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43Y1 - A Locking Device - Google Patents

A Lock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43Y1
KR200300343Y1 KR20-2002-0030573U KR20020030573U KR200300343Y1 KR 200300343 Y1 KR200300343 Y1 KR 200300343Y1 KR 20020030573 U KR20020030573 U KR 20020030573U KR 200300343 Y1 KR200300343 Y1 KR 200300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groove
rod
clasp
lock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57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궁민
Original Assignee
남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민 filed Critical 남궁민
Priority to KR20-2002-0030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4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3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7/00Padlocks; Details thereof
    • E05B67/06Shackles; Arrangement of the shackle
    • E05B67/22Padlocks with sliding shackles, with or without rotary or pivotal movement
    • E05B67/24Padlocks with sliding shackles, with or without rotary or pivotal movement with built- in cylinder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46Axially movable roto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키의 삽입 후 누르는 동작만으로 자동 해정되는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 자물쇠의 몸체에 내재된 키유지체의 키홈으로 키를 삽입하면, 몸체에 대해 키유지체의 고정된 부위가 해제되고, 해제된 키유지체는 키의 누르는 힘에 의해서 타측으로 이동하여 후방에 결합된 작동봉이 걸쇠봉을 고정한 핀을 강재로 벌려 걸쇠봉이 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 that is automatically released only by pressing after inserting the key. When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of the key holder inherent in the lock body, the fixed portion of the key holder is released from the body and released. The key retainer is moved to the other side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ke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asp rod is released by opening the pin fixed to the clasp bar by the operating rod coupled to the rear.

Description

자물쇠장치{A Locking Device}A Locking Device

본 고안은 문·서랍·금고 등 여닫게 된 곳에 채워서 열쇠가 없으면 열지 못하게 하는 일종의 잠금장치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물쇠의 몸체에 내재된 키유지체의 키홈으로 키를 삽입하면, 몸체에 대해 키유지체의 고정된 부위가 해제되고, 해제된 키유지체는 키의 누르는 힘에 의해서 타측으로 이동하여 후방에 결합된 작동봉이 걸쇠봉을 고정한 핀을 강재로 벌려 걸쇠봉이 해정되는 자물쇠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nd of locking device that can be opened in doors, drawers, safes, etc. so that it cannot be opened without a key. More specifically, when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keyway of the key holder inherent in the lock body, The fixed part of the key retainer is released, and the released key retainer moves to the other side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key. will be.

일반적으로 자물쇠는 문·서랍·금고 등 여닫게 된 곳에 채워서 열쇠가 없으면 열지 못하게 하는 일종의 잠금장치이다.In general, a lock is a kind of locking device that can be opened in doors, drawers, safes, etc. so that it can not be opened without a key.

자물쇠는 개폐기구에 따라 워드자물쇠·레버텀블러자물쇠·핀텀블러자물쇠로 분류된다. 이중에서 사람들이 흔히 쓰는 자물쇠는 실린더자물쇠라 불리우는 핀텀블러자물쇠이다.The locks are classified into word locks, lever locks and pin locks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mong them, the common lock used by people is a pin-tumbler lock called a cylinder lock.

이러한 자물쇠 해정은 몸체의 후방에 키유지체를 삽입시키고, 상기 키유지체의 저면에 형성된 키홈 상으로 키를 삽입하여 키의 회전으로 자물쇠의 해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lock release is configured to insert the key retainer to the rear of the body,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key retainer is configured to unlock the lock by the rotation of the key.

이 때 키의 외측에 형성된 요홈과 상기 키유지체의 안측에 구비되는 고정편과의 맞물려짐이 이루어져야지만 키유지체가 회전됨으로, 만약 키가 완전히 삽입되지 않고 키를 회전시킬 경우 키가 키유지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부러지거나 휘어지는 단점이 있었다.At this time, the groov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key and the fixing piec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key retainer should be engaged, but the key retainer is rotated, so if the key is rotated without being fully inserted, the key retains the key retainer. There was a drawback of being broken or bent in the inserted state.

