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645A -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8645A
KR20030038645A KR1020030026877A KR20030026877A KR20030038645A KR 20030038645 A KR20030038645 A KR 20030038645A KR 1020030026877 A KR1020030026877 A KR 1020030026877A KR 20030026877 A KR20030026877 A KR 20030026877A KR 20030038645 A KR20030038645 A KR 20030038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unsealed
gusset
container body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정민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030026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8645A/ko
Publication of KR20030038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645A/ko
Priority to PCT/KR2004/000948 priority patent/WO2004094252A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의 제작방법
(2)발명의 목적
종래, 일본 특개평10-329849호의 경우는, 자립성과 충진성이 현저하게 향상된 특징이 있으나, 단점으로서는 일반적인 M형제대기를 통하여는 가공할 수 없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며, 본 발명은 이를 개선하고자 한다.
(3)발명의 구성
필름전면과 필름배면의 사이에 상하로 거싯부를 형성하여 자립성이 향상되게 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상기 상거싯부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필름전면의 상단부가 접어져 상거싯부가 형성되고, 그 접어져 된 상거싯부의 단부가 상방으로 일정 연장되어 미봉합부로 형성되며, 상기 미봉합부의 배면으로는 상방에 미봉합부를 구성하도록 대응된 필름배면이 구성되는 것이다.
(4)발명의 효과
이상과 본 발명은 별도의 공정 또는 별도의 기계구성없이 종래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용기의 자립성등을 현격하게 향상시킨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의 제작방법{omitted}
본 발명은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종래의 선행으로는 일본 특개평10-329849호가 있다.
상기 일본 특개평10-329849호의 경우는, 자립성과 충진성이 현저하게 향상된 특징이 있으나, 단점으로서는 일반적인 M형제대기를 통하여는 가공할 수 없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한 폐단은 상부 거싯부를 가공하는 과정에 봉합부를 형성하여야 하고, 상기한 봉합부와 그 대응되는 부위의 일부를 미봉합부로 두어 그 미봉합부를 통하여 내용물을 충진하여야 하는 바, 상부 거싯부의 봉합부와 미봉합부는 필수적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일본 특개평10-329849호는 봉합부와 미봉합부를 동시에 가공할 수 없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거싯부를 필름전면과 일체되게 접철하여 기존의 M형제대기를 통하여 상기한 종래의 폐단을 극복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용기를 보인 일 정면도이고,
도 2 는 종단면이며,
도 3 은 사용상태를 보인 일종단면이며,
도 4 는 거싯부형 용기의 제대를 위한 필름의 일 가공형태를 보인 것이며,
도 5 는 도 4 의 연속적인 가공형태이다.
도 6, 도 7 은 본 발명 용기의 다른 제작형태를 보인 것이다.
도 8~도 1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응용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8 은 용기본체의 상부 미봉합부에 배출대가 부착되어져 사용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9 은 용기본체의 미봉합부에 배출대가 부착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10 은 용기본체에 배출대를 부착하기 용이하게 미봉합부의 일부를 봉합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1,도 12,도 13,도 14,도 1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응용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11,도 12 는 용기본체의 상부인 미봉합부 모서리부에 배출대를 부착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13 은 용기본체의 모서리에 형성된 절취편의 내부에 배출대를 형성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14,도 15 는 미봉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그 내부에 배출대를 형성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100 : 용기본체
110 : 필름전면 120 : 필름배면
130 : 상거싯부 140 : 하거싯부
150 : 미봉합부 160, 170, 180, 180' : 봉합부
190 : 손잡이부 200 : 배출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부 거싯부는 필름전면과 배면의 일부가 접어져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거싯부가 대응되어 제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 거싯부는 필름전면의 상부가 접어져 형성되게 하여 그 부위를 봉합하지 않더라도 기밀이 유지되게 한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상부 거싯부는 필름의 전면과 배면의 상부가 접어져 형성되데, 거싯부와 미봉합부를 위한 면이 동시에 접어지게 하고, 미봉합부를 위한면이 접어지면서 기밀된 부위를 제대시 커팅하여 미봉합부로 형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에서 개략적으로 보인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는 필름전면(110)과 필름배면(120)의 사이에 상하로 상·하거싯부(130, 14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상거싯부(130)는 필름전면(110)의 상부가 접어져 형성되고, 접어진 상거싯부(130)의 상단부는 일정 상향되어 미봉합부(150)를 위한 면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미봉합부(150)의 면부터 하방으로는 일체로 되어 필름배면(120)이 형성되고, 미봉합부(150)면이 필름배면(120)과 경계되면서 생긴 그 상단부를 일정 커팅하여 주입구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하거싯부(140)는 별도 형성하지 않고 필름전면(110)의 저부, 또는 필름배면(120)의 저부와 일체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하거싯부(130, 140)가 있는 용기본체(100)의 양측을 봉합부(160)로서 기밀 시키고, 하거싯부(140)의 형성에 따라 저단부면을 봉합부(170)로서 처리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또는 도 2 와 같은 상태의 용기본체(100)의 내부에 미봉합부(150)를 벌려 내용물을 내입하고, 그 미봉합부(150)를 봉합한 상태가 도 3 과 같은 것이다.
