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9233A - 게임기의 스크린 상의 영상 배율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게임기의 스크린 상의 영상 배율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9233A
KR20030039233A KR1020010070205A KR20010070205A KR20030039233A KR 20030039233 A KR20030039233 A KR 20030039233A KR 1020010070205 A KR1020010070205 A KR 1020010070205A KR 20010070205 A KR20010070205 A KR 20010070205A KR 20030039233 A KR20030039233 A KR 20030039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creen
video signal
rece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
Original Assignee
김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 filed Critical 김범
Priority to KR1020010070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9233A/ko
Publication of KR20030039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23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9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aiming at specific areas on the display, e.g. light-gu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6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on the game controller or outside a game boo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63F9/0291Shooting or hurling games with a simulated projectile, e.g. an image on a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기의 스크린 상의 영상 배율 조절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눈이 근접할 경우에 이에 대한 접안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접안 센서부를 구비한 스코프와, 다수의 조작키에 대한 신호 및 접안 센서부의 접안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부를 구비하는 총형 입력기기와, 스크린 상에 게임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총형 입력기기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받는 신호수신부 및 전체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총형 입력기기로부터 접안 감지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게임 영상의 배율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게임기 본체를 구성한다.

Description

게임기의 스크린 상의 영상 배율 조절 장치{DEVICE FOR CONTROLLING AMPLIFICATION OF FEATURES ON A SCREEN APPLIED TO GAME SYSTEM}
본 발명은 전자오락 게임(이하 게임이라 약칭함) 시스템에서 개인용 PC 스크린, TV 스크린 또는 비디오 투영기 스크린 상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배율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게임용 총의 스코프를 통해 사용자가 영상을 볼 경우에 영상의 배율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전자오락 게임을 실행하고자 할 때, 입력장치로는 마우스나 조이스틱 또는 키보드 등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마우스나 조이스틱은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특정 개체를 이동시키거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배경화면 부분을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키보드의 경우 주로 문자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화살표 키를 사용하여 특정 개체 또는 배경화면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런데, 전자오락 프로그램들 중에는 이러한 입력 장치들만으로는 전자오락실에서와 같이 생생하게 오락을 즐길 수 없는 것들이 있는데, 이러한 프로그램으로서는 예컨대 사격 게임을 들 수 있다. 사격 게임에 있어서는 스크린 상에서 임의적으로 출현하는 표적에 대해 신속하게 내부 포인터를 이동시켜 격발을 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이러한 사격 게임은 총구방향과 표적의 일치 여부의 불확실성을 전제로 하는 것으로서, 총구 방향에 따라 내부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입력장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컴퓨터(또는 TV를 이용한 게임장치) 상에서 사격 게임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 도구로써 권총형 또는 소총형 입력 장치를 생각해볼 수도 있다. 이러한 권총형 또는 소총형 입력 장치의 총구에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설치하고 스크린에 광다이오드어레이를 배치함으로써, 방아쇠를 당길 때 발광 다이오드가 광신호를 전송하고 총구가 향하는 지점에 위치한 광다이오드가 이 광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한 스크린에 광다이오드어레이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장치의 가격이 높아지기 때문에, 조이스틱과 권총형 또는 소총형 입력장치를 결합한 형태의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장치는 위치감지장치에 권총형 입력장치가 부착된 형태로서, 권총형 입력장치의 총구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할 경우에, 위치감지장치에서 이러한 이동값을 감지하게 되며, 이러한 이동값을 이용하여 스크린에서의 총구가 향하는 방향을 계산하게 된다. 이러한 장치로는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9106호(출원번호: 제1991-21524호, 명칭: 목표물 위치 감지 장치, 특허권자: 다이또 주식회사, 발명자: 고마 요조)에 개시된 바를 예로 들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사격 게임에서는 게임의 흥미를 증대시키기 위해 최대한 현실과 유사하게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한 방식의 예로는, 보다 현실적인 영상과, 다양한 효과음과, 사격시 물리적인 사용자에게 사격에 따른 충격을 주기 위한 충격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격 게임에서 게임의 흥미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게임기의 스크린 상의 영상 배율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게임기의 스크린 상의 영상 배율 조절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눈이 근접할 경우에 이에 대한 접안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접안 센서부를 구비한 스코프와, 다수의 조작키에 대한 신호 및 접안 센서부의 접안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부를 구비하는 총형 입력기기와, 스크린 상에 게임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총형 입력기기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받는 신호수신부 및 전체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총형 입력기기로부터 접안 감지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게임 영상의 배율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게임기 본체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게임기에 적용되는 스크린 상의 영상 배율 조절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 중 스코프의 및 신호전송부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 중 스코프의 개략적인 예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스코프의 절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상의 영상 배율 조절 장치가 구비된 컴퓨터 사격 게임기의 전체 블록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컴퓨터 사격 게임기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스크린 상의 목표물 위치 감지 장치가 컴퓨터 사격 게임에 적용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게임기에 적용되는 스크린 상의 영상 배율 조절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장치는 게임기 본체(10)와 소총형 입력기기(20)로 구성되며, 소총형 입력기기(20)는 게임기 본체(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게임기 본체(10)는 스크린 상에 게임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소총형 입력기기(20)에서 전송된 각종 사용자 조작 신호를 수신받는 신호수신부(16) 및 게임기 본체(10)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2)가 구비된다.