따라서 키유지체로 삽입된 키가 부러지거나 휘어짐이 없도록 키의 삽입만으로 자물쇠를 해정시킬 수 있는 구조의 장치가 개발되어야 하겠다.Therefore, a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releasing a lock by only inserting a key so that the key inserted into the key retaining body does not break or bend should be developed.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키의 삽입 후 누르는 동작만으로 자동 해정될 수 있는 자물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k device that can be automatically unlocked only by pressing after inserting a key.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자물쇠의 해정동작시 키가 삽입되는 키유지체의 이동만으로 걸쇠봉이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자물쇠의 해정동작을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진 자물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k device that makes the lock release operation simpler by allowing the clasp to be drawn out only by the movement of the key holder into which the key is inserted during the lock release operation.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편심되게 양측이 하향 만곡되어 이루어지며, 만곡된 부위로부터 일측까지 상대적으로 길이가 작고, 일측에 걸림홈(21a)이 형성되는 단봉부(21)와, 상기 단봉부(21) 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고 일측부위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태를 갖으며, 일단이 쇄기형상을 취하는 장봉부(22)로구성되는 걸쇠봉(20);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eccentric both sides are made to bend downward, the length is relatively small from the curved portion to one side, the single end portion 21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21a) on one side, and the single end portion ( 21) has a tapered shape that is relatively longer in length and smaller in diameter toward one side, the latch rod 20 consisting of a long rod portion 22 having a wedge shape;

상기 걸쇠봉(20)이 형상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면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장봉걸쇠구멍(13) 및 단봉걸쇠구멍(12)과, 하부면의 중앙부위로 축선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홈(11)과, 상기 장홈(11)의 안측으로 내측에서 외측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부(11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몸체(10);The long bar latch hole 13 and the short bar clasp hole 1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clasp bar 20 can be inserted into the shape, and the long groove 11 formed along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A body 10 including a groove portion 11a formed along the outer side from the inside to the inner side of the long groove 11;

상기 장홈(11)에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삽입되며, 자유단을 따라 키(7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축선방향을 따라 키홈(3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장홈(11)에 형성되는 홈부(11a)의 형성위치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외측에서 상기 키홈(31) 상으로 각각 관통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구(31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키유지체(30);The key groove 31 is formed along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key 70 can be inserted along the free end, and is inserted into the long groove 11 of the body 10. A key retainer (30) compris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a) which ar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key groove (31) from the outside so as to be in line with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groove (11a) to be formed;

상기 키(70)가 상기 키유지체(30)의 키홈(31)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몸체(10)에 대해 상기 키유지체(30)가 해정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의 홈부(11a) 및 상기 키유지체(30)의 관통구(31a)에 각각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탄성수단(43), 지지편(42) 및 고정편(41);As the key 70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31 of the key retainer 30, the groove portion of the body 10 so that the key retainer 30 can be unlocked with respect to the body 10. An elastic means (43), a support piece (42) and a fixing piece (41) which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31a) of the key holder (11a) and (11a), respectively;

상기 몸체(10)의 안측 상단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장봉걸쇠구멍(13)의 외측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단봉걸쇠구멍(12)에 삽입된 상기 걸쇠봉(20) 단봉부(21)의 걸림홈(21a)을 가로질러 위치하는 'U'자 형상의 제 1잠금핀(61);Located in the upper end of the inner side of the body 10, one side is located outside the long rod clasp hole 13 and the other side of the clasp rod 20 is inserted into the single rod clasp hole (12) of the hook portion A first U-shaped first locking pin 61 positioned across the groove 21a;

상기 제 1잠금핀(61)에 대해 소정간격을 두고 하향 이격되어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단봉걸쇠구멍(12)의 외측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장봉걸쇠구멍(13)에 삽입된 장봉부(22)의 양측부를 가로질러 위치하는 'U'자 형상의 제 2잠금핀(62); 및The long locking part 22 is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locking pin 6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one side is positioned outside the single rod clasp hole 12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long rod clasp hole 13. A second U-shaped second locking pin 62 positioned across both sides of the second locking pin 62; And

상기 키유지체(30)의 후방 축선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키유지체(30)와 일체로 연동되고, 타단이 상기 제 2잠금핀(62)의 안측을 가로질러 상기 제 1잠금핀(61)의 하부에 위치하는 작동봉(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It is coupled in the rear axial direction of the key retainer 30 is integrally linked with the key retainer 30, the other end across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locking pin 62, the first locking pin 61 It is achieved by a lock device comprising a; an operating rod (5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그리고 상기 단봉걸쇠구멍(12)의 안측에는 상기 걸쇠봉(20)의 단봉부(21)가 상기 제 1잠금핀(61)에 대해 해제됨에 따라 탄성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인출수단(12b) 및 밀대(12a)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inner side of the single rod clasp hole 12, the withdrawal means are sequentially inserted to be elastically withdrawn as the single rod portion 21 of the clasp rod 20 is released with respect to the first locking pin (61).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12b and the straw 12a.

