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9026A -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 - Google Patents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9026A
KR20030039026A KR1020010069827A KR20010069827A KR20030039026A KR 20030039026 A KR20030039026 A KR 20030039026A KR 1020010069827 A KR1020010069827 A KR 1020010069827A KR 20010069827 A KR20010069827 A KR 20010069827A KR 20030039026 A KR20030039026 A KR 20030039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casing
leakage
hollow member
spe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4282B1 (ko
Inventor
김상배
강병규
박상호
신준철
최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69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282B1/ko
Publication of KR20030039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25D2317/0671Inlet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25D2317/0672Outlet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1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particular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격벽을 사이에 두고 냉동실 및 냉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이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부와,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형성된 연통공이 상기 관통부와 상호 연통가능하게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중 어느 하나의 개구측으로부터 삽입되는 특선실케이싱을 가지는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에 있어서, 단열부재로 통형상을 가지며 둘레면이 상기 연통공의 내부에 접촉되게 수용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축심을 따라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중공체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돌출 및 철회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내폭에 비해 축소된 외폭을 가지며, 상기 특선실케이싱의 결합시 상기 고정부재측으로 철회되고 결합완료시 상기 관통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격벽과 상기 특선실케이싱의 접촉영역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누설억제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누설억제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누설억제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특선실을 형성하는 케이싱의 결합시 철회되어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결합 완료후 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되어 냉기의 누설을 억제시킬 수 있는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CONNECTION DUCT FOR REFRIGERATOR WITH SPECIAL-REFRIGERATION-ROOM}
본 발명은,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선실을 형성하는 케이싱의 결합시 철회되어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결합 완료후 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되어 냉기의 누설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저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통상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음식물을 동결저장하는 냉동실과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음식물을 냉장상태로 저장하는 냉장실을 구비한다. 냉동실은 통상 -18℃ 이하의 냉각온도를 유지하며, 냉장실은 2℃ 를 전후로 한 냉각온도 범위를 가진다.
어육류(漁肉類) 등은 통상 냉동실에 보관하게 되는데, 그럴 경우 해동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많은 불편이 따르게 되며, 특히 육류 등을 비교적 짧은 시간, 예를 들면 수시간 내지 십수시간 정도로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적절히 보관할 장소가 없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냉장실의 내부에 소위 신선실 또는 싱싱고 등으로 불리는 별도의 특선실을 마련하여 어류, 육류 등을 보관하도록 한 냉장고들이 고안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특선실영역의 부분절취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의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111)을 사이에 두고 냉동실(121) 및 냉장실(131)이 형성된 본체(110)와, 냉동실(121) 및 냉장실(131)의 각 전면 개구를 회동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각각 결합되는 냉동실도어(122) 및 냉장실도어(132)와, 냉장실(131)의 하부영역에 형성되는 특선실(141)을 구비하고 있다.
냉장실(131)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음식물을 지지하는 복수의 선반(133)이 배치되어 있으며, 냉동실(121)의 후방영역에는 공기가 순환되면서 냉각될 수 있도록 순환유로(125)를 형성하는 그릴부재(123)가 구비되어 있다. 순환유로(125)의 내부에는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증발기(127)가 수용배치되어 있으며, 그릴부재(123)의 하부영역에는 냉동실(121)의 공기가 순환유로(125)로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12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격벽(111)의 하부영역에는 냉동실(121)의 냉기가 특선실(141)로 제공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흡입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부(112)의 일측에는 특선실(141)의 공기가 유출될 수 있도록 유출부(114)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특선실(141)은, 흡입부(112) 및 유출부(114)와 각각 연통되게 흡기구(144) 및 유출구(146)가 각각 형성된 케이싱(143)과, 케이싱(143)의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서랍(14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143)은 단열부재로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좌우폭은 냉장실(131)의 폭에 소정의 죔새를 가지고 결합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흡입부(112)에는 흡입부(1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흡입부개폐부(113)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케이싱(143)의 개구가 냉장실(131)의 전면 개구측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케이싱(143)의 흡기구(144) 및 유출구(146)가 격벽(111)의 흡입부(112) 및 유출부(114)와 각각 연통되도록 케이싱(143)을 삽입결합한다. 다음, 서랍(145)을 케이싱(143)의 내부에 삽입하면 이들의 결합이 완료된다.