상기 도 3 과 같은 상태에서 용기본체(100)의 미봉합부(150)를 벌려 내용물을 내입하게 되면 하거싯부(140)가 펼쳐지고, 이와 동시 상거싯부(130)가 펼쳐지게 되는 것이며, 도 3 에서 보인 「A」부위가 도 1 또는 도 2 의 「A」부위가 펼쳐져 된 부위이다.
또한 도 3 에서 보인 바와 같이 미봉합부(150)를 봉합하게 되면 봉합부(180)로 처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 는 용기본체(100)를 제작하는 방법을 보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는 필름전면(110)과 필름배면(120)의 사이에 상하로 상·하거싯부(130, 1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상거싯부(130)는 필름전면(110)의 상부가 접어져 형성되고, 접어진 상거싯부(130)의 상단부는 일정 상향되어 미봉합부(150)를 위한 면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미봉합부(150)의 면부터 하방으로는 별이의 필름배면(120)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하거싯부(140)는 별도 형성하지 않고 필름전면(110)의 저부, 또는 필름배면(120)의 저부와 일체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용기본체(100)는 일련의 연속과정을 거치는 과정에 도 5 와 같이 접어지고, 그 형태에 따라 봉합부(160, 170)가 형성되는 것이며, 또한 최종적으로는 봉합부(160)의 중앙선부를 절단하면 도 1 과 같은 용기본체(100)가 완성되는 것이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거싯부(130)를 중심으로 하여 필름전면(110)과 필름배면(120)이 일체로 연결되거나 또는 필름전면(110)과 하거싯부(14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필름배면(120)과 하거싯부(140)가 일체로 될 수 도 있는 것이다.
도 6 은 미봉합부(150)의 일측에 절취선(151)을 두어 개봉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것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도 6 의 미봉합부(150) 일 부위에는 용기본체(100)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천공 또는 일정 형태로 절단된 손잡이부(190)를 형성한 것이며, 도 7 은 상기 손잡이부(190)의 변형의 구조로서, 측면 봉합부(160) 상에 손잡이부(190)를 형성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8∼도 10 은 용기본체(100)의 미봉합부(150)를 벌려 용기본체(100)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용도의 배출대(200)를 구성한 것을 보이고 있다.
바람지하게는, 도 10 에서 보인 바와 같이 미봉합부(150)의 양측을 봉합부(180)로 처리하여 배출대(200)를 삽입하기 용이하게 한 것이 좋다.
상기한 상태에서, 미봉합부(150)를 일련의 기계장치로 벌린후 배출대(200) 몸체를 삽입하고 열 등의 방법으로 압착하여 봉합부(181')를 형성한 것이 도 9 와 같은 것이다.
상기 도 9 와 같은 상태에서, 배출대(200) 몸체 구부를 통하여 내용물을 내입한후 별이의 뚜껑을 닫은 상태가 도 8 과 같은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용기본체(100) 미봉합부(150) 중 임의 일측 모서리 부위를 커팅하고 당 부위에 배출대(200)를 부착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한 배출대(200)는 도 12 에서 보인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3 에서 보인 바와 같이 미봉합부(150)의 임의 일측 모서리 부위에 절취선(151)으로 구획된 절취편(152)을 형성하고, 상기한 절취편(152)에 의해 위생적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배출대(200)를 부착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4 내지 도 15 는 미봉합부(150)의 내부로 배출대(200)를 부착한 것의 변형의 예를 보이고 있다.