또한 상기 탄성수단(43) 및 인출수단(12b)은 코일스프링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lastic means 43 and the lead means 12b is preferably a coil spring.

아울러 상기 작동봉(50)은 상기 제 1잠금핀(61)을 양측으로 벌릴 수 있도록 타단이 직경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형태의 쇄기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rating rod 50 is preferably a wedge shape of the other end of the diameter increases and decreases so as to open the first locking pin 61 to both sides.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따른 자물쇠장치의 제 1단면도,2 is a first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ck device according to FIG. 1, FIG.

도 3은 도 2의 A선에 따른 부분확대도,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taken along line A of FIG. 2;

도 4는 도 2에 따른 자물쇠장치의 제 1투시도,4 is a first perspective view of the lock device according to FIG. 2;

도 5는 키가 삽입되어 키유지체가 몸체 내에서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제 2단면도,FIG. 5 is a secon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key is inserted to move a key retainer within a body;

도 6은 도 5의 B선에 따른 부분확대도,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taken along line B of FIG. 5;

도 7은 도 5에 따른 자물쇠장치의 제 2투시도,7 is a second perspective view of the lock device according to FIG. 5;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몸체 11: 장홈10: body 11: long groove

11a: 홈부 12: 단봉걸쇠구멍11a: groove 12: single latch hole

12a: 밀대 12b: 인출수단12a: push rod 12b: withdrawal means

13: 장봉걸쇠구멍 20: 걸쇠봉13: long clasp 20: clasp

21: 단봉부 21a: 걸림홈21: single end portion 21a: locking groove

22: 장봉부 30: 키유지체22: long sleeve 30: key retention

31: 키홈 31a: 관통구31: keyway 31a: through hole

41: 고정편 42:지지편41: fixed piece 42: support piece

43: 탄성수단 50: 작동봉43: elastic means 50: working rod

61: 제 1잠금핀 62: 제 2잠금핀61: first locking pin 62: second locking pin

70: 키 71: 요홈70: key 71: groove

100: 자물쇠장치100: lock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자물쇠장치의 제 1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선에 따른 부분확대도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자물쇠장치의 제 1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irst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ck device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along the line A of Figure 2, Figure 4 is according to FIG. First perspective view of a lock.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물쇠장치(100)는 크게 3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자물쇠를 이루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걸쇠봉(20)과,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삽입되는 키유지체(3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1, 2, 3 and 4, the lock device 100 is composed of three parts, which is coupled to the body forming the lock 10,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It consists of a clasp bar 20 and the key retainer 3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여기서 상기 걸쇠봉(20)은 일측이 편심이 되어 상호 길이가 달리되도록 양측이 하향 만곡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상기 걸쇠봉(20)은 해정 시 잠금부위가 인출되는 단봉부(21)와, 일측이 쇄기형상을 취하여 해정 시 스토퍼의 기능을 하는 장봉부(22)로 이루어진다.Wherein the clasp bar 20 is one side is eccentric both sides are made to bend downward so that the mutual length is different. The clasp bar 20 is composed of a single rod portion 21, the lock portion is drawn out at the time of unlocking, and a long rod portion 22 that takes a wedge shape and functions as a stopper at the time of unlocking.

그리고 상기 몸체(10)는 상기 걸쇠봉(20)의 양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면의 양측으로 장봉걸쇠구멍(13) 및 단봉걸쇠구멍(12)이 형성되고, 하부면으로는 상기 키유지체(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축선방향을 따라 소정깊이로 원형의 장홈(11)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ody 10 has a long clasp hole 13 and a single clasp hole 12 formed at both sides of an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both sides of the clasp 20 can be inserted therein, and the key retainer is provided at a lower side thereof. A circular long groove 1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30 can be inserted.

이 때 상기 장홈(11)의 안측으로는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5개의 홈부(11a)가 축선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five grooves 11a are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long groove 11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axial direction.

