도 하이퍼링크하여 고객에게 보다 많은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도 아울러 지니고 있다.
쇼핑몰에 있어서 각 상품마다 1명의 회원을 연계배정한 다음, 상품 구매자가 가상체험을 통해서 종합쇼핑몰에서 상품을 구입하면, 그 해당상품에 연계배정된 회원에게 원가를 공제한 수익이 자동적으로 전자결재되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회원확보의 용이성 분만 아니라 매출증진을 실현하는데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갑이 쇼핑몰의 회원으로 가입하면 그의 영업기여도를 일정기간 살펴본 다음에 그에게 알맞은 1개내지 수개의 상품을 배정하여 준다. 그 상품이 '라디오'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앞으로 라디오를 판매해서 생기는 수익은 무조건 자동적으로 갑의 계좌에 전자입금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성취동기를 부여함으로써 본 쇼핑몰에 대한 애착과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판매촉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익위주에서 벗어나 이익환원의 공리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질의 우수한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 실소비자들에게 공급하고 그 이익마저도 회원들에게 환원시킴으로써 그야말로 '고객제일주의'의 사이트를 구축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다양한 상품별 사이버 상점들을 구축하여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는 동시에, 각종 관련 사이트와도 하이퍼링크하여 고객에게 보다 많은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도 아울러 지니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종합쇼핑몰 상품 구매자가 종합쇼핑몰 전문 홈페이지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종합쇼핑몰 상품 구매자가 로그인하는 단계;
    상기 종합쇼핑몰 상품 구매자가 종합쇼핑몰 상품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종합쇼핑몰 상품 구매자가 검색된 상기 종합쇼핑몰 상품을 가상체험하는 단계;
    상기 종합쇼핑몰 상품 구매자가 상기 종합쇼핑몰 상품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종합쇼핑몰 상품 구매자가 상기 종합쇼핑몰 상품에 대해서 대금결제하는 단계;
    상기 결재한 금액중 원가를 공제한 영업이익을 해당회원에게 자동입금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상의 이익환원 종합쇼핑몰 전문 홈페이지의 운영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회원의 기여도에 따라 1개 내지 수개의 제품을 연계배정하여 해당 제품판매에 따른 이익을 고객에게 자동으로 돌려주는 전자결재시스템의 운영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상의 종합쇼핑몰에서 운영하는 1개 내지 수개의 상품을 각 회원과 연계시켜 관리하는 영업방법.
KR1020030022803A 2003-04-10 2003-04-10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영업이익 자동환원을 위한전자결재시스템 KR200300402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803A KR20030040280A (ko) 2003-04-10 2003-04-10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영업이익 자동환원을 위한전자결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803A KR20030040280A (ko) 2003-04-10 2003-04-10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영업이익 자동환원을 위한전자결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280A true KR20030040280A (ko) 2003-05-22

Family

ID=29579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803A KR20030040280A (ko) 2003-04-10 2003-04-10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영업이익 자동환원을 위한전자결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02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13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pping in a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US7653576B2 (en) Method for pricing items
US83863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ngle-action returns of remotely purchased merchandise
US78772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on automation
US201802608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on automation
US20120221427A1 (en) Integrating third party shopping cart applications with an online payment service
US200500602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offering a money-back guarantee in a network-based marketplace
US201201977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pping in a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JP6147401B1 (ja) 譲渡仲介システム
JP2009048538A (ja) 顧客情報取引システム、顧客情報取引方法、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101765415B1 (ko) 판매자와 판매대행자 간의 연결 및 수익공유를 제공하는 판매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JP5719414B2 (ja) アフター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サーバ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19529B1 (ko) 상품 구매와 배송을 결합시킨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0523808B1 (ko) 판매자의 예치금을 이용한 안전한 전자상거래 대금결제방법
KR101505032B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KR20110035571A (ko) 위젯을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7233466A (ja)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200403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sale of goods,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sale of good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030040280A (ko)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영업이익 자동환원을 위한전자결재시스템
JP2003331189A (ja) バナー広告掲載システム、及びバナー広告掲載プログラム
KR100360589B1 (ko) 전자 상거래 에이전트 처리 방법및 장치
KR20230030476A (ko)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14084758A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одажи товаров и услуг с компенсацией затрат покупателей
KR101160683B1 (ko) 전문판매자 태그를 이용한 결제 수단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9004A (ko) 공동구매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