소총형 입력기기(20)에는 사용자의 눈이 근접할 경우에 이에 대한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접안 센서부(240)를 구비한 모형 망원 스코프(24)와, 소총형 입력기기(20)의 방아쇠를 포함한 다수의 조작키에 대한 신호 및 상기 스코프(24)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상기 게임기 본체(10)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부(26)가 구비된다. 상기 모형 망원 스코프(24)의 구성 및 동작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 중 스코프의 및 신호전송부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 중 스코프의 개략적인 예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스코프의 절단면도이다. 도 2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코프(24)에는 사용자의 눈이 근접할 경우에 이를 감지하는 접안센서부(240)는 포토 커플러의 구조를 가지는, 광을 발생하는 발광소자(242) 및 발광소자(242)에서 발생된 광이 사용자의 눈(또는 어떠한 물체)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244)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눈이 미리 설정된 거리(도 4의 d)내에 접근하게 되면 발광소자(242)에서 발생된 광이 사용자 눈(주위)에서 반사되어 수광소자(244)에서 수광되며, 수광소자(244)는 광의 감지시에 광감지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수광소자(244)의 광감지 신호는 접안 센서부(240)의 접안 감지 신호로서 신호전송부 (26)에 제공된다.
이러한 접안센서부(240)를 가지는 스코프(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관형태의 스코프 본체(248)와 스코프 본체(248)에 발광소자(242) 및 수광소자(244)를 부착하기 위한 센서 부착대(246)로 구성된다. 스코프 본체(248)는 단순히 속이 빈 관형태를 가지므로 사용자가 스코프 본체(248)를 통해 사물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스코프(240)를 이용한 영상 확대 동작을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소총형 입력기기(20)의 스코프(24)에 눈을 갖다대면 접안센서부(240)는 이를 감지하여 신호전송부(26)로 접안 감지 신호를 제공하며, 신호전송부(26)는 이러한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게임기 본체(10)로 전송한다. 게임기 본체(10)의 신호수신부(16)는 이러한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2)에 제공하며 제어부(12)는 디스플레이부(14)를 제어하여 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영상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2배)로 확대시킨다. 이에 따라 스코프(24)를 들여다보는 사용자에게는 마치 스코프(24)를 통해 영상이 확대된 것처럼 보이게 되는 효과를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소총형 입력기기(20)의 스코프(24)에서 눈을 떼게 되면 접안센서부(240)에서의 접안 감지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신호전송부(26)는 이러한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게임기 본체(10)로 전송한다. 게임기 본체(10)의 신호수신부(16)는 이러한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2)에 제공하며, 제어부(12)는 디스플레이부(14)를 제어하여 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영상의 크기를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구시킨다.
한편, 통상의 사격 게임 시스템에서 소총형 입력기기(20)의 총구가 향하는 위치를 감지하는 장치가 구비되는데,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게임 시스템에서 제어부(12)는 화면 배율의 확대시에 해당 소총형 입력기기(20)의 총구가 향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화면을 확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코프(20)를 통해 스크린 상의 확대된 영상을 볼 경우에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의 확대된 영상을 정확히 볼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장치가 적용되는 사격 게임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상의 영상 배율 조절 장치가 구비된 컴퓨터 사격 게임기의 전체 블록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5의 컴퓨터 사격 게임기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사격 게임기는 소총형 입력기기와 게임기 본체로 구성되는데, 이때 소총형 입력기기는 게임기 본체와 유선으로 접속되지 않고 무선장치로서 구성된다. 이때 소총형 입력기기에는 송신장치(200)가 설치되며, 게임기 본체에는 수신장치(300)가 설치된다.