도 13, 도14~15 공히 그 사용시는 절취선(151)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절취편(152)을 당기게 되면 절취선(151)이 파괴되면서 절취편(152)이 제거되게 되는 것이며, 상기한 과정에 배출대(200)가 사용상의 상태로 노출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용기본체(100) 미봉합부(150)에는 지퍼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그 예로는 용기본체(100)를 제작하는 과정에 미봉합부(150)가 될그 내부로 지퍼가 위치되게 하여 부착시킨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정의되는 필름이란, 복합필름 또는 종이류 등 다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본 발명은 별도의 공정 또는 별도의 기계구성없이 종래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용기의 자립성등을 현격하게 향상시킨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필름전면과 필름배면의 사이에 상하로 거싯부를 형성하여 자립성이 향상되게 한 종래 용기본체의 기술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를 제장하는 방법은, 필름전면의 상단부가 접어져 상거싯부가 형성되고, 그 접어져 된 상거싯부의 단부가 상방으로 일정 연장되어 미봉합부로 형성되며,
    상기 미봉합부의 배면으로는 상방에 미봉합부를 구성하도록 대응된 필름배면이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미봉합부의 하방으로는 필름전면과 배면의 사이에 하거싯부가 형성되며,
    상기한 상·하거싯부가 있는 필름전면과 필름배면의 양측, 그리고 하단부를 봉합부로서 기밀처리한 것을 특징으로한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의 제작방법.
  2. 필름전면과 필름배면의 사이에 상하로 거싯부를 두고 양측면부를 봉합하여 자립성이 향상되게 한 종래 용기본체의 기술에 있어서,
    상기 상거싯부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필름전면의 상단부가 접어져 상거싯부가 형성되고, 그 접어져 된 상거싯부의 단부가 상방으로 일정 연장되어 미봉합부로 형성되며,
    상기 미봉합부의 배면으로는 연장되어 필름배면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의 제작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봉합부는 그 상단부를 임의 크기로 커팅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의 제작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봉합부에는 용기본체의 내용물을 꺼낼수 있는 배출대를 형성한 것을 특지으로한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의 제작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봉합부에는 지퍼를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한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의 제작방법.
KR1020030026877A 2003-04-23 2003-04-28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의 제작방법 KR20030038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877A KR20030038645A (ko) 2003-04-28 2003-04-28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의 제작방법
PCT/KR2004/000948 WO2004094252A1 (en) 2003-04-23 2004-04-23 Pouch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877A KR20030038645A (ko) 2003-04-28 2003-04-28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645A true KR20030038645A (ko) 2003-05-16

Family

ID=29579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877A KR20030038645A (ko) 2003-04-23 2003-04-28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86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99528A (en) Receptacle
US6912825B2 (en) Flexible stand-up liquid pouch with internalized straw
JP2001314207A (ja) 雌の形状を貫通する開口を有する再閉止可能な容器のためのジッパー
JP2002104433A (ja) ガセット付きバッグ
KR20030038645A (ko)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의 제작방법
CA2345510A1 (en) Bag for automated filling and sealing machine
JPH09505260A (ja) 膨張させた自立可撓袋
KR20030040329A (ko) 배출대를 갖고 있는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
KR20030038634A (ko)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
KR20030040333A (ko) 배출대를 갖고 있는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
JP5101054B2 (ja) 易開封性包装体
KR20030040328A (ko) 배출대를 갖고 있는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
JP2002362639A (ja) 自封式逆止弁を備える袋体および緩衝用袋体
KR20030038642A (ko) 지퍼가 달린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
KR20030038644A (ko) 배출대를 갖고 있는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
KR20030062284A (ko) 양측 거싯부형 파우치 용기에 배출대를 형성하는 구조
JP2007118968A (ja) ストロー付き飲料パウチ
US20230036614A1 (en) Flexible, Plastic Bag Having a Resizable Storage Space
WO2004094252A1 (en) Pouch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030040334A (ko) 배출대를 갖고 있는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
KR200343341Y1 (ko) 포장물 투입 부분의 개방이 용이한 포대
KR20030057498A (ko) 상면접철부가 형성된 스탠딩 파우치 용기의 구조 및 그제작 방법
KR20030038643A (ko) 배출대를 갖고 있는 상하 거싯(gusset)부형 용기
KR200256273Y1 (ko) 기밀봉지
KR20030044991A (ko) 거싯(gusset)부를 통하여 내용물을 주입하는 파우치 용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