이러한 상기 장홈(11)으로는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원통형상의 키유지체(30)가 삽입된다.A cylindrical key retainer 30 corresponding to the shape is inserted into the long groove 11.

상기 키유지체(30)는 자유단을 따라 키가 삽입될 수 있도록 축선방향을 따라 키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키홈(31) 상으로는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5개의 관통구(31a)가 형성되어 있다.The key holder 30 is formed with a key groove 31 along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key can be inserted along the free end. Five through holes 31a are formed on the key groove 31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여기서 상기 각 관통구(31a)는 상기 키유지체(30)가 상기 몸체(10)의 장홈(11)으로 삽입될 때 상기 각 홈부(11a)의 형성위치와 상통하도록 동일선상에위치한다.Here, the through holes 31a ar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key holder 3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orming position of the grooves 11a when the key holder 30 is inserted into the long grooves 11 of the body 10.

이러한 상기 각 관통구(31a)와 홈부(11a)가 상통하도록 동일선상에 위치되면, 상기 몸체(10)에 대해 상기 키유지체(30)가 고정되도록 순차적으로 탄성수단(43), 지지편(42) 및 고정편(41)이 삽입된다.When the through-holes 31a and the grooves 11a ar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each other, the resilient means 43 and the support piece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so that the key holder 30 is fixed to the body 10. 42 and the fixing piece 41 are inserted.

여기서 상기 탄성수단(43)는 상기 홈부(11a) 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탄성수단(43)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편(42)은 상기 관통구(31a) 및 홈부(11a)의 중간에 위치하게되고, 상기 지지편(42)의 전방에 위치하는 고정편(41)은 상기 키홈(31) 상으로 부분 돌출된다.Here, the elastic means 43 is located on the groove portion 11a, and the support piece 42 located in front of the elastic means 43 is the middle of the through hole 31a and the groove portion 11a. The fixing piece 41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support piece 42 protrudes partially onto the key groove 31.

상기에서의 탄성수단(43)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써, 만일 상기 키유지체(30)의 키홈(31)으로 상기 키가 삽입된다면, 상기 코일스프링의 전방에 순차적으로 삽입된 지지편(42) 및 고정편(41)은 타측으로 유동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The elastic means 43 in the above is made of a coil spring, if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31 of the key retainer 30, the support piece 42 sequentially inserted in front of the coil spring ) And the fixing piece 41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flow to the other side.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내측 상단에는 'U'자 형태의 제 1잠금핀(61)이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제 1잠금핀(61)의 일측은 상기 장봉걸쇠구멍(13)의 외측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단봉걸쇠구멍(12)의 측부를 가로질러 위치한다.In addition, a first locking pin 61 having a 'U' shape is positioned at an inner upper end of the body 10. One side of the first locking pin 61 is located outside the long rod clasp hole 13 and the other side is located across the side of the single rod clasp hole 12.

아울러 상기 제 1잠금핀(61)에 대해 소정간격을 두고 하향으로 이격되어 'U'자 형태의 제 2잠금핀(62)이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제 2잠금핀(62)의 일측은 상기 단봉걸쇠구멍(12)의 외측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장봉걸쇠구멍(13)의 측부를 가로질러 위치한다.In addition, the second locking pin 62 of the 'U' shape is spaced apart downwar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first locking pin (61). One side of the second locking pin 62 is located outside the single rod latch hole 12 and the other side is positioned across the side of the long rod latch hole 13.

따라서 상기 제 1잠금핀(61)은 상기 단봉걸쇠구멍(12)에 삽입되는단봉부(21)의 걸림홈(21a)의 양측에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refore, the first locking pin 61 has a structure that can be fixed in shape to correspond to both sides of the locking groove (21a) of the end bar portion 21 to be inserted into the single rod latch hole (12).

그리고 상기 키유지체(30)의 후방 축선방향으로는 상기 키유지체(30)와 일체로 연동하도록 작동봉(50)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작동봉(50)의 타측은 테이퍼진 쇄기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상기 제 2잠금핀(62)의 안측을 가로질러 상기 제 1잠금핀(61)의 하부에 위치한다.In addition, in the rear axial direction of the key retainer 30, the operating rod 50 is coupled to work integrally with the key retainer 30.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ng rod 50 has a tapered wedge shape, and is located below the first locking pin 61 across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locking pin 62.

