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6070A - 파라미터화된 서비스 품질(QoS) 지원을 위한 시그널링 - Google Patents

파라미터화된 서비스 품질(QoS) 지원을 위한 시그널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6070A
KR20030036070A KR1020020066998A KR20020066998A KR20030036070A KR 20030036070 A KR20030036070 A KR 20030036070A KR 1020020066998 A KR1020020066998 A KR 1020020066998A KR 20020066998 A KR20020066998 A KR 20020066998A KR 20030036070 A KR20030036070 A KR 20030036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os
station
traffic
execution
ml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1566B1 (ko
Inventor
호진멩
Original Assignee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36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5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5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multipoint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25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for supporting services specification, e.g. SLA
    • H04L47/2433Allocation of priorities to traffic ty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04L47/805QOS or priority a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04L47/808User-type a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4Applicable to portable or mobi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2개의 통신국들(205 및 207)간에 파라미터화된 QoS 기대로 트래픽 스트림(224)의 생성, 수정 및 소거는, 파라미터화된 QoS 기대의 지원을 위한 고유의 메커니즘이 없는 경우, SME(212) 및 MLME(214)와 같은 관리 실체들간, 및 통신국들(205 및 207)의 MAC 실체들간에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의 시그널링을 필요로 한다. 통신국(205 및 207) 또는 하이브리드 조정기 중의 하나가 시그널링을 개시할 수 있다. 시그널링의 최종 목적은, 사용자 트래픽을 소정의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의 세트에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사용자 트래픽의 송신의 스케쥴링에 사용되는 새로운 트래픽 스트림의 생성이다. 시그널링의 다른 최종 목적은,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의 관점에서 기존의 트래픽 스트림의 수정이다.

Description

파라미터화된 서비스 품질(QoS)지원을 위한 시그널링{SIGNALING FOR PARAMETERIZED QUALITY OF SERVICE(QoS) SUPPORT}
당해 출원은, 여기서 참조로 인용하는, 2001년 11월 1일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60/335,553호, 발명의 명칭이 "파라미터화된 QoS 지원을 위한 시그널링"인 특허출원을 우선권 주장의 기초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킹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네트워크 트래픽 전송을 위한 QoS 파라미터의 특정 및 교환을 통해 디지털 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에게 서비스 품질(QoS;quality of service)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통신망은 송신 매체를 사용하여 컴퓨터 데이터, 음성, 음악, 비디오 등의 형태의 정보를 한 국으로부터 다른 국으로 송신한다. 이러한 통신 매체는 유선 링크, 광 섬유 링크 또는 무선 링크일 수 있다. 무선 링크는 무선 전파, 적외선, 레이저 광 및 마이크로웨이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실상,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형태의 통신 링크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각 국간에 전용 통신 링크를 사용하는 소수의 네트워크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정보 네트워크는 공용 송신 매체를 사용하여 송신 정보를 송신한다. 공용 송신 매체를 사용하는 정보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이더넷, 토큰 링, 무선 이더넷(IEEE 802.11) 및 다수의 사유 네트워크이다.
그러나, 다수의 국간에 통신 매체를 공용함으로써, 국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기 전에 상당한 시간을 대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서로 다른 국들로부터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여 송신들간에 상호 파괴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멀티미디어, 음성 및 데이터 전송에 QoS를 제공함에 있어서, 또한, 무선 매체 상의 부족한 스펙트럼을 효율적으로 사용함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음성 전화, 원격 화상 회의, 및 기타 실시간 양방향 상호형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일부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확장된 송신 시간은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급속도로 저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전화 애플리케이션에서, 화자와 청자간의 지연이 수 ㎳보다 크면, 이 지연은 사용자들에게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되고 전화 접속에 대한 사용자들의 만족 정도가 떨어지기 시작한다.
적은 최대 네트워크 대기 시간을 요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의 레벨을 수신함을 확신시키는 한 가지 방법은, 국들간의 데이터 트래픽의 일부 형태의 QoS 전송을 구현하는 것이다. QoS 전송을 가지는 다수의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의 통신 트래픽은 다수의 카테고리 및 스트림으로 나뉘어진다.소정의 성능 조건 및 트래픽 특성에 따라, 카테고리는 우선 순위가 설정되고 스트림은 파라미터화된다. 예를 들어, 2명의 사용자들간의 전화 통화를 운반하는 트래픽은 2개의 컴퓨터들간의 파일 송신을 위한 트래픽 운반 데이터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되는 반면, 원격 화상 회의를 운반하는 트래픽은 데이터 전송 속도 및 지연 조건 면에서 텔레비전 화상을 운반하는 트래픽과는 다르게 파라미터화된다. 트래픽에 대해 카테고리를 우선 순위 설정하고 스트림을 파라미터화함으로써, 더 높은 QoS 요구 또는 더 높은 우선 순위의 트래픽은 더 나은 서비스를 수신하여, 이러한 네트워크는 성능 보장을 제공하고 만족한다.
그러나, IEEE 802.11e 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에서 구현되는 바와 같이, 트래픽 카테고리는 서로 다른 카테고리의 메시지들에게 고정(정적) 우선 순위만을 제공한다. 소정의 트래픽 카테고리의 모든 메시지는 하나의 우선 순위 레벨을 공유한다. 고정 수의 서로 다른 트래픽 카테고리가 부여되면, 개별 QoS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레벨의 우선 순위를 제공할 수 없다. 메시지들간에 세밀한 레벨 차가 요구되고, 트래픽 카테고리와 같은 고정 우선 순위 방법은 메시지 바이 메시지(message-by-message)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통신 파라미터를 특정하기 위해 필요한 플렉시빌리티를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네트워크 상태 및 조건이 변화함에 따라 메시지의 파라미터를 빨리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은 네트워크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바이 메시지에 기초한 다양한 통신 파라미터의 특정, 및 성능 요구 및 대역폭 유용성에 의해 지시되는 통신국들간의 통신 파라미터의 교환 및 중재를 허용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IEEE 802.11 기술 표준에 따른 통상의 무선 근거리 통신망의 종래 기술을 나타내는 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국들간의 트래픽 스트림의 생성, 수정 또는 소거를 설명하는 도.
도 3a 내지 도 3h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QoS 실행 프레임 몸체 및 프리미티브 파라미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래픽 스트림을 추가, 수정 및 소거하기 위한 실행 프레임 몸체(요구 및 응답 모두를 위함)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 실체들 또는 통신국들간의 트래픽 스트림의 생성, 수정 또는 소거에 있어서, QoS 실행 프리미티브 및 실행 프레임의 교환을 나타내는 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래픽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를 특정하는데 사용되는 트래픽 특정 요소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부를 트래픽 스트림에 결합시키는데 사용되는 트래픽 분류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국의 관리 또는 MAC 실체들간의 트래픽 스트림의 추가, 수정 및 소거시, QoS 실행 프리미티브 및 실행 프레임의 예시적인 순서를 나타내는 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스트림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0, 120 : 기본 서비스 세트(BSS),
130, 140 : 액세스점(AP),
150 : 분배 시스템(DS),
160 : 확장된 서비스 세트(ESS),
170, 180 : 무선국(STA),
205, 257, 910 : 하이브리드 조정기(HC),
207, 255, 920, 930 : 무선국(WSTA),
210 : 상위 계층 시그널링부,
212 : 국 관리 실체(SME),
214 : MAC 부분 계층 관리 실체(MLME),
216 : MAC 부분 계층,
218 : PHY 계층 관리 실체(PLME),
220 : 물리적(PHY) 계층,
222, 262 : 상위 계층 시그널링 메시지,
224, 264, 266 : 무선 통신 링크,
900 : QoS 기본 서비스 세트(QBSS),
925 : 음성 트래픽 스트림(음성 호출),
935 : 웹 브라우징 트래픽 스트림(웹 브라우징 세션).
일 양상에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 통신망의 제1 통신국에서 파라미터화된 QoS 기대로 트래픽 스트림 상에 QoS 실행을 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제1 통신국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부, 국 관리 실체(SME;station management entity), 매체 액세스 제어(MAC;medium access control) 부분 계층 관리 실체(MLME;MAC sublayer management entity), 물리적(PHY;physical) 계층 관리 실체(PLME;PHY layer management entity), MAC 부분 계층 및 PHY 계층을 포함하며, 이 방법은 QoS 실행 신호를 상위 계층 시그널링부로부터 제1 국의 SME로 송신하는 단계, 제1 국의 SME에서 제1 QoS 실행 프레임 몸체를 포함하는 제1 QoS 실행 프리미티브(action primitive)를 생성하는 단계, 제1 QoS 실행 프리미티브를 제1 국의 MLME로 출력하는 단계, 제1 QoS 실행 프레임을 제2 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제2 국으로부터 회신을 수신하는 단계, 제1 국의 MAC 부분 계층에서 제2 QoS 실행 프리미티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2 QoS 실행 프리미티브를 제1 국의 SME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수의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은, 개별 메시지의 요구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통신 파라미터의 특정을 허용한다. 따라서, 각각의 개별 메시지가 서로 다른 파라미터의 세트를 가짐으로써, 네트워크에 높은 정도의 유동성을 제공하여, 전체 요구에 기초하여 사용자 트래픽 전송에대한 제어가능성 및 서로 다른 QoS 기대를 충족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은, 트래픽 스트림에 대한 QoS 파라미터의 교환 및 중재를 허용하여, 네트워크가 다양한 성능 조건 및 트래픽 상태를 만족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은, QoS 파라미터의 초기의 할당 후, 할당된 QoS 파라미터가 통신 부재들의 요구 또는 기대를 만족시키지 않거나 또는 초과하면, QoS 파라미터의 재중재를 허용한다.