송신장치(200)는 해당 소총형 입력기기의 광학계(212)에 대응된 스크린(410) 상의 위치의 비디오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적외선 신호로 송출하며 소총형 입력기기의 방아쇠를 포함한 다수의 키입력을 RF 신호로 송출한다. 또한 송신장치는 스코프에 사용자의 눈이 근접할 경우에 이에 대한 감지 신호를 송출한다. 수신장치(300)는 개인용 PC(또는 TV)와 연결되어 상기 송신장치(200)로부터 송출된 적외선 신호 및 RF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적외선 신호 검출 타이밍과 스크린(410) 상의 현재 출력되는 비디오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비교하여 현재 스크린(410) 상에서 상기 광학계(212)에 대응된 위치를 파악하며, 상기 RF 신호를 통해 상기 송신장치(200)의 방아쇠를 포함한 키입력 및 사용자의 눈이 스코프에 근접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송신장치(200)는 해당 소총형 입력기기의 광학계(212)에 대응된 스크린(410) 상의 위치의 비디오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적외선 신호로 송출하는 비디오신호검출부(210)와, 소총형 입력기기의 방아쇠를 포함한 다수의 키입력 및 사용자 눈의 스코프 접근 감지 신호를 RF 신호로 송출하는 입력신호전송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디오신호검출부(210)는 렌즈 및 포토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소총형 입력기기의 총열 종단에 설치되어 소총형 입력기기가 겨누어진 스크린(410) 상의 특정 위치에 대한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학계(212)와, 증폭기 및 변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광학계(212)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며 증폭된 신호를 상, 하강 에지 타이밍이 짧은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214)와, 적외선 LED 및 적외선 LED 구동기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신호처리부(214)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른 적외선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적외선 동기신호 발생회로(2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광학계(212)의 렌즈는 미리 적절히 설정된(예를 들어 2~4m) 위치의 적절한 크기의 점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비디오신호검출부(210)는 해당 소총형 입력기기의 광학계(212)에 대응된 스크린(410) 상 위치의 비디오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적외선 신호로 송출하게 되는데, 이때 비디오 신호의 검출은 스크린(410)상에 출력되는 각 영상 프레임에서 해당 광학계(212)의 대응된 위치에 있는 수개의 비디오 주사선의 주사 상태를 검출하게 된다.
입력신호전송부(220)는 소총형 입력기기의 방아쇠 및 다수의 조작키를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특정 키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 이에 대한 키데이터를 발생하는 키패드(222)와, 스코프에 사용자의 눈이 근접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접안센서부(240)와, 송신장치(200)의 전체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키패드(222)에서 발생한 키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접안센서부(240)의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무선 전송토록 제어하는 MPU(224)와, MPU(224)의 제어하에 입력된 키데이터를 RF 무선 송신하는 RF 송신회로(2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방아쇠를 제외한 키패드(222)의 각종 조작키는 소총의 총열 덮개부분에서 사용자의 왼손이 파지되는 위치에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입력신호전송부(220)는 방아쇠를 포함한 각 조작키의 입력상태 및 스코프에 사용자의 눈이 근접하는 지에 대한 신호를 수신장치(300)로 무선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MPU(224)는 방아쇠 키의 입력시에 실제 사격과 같은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소총형 입력기기의 개머리판에 설치되는 소정 충격발생부(미도시)로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충격발생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디오신호검출부(210) 및 입력신호전송부(220)로 구성되는 송신장치(200)에는 또한 전원관리를 위한 전원회로(23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소총형 입력장치에는 자체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와 같은 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되는데, 상기 전원회로(230)는 해당 전원공급장치의 배터리 전압을 감지하여 전압 레벨에 따른 적절한 표시신호를 발광 LED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신장치(300)는 크게 비디오신호검출시간계측부(310)와 비디오신호검출위치계측부(320)로 나눌 수 있는데, 먼저 비디오신호검출시간계측부(310)는 상기 송신장치(200)의 비디오신호검출부(210)의 적외선 동기신호 발생회로(216)로부터 송출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며, 현재 스크린(410)으로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적외선 신호의 발생 타이밍과 스크린(410) 상의 현재 출력되는 비디오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비교하여 상기 비디오신호검출부(210)에서 검출한 비디오신호의 해당 프레임의 출력시점에서부터 검출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한다.