도 5는 키가 삽입되어 키유지체가 몸체 내에서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제 2단면도이다.5 is a secon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key is inserted to move the key retainer within the body.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물쇠장치는 상기 몸체(10)의 장홈(11)에 상기 키유지체(30)가 삽입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key holder 3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long groove 11 of the body 10.

이 때 상기 키유지체(30)의 키홈(31)으로 키가 삽입되게 되면, 상기 키유지체(30)의 키홈(31)상에 도출된 고정편(41)은 안측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키(70)의 요홈(71)과 맞물려지고, 상기 고정편(41)의 후방에 위치하는 지지편(42)은 상기 몸체(10)의 홈부(11a) 상으로 밀려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31 of the key retainer 30, the fixing piece 41 drawn on the key groove 31 of the key retainer 30 is pushed inward and the key ( The support piece 42 which is engaged with the recess 71 of the 70 and positioned behind the fixing piece 41 is pushed onto the groove part 11a of the body 10.

따라서 키유지체(30)는 상기 몸체(10)에 이탈되어 타측으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key retainer 30 is separated from the body 10 to be able to move to the other side.

그러므로 상기 지지편(42)은 상기 키유지체(30)가 상기 몸체(10)의 장홈(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키유지체(30)의 직선 이동여부는 상기 지지편(42)이 상기 키유지체(30) 관통구(31a)의 이탈여부에 의해서 달성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support piece 42 serves to allow the key retainer 30 to be fixed to the long groove 11 of the body 10. The linear movement of the key retainer 30 is achieved by the support piece 42 being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31a of the key retainer 30.

도 6은 도 5의 B선에 따른 부분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에 따른 자물쇠장치의 제 2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taken along line B of FIG. 5, FIG. 7 is a second perspective view of the lock device according to FIG. 5,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물쇠장치(100)는 키(70)가 삽입됨에 따라 걸쇠봉(20)이 해정되어 잠금을 해정시킬 수 있다.6, 7 and 8, as the lock device 100, as the key 70 is inserted, the clasp rod 20 may be released to release the lock.

상기 키유지체(30)의 키홈(31)으로 키가 삽입되게 되면, 상기 키유지체(30)의 키홈(31)상에 도출된 고정편(41)은 안측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키(70)의 요홈(71)과 맞물려지고, 상기 고정편(41)의 후방에 위치하는 지지편(42)은 상기 몸체(10)의 홈부(11a) 상으로 탄성적으로 밀려나게 된다.When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31 of the key retainer 30, the fixing piece 41 drawn on the key groove 31 of the key retainer 30 is pushed to the inner side and the key 70 is pressed. The support piece 42 which is engaged with the groove 71 of the, and located behind the fixing piece 41 is elastically pushed onto the groove portion (11a) of the body (10).

이 때 상기 키유지체(30)는 상기 몸체(10)의 홈부(11a)에 가이드 되어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연동되어 상기 키유지체(30)의 타측에 결합된 작동봉(50)도 더불어 타측으로 이동된다.At this time, the key retainer 30 is guided to the groove 11a of the body 10 and moved to the other side, and in addition to the operating rod 50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key retainer 30. It is moved to the other side.

이러한 상기 작동봉(50)의 타측에는 상기 제 2잠금핀(62)의 사이를 가로질러 상기 걸쇠봉(20)의 단봉부(21)를 고정하는 상기 제 1잠금핀(61)이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데, 상기 작동봉(50)이 밀리면서 쇄기형태를 취하는 타단부위가 상기 제 1잠금핀(61)을 벌어지게 함에 따라 제 1잠금핀(61)의 타측 선단이 걸림홈(21a)으로부터 이격되어 단봉부(21)를 상기 자물쇠의 몸체(10)의 단봉걸쇠구멍(12)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ng rod 50, the first locking pin 61 for fixing the end portion 21 of the clasp 20, across the second locking pin 62 is located below. The other end of the first locking pin 61 is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groove 21a as the operating rod 50 pushes the other end portion having a wedge shape to open the first locking pin 61. It is possible to elastically withdraw the single rod portion 21 from the single rod latch hole 12 of the body 10 of the lock.

