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2895A - Studying management method through schedule administration - Google Patents

Studying management method through schedule administ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2895A
KR20030032895A KR1020020063948A KR20020063948A KR20030032895A KR 20030032895 A KR20030032895 A KR 20030032895A KR 1020020063948 A KR1020020063948 A KR 1020020063948A KR 20020063948 A KR20020063948 A KR 20020063948A KR 20030032895 A KR20030032895 A KR 20030032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learner
schedule
management server
meas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9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남교
Original Assignee
박남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남교 filed Critical 박남교
Publication of KR20030032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895A/en

Links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managing a learning through a schedule management is provided to suggest a learning schedule through a network, transmit a variation of results corresponding to questions to the learner, a lecturer, and parents of the learner, and suggest a learning plan. CONSTITUTION: A learner connects to a learning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Internet(201).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checks whether the learner is a member or not(202). If the learner is a member, information of the learner is read from a member information database(204). A learning question adapted to a learning result of the learner is read from a learning question database and the learning question is transmitted to a learner terminal(205).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receives an answer inputted by the learner through a mouse, a keyboard, and a keypad(206). Valid answer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 corresponding learning question is marked. The marked result is analyzed and stored in a learning details database(207). An alarm grade is decided by a learning result of the learner stored in the learning details database, a variation of results is checked and analyzed periodically, and the alarm grade is informed to terminals of the learner, parents of the learner, and a lecturer(208).

Description

일정 관리를 통한 학습 관리 방법{Studying management method through schedule administration}Study management method through schedule administration

본 발명은 일정 관리를 통한 학습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 일정을 제시하여, 일정에 따른 학습 문제를 풀면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성적변화(학업 성취도)를 학습자, 강사, 학부모에게 전달하고 이에 대한 학습대책을 제시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management method through schedule management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by presenting a learning schedule through a network and solving a learning problem according to the schedule. It is to communicate learner's grade change (academic achievement) to learners, instructors, and parents, and to suggest measures for learning.

종래에 일선 학교의 교육현장에서는 각자의 능력과 상관없이 같은 수준의 책과 동일한 학습방법으로 공부를 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또한 학생들은 각자 자라온 환경, 소질, 흥미 등에 따라 교과목별로 기초 능력에 차이가 많이 있으나, 이러한 개인차를 무시하고 교사위주의 주도적인 강의식 수업을 강행하였다.Conventionally,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front schools, students have difficulty to study with the same level of books and the same learning method regardless of their ability, and students also differ in the basic ability by subjec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material, interest, etc. There are many, but Ignored these individual differences and conducted teacher-led lecture classes.

그러나, 다양한 학습수준을 가진 학생들에게 같은 내용과 방법으로 학습을 실시한다면 교사들은 어느 학생을 기준으로 해서 가르쳐야 할 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왜냐하면, 중간층을 기준으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 잘하는 학생은 수업내용이 너무 시시하여 흥미를 잃어 자만과 착각에 빠지기 쉽고, 기초학력이 부족한 학생은 너무 어려워서 학습의 충분한 이해는 커녕 흥미를 잃게 되어 수업을 회피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However, if students learn with the same content and method to students with different levels of learning, teachers will have difficulty in which students to teach. Because, if the class is conducted based on the middle class, the students who are good at the class are too stupid to lose interest and fall into pride and misunderstanding, and the students who lack the basic education are too difficult to lose interest rather than to understand enough. This may result in the avoiding.

따라서, 학교에서 부족한 공부를 보충하기 위해 학습자가 일반적으로 택하는 방법이 학원이다.Therefore, the school generally adopts the method that learners take to supplement the lack of study at school.