비디오신호검출위치계측부(300)는 상기 비디오신호검출시간계측부(310)에서 계측한 시간을 통해 현재 스크린(410) 상에서 상기 송신장치(200)의 비디오신호검출부(210)의 광학계(212)에 대응된 위치를 파악하며 파악한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개인용 PC 등 연결된 외부 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송신장치(200)의 입력신호전송부(220)에서 전송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송신장치(200)의 방아쇠를 포함한 키입력을 파악하며, 또한 사용자 눈의 스코프 접근 상태를 파악하여 이를 개인용 PC 등 연결된 외부 기기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개인용 PC 등 외부 기기는 현재 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영상의 배율을 조절하게 된다.
이의 구성 및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비디오신호검출시간계측부(310)는 현재 스크린(410)에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비디오신호의 수평/수직 동기신호에 따른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수평/수직 동기신호 발생회로(312)와, 상기 송신장치(200)에서 송출된 적외선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대한 수신신호를 발생하는 적외선 동기신호 수신회로(314)와, 상기 수평/수직 동기신호 발생회로(312)에서 발생한 수평/수직 동기신호와 상기 적외선 동기신호 수신회로(314)에서 발생한 수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수평/수직 동기신호의 발생 타이밍과 상기 수신신호의 발생 타이밍을 비교하여 상기 비디오신호검출부(210)에서 검출한 비디오신호의 해당 프레임의 출력시점에서부터 검출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는 비디오신호검출시간계측회로(3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비디오신호검출시간계측회로(316)의 비디오신호의 해당 프레임의 출력시점에서부터 검출될 때까지의 시간 계측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비디오신호검출시간계측회로(316)에는 상기 입력되는 수평 동기신호에 따라 카운트 동작을 수행하는 제1카운터와 수직 동기신호에 따라 카운트 동작을 수행하는 제2카운터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카운터는 카운트 동작시에 상기 수평동기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영(zero)'으로 리셋되며, 제2카운터는 수직동기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영'으로 리셋된다. 이러한 제1카운터와 제2카운터 카운트 동작시에 적외선 동기신호의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카운트동작을 멈추고 해당 카운트값을 상기 송신장치(200)의 비디오신호검출부(210)에서 검출한 비디오신호의 검출시간으로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카운트값은 해당 프레임에서 상기 비디오신호검출부(210)의 광학계(212)에 대응된 위치까지의 영상신호가 주사되는 시간을 나타내게 되며, 이러한 주사시간을통해 상기 광학계(212)가 비디오신호를 검출한 스크린(410) 상에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크린 상에서의 비디오신호의 검출 위치 파악에 관한 기술은 일명 '라이트펜(light pen)'으로 알려진 기술에 적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989-303호(출원번호: 제1985-7783, 명칭: 라이트펜 오동작 방지 방법 및 그 장치, 특허권자: 주식회사 금성사, 발명자: 윤종현)나,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0-12402호(출원번호: 제1999-54572호, 명칭: 라이트 펜 마우스 장치, 출원인: 박희정, 발명자: 박희정)에 개시된 바를 들 수 있다.
수신장치(300)의 비디오신호검출위치계측부(320)는 RF 수신회로(326)와 인터페이스회로(322) 및 MPU(324)로 구성되며, 먼저 RF 수신회로(326)는 상기 송신장치(200)의 입력신호전송부(220)에서 전송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MPU(324)에 제공한다. 인터페이스회로(322)는 게임포트 에뮬레이션 회로를 구비하여 외부 개인용 PC의 게임포트와 접속하는 게임포트 및 RS232 인터페이스 회로를 구비하여 외부 PC의 직렬포트와 접속하여 외부 PC와의 데이터 전송을 인터페이스하는 직렬포트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322)의 게임포트를 통해 수신장치의 동작 전원을 외부 PC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수신장치(300)의 전체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MPU(324)는 상기 RF 수신회로(326)에서 수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소총형 입력기기의 방아쇠 조작을 파악하며 방아쇠 조작시에 상기 비디오신호검출시간계측부(310)의 비디오신호검출시간계측회로(316)에서 계측한 시간을 입력받아 이를 통해 현재 스크린(410) 상에서 상기송신장치(200)의 비디오신호검출부(210)의 광학계(212)에 대응된 위치를 파악하며 파악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회로(322)를 통해 개인용 PC 등 연결된 외부 기기로 전송토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MPU(324)는 상기 방아쇠 조작 뿐만 아니라 상기 송신장치(200)의 입력신호전송부(220)에서 전송된 각종 키데이터 및 스코프에 사용자 눈의 근접 감지 신호를 인터페이스회로(322)를 통해 외부 PC로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MPU(324)는 상기 방아쇠 조작에 따른 키데이터의 입력시에 상기 비디오신호검출시간계측회로(316)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여, 방아쇠가 조작된 경우에 상기 송신장치(200)의 비디오신호검출부(210)의 광학계(212)에서 스크린(410)상의 비디오신호를 검출시간을 계측하는 동작을 수행토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격 게임기가 구성 및 동작될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이 소총형 입력기기에 적용된 것으로 설명하였나, 이외에도 본 발명은 권총형 입력기기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기기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소총형 입력기기와 게임기 본체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본 발명은 상기 소총형 입력기기와 게임기 본체가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격 게임에서 게임의 흥미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게임기의 스크린 상의 영상 배율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6)

  1. 게임기의 스크린 상의 영상 배율 조절 장치에 있어서,
    (a) 사용자의 눈이 근접할 경우에 이에 대한 접안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접안 센서부를 구비한 스코프와,