첨부 도면과 함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특징들이 명백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 및 사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양한 특정 내용에 포함될 수 있는 다수의 응용 가능한 독창적인 개념들을 제공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특정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구성 및 사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통신 매체의 공용은 오늘날 유용가능한 대부분의 네트워크 통신망(네트워크)에 필수적이다. 소수의 네트워크에서만, 다수의 사용자들(또는 국들)간에 전용 통신 매체를 허용하기에 충분한 자원이 있다. 대부분의 목적상, 다수의 사용자들간에 접속을 전용으로 하는 것은 대역폭 자원의 비효율적인 사용이다. 한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 다른 사용자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사용자들간의 통신 매체의 공용은 통신 매체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한다. 또한, 정보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해 소량의 통신 매체가 필요하기 때문에, 통신 매체의 공용은 더욱 저렴해진다. 또한, 무선, 즉 공중을 통한 네트워크에도 적용되어, 통신 매체가 공용되지 않을 때,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해 더 많은 "에어(air)", 즉, 스펙트럼이 전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다수의 국들간의 통신 매체의 공용은, 어떤 상황에서는, 하나 이상의 국이 통신 매체에 동시에 액세스하려고 하거나, 또는, 통신 매체가 이미 사용중일 때 한 국이 액세스하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경쟁이라 하며, 이러한 경쟁은 충돌 및 대기를 일으킨다. 한 국만이 통신 매체에 소정의 시간에 액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송신할 데이터를 가지는 다른 국은, 제1 국이 송신을 종료하거나 할당된 시간이 만료될 때까지 대기하여야 한다. 그러나, 국들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채널 이외에 송신 시간을 조화시켜 송신할 수 있는 다른 채널들을 가지기 못하기 때문에, 국들은 동시에 송신하여 어떠한 데이터도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다. 이러한 충돌은 채널 대역폭을 낭비하고, 트래픽 전송을 지연시킨다.
긴 지연은 긴 대기 시간으로 통신하게 한다. 긴 네트워크 대기 시간을 허용할 수 없는 다수의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있다. 이러한 예로는, 음성 전화 애플리케이션, 원격 화상 회의, 모니터링, 및 기타 실시간 양방향 상호형 애플리케이션이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적은 최대 네트워크 대시 시간, 최소 데이터 전송 속도 및 다른 QoS 기대를 필요로 한다.
QoS 기대는 질적 또는 양적인 방법으로 만족될 수 있다. 질적인 방법으로는, 네트워크의 사용자 트래픽은 트래픽 카테고리 내로 우선 순위가 설정되고, 상대적인 QoS 우선 순위에 따라 송신된다. 적은 대기 시간 필요조건을 가지는 사용자 트래픽은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되어, 덜 엄격한 대기 시간 필요조건을 가지는 사용자 트래픽 전에 서비스 제공되는 것을 확신시켜, 더 높은 우선 순위 트래픽이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만큼 대기할 것이 요구된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트래픽은 확장된 시간만큼 대기할 것이 요구되지만, 확장된 대기 시간에 민감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에 낮은 우선 순위가 부여된다. 데이터 및 파일 전송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낮은 우선 순위가 부여되지만, 음성 및 화상 전송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는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되다. 양적인 방법으로는, 네트워크의 사용자 트래픽은 트래픽 스트림 내로 파라미터화되고, 대응하는 트래픽 특정에서 정해진 소정의 QoS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된다. 이러한 QoS 파라미터는, 통신국들간의 트래픽 스트림의 데이터 전송에 필요로 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 지연 한계, 지터 한계 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화상과 같은 애플리케이션보다 낮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지지만 더 큰 지연 한계 파라미터 값을 가질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통신망, 특히, IEEE 802.11e 기술 표준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에 초점을 두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파라미터화된 QoS 기대를 위한 고유의 지원을 가지지 못하는, 유선 및 무선을 모두 포함하는 다른 네트워크 통신망에 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예로는, 이더넷, 하이퍼랜, 블루투스(Bluetooth), 홈RF(HomeRF) 등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참조로 인용된, IEEE 802.11-1999 기술 표준, "ANSI/IEEE Std 802.11, 1999년판; 정보 기술 - 시스템들간의 원격 통신 및 정보교환 - 근거리 및 대도시 지역 통신망 - 소정의 요구 조건 - 11부: 무선 LAN 매체 액세스 제어(MAC) 및 물리적 계층(PHY) 특정"에 따른 통상의 무선 근거리 통신망 설치의 도(종래 기술)이다. 또한, IEEE 802.11 기술 표준에 대한 보충안, "시스템들간의 원격 통신 및 정보 교환을 위한 표준에 대한 보충안 - 11부 - 무선 매체 접속 제어(MAC) 및 물리적 계층(PHY) 특정: 서비스 품질(QoS)에 대한 매체 접속 제어(MAC) 향상, IEEE 802.11e/D2.0a, 2001년 11월"이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도 1은 IEEE 802.11 네트워크의 기본 구성 블록의 설명을 제공한다.
도 1은 제1 기본 서비스 세트(BSS;basic service set)(110) 및 제2 BSS(120)를 나타낸다. BSS는 IEEE 802.11 네트워크의 기본 구성 블록이고, 회원 국들이 직접 통신에 참여할 수 있는 담당 구역으로서 여겨질 수 있다. BSS는 액세스점(AP; access point)에 의해 개시되고, 형성되고, 유지된다. BSS(110)는 AP(130)에 대응하고, BSS(120)는 AP(140)에 대응한다. AP는 분배 시스템(DS;distribution system)(150)에 접속된 국이다. DS는 다수의 BSSs가 상호 접속하여 확장된 서비스 세트(ESS;extended service set)(160)를 형성하게 한다. DS에 사용되는 매체는 BSSs에 사용되는 매체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BSSs에 사용되는 매체는 무선 주파수(RF)인 반면, DS는 광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BSS(110)의 내부에는, AP(130) 및 무선국(STA)(170)이 있는 반면, BSS(120)의 내부에는, AP(140) 및 STA(180)가 있다. BSS는 2개 이상의 국을 포함할 수 있지만(예를 들어, 오늘날에는 통상, 한 BSS 당 최대 약 20개의 국을 포함함), 하나의 AP를 가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BSS(110)는 AP(130)를 통해 DS(150)에 접속되고,제2 AP(140)는 BSS(120)를 DS(150)에 접속시킨다. AP는 무선국을 포함하고, 다른 무선국과 같이 어드레싱될 수 있다.
BSS 내의 국들, 예를 들어, BSS(110) 내의 국들(130 및 170)은 다른 BBSs 내의 국들과 간섭하지 않고 서로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BSS 내의 국들은 원할 때마다 통신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충돌을 최소화하고 성능을 최대화하도록 설계되어 확립된 규칙의 세트를 따라야 한다.
사용자는 국을 사용하여 다른 국들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다른 사용자들과 통신하는 국 또는 실체로서 여겨질 수 있다. 따라서, 나머지 설명에서, 국 및 사용자란 용어는 정보의 손실없이 상호 교환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IEEE 802.11 무선 LAN에서, 데이터, 관리 및 제어 트래픽은 소위 "부(unit)"로 전송될 수 있다. 2개의 국들간에 전송되는 데이터 및 제어 트래픽은 MAC 프로토콜 데이터부(MPDU;MAC protocol data units)라고 하며, 2개의 국들간에 전송되는 관리 트래픽은 MAC 관리 프로토콜 데이터부(MMPDU;MAC management protocol data units)라 한다. 하나의 MAC 프레임 내에 설치하기에 너무 크다면 조각으로 분해될 수 있어, 다수의 MAC 프레임 내에 분해될 수 있다.
타이밍은 IEEE 802.11 무선 LAN의 중요한 요소이다. 한 시간 범위는 일부 형태의 통신을 방지하거나 허용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시간 범위는 통신의 개시 및 종료에 사용된다. 가장 일반적인 시간 범위는 SIFS, PIFS 및 DIFS이다. SIFS는 짧은 프레임간 간격이고, LAN에서 가장 작은 시간 범위이다. PIFS는 포인트 조화 기능(PCF;point coordinating function) 프레임간 간격이다. 한 PIFS는 한 슬롯 시간을 더한 한 SIFS와 동일하다. DIFS는 분배된 조화 기능(DCF;distributed coordinating function) 프레임간 간격이다. 한 DIFS는 한 슬롯 시간을 더한 한 PIFS와 동일하다. 슬롯 시간은, BSS 내의 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시그널링 지연 및 전파 지연에 기인하여, 국이 한 프레임을 감지하는 시간의 최대량이다.
메시지를 서로 다른 우선 순위를 각각 가지는 서로 다른 트래픽 카테고리로 분리함으로써, QoS 기대를 만족시키기 위해 우선적인 처리를 요하는 트래픽 카테고리에 우선적인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트래픽 카테고리에 의해 제공되는 고정 우선 순위가 QoS 기대를 만족시키기에 충분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동일 트래픽 카테고리 내에 다수의 메시지가 있어, 한 메시지가 다른 메시지보다 더 큰 대역폭을 요하거나 더 작은 지연 한계를 필요로 하는 등의 경우가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개별 메시지에 대한 QoS 파라미터의 특정을 허용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이러한 경우의 예로는, 제1 접속이 2명의 사용자들간의 음성만의 대화이고, 제2 접속이 2명의 사용자들간의 화상 회의인 2개의 접속이 네트워크 내에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이다. 2개의 접속 모두 작은 대기 시간을 필요로 하지만, 음성 접속은 비교적 작은 대역폭을 필요로 하지만, 화상 회의는 상당히 큰 대역폭을 필요로 한다는 점은 명백하다.
또한, 네트워크 상태가 변화하거나 QoS 기대가 변화할 때 트래픽 카테고리의 정적 특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적게 로딩된 네트워크에서, 부적당하게 우선 순위가 설정된 통신 링크는 QoS 기대를 만족시킬 수 있지만, 네트워크는 많이 로딩되어야 하고, 동일한 우선 순위는 요구되는 성능을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QoS 파라미터의 값에 적응하게 하는 QoS 기대를 할당하는 동적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파라미터화된 QoS를 제공하는 경우, 트래픽 카테고리는 부적당하다. 트래픽 카테고리는 우선 순위 설정된 QoS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는 MAC 서비스 데이터부(MSDU;MAC service data unit)의 그룹으로서 여겨질 수 있으며, 우선 순위는 자신의 트래픽 카테고리 식별자(TCID;traffic category identifier)에 의해 소정의 우선 순위 매핑을 통해 지시된다. 한편, 새롭게 구축된 트래픽 스트림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메커니즘에 의해 제공되는 QoS 파라미터화되는 MSDUs의 단방향 또는 양방향 스트림을 허용한다. 파라미터화된 QoS는 트래픽 스트림 식별자(TSID;traffic stream identifier)에 의해 지시되고, QoS 관리 실행을 통해 트래픽 스트림으로 할당된다.