그러나, 현재 통신 및 네트워크의 기술 발전으로 인하여 인터넷의 활용이 보편화되었으며, 이러한 인터넷을 통해서 매매, 예약, 임의의 정보획득 등을 할 수 있게 되었고, 특히 학원에 가지 않고서도 인터넷을 통해서 학습할 수 있게 되었다.However, due to the current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network technology, the use of the Internet has become universal, and through this Internet, it is possible to buy, make reservations, and acquire arbitrary information, and especially to go to the school without learning. It became.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방법은 웹사이트에 따라 특정분야 및 학습 전과목에 대한 정보를 학습자들에게 온라인 상으로 제공후 학습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대개의 인터넷 학습 사이트의 경우, 학습자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문제은행에서 제공되는 문제를 풀어보는 단순한 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 학습자들의 학습시간, 학습결과 등을 체크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인터넷을 통한 종래의 온라인 학습 방법은 단순히 학습에 도움이 되는 정보 또는 문제지를 제공하는 수준이며, 학습자의 참여도가 낮고 체계적인 학습 및 학습 지도가 어려워 학습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online learning method using the Internet is a method of inducing learners to learn after providing information on a specific field and pre-learning subjects online according to a website. However, in the case of most Internet learning sites, the learner only provides a simple service for solving problems provided by a problem bank by accessing a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has a function for checking learners' learning time and learning results. none. Therefore, such a conventional online learning method through the Internet is a level that simply provides information or problem paper to help the learning,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earning efficiency is low because the learner's participation is low and the systematic learning and learning guidance is difficult.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 일정을 제시하여, 일정에 따른 학습 문제를 풀면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성적변화(학업 성취도)를 학습자, 강사, 학부모에게 전달하고 이에 대한 학습대책을 제시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한 학습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meet the needs as described above, by presenting a learning schedule through the network, the learner, instructor, parents to learner's grade change (study achievement) that appears while solving the learning problem according to the schedul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rning management method for doubling the learning effect by delivering and presenting a learning countermeasure thereof,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1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정 관리를 통한 학습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2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learning management method through schedul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사용자 단말기 20 : 학습 관리 서버10: user terminal 20: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 : 학습문제 데이터베이스 40 :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30: Learning Databases 40: Member Information Database

41 : 학습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42 : 학부모 정보 데이터베이스41: Learner Information Database 42: Parent Information Database