    다수의 조작키에 대한 신호 및 상기 접안 센서부의 접안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부를 구비하는 총형 입력기기와,
    (b) 스크린 상에 게임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총형 입력기기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받는 신호수신부 및
    전체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신호수신부를 통해 상기 총형 입력기기로부터 상기 접안 감지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게임 영상의 배율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게임기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배율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 센서부는 광을 전방으로 발생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광의 전방 물체 대응하여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로 구성되며, 상기 수광소자의 수광 여부에 따른 출력 신호를 상기 접안 감지 신호로서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배율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프는 속이 빈 관형태의 스코프 본체와, 상기 스코프 본체에 상기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부착하기 위한 센서 부착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배율 조절 장치.
  4. 게임기 본체 및 원격지의 모형 망원 스코프를 구비하는 총형 입력기기로 이루어지지는 게임기의 스크린 상의 영상 배율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총형 입력기기에 설치되며, 상기 광학계에 대응된 위치의 상기 스크린의 비디오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적외선 신호로 송출하는 비디오신호검출부와, 상기 입력기기의 키입력에 대한 키데이터 및 사용자 눈의 상기 스코프의 근접 여부에 대한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입력신호전송부를 포함하는 송신장치와,
    상기 게임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송출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스크린으로 현재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적외선 신호의 발생 타이밍과 상기 스크린 상의 현재 출력되는 비디오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비교하여 상기 비디오신호검출부에서 검출한 비디오신호의 해당 프레임의 출력시점에서부터 검출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는 비디오신호검출시간계측부와, 상기 비디오신호검출시간계측부에서 계측한 시간을 통해 상기 스크린 상에서 상기 송신장치의 상기 광학계에 대응된 위치를 파악하며 파악한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송신장치에서 전송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키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눈의 스코프의 근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제공하는 비디오신호검출위치계측부를 포함하는 수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배율 조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신호검출부는 렌즈 및 포토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기기의 종단에 설치되어 겨누어진 상기 스크린 상의 위치에 대한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학계와, 증폭기 및 변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계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며 증폭된 신호를 상, 하강 에지 타이밍이 짧은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와, 적외선 LED 및 적외선 LED 구동기를 포함하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른 적외선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적외선 동기신호 발생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키입력신호전송부는 소총형 입력기기의 방아쇠 및 다수의 조작키를 구비하며 키 입력에 따른 키데이터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상기 송신장치의 전체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키패드에서 발생한 키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무선 전송토록 제어하는 송신장치 제어부와, 상기 송신장치 제어부의 제어하에 입력된 키데이터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배율 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신호검출시간계측부는 상기 스크린에 출력되는비디오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비디오신호의 수평/수직 동기신호에 따른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수평/수직 동기신호 발생회로와, 상기 송신장치에서 송출된 적외선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대한 수신신호를 발생하는 적외선 동기신호 수신회로와, 상기 수평/수직 동기신호 발생회로에서 발생한 수평/수직 동기신호와 상기 적외선 동기신호 수신회로에서 발생한 수신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수평/수직 동기신호의 발생 타이밍과 상기 수신신호의 발생 타이밍을 비교하여 상기 비디오신호검출부에서 검출한 비디오신호의 해당 프레임의 출력시점에서부터 검출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는 비디오신호검출시간계측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비디오신호검출위치계측부는 상기 송신장치의 키입력신호전송부에서 전송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회로와, 외부 기기의 게임포트와 접속하는 게임포트 및 외부 기기의 직렬포트와 접속하는 직렬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수신장치의 전체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무선신호 수신회로에서 수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기기의 키데이터를 파악하며 미리 설정된 키데이터의 수신시에 상기 비디오신호검출시간계측회로에서 계측한 시간을 입력받아 이를 통해 상기 현재 스크린 상에서 상기 송신장치의 상기 비디오신호검출부의 광학계에 대응된 위치를 파악하며 파악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토록 제어하는 수신장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배율 조절 장치.