트래픽 스트림은 국 관리 실체(SME)에 의해 출력되는 QoS 실행 프리미티브 및 이 QoS 실행 프리미티브에 포함된 QoS 실행 프레임을 사용하여 추가, 수정 및 소거된다. QoS 실행 프리미티브는 트래픽 스트림의 송신국(source station) 또는 수신국(destination station)에 의해 출력된다. 또한, QoS 실행 프리미티브는 트래픽 스트림의 송신국 및 수신국으로 기능하는 하이브리드 조정기(HC;hybrid coordinator)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SME는 계층 독립 실체로서 여겨질 수 있고, QoS 시그널링이 가능한 상위 계층 실체, 및 MAC 부분 계층 관리 실체(MLME) 및 PHY 계층 관리 실체(PLME)와 같은 다른 계층 관리 실체로부터 계층 독립 상태를 수집하고, 계층 특정 파라미터의 값을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SME는 통상의 관리 실체를 대신하여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고, 표준 관리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MLME 및 PLME는 MAC 및 PHY에 대해 계층 독립 관리 서비스 및 기능을 각각 제공한다.
트래픽 스트림은 파라미터화된 QoS로 통신국들간의 MSDUs의 단방향 또는 양방향 전송을 허용한다. 양방향 트래픽 스트림은, 송신국 및 수신국을 반대 방향으로 가지지만 동일한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값을 가지는 2개의 단방향 트래픽 스트림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국들은 무선국(WSTA) 및 HC, 2개의 WSTAs, 또는 WSTA 또는 HC 및 멀티캐스트 또는 국들의 방송 그룹일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2개의 통신국들간의 트래픽 스트림의 생성, 수정 또는 소거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HC인 통신국(205)이, 이 예에서 WSTA인 제2 국(207)으로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2개의 국들은 기능적인 부로 나뉘어 표시된다. 그러나, 통상, 트래픽 스트림을 추가, 수정 및 소거하는 시그널링을 개시하는 통신국은 HC 또는 WSTA일 수 있다. HC 및 WSTA 모두를 의미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QoS 국(QSTA)이다. HC(205)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부(210), SME(212), MLME(214), MAC 부분 계층(216), PLME(218) 및 PHY 계층(220)을 포함한다.
MAC 부분 계층 위에 놓여 있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부(210)는 새로운 트래픽 스트림의 도착, 기존의 트래픽 스트림의 수정, 또는 기존의 트래픽 스트림의 소거의 신호를 나타낸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부(210)는, 예를 들어, 시그널링 메커니즘(원격 제어기 상의 버튼 또는 전화 수신기 오프훅을 리프팅하는 것과 같음) 또는시그널링 프로토콜(종래의 전화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팁 및 링 시그널링과 같음)일 수 있다.
IEEE 802.11-1999 기술 규격에 따르면, 데이터의 실제 전송은 특별히 할당된 우선 순위 및/또는 QoS 기대의 인식없이 발생한다. 그러나, QoS 기대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HC의 MAC 실체는, QoS 기대에 따라 트래픽 스트림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적당한 시간에 적당한 채널 대역폭을 할당하도록, 그 HC를 포함하는 BSS 내에 존재하는 트래픽 스트림의 QoS 기대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트래픽 스트림의 송신국의 MAC 실체는, 동일 국 내에서 송신되는 서로 다른 트래픽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가 QoS 기대와 일치하는 적당한 채널 대역폭을 사용하여 적당한 순서로 송신되도록, QoS 기대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 트래픽 카테고리의 고정 우선 순위로, 우선 순위는, 전송되는 각 데이터부에 부착된 트래픽 카테고리 식별자(TCID)에 의해 직접 지시될 수 있다. 그러나, 트래픽 스트림의 파라미터화된 QoS 기대는 트래픽 카테고리의 정적 우선 순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각종 트래픽 스트림의 QoS 파라미터의 지시를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파라미터화된 QoS 기대는 트래픽 스트림에 기초하여 포함된 국(HC를 포함함)의 MAC 실체로 통신될 필요가 있다.
통신국들간의 트래픽 스트림의 생성, 수정 또는 소거를 위한 시그널링 명령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부(210)로부터 SME(212)로 송신되고, SME(212)는 이 트래픽 스트림에 대해 소정의 QoS 파라미터를 QoS 실행 프리미티브를 통해 MLME(214)로 제공한다. SME(212)는, 트래픽 스트림에 대한 QoS 시그널링을 개시하는 상위 계층, 및 MLME 및 PLME와 같은 하위 계층 모두와 교신하면서, 통신국에 대한 교차 계층관리를 수행한다. MLME(214) 및 PLME(218)는 MAC 부분 계층(216) 및 PHY 계층(220)을 대신하여 SME와 상호 작용하면서 MAC 부분 계층(216) 및 PHY 계층(220)에 대한 관리 실행을 제공한다. 송신되고 수신되는 실제의 MSDUs는 MAC 부분 계층(216) 및 PHY 계층(220)을 통해 송신된다.
MAC 부분 계층(216)에 투명성인 QoS 파라미터의 세트를 가지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메시지(222)는 HC(205)로부터 WSTA(207)로 단계적인 순서로 통신된다. HC(205)에서, SME(212)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부(210)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 QoS 실행 프리미티브를 MLME(214)로 출력한다. QoS 실행 프리미티브는 다른 정보와 함께 각종 QoS 파라미터를 특정하는 QoS 실행 프레임 몸체를 포함한다. MAC(216)은 QoS 실행 프리미티브로부터 QoS 실행 프레임 몸체를 추출하고, PHY(220)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 링크(224)를 통해 QoS 실행 프레임을 WSTA(207)로 송신한다. 유사하지만 반대인 일련의 동작이 WSTA(207)에서 행해져서, QoS 실행 프레임 몸체로부터 QoS 기대를 추출한다. 상술한 설명은 시그널링이 HC로부터 개시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또한, 상위 계층 시그널링 메시지는 WSTA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부로부터 직접 WSTA의 SME로 전달되고, HC로 통신된다. 이 경우, 시그널링은 WSTA로부터 개시된다.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모두 WSTAs인 2개의 통신국들간의 트래픽 스트림의 생성, 수정 및 소거를 나타낸다. HC가 채널 대역폭의 할당 및 관리를 담당하기 때문에, 트래픽 스트림은 HC(257)에 의해 확립되어야 한다. 따라서, 한 WSTA로부터 다른 WSTA로 송신되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메시지(262)는 2개의 단계로 실제로 수행된다. 제1 단계는 QoS 실행 프레임을 무선 통신 링크(264)를 통해 HC(257)로 송신하는 단계이고, 제2 단계는 QoS 실행 프레임을 무선 통신 링크(266)를 통해 제2 WSTA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QoS 실행 프레임이 송신되고 HC(257)가 송신 시간(즉, 채널 대역폭)을 할당하였다면, WSTAs는 HC(257)로 송신할 필요없이 직접 통신할 수 있다.
QoS 실행 프리미티브는 트래픽 스트림의 추가, 수정 및 소거를 지원하기 위해 생성되는 메커니즘이다. 이 QoS 실행 프리미티브는 SME에서 생성되어 통신국의 MLME로 출력되거나, 또는 MLME에서 생성되어 통신국의 SME로 출력된다. QoS 실행 프리미티브는 다른 정보와 함께 QoS 실행 프레임 몸체를 포함하고, 포함된 국(HC를 포함함)의 MAC 실체들간에 교환되는 QoS 파라미터값을 포함한다. QoS 실행 프리미티브는 2종류, 즉, 기존의 트래픽 스트림의 수정하는 제2 용도를 가지는 추가 트래픽 스트림 실행, 및 소거 트래픽 스트림 실행이 있다. 각 QoS 실행 프리미티브는 4개의 서로 다른 형, 즉, 요구, 확인, 지시 및 응답을 가지지만, QoS 실행 프레임은 요구 또는 응답일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h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QoS 실행 프리미티브 및 결합 형태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각 QoS 실행 프리미티브는 파라미터의 일부로서 대응하는 QoS 실행 프레임의 QoS 실행 프레임 몸체를 포함한다. QoS 실행 프레임 몸체는 트래픽 스트림의 실제의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를 정의한다. 각종 QoS 실행 프리미티브의 생성, 사용 및 효과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래픽 스트림의 추가(또는 수정) 요구, 즉, MLME-ADDTS.request(300)에 사용되는 QoS 실행 프리미티브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 QoS 실행 프리미티브는 트래픽 스트림의 추가(또는 수정)를 요구한다. 다이얼로그 토큰 필드(302)는 QoS 실행 프리미티브 및 실행 프레임의 고유 번호, 즉, 트래픽 스트림 추가 실행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고유의 프리미티브 및 프레임 트랜잭션(transaction) 번호를 특정한다. 트래픽 특정 필드(304)는 통신국의 송신측 및 수신측 어드레스, TAID(traffic stream identifier and association identifier: 트래픽 스트림 식별자 및 관련 식별자), 및 트래픽 스트림의 원하는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를 특정한다. 트래픽 분류 필드(306)는 탐색 순서, 분류자 형, 및 트래픽 스트림으로 입력되는 MSDUs를 분류하는데 사용되는 분류자를 특정한다. 트래픽 분류자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QoS 실행 프리미티브에 포함된 TAID가 기존의 트래픽 스트림의 TAID에 대응하면, MLME-ADDTS.REQUEST(300)는 기존의 트래픽 스트림을 수정한다. MLME-ADDTS.REQUEST(300)는 트래픽 스트림의 송신국 또는 수신국의 SME에서, 또는 HC의 SME에서 생성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래픽 스트림의 추가 요구의 결과 확인, 즉, MLME-ADDTS.CONFIRM(310)에 사용되는 QoS 실행 프리미티브의 구조를 나타낸다. 결과 코드 필드(312)는 다이얼로그 토큰 필드(313)로 특정된 MLME-ADDTS.REQUEST의 결과를 기록하며, 가능한 결과 코드는, 예를 들어, 성공, 무효 파라미터 및 종료이다. MLME-ADDTS.REQUEST 실행 프리미티브가 HC에 의해 출력되었다면, 트래픽 특정 필드(316)에 특정된 트래픽 특정은 MLME-ADDTS.REQUEST에 특정된 트래픽 특정과 동일하지만, MLME-ADDTS.REQUEST 실행 프리미티브가 WSTA에 의해 출력되었다면, 트래픽 특정 필드(316)에 특정된 트래픽 특정은 MLME-ADDTS.REQUEST에 특정된 트래픽 특정과 다를 수 있다. 트래픽 특정을 변경하는 이유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구조의 나머지 필드는, 다이얼로그 토큰 필드(314), 트래픽 특정 필드(316) 및 트래픽 분류 필드(318)이며,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MLME-ADDTS.CONFIRM(310)는, SME가 대응하는 MLME-ADDTS.REQUEST를 출력하는 국의 MLME에 의해 생성된다.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된 피어(peer) MAC 실체에 의한 트래픽 스트림의 추가(또는 수정)의 개시 지시, 즉, MLME-ADDTS.INDICATION(320)에 사용되는 QoS 실행 프리미티브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 QoS 실행 프리미티브는, ADD TS 요구 실행 프레임의 형태로 국의 MAC 실체에서 트래픽 스트림의 추가(또는 수정)의 개시를 수신한 결과로서, 동일 국의 MLME에 의해 생성된다. 이 QoS 실행 프리미티브의 필드는 MLME-ADDTS.REQUEST 실행 프리미티브의 필드와 동일하다. 이 구조의 필드는, 다이얼로그 토큰 필드(322), 트래픽 특정 필드(324) 및 트래픽 분류 필드(326)를 포함하며, 상술한 바와 같다.