서랍(145)의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면 도시 않은 제어부는 설정된 온도조건에 따라 흡입부개폐부(113)를 개폐하여 케이싱(143)의 내부가 설정된 온도조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흡입부(112)가 개방되면 냉동실(121)로부터의 냉기가 흡입부(112) 및 흡기구(144)를 통해 케이싱(143)의 내부로 유입되어 케이싱(143)의 내부를 냉각시키고 일부는 유출부(114)를 통해 냉동실(121)의 순환유로(125)로 흡입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에 있어서는, 격벽(111)에 형성된 흡입부(112) 및 유출부(114)와 케이싱(143)의 측벽에 형성된 흡기구(144) 및 유출구(146)가 상호 연통되도록 케이싱(143)을 냉장실(131)의 개구측으로부터 삽입결합하도록 되어 있어, 흡입부(112) 및 흡기구(144)와, 유출부(114) 및 유출구(146)를 상호 정확하게 일치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격벽(111)과 케이싱(143)의 상호 접촉영역을 통해 냉동실(121)로부터 유입된 냉기의 누설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선실을 형성하는 케이싱의 결합시 철회되어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결합 완료후 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되어 냉기의 누설을 억제시킬 수 있는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특선실영역의 부분절취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연결덕트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연결덕트의 결합상태의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11 : 격벽
13 : 흡입부15 : 유출부
21 : 냉동실31 : 냉장실
41 : 특선실43 : 케이싱
45 : 서랍46 : 흡기구
48 : 유출구51 : 연결덕트
53 : 고정부재54 : 걸림턱
57 : 스프링부재60 : 누설억제부재
61 : 제1중공부재66 : 결합부
68 : 돌기수용부71 : 제2중공부재
74 : 돌기부76 : 머리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격벽을 사이에 두고 냉동실 및 냉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이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부와,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형성된 연통공이 상기 관통부와 상호 연통가능하게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중 어느 하나의 개구측으로부터 삽입되는 특선실케이싱을 가지는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에 있어서, 단열부재로 통형상을 가지며 둘레면이 상기 연통공의 내부에 접촉되게 수용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축심을 따라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중공체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돌출 및 철회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내폭에 비해 축소된 외폭을 가지며, 상기 특선실케이싱의 결합시 상기 고정부재측으로 철회되고 결합완료시 상기 관통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격벽과 상기 특선실케이싱의 접촉영역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누설억제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누설억제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누설억제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누설억제부재의 돌출측 끝단부의 모서리영역은 라운딩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특선실케이싱측 단부의 내면으로부터 중심측으로 소정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누설억제부재에는 돌출측 단부로부터 축선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구간에 걸쳐 축소된 외폭을 가지는 축소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축소구간의 둘레에 배치되는 압축코일스프링부재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누설억제부재는, 축심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된 제1중공부재와, 축심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부재의 외폭에 비해 축소된 외폭을 가지고 일단이 상기 제1중공부재의 일측에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되며 타측 단부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걸림턱과 접촉될 수 있도록 확장된 머리부가 형성된 제2중공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중공부재 및 제2중공부재의 상호 접촉면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와, 상기 제1중공부재 및 제2중공부재의 상호 접촉면중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돌기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연결덕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연결덕트의 결합상태의 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11)을 사이에 두고 냉동실(21) 및 냉장실(31)이 형성된 본체(10)와, 냉장실(31)의 하부영역에 형성되는 특선실(41)을 구비하고 있다.
냉동실(21)의 후방영역에는 냉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순환유로(25)를 형성하는 그릴부재(23)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릴부재(23)의 하부영역에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순환유로(25)의 내부에는 공기가 냉각될 수 있도록 증발기(27)이 구비되어 있다.
격벽(11)에는 냉동실(21)의 냉기가 특선실(41)로 흡입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흡입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부(13)의 일측에는 특선실(41)로부터의 공기가 유출될 수 있도록 유출부(15)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특선실(41)은, 단열부재로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며 좌우방향을 따른 외폭이 냉장실(31)의 내폭에 수용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케이싱(43)과, 케이싱(43)의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어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저장하는 서랍(45)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43)에는 격벽(11)에 형성된 흡입부(13) 및 유출부(15)에 각각 대응되어 흡기구(46) 및 유출구(48)가 연통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케이싱(43)의 흡기구(46) 및 유출구(48)에는 케이싱(43)의 측벽으로부터 철회가능하도록 돌출되어 케이싱(43)의 결합시 흡입부(13) 및 유출부(15)에 각각 삽입되어 공기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하는 연결덕트(51)가 결합되어 있다.