43 : 강사 정보 데이터베이스 44 : 학습내역 데이터베이스43: Lecturer Information Database 44: Learning History Databa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 적용되는 학습 관리 방법에 있어서, 학습 관리 서버가 학습자의 이전 학습결과(학업 성취도)를 바탕으로 학습자별로 학습 일정을 관리하는 제 1 단계; 개별 학습 일정에 따라, 해당학습자에게 맞는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제 2 단계; 해당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학업 성취도를 작성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학업 성취도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여, 학습 대책과 함께 해당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earning management method applied to an online learning system, comprising: a first step of a learning management server managing a learning schedule for each learner based on a learner's previous learning result (academic achievement); Providing a learning material suitable for the learner according to an individual learning schedule; A third step of statistically analyzing a learner's learning result and preparing academic achievement; And a fourth step of presenting the learner to the corresponding learner along with the learning measures by varying the alarm level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3 단계 수행후에, 상기 학업 성취도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여, 학습 대책과 함께 해당 학습자 및 해당 학습자의 학부모에게 동시에 제시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ourth step of presenting to the learner and the parents of the learner at the same time with the learning measures, by varying the alarm grade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after performing the third step.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3 단계 수행후에, 상기 학업 성취도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여, 학습 대책과 함께 해당 학습자, 해당 학습자의 강사 및 학부모에게 동시에 제시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fifth step of presenting to the learner, the instructor and the parent of the learner at the same time with the learning measures, by varying the alarm level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after performing the third step. It is done.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 학습 관리 서버가 학습자의 이전 학습결과(학업 성취도)를 바탕으로 학습자별로 학습 일정을 관리하는 제 1 기능; 개별 학습 일정에 따라, 해당 학습자에게 맞는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제 2 기능; 해당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학업 성취도를 작성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학업 성취도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여, 학습 대책과 함께 해당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n-line learning system having a processor,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comprising: a first function of managing a learning schedule for each learner based on a learner's previous learning results (academic achievement); A second function of providing learning material suitable for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individual learning schedule; A third function of statistically analyzing the learning results of the learner to create academic achievement;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realizing a fourth function presented to the learner together with the learning countermeasure by varying the alarm level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3 기능 수행후에, 상기 학업 성취도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여, 학습 대책과 함께 해당 학습자 및 해당 학습자의 학부모에게 동시에 제시하는 제 4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after the third function is performed,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a program for further realizing a fourth function of simultaneously presenting to the learner and the parent of the learner along with the learning measures by varying the alarm level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Provides a record medium that can be read b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3 기능 수행후에, 상기 학업 성취도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여, 학습 대책과 함께 해당 학습자, 해당 학습자의 강사 및 학부모에게 동시에 제시하는 제 5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ogram for further realizing a fifth function of simultaneously presenting to the learner, the instructor and the parent of the learner together with the learning countermeasure by varying the alarm level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after performing the third function.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학습 일정에 따라 학습자가 문제풀이한 성적의 통계 처리를 기반으로 성적변화를 분석하여, 학업 성취도에 따른 단계적인 경보상황을 인터넷, 전화, 휴대폰, PDA, 팩스 등으로 학습자, 교사, 학부모에게 전달하며, 이때 학습자가 잘 틀리는 문제 정보를 개별 보관하여 학습 일정이나 시험 준비시기에 따라 단계적, 중요도, 빈출도 순 등으로 노출시켜 학습자가 잊지 않고 중요한 내용을 반복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grade change based on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grades solved by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learning schedule using the Internet, the learner to step-by-step alarm status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e Internet, telephone, mobile phone, PDA, fax, etc. In this case, learners keep individual problem information that is wrong and expose it in stages, importance, frequency of occurrence according to study schedule or test preparation time so that learners can repeat important contents without forgetting. do.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학습 일정에 따라 학습한 학습자의 성적변화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학업 성취도에 따른 단계적인 경보상황을 학습자, 교사, 학부모에게 인터넷, 전화, 휴대폰, PDA, 팩스 등으로 전달하며, 이때 잘 틀리는 문제에 대한 정보를 보관하여 학습 일정이나 시험 준비시기에 따라 단계적, 중요도, 빈출도 순 등의 옵션에 따라 노출되도록 하여 학습 집중도를 점차 높이거나, 학교의 교사나 학원의 강사, 학부모, 학생간의 학습, 성적처리, 상담 등에 대한 유기적 관계속에서 총체적인 학습대책을 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학습 관리가 가능하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statistically analyzes the grade change of learners who have learned according to the learning schedule using the Internet to analyze the staged alarm situation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to learners, teachers, parents, Internet, telephone, mobile phone, PDA, fax, etc.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n the wrong problem is kept and exposed according to options such as phase, importance, frequency of frequent visits according to study schedule or test preparation time, and gradually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learning, Efficient learning management is possible by presenting total learning measures in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s, parents, and students.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은 인터넷 등과 같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학습 관리 서버(20)에 연결 가능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가 온라인 학습 관리 서비스(일정관리, 문제풀이 학습, 학습대책, 경보상황 전달 등)를 이용할 수 있도록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인터넷 등을 통한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학습 관리 서버(20)와, 학년별, 난이도별, 영역별로 구성된 문제들을 제공하기 위한 학습문제 데이터베이스(30)와, 학습자의 학습 결과에 따른 성적변화 정보(학업 성취도)를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 정보(학습자 정보, 강사 정보, 학부모 정보 등)를 저장하고 있어 인증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한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40)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 connectable to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through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that enables access through the Internet by running a web browser to use (schedule management, problem solving, learning measures, alert situation, etc.), and composed by grade, difficulty, and area The learning problem database 30 for providing the problem, and grade change informatio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earner's learning results, and stores the user information (learner information, instructor information, parent information, etc.) authentication service And a member information database 40 for providing such information.

각 사용자는 강사와 학습자, 학부모 등으로 구분되며, 강사 단말기(10)에는 수업에 따라 과정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 윈도우가 생성되며, 각 학습자는 강사 화면에서 로그인 과정을 통해 허가된 자료를 학습한다. 이는 제한된 장소, 즉 학원 등에서 랜(LAN)을 통한 학습을 위한 것이다.Each user is divided into an instructor, a learner, and a parent, and a setting window for setting a course according to a class is generated in the instructor terminal 10, and each learner learns the material authorized through a login process on the instructor screen. This is for learning through a LAN in a limited place, such as a school.

특히, 학습자는 가정, PC방 등 학원 이외의 장소에서 인터넷 등을 통해 직접 학습 관리 서버(20)에 접속하여 학습 관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learner can use the learning management service by directly accessing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through the Internet at a place other than the school, such as a home or a PC room.