도 3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WSTA MAC 실체에 의한 트래픽 스트림 추가(또는 수정)의 개시에 대한 응답, 즉, MLME-ADDTS.RESPONSE(330)에 사용되는 QoS 실행 프리미티브의 구조를 나타낸다. 결과 코드 필드(332)는 다이얼로그 토큰 필드(334)로 특정된 MLME-ADDTS.INDICATION의결과를 기록하며, 가능한 결과 코드는, 예를 들어, 성공, 무효 파라미터 및 종료이다. 이 QoS 실행 프리미티브는 MLME-ADDTS.INDICATION의 결과로서 HC의 SME에 의해 생성되고, WSTA의 MAC 실체에 의해 특정되는 트래픽 스트림의 추가(또는 수정)를 승인하거나 변경한다. 이 구조의 나머지 필드는, 다이얼로그 토큰 필드(334), 트래픽 특정 필드(336) 및 트래픽 분류 필드(338)이며, 상술한 바와 같다. MLME-ADDTS.INDICATION이 HC에서 생성되면, ADD TS 응답 실행 프레임은 HC로부터 대응하는 MLME-ADDTS.REQUEST를 개시한 트래픽 스트림의 통신국으로 송신된다.
도 3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피어 MLME 실체 또는 실체들에 의한 트래픽 스트림의 소거 요구, 즉, MLME-DELTS.REQUEST(340)에 사용되는 QoS 실행 프리미티브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 QoS 실행 프리미티브는 소거 실행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고유의 실행 프리미티브 및 프레임 트랜잭션 번호를 특정하는 다이얼로그 토큰 필드(342)로 트래픽 스트림 소거 과정을 개시한다. 트래픽 특정 필드(344)는 소거될 트래픽 스트림을 정의한다. MLME-DELTS.REQUEST(340)는 트래픽 스트림의 송신국 또는 수신국의 SME에서, 또는 HC의 SME에서 생성될 수 있다.
도 3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래픽 스트림 소거 시도의 결과 확인, 즉, MLME-DELTS.CONFIRM(350)에 사용되는 QoS 실행 프리미티브의 구조를 나타낸다. 결과 코드 필드(352)는 다이얼로그 토큰 필드(354)로 특정된 MLME-DELTS.REQUEST의 결과를 기록하며, 가능한 결과 코드는, 예를 들어, 성공, 무효 파라미터 및 종료이다. 이 QoS 실행 프리미티브는 MLME-DELTS.REQUEST 실행 프리미티브의 결과로서 MLME에 의해 생성된다. 이 구조의 나머지 필드는, 다이얼로그 토큰 필드(354), 트래픽 특정 필드(356)이며, 상술한 바와 같다. MLME-ADDTS.CONFIRM(350)는, SME가 대응하는 MLME-ADDTS.REQUEST를 출력하는 국의 MLME에 의해 생성된다.
도 3g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피어 MAC 실체에 의한 트래픽 스트림을 소거하는 QoS 실행 프리미티브의 개시 지시, MLME-DELTS.INDICATION(360)에 사용되는 QoS 실행 프리미티브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 QoS 실행 프리미티브는, DEL TS 실행 프레임의 형태로 국의 MAC 실체에서 트래픽 스트림을 소거하는 개시를 수신한 결과로서, 동일 국의 MLME에 의해 생성된다. 이 구조의 나머지 필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얼로그 토큰(362) 및 트래픽 특정(364)이다.
도 3h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WSTA MAC 실체에 의한 트래픽 스트림 소거의 개시에 대한 응답, 즉, MLME-DELTS.RESPONSE(370)에 사용되는 QoS 실행 프리미티브의 구조를 나타낸다. 결과 코드 필드(372)는 다이얼로그 토큰 필드(374)로 특정된 MLME-DELTS.INDICATION의 결과를 기록하며, 가능한 결과 코드는, 예를 들어, 성공, 무효 파라미터 및 종료이다. 이 QoS 실행 프리미티브는, HC 또는 통신국에 위치하지 않은 피어 MAC 실체 또는 실체들로 트래픽 스트림의 소거를 개시하는 MLME-DELTS.INDICATION의 결과로서, HC의 MLME에 의해 생성된다. 이 구조의 나머지 필드는, 다이얼로그 토큰 필드(374) 및 트래픽 특정 필드(376)이며, 상술한 바와 같다. DEL TS 실행 프레임은 HC로부터 상술한 피어 MAC 실체 또는 실체들로 송신된다.
QoS 실행 프레임 몸체는, 통신국 또는 HC의 SME 및 MLME 내에서 각각, QoS 실행 프리미티브 내에 실제로 운반되고, QoS 실행 프리미티브로부터 추출되거나 QoS 실행 프리미티브로 삽입된다. QoS 실행 프레임은, 통신국들 또는 HC간에 통신국들 또는 HC의 PHY 계층을 통해 또한 공중을 통해 다른 정보와 함께 QoS 기대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QoS 실행 프레임 몸체는 QoS 실행 프리미티브를 출력하는 통신국의 MAC 부분 계층의 QoS 실행 프리미티브로부터 추출되고 MAC 실체 또는 실체들로의 송신을 위해 QoS 실행 프레임으로 삽입되며, QoS 실행 프레임 몸체는 QoS 실행 프레임을 수신하는 통신국의 MAC 부분 계층의 QoS 실행 프레임으로부터 추출되고 로컬 SME로 송신하기 위해 QoS 실행 프리미티브로 삽입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래픽 스트림의 추가, 수정 및 소거를 위해 요구 및 응답 실행 프레임의 프레임 몸체 구조를 나타낸다.
도 4a는 카테고리 코드 필드(402), 실행 코드 필드(404), 활성화 지연 필드(406), 다이얼로그 토큰 필드(408) 및 실행 특정 필드(410)를 포함하는 요구 실행 프레임 몸체(400)를 나타낸다. 카테고리 코드 필드(402)는 특정의 기능을 위한 실행의 그룹을 특정하고, 실행 코드 필드(404)는 소정의 그룹의 특정 관리 실행을 특정한다.
도 4b는 카테고리 코드 필드(422), 실행 코드 필드(424), 실행 특정 상태 필드(426), 다이얼로그 토큰 필드(428) 및 실행 특정 필드(430)를 포함하는 응답 실행 프레임 몸체(420)를 나타낸다. 실행 특정 상태 필드는 대응하는 실행 요구의 종료 상태를 나타낸다.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QoS 카테고리에 대한 각종 실행 코드를 나타내는 표이다. 이 표에 나타낸 실행 코드는 도 4a 및 도 4b에 각각 나타낸 실행 프레임 몸체(400 및 420)의 QoS 관리 카테고리의 실행 코드 필드(404 및 424)의 가능한 내용을 나타낸다. 실행 코드 0(ADD TS 요구) 및 2(DEL TS)는 실행 요구 프레임(도 4a 참조)에서만 사용가능한 반면, 실행 코드 1(ADD TS 응답)은 실행 응답 프레임(도 4b 참조)에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우수값의 실행 코드만이 요구 실행 프레임에서 허용되고, 기수값의 실행 코드는 응답 실행 프레임에서 허용된다.
도 4d 및 도 4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래픽 스트림의 추가(또는 수정) 및 소거를 위한 소정의 실행 프레임 몸체를 나타낸다.