KR1020010070205A 2001-11-12 2001-11-12 게임기의 스크린 상의 영상 배율 조절 장치 KR20030039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205A KR20030039233A (ko) 2001-11-12 2001-11-12 게임기의 스크린 상의 영상 배율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205A KR20030039233A (ko) 2001-11-12 2001-11-12 게임기의 스크린 상의 영상 배율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233A true KR20030039233A (ko) 2003-05-17

Family

ID=29569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205A KR20030039233A (ko) 2001-11-12 2001-11-12 게임기의 스크린 상의 영상 배율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92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7371B2 (en) 2008-02-04 2012-10-16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Method of gaming, a gaming system, and a game controller
CN106039703A (zh) * 2010-11-17 2016-10-26 索尼电脑娱乐公司 游戏控制器的智能外壳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1025A (en) * 1992-05-26 1995-03-28 Smith Engineering Remote control system for raster scanned video display
KR100209106B1 (ko) * 1991-02-14 1999-07-15 하세가와 가이유 목표물 위치 감지 장치
KR20000012402A (ko) * 1999-12-02 2000-03-06 박희정 라이트 펜 마우스 장치
JP2001062150A (ja) * 1999-08-27 2001-03-13 Namco Ltd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KR20020003222A (ko) * 2000-01-28 2002-01-10 고즈끼 가게히꼬 사적 비디오 게임 장치 및 사적 비디오 게임의 사격 결과표시 방법
KR101989303B1 (ko) * 2014-08-14 2019-06-14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용 박리 필름 및 광학 필름용 표면 보호 필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9106B1 (ko) * 1991-02-14 1999-07-15 하세가와 가이유 목표물 위치 감지 장치
US5401025A (en) * 1992-05-26 1995-03-28 Smith Engineering Remote control system for raster scanned video display
JP2001062150A (ja) * 1999-08-27 2001-03-13 Namco Ltd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KR20000012402A (ko) * 1999-12-02 2000-03-06 박희정 라이트 펜 마우스 장치
KR20020003222A (ko) * 2000-01-28 2002-01-10 고즈끼 가게히꼬 사적 비디오 게임 장치 및 사적 비디오 게임의 사격 결과표시 방법
KR101989303B1 (ko) * 2014-08-14 2019-06-14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용 박리 필름 및 광학 필름용 표면 보호 필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7371B2 (en) 2008-02-04 2012-10-16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Method of gaming, a gaming system, and a game controller
US9011245B2 (en) 2008-02-04 2015-04-21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Method of gaming, a gaming system, and a game controller
CN106039703A (zh) * 2010-11-17 2016-10-26 索尼电脑娱乐公司 游戏控制器的智能外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0153B2 (ja) ラスタ走査型出力装置用の遠隔操作装置
EP17044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 input device
US5926168A (en) Remote pointers for interactive televisions
EP2223293B1 (en) Input device for a scanned beam display
WO2012111976A2 (ko) 표시면에 포인터를 사용하지 않는 가상 터치 장치
US6426741B1 (en) User input for a computer
US20100103093A1 (en)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information outputting device and method
US20070129152A1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shooting games
JP2018527549A (ja) レーザー光射撃システム
JP2002108562A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及び記憶媒体、プログラム
EP2590058B1 (en) Game device, method of game control, and game control program
WO2018190484A1 (ko)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JP2005185740A (ja) 情報処理装置、ゲーム装置、画像生成方法、ゲーム画像生成方法
KR20020093291A (ko) 스크린 상의 목표물 위치 감지 장치
US20140349254A1 (en) Simulated Gun Shooting and Target Position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811809B1 (ko) 3d hmd를 활용한 아케이드 게임시스템
JPH1157216A (ja) ゲーム装置
WO2018143732A1 (ko)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KR20170136886A (ko) 가상현실 기반 사격 훈련 시스템
WO2021096119A1 (ko) 3차원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
KR20110124633A (ko) 사격 게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277913B1 (ko) 입력장치
KR20030039233A (ko) 게임기의 스크린 상의 영상 배율 조절 장치
EP2279505A1 (en) Interactive systems and methods and powerless remote control
KR100871442B1 (ko) 에프피에스 게임 전용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