상기에서 탄성적 인출은 상기 단봉걸쇠구멍(12)의 안측에 순차적으로 인출수단(12b) 및 밀대(12a)가 삽입되어 있어 상기 걸쇠봉(20)의 단봉부(21)가 상기 제 1잠금핀(61)에 대해 잠금이 해정됨에 따라 탄성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In the elastic withdrawal, the withdrawal means 12b and the push rod 12a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single rod clasp hole 12 so that the first rod pin 21 of the clasp rod 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pin. As the lock is released with respect to 61, it can be elastically withdrawn.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잠금핀(62)은 해정으로 인출되는 장봉부(22)를 일정거리에서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이는 상기 장봉부(22)의 타단에 형성되는 쇄기부분의 타측에 형성되는 단턱에 상기 제 2잠금핀(62)의 타측이 걸려서 일정거리 이상 후방으로 이탈되지 못하게 잡아준다.At the same time, the second locking pin 62 has a function of holding the long rod 22 drawn out to the coast at a certain distance. This catches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ocking pin 62 on the stepped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wedge portion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long rod part 22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rear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에서와 같이 자물쇠장치(100)는 상기 키유지체(30)가 원형인 것 이외에, 사각형도 본 고안에 포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ck device 100 may b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ircular shape of the key retainer 30, a square.

그리고 상기 단봉부(21)의 걸림홈(21a) 및 상기 걸림홈(21a)에 대응되는 제 1잠금핀(61)의 개수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locking grooves 21a and the first locking pins 61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grooves 21a of the single end portion 21 may be used.

아울러 상기 키유지체(30)의 관통구(31a) 형성위치를 축선방향을 따라 불규칙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몸체(10)에 형성되는 홈부(11a)의 형성위치도 달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통구(31a) 및 홈부(11a)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지지편(42) 및 고정편(41)의 길이도 달리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ough hole 31a of the key retainer 30 may be irregularly formed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groove 11a formed in the body 10 may also be different. Accordingly, the lengths of the support piece 42 and the fixing piece 41 which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1a and the groove part 11a may be different.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자물쇠장치는, 키의 삽입 후 키의 누르는 동작만으로 키유지체를 이동시켜 걸쇠봉이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간단하게 해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solved more simply by moving the key retainer to pull out the clasp bar only by pressing the key after insertion of the key.