도 4d는 ADD TS 실행 프레임 몸체를 나타낸다. 이 ADD TS 실행 프레임 몸체는, 2개의 부분 필드, 즉, TSpec 요소(element) 부분 필드 및 TClas 요소 부분 필드로 나뉘어지는 실행 특정 고정 필드 및/또는 요소 필드(410)를 예외로 가지고, 상술한 바와 같은 소정의 필드를 포함한다. TSpec 및 TClas 요소 부분 필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4e는 상술한 바와 같은 소정의 필드를 포함하는 DEL TS 실행 프레임 몸체를 나타낸다. DEL TS 실행 프레임에서, 실행 특정 고정 필드 및/또는 요소 필드(410)는 TSpec 요소 필드가 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QoS 실행이 HC(205)에 의해 개시되고 WSTA(207)로 통신될 때, 통신국 및 HC를 통해 QoS 실행 프리미티브 및 실행 프레임에 의해 취해지는 경로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QoS 실행 프리미티브는 소정의 트래픽 스트림의 각종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를 특정하는 QoS 실행 프레임 몸체를 포함한다. 통상의 IEEE 802.11 통신 트래픽은, 소정의 MSDUs로의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의 결합을 위해, 트래픽 스트림의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가 MAC으로 통신되고 통신국 및 HC의 관리 실체가 요구되는 동작을 제공하지 못한다.
QoS 시그널링은 HC(205)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부(210)에서 개시된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부(210)는 트래픽 스트림의 생성, 수정 또는 소거를 위한 QoS 실행 신호를 출력하고, 트래픽 스트림의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를 SME(212)로 제공하고, QoS 실행 프리미티브, 즉, MLME-ADDTS.REQUEST(트래픽 스트림을 추가 또는 수정하는 경우)(510)(또는 MLME-DELTS.REQUEST(트래픽 스트림을 소거하는 경우))를 생성한다. MLME-ADDTS.REQUEST(510)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부(210)에 의해 제공되는 트래픽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를 특정하는 QoS 실행 프레임 몸체를 포함한다. MLME-ADDTS.REQUEST(510)는 MLME(214)로 출력되고, MLME(214)는 MLME-ADDTS.REQUEST(510)를 MAC 부분 계층(216)으로 중계한다. MAC 부분 계층(216)은 QoS 실행 프리미티브로부터 QoS 실행 프레임 몸체를 추출하고, ADD TS 요구 실행 프레임(512)을 생성하고, 이 ADD TS 요구 실행 프레임을 PHY 계층(220)으로 전달한다. PHY 계층(220)은 ADD TS 요구 실행 프레임(512)을WSTA(207)로 송신한다.
WSTA(207)의 PHY 계층은 ADD TS 요구 실행 프레임(512)을 수신하고, 이 ADD TS 요구 실행 프레임을 MAC 부분 계층으로 전달하며, 이 MAC 부분 계층은 회신 프레임(ACK 프레임)(514)을 자동적으로 생성한다. ACK 프레임(514)은 ADD TS 요구 실행 프레임(512)의 수신에만 응답하는 것이고, ADD TS 요구 실행 프레임(512)의 내용의 회신이 아니다. ACK 프레임(512)을 수신하면, HC(205)는 MLME-ADDTS.CONFIRM 프리미티브(518)를 MLME로부터 SME로 출력하고, SME에 의해 출력된 이전의 MLME-ADDTS.REQUEST(510)의 처리 상태를 기록한다. WSTA(207)에서, MAC 부분 계층은 수신된 ADD TS 요구 실행 프레임을 MLME로 중계하고, MLME는 ADD TS 요구 실행 프레임(512)으로부터 QoS 실행 프리미티브, 즉, MLME-ADDTS.INDICATION(516)을 생성하고, 이 QoS 실행 프리미티브를 SME로 출력한다. WSTA(207)의 SME는 QoS 실행 프리미티브의 내용을 처리하여, HC(205)와 WSTA(207)간의 트래픽 스트림을 생성한다. QoS 실행 프리미티브 및 프레임의 트래픽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스트림 식별자(TSID)를 사용하여, 기존의 트래픽 스트림을 수정하기 위해 동일한 경로가 취해진다. 기존의 트래픽 스트림을 소거하기 위해 유사한 경로가 취해진다.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QoS 실행이 무선국에 의해 개시될 때, 통신국들 및 HC를 통해 QoS 실행 프리미티브 및 실행 프레임에 의해 취해지는 경로를 나타낸다. QoS 시그널링은 WSTA(207)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부에 의해 개시된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부는 트래픽 스트림의 생성, 수정 또는 소거를위해 QoS 실행 신호를 출력하고, 트래픽 스트림의 스트림 특성 및 QoS 파라미터를 SME로 출력하고, QoS 실행 프리미티브, 즉, MLME-ADDTS.REQUEST(트래픽 스트림의 추가 또는 수정의 경우)(560)(또는 MLME-DELTS.REQUEST(트래픽 스트림의 소거의 경우))를 생성한다. MLME-ADDTS.REQUEST(560)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부에 의해 제공되는 트래픽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를 특정하는 QoS 실행 프레임 몸체를 포함한다. MLME-ADDTS.REQUEST(560)는 MLME로 출력되고, MLME는 MLME-ADDTS.REQUEST(560)를 WSTA(207)의 MAC 부분 계층으로 중계한다. MAC 부분 계층은 QoS 실행 프리미티브로부터 QoS 실행 프레임 몸체를 추출하고, ADD TS 요구 실행 프레임(562)을 생성하고, 이 ADD TS 요구 실행 프레임을 PHY 계층으로 전달한다. PHY 계층은 ADD TS 요구 실행 프레임(562)을 HC(205)로 송신한다.
HC(205)의 PHY 계층은 ADD TS 요구 실행 프레임(562)을 수신하고, 이 ADD TS 요구 실행 프레임을 MAC 부분 계층으로 전달하며, MAC 부분 계층은 ACK 프레임(564)을 자동적으로 생성한다. ACK 프레임(564)은 ADD TS 요구 실행 프레임(562)의 수신에만 응답하는 것이고, ADD TS 요구 실행 프레임(562)의 내용의 회신이 아니다. HC(205)에서, MAC 부분 계층은 수신된 ADD TS 요구 실행 프레임(562)을 MLME로 중계하고, MLME는 ADD TS 요구 실행 프레임(562)으로부터 QoS 실행 프리미티브, 즉, MLME-ADDTS.INDICATION(566)을 생성하고, 이 QoS 실행 프리미티브를 SME로 출력한다. HC(205)의 SME는 QoS 실행 프리미티브의 내용을 처리하고, 다른 QoS 실행 프리미티브, 즉, MLME-ADDTS.RESPONSE(568)를 생성한다. MLME-ADDTS.RESPONSE(568)의 목적은 WSTA(207)로의 응답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응답은 HC(205)가 트래픽 스트림에 대해 수용할 수 있는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의 세트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WSTA(207)는 HC(205)가 만족할 수 있는 충분한 채널 대역폭을 가지지 못하는 QoS 파라미터의 세트를 요구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WSTA(207)는 HC(205)가 한 트래픽 스트림에 할당할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대역폭을 요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응답 실행 프리미티브는 HC(205)가 트래픽 스트림에 대해 수용하는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의 세트를 제공한다.
MLME-ADDTS.RESPONSE(568) 프리미티브는 MLME로 출력되어 HC(205)의 MAC 부분 계층으로 중계되고, MAC 부분 계층은 QoS 실행 프레임 몸체를 추출하고, ADD TS 응답 실행 프레임(570)을 생성하고, 이 ADD TS 응답 실행 프레임을 PHY 계층(220)으로 전달한다. HC(205)의 PHY 계층(220)은 ADD TS 응답 실행 프레임을 WSTA(207)의 PHY 계층으로 송신한다. HC(205)로부터 실행 프레임을 수신하면, WSTA(207)의 PHY 계층은 수신된 실행 프레임을 MAC 부분 계층으로 전달한다. MAC 부분 계층은, 수신된 실행 프레임에 응답하여, HC(205)로 반송되는 ACK 프레임(572)을 생성한다. MAC 부분 계층은 ADD TS 응답 실행 프레임(570)을 MLME로 중계하며, MLME는 ADD TS 응답 실행 프레임(570)으로부터 QoS 실행 프리미티브, 즉, MLME-ADDTS.CONFIRM(574)를 생성한다. MLME-ADDTS.CONFIRM(574) 프리미티브는 WSTA(207)의 SME로 출력된다. WSTA(207)의 SME는 QoS 실행 프리미티브의 내용을 처리하고, WSTA(207)와 HC(205)간의 트래픽 스트림이 생성된다. HC(205)가 WSTA(207)에 의해 요구되는 임의의 QoS 파라미터를 수정한다면, WSTA(207)의 SME는 이 수정을 상위 계층 시그널링부로 제공한다. QoS 실행 프리미티브 및 프레임의트래픽 스트림에 대한 TSID를 사용하여 기존의 트래픽 스트림을 수정하기 위해 동일한 경로가 취해진다. 기존의 트래픽 스트림을 소거하기 위해 유사한 경로가 취해진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래픽 스트림의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를 특정하는데 사용하는 트래픽 특정(TSpec) 요소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a는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를 정의하는 트래픽 특정 요소의 형태를 나타낸다.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는 트래픽 특정 요소에 위치하여, 트래픽 스트림의 송신측 또는 수신측일 수 있는 하이브리드 조정기(HC) 및 WSTA의 MAC 부분 계층으로 통신된다.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에 더하여, 트래픽 특정 요소는 바람직한 크기를 가지는 다음과 같은 필드들, 즉, 트래픽 특정 요소를 식별하는 1옥텟부 ID 필드(601), 트래픽 특정 요소의 다음 필드들의 길이를 옥텟 단위로 나타내는 1옥텟 길이 필드(603), 트래픽 스트림의 6옥텟 송신측 어드레스 필드(605), 트래픽 스트림의 6옥텟 수신측 어드레스 필드(607), QoS 기본 서비스 세트(QBSS;QoS basic service set)의 내용에서 트래픽 스트림을 식별하기 위해 트래픽 스트림의 TSID와 무선 QoS 국의 관련 식별자(AID;association identifier)의 연쇄로서 형성된 2옥텟 TAID 필드(609), 및 트래픽 스트림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1옥텟 트래픽 스트림 정보(TS Info;traffic stream information) 필드(611)를 포함한다. 이 필드들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IEEE 802.11e/D2.0a 표준안에 기재되어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TS Info 필드(611)의 구조를 자세히 나타낸다. TS Info 필드(611)는 5개의 부분 필드로 나뉘어지는 8비트 필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1비트 트래픽 형 부분 필드(652)는 트래픽 스트림의 트래픽 패턴이 등시성(isochronous)인지 또는 비동시성(asynchronous)인지를 특정한다. 1비트 양방향 부분 필드(654)는 트래픽 스트림이 단방향인지 또는 양방향인지를 특정한다. 2비트 회신 정책(policy) 부분 필드(656)는 예상 회신 정책을 특정한다. 1비트 포워드 에러 교정(FEC;forward error correction) 부분 필드(658)는 트래픽 스트림에의 FEC 용법을 특정한다. 전달 우선 순위 부분 필드(660)는 우선 순위 설정이 필요로 할 때 트래픽 스트림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기 위한 상대적인 우선 순위를 특정한다.