본 연결덕트(51)는, 케이싱(43)의 흡기구(46) 및 유출구(48)에 고정결합되는 통형상의 고정부재(53)와, 케이싱(43)으로부터 돌출 및 철회가능하게 고정부재(53)에 결합되어 끝단이 격벽(11)의 흡입부(13) 또는 유출부(15)에 삽입됨으로써 공기의 누설이 억제되도록 하는 누설억제부재(60)와, 고정부재(53)와 누설억제부재(60)사이에 개재되어 누설억제부재(60)를 격벽(11)측으로 돌출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압축코일스프링형태의 스프링부재(5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재(53)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통형상을 가지며, 케이싱(43)의 측벽에 형성된 흡기구(46) 또는 유출구(48)에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흡기구(46) 및 유출구(48)의 내폭에 대응된 외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43)의 내측을 향해 배치되는 단부에는 중심측으로 돌출되어 스프링부재(57)의 일단을 접촉지지하는 걸림턱(54)이 형성되어 있다.
누설억제부재(60)는, 축심을 따라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관통공(62)이 형성되고 고정부재(53)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1중공부재(61)와, 축심을 따라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관통공(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중공부재(61)의 외폭에 비해 축소된 외폭을 가지고 제1중공부재(61)의 일측에 일체로 삽입결합되는 제2중공부재(71)를 구비하고 있다.
제1중공부재(61)의 돌출측 모서리(64)는 케이싱(43)에 결합되어 격벽(11)에 접촉될 경우 철회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라운딩 처리되어 있으며, 대향측에는 제2중공부재(71)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확장된 결합부(66)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66)의 장변 내측 연부에는 후술할 돌기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돌기수용부(68)가 형성되어 있다.
제2중공부재(71)는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72)이 제1중공부재(61)에 형성된 관통공(62)과 상호 연통되게 제1중공부재(61)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은 고정부재(53)의 끝단에 비해 케이싱(43)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중공부재(71)의 삽입단부의 장변부의 외면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돌기수용부(68)의 내부에 삽입결합되어 상호 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기부(74)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에는 걸림턱(54)에 접촉되어 스프링부재(57)의 탄성력에 의해 제2중공부재(71)가 격벽(11)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확장된 머리부(7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먼저 고정부재(53)의 걸림턱(54)이 케이싱(43)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케이싱(43)의 흡기구(46) 또는 유출부(15)에 고정부재(53)를 삽입결합한다. 케이싱(43)의 내측에서 제2중공부재(71)의 삽입측 단부가 고정부재(53)를 통과하여 케이싱(43)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2중공부재(71)의 둘레에 스프링부재(57)를 삽입결합한다.
다음, 케이싱(43)의 외측에서 제1중공부재(61)의 라운딩된 모서리(64)영역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2중공부재(71)의 삽입측 단부를 결합부(66)에 대고 가압하면, 제2중공부재(71)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부(74)가 제1중공부재(61)의 돌기수용부(68)에 삽입됨으로써 상호 이탈이 방지된다. 제1중공부재(61) 및 제2중공부재(71)가 결합됨과 거의 동시에 스프링부재(57)는 소정 압축되고, 이 때 축적된 스프링부재(57)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일체로 결합된 누설억제부재(60)는 제1중공부재(61)가 케이싱(43)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케이싱(43)에 연결덕트(51)의 결합이 완료되면 냉장실(31)의 전면으로부터 케이싱(43)을 삽입하면, 돌출된 누설억제부재(60)는 라운딩 모서리(64)가 격벽(11)에 접촉됨으로써 고정부재(53)의 내부로 철회된 상태로 삽입된다. 케이싱(43)이 삽입되어 누설억제부재(60)가 흡입부(13) 및 유출부(15)에 각각 위치되면, 각 철회된 누설억제부재(60)는 스프링부재(57)의 탄성력에 의해 흡입부(13) 및 유출부(15)의 내부로 돌출되어 삽입된다. 이에 의해, 냉동실(21)로부터 흡입부(13)를 경유해 케이싱(43)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기는 제1중공부재(61) 및 제2중공부재(71)를 따라 누설됨이 없이 케이싱(43)의 내부로 흡입되고, 케이싱(43)의 내부의 공기는 제2중공부재(71) 및 제1중공부재(61)에 의해 누설이 발생됨이 없이 유출부(15)로 유출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흡입부 및 유출부, 고정부재 및 누설억제부재가 모두 사각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들이 모두 원형단면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 및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특선실이 냉장실에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케이싱이 냉동실에 배치될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싱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케이싱에 대해 일측이 돌출 및 철회가능하게 고정부재에 결합되고 결합시 격벽의 흡입부 또는 유출부에 삽입되어 냉기의 누설을 억제시키는 누설억제부재와, 누설억제부재 및 고정부재사이에 개재되어 누설억제부재가 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수단을 마련하여 케이싱의 결합시 고정부재의 내부로 철회되도록 함으로써,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완료후 흡입부 또는 유출부의 내부로 돌출됨으로써 틈새를 통한 누설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한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가 제공된다.