그리고 구조가 간단하여 대량생산비 단가가 좋으며, 목욕탕의 케비넷과 같은 단순한 자물쇠구조에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있다.In addition, the simple structure makes the unit cost good for mass production, and it can be used for simple lock structures such as bathroom cabinets.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편심되게 양측이 하향 만곡되어 이루어지며, 만곡된 부위로부터 일측까지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고 일측에 걸림홈(21a)이 형성되는 단봉부(21)와,Both sides are eccentrically bent downwardly, the short end portion 21 is relatively short in length from the curved portion to one side and the engaging groove 21a is formed on one side, 상기 단봉부(21) 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고 일측부위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태를 갖으며, 일단이 직경이 증가하는 쇄기형상을 취하는 장봉부(22)로 구성되는 걸쇠봉(20);A clasp rod 20 having a tapered shape having a relatively longer length than the single rod portion 21 and decreasing in diameter toward one side, and having a long rod portion 22 having a wedge shape in which one end is increased in diameter; 상기 걸쇠봉(20)이 형상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면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장봉걸쇠구멍(13) 및 단봉걸쇠구멍(12)과, 하부면의 중앙부위로 축선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홈(11)과, 상기 장홈(11)의 안측으로 내측에서 외측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부(11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몸체(10);The long bar latch hole 13 and the short bar clasp hole 1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clasp bar 20 can be inserted into the shape, and the long groove 11 formed along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A body 10 including a groove portion 11a formed along the outer side from the inside to the inner side of the long groove 11; 상기 장홈(11)에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삽입되며, 자유단을 따라 키(7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축선방향을 따라 키홈(3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장홈(11)에 형성되는 홈부(11a)의 형성위치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외측에서 상기 키홈(31) 상으로 각각 관통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구(31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키유지체(30);The key groove 31 is formed along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key 70 can be inserted along the free end, and is inserted into the long groove 11 of the body 10. A key retainer (30) compris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a) which ar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key groove (31) from the outside so as to be in line with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groove (11a) to be formed; 상기 키(70)가 상기 키유지체(30)의 키홈(31)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몸체(10)에 대해 상기 키유지체(30)가 해정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의 홈부(11a) 및 상기 키유지체(30)의 관통구(31a)에 각각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탄성수단(43), 지지편(42) 및 고정편(41);As the key 70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31 of the key retainer 30, the groove portion of the body 10 so that the key retainer 30 can be unlocked with respect to the body 10. An elastic means (43), a support piece (42) and a fixing piece (41) which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31a) of the key holder (11a) and (11a), respectively; 상기 몸체(10)의 안측 상단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장봉걸쇠구멍(13)의 외측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단봉걸쇠구멍(12)에 삽입된 상기 걸쇠봉(20) 단봉부(21)의 걸림홈(21a)을 가로질러 위치하는 'U'자 형상의 제 1잠금핀(61);Located in the upper end of the inner side of the body 10, one side is located outside the long rod clasp hole 13 and the other side of the clasp rod 20 is inserted into the single rod clasp hole (12) of the hook portion A first U-shaped first locking pin 61 positioned across the groove 21a; 상기 제 1잠금핀(61)에 대해 소정간격을 두고 하향 이격되어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단봉걸쇠구멍(12)의 외측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장봉걸쇠구멍(13)에 삽입된 장봉부(22)의 양측부를 가로질러 위치하는 'U'자 형상의 제 2잠금핀(62); 및The long locking part 22 is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locking pin 6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one side is positioned outside the single rod clasp hole 12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long rod clasp hole 13. A second U-shaped second locking pin 62 positioned across both sides of the second locking pin 62; And 상기 키유지체(30)의 후방 축선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키유지체(30)와 일체로 연동되고, 타단이 상기 제 2잠금핀(62)의 안측을 가로질러 상기 제 1잠금핀(61)의 하부에 위치하는 작동봉(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장치.It is coupled in the rear axial direction of the key retainer 30 is integrally linked with the key retainer 30, the other end across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locking pin 62, the first locking pin 61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 operating rod (50)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봉걸쇠구멍(12)의 안측에는 상기 걸쇠봉(20)의 단봉부(21)가 상기 제 1잠금핀(61)에 대해 해제됨에 따라 탄성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인출수단(12b) 및 밀대(12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장치.Withdrawal means which are sequentially inserted in the inner side of the single rod latch hole 12 so that the single rod portion 21 of the clasp rod 20 is released with respect to the first locking pin 61. 12b) and the push rod (12a) further comprising a lock.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탄성수단(43) 및 인출수단(12b)은 코일스프링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장치.The elastic means (43) and withdrawal means (12b) is a 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 spr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작동봉(50)은 상기 제 1잠금핀(61)을 양측으로 벌릴 수 있도록 타단이 직경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형태의 쇄기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장치.The operating rod (50) is a 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wedge shape of the form that the other end increases in diameter so as to open the first locking pin (61) on both sides.
KR20-2002-0030573U 2002-10-14 2002-10-14 A Locking Device KR20030034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573U KR200300343Y1 (en) 2002-10-14 2002-10-14 A Loc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573U KR200300343Y1 (en) 2002-10-14 2002-10-14 A Lock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3Y1 true KR200300343Y1 (en) 2003-01-14

Family

ID=49329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573U KR200300343Y1 (en) 2002-10-14 2002-10-14 A Lock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4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5544B2 (en) Keyhole hidden unlocking device and its key
US3276233A (en) Keyway stop
US4967578A (en) Sleeve-type latch bolt mechanism
KR200300343Y1 (en) A Locking Device
US5046342A (en) Cylinder lock
EP3653813B1 (en) Lock with a long-travel deadbolt
KR101691323B1 (en) Buried type door lock
US4754630A (en) Locking device
JPH11200678A (en) Crime prevention type thumb turn
US3884058A (en) Key-actuated locks
JP4446553B2 (en) Locking device using magnet
US5921118A (en) Shift lever lock structure of a car
JP2649893B2 (en) Inner cylinder replaceable cylinder lock
JPH09291729A (en) Card type lock
US4509348A (en) Device for automatic lock
KR200301750Y1 (en) A Locking Device Of Cabinet
KR100276180B1 (en) A lock
US5809813A (en) Gear shift lock
EP3653815B1 (en) Lock with emergency unlocking feature
JP4105288B2 (en) Card type lock
JP3304332B2 (en) Locking device with lock
KR870003426Y1 (en) A door lock
KR910002921Y1 (en) Door lock
JPS5831957Y2 (en) lock
KR20210065406A (en) Cylinder pull-out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