도 6a를 다시 참조하면, 트래픽 특정 요소의 나머지는 트래픽 스트림의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는, 송신국이 프레임의 재전송을 개시하기 전에, 이전에 송신한 트래픽 스트림의 프레임에 대한 회신의 수신을 대기하는 만큼 경과할 수 있는 최대 시간(바람직하게는, 8 ㎳)을 특정하는 재시도 간격 필드(613), 트래픽 스트림이 HC에서 MAC에 의해 소거되기 전에, 트래픽 스트림에 속한 MSDU의 도착 또는 전송없이 경과할 수 있는 최대 시간(바람직하게는, 8 ㎳)을 특정하는 비활성 간격 필드(615), 및 트래픽 스트림의 데이터 전송을 스케쥴링하는 가이드로서 HC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트래픽 스트림에 속한 MSDUs의 공칭(nominal) 도착 간격을 특정하는 도착 간격 필드(617)를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트래픽 특정 요소에 포함된 추가적인 트래픽 특성 및 QoS 파라미터는, 트래픽 스트림에 속한 MSDUs의 공칭 크기를 특정하는 공칭 MSDU 크기 필드(619), 트래픽 스트림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최소 데이터 전송 속도(바람직하게는, 초당 수 킬로비트)를 특정하는 최소 데이터 전송 속도 필드(621), 트래픽 스트림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공칭 유지 데이터 전송 속도(바람직하게는, 초당 수 킬로비트)를 특정하는 평균 데이터 전송 속도 필드(623), 트래픽 스트림에 속한 MSDUs의 최대 데이터 버스트(바람직하게는, 8옥텟)를 특정하는 최대 버스트 크기 필드(625), 트래픽 스트림에 속한 MSDU의 전송에 허용되는 최대 시간(바람직하게는, 8 ㎳)을 특정하는 지연 한계 필드(627), 및 트래픽 스트림에 속한 MSDUs의 전송의 최대 허용 지연차를 특정하는 지터 한계 필드(629)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의 특정되지 않은 QoS 파라미터는 0으로 설정되고, 특정되지 않은 파라미터는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QoS 실행 프리미티브 및 실행 프레임은 트래픽 분류부(도 3a 내지 도 3h의 설명 참조)를 가진다. 트래픽 분류부는, 입력되는 MSDUs를 그 MSDUs가 속한 소정의 트래픽 스트림으로 식별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의 세트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분류(TClas)부(700)의 구조를 나타낸다. TClas부(700)는 탐색 우선 순위 필드(709), 분류자 형 필드(711) 및 프레임 분류자 필드(713)를 포함한다. 탐색 우선 순위 필드(709)는 QoS 국(QSTA;QoS station)의 MAC 서비스 액세스점(SAP;service access point) 위에위치한 분류 표(도시하지 않음)에 있는 다른 프레임 분류자에 상대적인 소정의 프레임 분류에 대한 탐색 순서를 특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분류자는, MSDU가 분류 표에 규명된 프레임 분류자 또는 프레임 분류자들의 세트와 일치할 때까지, 분류 표에 있는 탐색 우선 순위의 올라가는 정수값(부호 없음)의 순서로 사용된다.
분류자 형 필드(711)는 트래픽 분류의 프레임 분류자의 형을 특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능한 분류자 형 및 프레임 분류자 필드(713) 내용의 세트는 다음과 같다.
분류자 형 프레임 분류자 내용
0 트래픽 스트림 식별자(TSID)
1 TCP UDP 송신측 및 수신측 포트
2 IEEE 802.2 LLC DSAP 및 SSAP 어드레스
3 IEEE 802.1Q 태그 헤더, IEEE 802.1D 사용자 우선 순위, IEEE 802.1Q VLAN ID
4 IEEE 802.3 MAC 헤더 수신측 및 송신측 어드레스 및 형
기타 예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래픽 스트림의 추가, 수정 및 소거를 위해 통신국들(HC를 포함함)간에 송신되는 QoS 실행 프리미티브 및 실행 프레임의 예를 나타낸다.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HC와 WSTA간에 트래픽 스트림의 HC 개시된 추가(또는 수정)를 나타낸다. HC의 SME가 MLME-ADDTS.REQUEST 실행 프리미티브를 생성하고 이 MLME-ADDTS.REQUEST 실행 프리미티브를 HC의 MAC으로 출력함으로써(802), 추가가 시작한다. MAC은 MLME-ADDTS.REQUEST 실행 프리미티브로부터 포함된 ADD TS 요구 실행 프레임 몸체를 추출하고, 이 ADD TS 요구 실행 프레임 몸체를 WSTA의 MAC으로 송신한다(804). HC 및 WSTA의 MACs간의 송신은 HC의 PHY 계층, 공중을 통한 무선 송신, 및 WSTA의 PHY 계층을 통해 행해진다.
WSTA의 MAC은 ACK 프레임을 HC의 MAC으로 반송하여, ADD TS REQUEST 실행 프레임의 수신을 회신한다(806). WSTA로부터 ACK 프레임을 수신한 후, HC의 MAC은 MLME-ADDTS.CONFIRM 실행 프리미티브를 생성하고, 이 MLME-ADDTS.CONFIRM 실행 프리미티브를 HC의 SME로 출력한다(808). WSTA의 MAC은 MLME-ADDTS.INDICATION 실행 프리미티브를 생성하고, 이 MLME-ADDTS.INDICATION 실행 프리미티브를 WSTA의 SME로 출력한다(810).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기존의 트래픽 스트림의 비활성 개시된 소거를 나타낸다. HC의 MAC은, 소정의 트래픽 스트림이 그 트래픽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특정 요소에서 특정된 비활성 간격보다 긴 시간동안 사용되지 않았음을 통지하고, MLME-DELTS.INDICATION 실행 프리미티브를 HC의 SME로 출력한다(812). SME는 MLME-DELTS.INDICATION에 응답하여 MLME-DELTS.RESPONSE 실행 프리미티브를 생성하고, 이 MLME-DELTS.RESPONSE 실행 프리미티브를 HC의 MAC으로 출력한다(814). 또한, HC의 MAC은 DEL TS 실행 프레임을 생성하고, 이 DEL TS 실행 프레임을 트래픽 스트림과 관련된 WSTA의 MAC으로 송신한다(816). WSTA의 MAC은, DEL TS 실행 프레임의 수신에 응답하여 ACK 프레임을 HC로 반송한다(818). 마지막으로, WSTA의 MAC은 MLME-DELTS.INDICATION 실행 프리미티브를 생성하고, 이 MLME-DELTS.INDICATION 실행 프리미티브를 WSTA의 SME로 송신한다(820).
도 8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송신측 WSTA(WSTA1) 및 수신측 WSTA(WSTA2)간에 트래픽 스트림의 송신측 WSTA 개시된 소거를 나타낸다. WSTA1의 SME가 MLME-DELTS.REQUEST 실행 프리미티브를 생성하고 이 MLME-DELTS.REQUEST 실행 프리미티브를 WSTA1의 MAC으로 출력함으로써(822), 소거를 시작한다. WSTA1의 MAC은 MLME-DELTS.REQUEST 실행 프리미티브에 포함된 DEL TS 실행 프레임 몸체를 추출하고, 이 DEL TS 실행 프레임 몸체를 HC의 MAC으로 송신한다(824). HC의 MAC은, DEL TS 실행 프레임의 수신에 응답하여, ACK 프레임을 WSTA1의 MAC으로 반송한다(826).
WSTA1의 MAC은 MLME-DELTS.CONFIRM 실행 프리미티브를 생성하고, 이 MLME-DELTS.CONFIRM 실행 프리미티브를 WSTA1의 SME로 출력한다(828). 이와 동시에, HC의 MAC은 MLME-DELTS.INDICATION 실행 프리미티브를 생성하고, 이 MLME-DELTS.INDICATION 실행 프리미티브를 HC의 SME로 송신한다(830). MLME-DELTS.INDICATION 실행 프리미티브에 응답하여, HC의 SME는 MLME-DELTS.RESPONSE 실행 프리미티브를 생성하고, 이 MLME-DELTS.RESPONSE 실행 프리미티브를 HC의 MAC으로 출력한다(832). HC의 MAC은 MLME-DELTS.RESPONSE 실행 프리미티브에 포함된 DEL TS 실행 프레임 몸체를 추출하고, 이 DEL TS 실행 프레임 몸체를 WSTA2의 MAC으로 송신한다(834). WSTA2의 MAC은 DEL TS 실행 프레임의 수신에 응답하여 ACK 프레임을 HC의 MAC으로 반송한다(836). WSTA2의 MAC은 MLME-DELTS.INDICATION 실행 프리미티브를 생성하고, 이 MLME-DELTS.INDICATION 실행 프리미티브를 WSTA2의 SME로 출력한다(838).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스트림의 사용예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HC(910)에 의해 제어되는 로컬 QBSS(900) 내에 2개의 발신자가 있으며, 2개의 발신자는 별도의 WSTAs(920 및 930) 상에 각각 있고, 수신측은 QBSS의 외부에 위치한다. 제1 발신자 및 수신측은 음성 호출(925)에 포함되어 있고, 제2 발신자 및 수신측은 인터넷 웹 브라우징 세션(935)에 포함되어 있다고 상정한다. 2개의 세션들 모두는 본래 양방향이므로, 총 4개의 단방향 트래픽 스트림이 필요하다.