Claims (5)

  1. 격벽을 사이에 두고 냉동실 및 냉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이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부와,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형성된 연통공이 상기 관통부와 상호 연통가능하게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중 어느 하나의 개구측으로부터 삽입되는 특선실케이싱을 가지는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에 있어서,
    단열부재로 통형상을 가지며 둘레면이 상기 연통공의 내부에 접촉되게 수용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축심을 따라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중공체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돌출 및 철회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내폭에 비해 축소된 외폭을 가지며, 상기 특선실케이싱의 결합시 상기 고정부재측으로 철회되고 결합완료시 상기 관통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격벽과 상기 특선실케이싱의 접촉영역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누설억제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누설억제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누설억제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억제부재의 돌출측 끝단부의 모서리영역은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특선실케이싱측 단부의 내면으로부터 중심측으로 소정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누설억제부재에는 돌출측 단부로부터 축선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구간에 걸쳐 축소된 외폭을 가지는 축소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축소구간의 둘레에 배치되는 압축코일스프링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억제부재는, 축심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된 제1중공부재와, 축심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부재의 외폭에 비해 축소된 외폭을 가지고 일단이 상기 제1중공부재의 일측에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되며 타측 단부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걸림턱과 접촉될 수 있도록 확장된 머리부가 형성된 제2중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부재 및 제2중공부재의 상호 접촉면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와, 상기 제1중공부재 및 제2중공부재의 상호 접촉면중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돌기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
KR10-2001-0069827A 2001-11-09 2001-11-09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 KR100414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827A KR100414282B1 (ko) 2001-11-09 2001-11-09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827A KR100414282B1 (ko) 2001-11-09 2001-11-09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026A true KR20030039026A (ko) 2003-05-17
KR100414282B1 KR100414282B1 (ko) 2004-01-07

Family

ID=29568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827A KR100414282B1 (ko) 2001-11-09 2001-11-09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28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3640A1 (de) * 1984-11-29 1986-06-05 Karlheinz 8902 Neusäß Kläger Zerstaeuberduese eines fluessigkeitszerstaeubers
KR19990020193U (ko) * 1997-11-24 1999-06-15 전주범 접철식선반
KR200210882Y1 (ko) * 2000-07-22 2001-01-15 만도공조주식회사 신축 이음관을 구비한 김치냉장고의 열교환기 구조
KR100398636B1 (ko) * 2001-05-24 2003-09-1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응축수 배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4282B1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2463B2 (en) Refrigerator
KR101624557B1 (ko) 제빙실을 구비한 냉장고
AU2014354427B2 (en) Refrigerator
KR20100067470A (ko) 제빙실을 구비한 냉장고
US11391508B2 (en) Refrigerator
EP3086062A1 (en) Refrigerator
KR20130052087A (ko) 냉장고
CN111023679A (zh) 一种冷藏风道机构及冰箱
WO2021114956A1 (zh) 冰箱
KR100414282B1 (ko) 특선실이 구비된 냉장고의 연결덕트
WO2021114961A1 (zh) 冰箱
US20190331406A1 (en) Drawer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CN107782041B (zh) 冰箱
WO2021114958A1 (zh) 冰箱
CN113531988B (zh) 冰箱
KR100402602B1 (ko) 양면개폐가 가능한 냉장고
CN100432586C (zh) 冰箱软冻保鲜室与壁板连接的装置
KR200302405Y1 (ko) 직냉 방식 김치저장고의 열교환기 구조
WO2021114959A1 (zh) 冰箱
WO2021114957A1 (zh) 冰箱
KR100361672B1 (ko) 팬모터케이스를 구비한 냉장고
KR200232339Y1 (ko) 냉장고의열쇠장치
KR200160843Y1 (ko) 입체냉각방식냉장고
KR200142470Y1 (ko) 냉장고
CN113531987A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