음성 호출(925)은 각 방향으로 64 Kbps의 속도로 동일하게 샘플링되고, 20 ㎳마다 패킷화되고, UDP/IP를 통해 송신된다고 상정한다. 이에 따라, 2개의 음성 트래픽 스트림은 하나의 TSPEC에 의해 특정되는 양방향 트래픽 스트림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TSPEC은 TAID 필드의 8의 TID 부분 필드, 5분의 비활성 간격, 20 ㎳의 도착 간격, 188바이트의 공칭 MSDU 크기, 75.2 Kbps의 최소 데이터 전송 속도, 50 ㎳의 지연 한계, 및 40 ㎳의 지터 한계를 특정하고, 등시성 트래픽 형 및 옳은 양방향 값을 특정한다.
한편, 웹 브라우징 세션(935)에 대해 5% 듀티 사이클을 상정하며, 이는 사용자가 5%의 시간(평균)에 트래픽의 송신 및 수신을 능동적으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사용중인 동안, 아웃바운드 트래픽은 360바이트의 평균 패킷 크기로 TCP/IP를 통해 144 Kbps로 송신되고, 인바운드 트래픽은 772바이트의 평균 패킷 크기로 TCP/IP를 통해 1.544 Mbps로 수신된다. 이러한 트래픽 비대칭때문에, 2개의 단방향 트래픽 스트림이 필요하다. 아웃바운드 트래픽 스트림에 대한 TSpec은 TAID 필드의 13의 TID 부분 필드, 20분의 비활성 간격, 20 ㎳의 도착 간격, 360바이트의 공칭 MSDU 크기, 144 Kbps의 최소 데이터 전송 속도(활성 기간 동안 측정함), 14.4 Kbps의 평균 데이터 전송 속도(활성 및 비활성 기간 동안 측정함), 500 ㎳의 지연 한계를 특정하고, 비동시성 트래픽 형 및 틀린 양방향 값을 특정한다. 인바운드 트래픽 스트림에 대한 TSPEC은 TAID 필드의 13의 TID 부분 필드, 20분의 비활성 간격, 4 ㎳의 도착 간격, 772바이트의 공칭 MSDU 크기, 1.544 Mbps의 최소 데이터 전송 속도(활성 기간 동안 측정함), 154.4 Kbps의 평균 데이터 전송 속도(활성 및 비활성 기간 동안 측정함), 1초의 지연 한계를 특정하고, 비동시성 트래픽 형 및 틀린 양방향 값을 특정한다.
TSPEC 및 유용한 대역폭에 기초하여, HC(910)는 음성 호출 및 웹 브라우징 세션에 대한 허가 제어 결정, 즉, 트래픽 스트림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생성되는지, 아니면 어떠한 트래픽 스트림도 생성되지 않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모두 허가되면, TSPEC 파라미터 모두는 상술한 시그널링 과정을 사용하여 QBSS(900) 내에 HC(910) 및 송신/수신 WSTAs(920 및 930)의 MAC 실체로 제공된다. HC(910)는 음성 트래픽 스트림(925)에 대해 준주기적(quasi-periodic) 송신 시간을 스케쥴링한다. HC(910)는 음성 접속의 적은 대기 시간 필요조건에 기인하여 음성 트래픽 스트림(925)에 대한 송신 시간을 스케쥴링한다. 송신 간격은 도착 간격과 일치시키기 위해 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재전송을 위해 20 ㎳ 미만일 수 있지만, 지연 및 지터 필요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40 ㎳(지연 한계 및 지터 한계의 최소값)보다 커서는 안된다. 각 송신 시간 지속은 188 바이트의 MSDU를 전송하기 위해 적어도 사용가능하여야 한다. 각 방향으로 어떠한 음성 MSDUs도 5분의 간격동안 발견되지않으면, HC(910)는 각 방향에 대해 음성 트래픽 스트림(925)을 소거한다.
송신을 대기하는 MSDUs가 있는 경우, HC(910)는 2개의 양방향 웹 브라우징 트래픽 스트림(935) 각각에 대해 송신 시간을 스케쥴링한다. HC(910)는 HC(910)로부터 웹 트래픽 방향의 포함된 WSTA(930)으로의 송신을 위해 로컬 송신 버퍼로부터 직접적으로 버퍼링된 MSDUs를 발견하고, 웹 트래픽의 포함된 WSTA(930)로부터 HC로의 송신을 위해 WSTA(930)로부터 송신되는 원격 트래픽 기록으로부터 간접적으로 버퍼링된 MSDUs를 발견한다. HC(910)로부터 WSTA(930)로 송신되는 MSDUs가 있는 경우, HC는 1초의 도착 범위에서 송신 시간을 조정하며, 각 송신 시간은 적어도 772바이트의 MSDU를 송신하는데 사용가능하다. HC(910)는 각 활성 기간동안 WSTA HC간 전송을 위한 144 Kbps의 최소 데이터 전송 속도, 및 WSTA HC간 전송을 위한 1.544 Mbps의 최소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송신 시간을 스케쥴링하여야 한다. 그러나, HC(910)는 이러한 송신 시간을 각 TSpecs에 의해 제공된 바와 같이 전체 평균으로 14.4 Kbps 및 154.4 Kbps의 평균 데이터 전송 속도로 제한할 수 있다. 각 방향으로 어떠한 웹 MSDUs도 20분의 간격동안 발견되지 않으면, HC(910)는 각 방향에 대해 웹 브라우징 트래픽 스트림(935)을 소거한다.
임의의 트래픽 스트림에 대해 송신 시간을 스케쥴링함에 있어서, HC(910)는 각 MSDU 송신과 관련하여, 응용가능한 프라이버시 및 FEC 추가 비트, MAC 및 PLCP 헤더, 및 PLCP 프리앰블을 고려하여야 한다. 프라이버시 및 FEC 비트, MAC 및 PLCP 헤더, 및 PLCP 프리앰블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IEEE 802.11 및 IEEE 802.11e/D2.0a 기술 표준을 참조한다. 허가 제어 결정을 함에 있어서, HC(910)는각 MSDU 전송으로 초래되는 프레임간 간격 및 적당한 회신 시간 오버헤드를 고려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 당업자에게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뿐만 아니라,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형 및 조합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들 또는 변형례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메시지의 필요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통신 파라미터의 특정을 허용한다. 따라서, 각각의 개별 메시지가 서로 다른 파라미터의 세트를 가짐으로써, 네트워크에 높은 정도의 플렉시빌리티를 제공하여, 전체 요구에 기초하여 사용자 트래픽 전송에 대한 가제어성 및 서로 다른 QoS 기대를 만족시킨다.

Claims (10)

  1. 통신망의 제1 국에서 파라미터화된 QoS 기대로 트래픽 스트림에 대해 QoS 실행을 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QoS 실행 신호를 상기 제1 국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부로부터 상기 제1 국의 국 관리 실체(SME)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국의 SME에서 제1 QoS 실행 프레임 몸체를 포함하는 제1 QoS 실행 프리미티브(primitive)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QoS 실행 프리미티브를 상기 제1 국의 매체 액세스 제어 부분 계층 실체(MLME)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QoS 실행 프레임 몸체를 포함하는 제1 QoS 실행 프레임을 제2 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국으로부터 회신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국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부분 계층에서 제2 QoS 실행 프리미티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QoS 실행 프리미티브를 상기 제1 국의 SME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은 상기 트래픽 스트림의 송신국(source station)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은 상기 트래픽 스트림의 수신국(destination station)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은 하이브리드 조정기를 포함하는 국인 방법.
  5. 네트워크 통신망에서 파라미터화된 QoS 기대로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파라미터화된 QoS 기대의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파라미터화된 QoS 기대의 세트를 수신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국으로부터 회신을 수신하여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파라미터화된 QoS 기대의 세트의 한계에 기초하여 통신을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하는 단계를 종료한 후 상기 통신 링크를 소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의 각 단부에 국이 있으며,
    상기 소거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링크의 한 국에서 소거 요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소거 요구를 상기 통신 링크의 다른 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국으로부터의 회신을 수신하면 상기 통신 링크를 소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국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부, 국 관리 실체(SME), MAC 계층 관리 실체(MLME) 및 PHY 계층 관리 실체(PLME)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SME에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부로부터 파라미터화된 QoS 기대의 세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라미터화된 QoS 기대의 세트에서 제공된 상기 파라미터화된 QoS 기대로 QoS 실행 프리미티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QoS 실행 프리미티브를 MLME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QoS 실행 프리미티브로부터 QoS 실행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QoS 실행 프레임을 송신국의 PHY 계층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메시지들이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에서 송신되고, 각 메시지는 서로 다른 파라미터화된 QoS 기대의 세트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는 방법.
KR1020020066998A 2001-11-01 2002-10-31 파라미터화된 서비스 품질(QoS)기대값을 이용하여 트래픽 스트림에 대해 QoS 실행을 개시하는 방법 및 파라미터화된 QoS 기대값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 KR1009415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3555301P 2001-11-01 2001-11-01
US60/335,553 2001-11-01
US10/118,803 2002-04-09
US10/118,803 US7349433B2 (en) 2001-11-01 2002-04-09 Signaling for parameterized quality of service (QoS) sup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070A true KR20030036070A (ko) 2003-05-09
KR100941566B1 KR100941566B1 (ko) 2010-02-10

Family

ID=26816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998A KR100941566B1 (ko) 2001-11-01 2002-10-31 파라미터화된 서비스 품질(QoS)기대값을 이용하여 트래픽 스트림에 대해 QoS 실행을 개시하는 방법 및 파라미터화된 QoS 기대값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49433B2 (ko)
EP (1) EP1309139B1 (ko)
KR (1) KR100941566B1 (ko)
DE (1) DE60211097T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034B1 (ko) * 2005-03-30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의 QoS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0743439B1 (ko) * 2003-11-05 2007-07-30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근거리 통신망용 서비스 품질 관리
KR101492951B1 (ko) * 2012-05-05 2015-02-12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Mac 헤더 기반 트래픽 분류 및 그 이용을 위한 방법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430B1 (ko) * 2002-01-24 2004-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트래픽 플로우 탬플릿 재정렬 장치 및방법
US20030210665A1 (en) * 2002-05-08 2003-11-13 Matti Salmenkaita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frequency allocation for packet switched services
US7995583B2 (en) * 2002-09-10 2011-08-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announcing a pending QoS service schedule to a wireless station
JP4401352B2 (ja) * 2002-10-17 2010-01-2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スケジューラ・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7426180B2 (en) * 2002-11-08 2008-09-1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Rapid build transmission-limit method and structure for BSS st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R0316012A (pt) * 2002-11-08 2005-09-1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ntrolador hìbrido, sistema de comunicação de dados sem fio, estação sem fio, e, método de suportar avanços de qualidade de serviço
US7606208B2 (en) * 2002-12-09 2009-10-20 Avaya Inc.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deploying multiple wireless local-area networks
US7636371B2 (en) 2002-12-27 2009-12-22 Intel Corporation Communication subsystem for wireless devices or the like
JPWO2004064333A1 (ja) * 2003-01-10 2006-05-18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管理方法、要求信号、応答信号、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TW200516900A (en) * 2003-05-09 2005-05-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WLAN scheduler
CN1784871B (zh) * 2003-05-09 2010-11-0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在无线网络中测量媒介活动模式并从活动模式中导出信息
JP4277599B2 (ja) * 2003-07-14 2009-06-10 ヤマハ株式会社 オフセット補正方法、オフセット補正回路及び電子ボリューム
JP2007532020A (ja) 2003-07-16 2007-11-08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無線通信システムのネットワーク管理エンティティ間で情報を転送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6958982B2 (en) * 2003-07-16 2005-10-2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mobile station physical measurements and MAC performance statistics in a management information base of an access point
CN1820526B (zh) * 2003-07-16 2015-08-12 美商内数位科技公司 转移管理信息的方法及无线发送/接收单元
US20050128977A1 (en) * 2003-07-23 2005-06-1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managing conges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005055B2 (en) * 2003-07-23 2011-08-2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managing conges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092358B2 (en) * 2003-10-24 2006-08-15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flexible quality of service
JP2007510350A (ja) * 2003-10-29 2007-04-19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無線pan上でデバイス間に効率的にデータを送受信する方法
EP1766888A1 (en) * 2004-07-15 2007-03-28 Nokia Corporation In-band set-up and configuration of transfer-related resources
GR1005055B (el) * 2004-08-27 2005-12-06 Atmel Corporation Μεθοδος και συστημα για ενα μηχανισμο διασφαλισης ποιοτητας υπηρεσιας για ασυρματα δικτυα.
CN100464533C (zh) * 2005-01-26 2009-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保证端到端业务服务质量的方法及接入网络
US20060218353A1 (en) * 2005-03-11 2006-09-2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path-based traffic stream admission control in a wireless mesh network
US20060251093A1 (en) * 2005-05-03 2006-11-09 Nokia Corporation Signaling quality of service (QoS) parameters for a multimedia session
US20060262789A1 (en) * 2005-05-20 2006-11-23 Go Networks Inc. Method and corresponding device for packets classification
US20070133428A1 (en) * 2005-12-13 2007-06-14 Carolyn Taylo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QoS based upon group profiles
US20070209057A1 (en) * 2006-03-01 2007-09-06 Broadband Wizard Inc. Wireless delivery of broadband cable signals
US8634399B2 (en) * 2006-04-12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and bi-directional traffic classific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101298640B1 (ko) 2006-09-22 2013-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송 스트림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JP4981916B2 (ja) * 2006-10-25 2012-07-25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フレーム分類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7983164B2 (en) * 2006-12-01 2011-07-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erging internet traffic mirrored from multiple links
US8296461B2 (en) * 2007-08-07 2012-10-23 Object Innovation Inc. Data transformation and exchange
US9497494B1 (en) * 2008-02-29 2016-11-15 Clearwire Ip Holdings Llc Broadcast service channel optimization for TV services
US8767607B2 (en) * 2009-06-18 2014-07-01 Entropic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ulticast in communications network
JP5645953B2 (ja) * 2009-11-24 2014-12-24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ド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リサーチ インスチチュート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マルチユーザベースの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失敗フレームの修復方法
US8542696B2 (en) 2009-12-16 2013-09-24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simultaneously communicating with a group of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US20110149731A1 (en) 2009-12-17 2011-06-23 Gong Michelle X Device, system and method of scheduling communications with a group of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US8744367B2 (en) * 2010-08-31 2014-06-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ail optimization protocol for cellular radio resource allocation
CN105873040B (zh) * 2010-09-07 2019-07-23 英特尔公司 无线通信的设备、系统和方法
US8527627B2 (en) * 2010-12-14 2013-09-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telligent mobility application profiling with respect to identified communication bursts
US9264872B2 (en) 2011-06-20 2016-02-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ntrolling traffic transmissions to manage cellular radio resource utilization
US9220066B2 (en) 2011-06-20 2015-12-2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undling data transfers and employing tail optimization protocol to manage cellular radio resource utilization
US9113389B2 (en) * 2012-05-05 2015-08-18 Broadcom Corporation Filter and classification agreement for MAC header based traffic classificat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9692706B2 (en) * 2013-04-15 2017-06-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rtual enhanced transmission selection (VETS) for lossless ethernet
WO2022115467A1 (en) * 2020-11-25 2022-06-02 Intel Corporation A framework for exchanging quality of service (qos) policies and resource availability in a wireless network
CN116097900A (zh) * 2021-03-31 2023-05-09 索尼集团公司 与rta通信量共享edca txop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3628B1 (en) * 1998-05-06 2006-10-17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medium access control sub-layer
AU7088200A (en) 1999-10-14 2001-04-23 Nortel Networks Limited Establishing a communications session having a quality of service in a communications system
FI20000138A (fi) 2000-01-24 2001-07-25 Nokia Networks Oy Palvelun laadun varaaminen langattomasa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US7079508B2 (en) * 2000-02-23 2006-07-18 Microsoft Corporation Quality of service over paths having a wireless-link
US6985465B2 (en) * 2000-07-07 2006-01-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ynamic channel selection scheme for IEEE 802.11 WLANs
US6970422B1 (en) * 2000-07-14 2005-11-29 At&T Corp. Admission control for QoS-Driven Wireless LANs
US6850981B1 (en) * 2000-07-14 2005-02-01 At&T Corp. System and method of frame scheduling for QoS-driv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US6862270B1 (en) * 2000-07-14 2005-03-01 At&T Corp. Architectural reference model for QoS-driven wireless LANs
US6950397B1 (en) * 2000-07-14 2005-09-27 At&T Corp. RSVP/SBM based side-stream session setup, modification, and teardown for QoS-driven wireless lans
US6804222B1 (en) * 2000-07-14 2004-10-12 At&T Corp. In-band Qos signaling reference model for QoS-driven wireless LANs
US6999442B1 (en) * 2000-07-14 2006-02-14 At&T Corp. RSVP/SBM based down-stream session setup, modification, and teardown for QOS-driven wireless lans
US20020141376A1 (en) * 2000-09-18 2002-10-03 Sharp Labs Of America Devices, softwares, and methods for wireless devices to form a network on the fly by performing admission control in the second layer
US20020067696A1 (en) * 2000-12-04 2002-06-06 Ho Jin Meng Extended quality of service capabilities for WLAN and WPAN applications
US7206840B2 (en) * 2001-05-11 2007-04-17 Koninklike Philips Electronics N.V. Dynamic frequency selection scheme for IEEE 802.11 WLA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439B1 (ko) * 2003-11-05 2007-07-30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근거리 통신망용 서비스 품질 관리
KR100664034B1 (ko) * 2005-03-30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의 QoS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1492951B1 (ko) * 2012-05-05 2015-02-12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Mac 헤더 기반 트래픽 분류 및 그 이용을 위한 방법들
US9119129B2 (en) 2012-05-05 2015-08-25 Broadcom Corporation MAC header based traffic classificat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11097T2 (de) 2006-12-07
EP1309139B1 (en) 2006-05-03
US20030081547A1 (en) 2003-05-01
US7349433B2 (en) 2008-03-25
DE60211097D1 (de) 2006-06-08
KR100941566B1 (ko) 2010-02-10
EP1309139A1 (en) 200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566B1 (ko) 파라미터화된 서비스 품질(QoS)기대값을 이용하여 트래픽 스트림에 대해 QoS 실행을 개시하는 방법 및 파라미터화된 QoS 기대값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
US9686720B2 (en) Admission control for QoS-driven wireless LANs
US6862270B1 (en) Architectural reference model for QoS-driven wireless LANs
US7664072B1 (en) Virtual streams for QoS-driven wireless LANs
US9204338B2 (en) RSVP/SBM based up-stream session setup, modification, and teardown for QoS-driven wireless LANs
US7450504B1 (en) Admission control for QoS-driven wireless LANs
US7756095B2 (en) In-band QoS signaling reference model for QoS-driven wireless LANs
US8605707B2 (en) Enhanced channel access mechanisms for QoS-driven wireless LANs
US6850981B1 (en) System and method of frame scheduling for QoS-driv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US7738378B1 (en) RSVP/SBM based side-stream session setup, modification, and teardown for QoS-driven wireless LANs
US7031287B1 (en) Centralized contention and reservation request for QoS-driven wireless LANs
US6999442B1 (en) RSVP/SBM based down-stream session setup, modification, and teardown for QOS-driven wireless lans
US7756092B1 (en) In-band QoS signaling reference model for QoS-driven wireless LANs connected to one or more networks
JP2002016647A (ja) 移動端末と遠隔地のユーザとの間を流れるユーザトラフィック用に資源を割当てる方法
Liu et al. A scheme for supporting voice over IEEE 802.11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kyrianoglou et al. A framework for unified IP QoS support over UMTS and wireless L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