여기서, 인터넷(Internet), 랜(LAN), 무선 랜(Wireless LAN) 등의 정보통신망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와 학습 관리 서버(20)간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학습 관리와 관련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연결 설정한다. 따라서, 일정관리, 문제풀이 학습, 학습대책 등을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인터넷 가능한 유무선 통신망이 가능하며, 학습 결과에 따른 성적변화(학습 성취도)에 대한 경보상황 전달시에는 전자메일 뿐만 아니라 전화, 팩시밀리 등도 가능하므로 유무선 전화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 LAN, or a wireless LAN connects communication lines between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 and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to perform data management related to each other. Set up the connection for communication. Therefore, if you want to deliver schedule management, problem solving, learning countermeasures, etc., you can use the internet or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when you send an alarm situation about grade change (learning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earning result, telephone, fax Etc.,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including wired and wireless telephone networks.

따라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로는 통신중재장치(예를 들면, 모뎀 등), 모니터, 키보드(혹은 키패드), 마우스 등이 포함되어진 개인용컴퓨터(PC), 노트북 뿐만 아니라, 유선 전화기, 팩시밀리, 개인휴대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s), 셀룰러폰 혹은 PCS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등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각종 통신기기가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Accordingly,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 may include not only personal computers (PCs) and laptops including communication mediation devices (for example, modems), monitors, keyboards (or keypads), mice, etc., but also wired telephones, fax machines, Various communications includin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cellular phones or PCS phones, and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and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It is obvious that the device can be.

학습 관리 서버(20)는 학습자의 성적변화에 따라 경보상황을 유무선 전화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학습자, 교사, 학부모의 단말기(10)로 전달하고, 이에 대한 학습대책과 일정관리 정보, 문제풀이 학습 정보 등을 인터넷 가능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학습자, 교사, 학부모의 단말기(10)로 전달한다.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transmits an alarm situation according to the learner's grade change to the terminal 10 of the learner, the teacher, and the parent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wired / wireless telephone network, and measures the learning measures, schedule management information, and problem solving for the learner. The learn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 of the learner, teacher, and parent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internet.

그럼,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인터넷을 통해 학습 관리 방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Then, the learning management method through the Internet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학습 관리 서버(20)는 인터넷 사용자라면 누구나 인터넷을 통한 접속에 의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홈페이지 정보나 교육관련 정보를 기본적으로 사용 가능하게관련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학습 관리 서버(20)는 학습문제 데이터베이스(30)와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여 각 회원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각각의 회원에게 알맞게 제공한다.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provides a service so that any Internet user can acquire related knowledge by basically using homepage information or education-relate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accessing the Internet.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searche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learning problem database 30 and the member information database 40 to provide the information required by each member to each member.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40)는 회원 고유코드와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그외에 각 회원의 학습진도에 관한 사항 등 포괄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40)는 학습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1), 학부모 정보 데이터베이스(42), 강사 정보 데이터베이스(43), 학습내역 데이터베이스(44)로 이루어진다.The member information database 40 stores member unique codes and passwords, and includes comprehensive contents such as the matters related to the learning progress of each member. The member information database 40 includes a learner information database 41, a parent information database 42, an instructor information database 43, and a learning history database 44.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40)에는 강사를 분류하고 강사별로 학습자를 분류하여 기록할 수 있다. 또한, 학부모에게도 고유코드를 부여하여 학부모가 고유코드로 학습 관리 서버(20)에 접속해 학습자의 학습 결과(학업 성취도)를 인식할 수도 있고, 학습자에게만 고유코드를 부여하여 학습결과(학업 성취도)를 해당 학습자의 학부모, 강사에게 알리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The member information database 40 may classify instructors and classify and record learners by instructor. In addition, parents can also be given a unique code to access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as a unique code to recognize the learner's learning results (study achievement), by assigning a unique code only to the learner learning results (academic achievement) This can be done by notifying the learner's parents and instructors.

학습문제 데이터베이스(30)는 각 학년별, 난이도별, 문제영역별로 세분하여 실력테스트용 문제와 담당 강사들이 매일 업데이트하여 제출한 문제로 이루어지고, 학습내역 데이터베이스(44)는 학습자의 학습결과, 즉 학습수준 평가 및 분석 데이터 등이 저장 관리된다.The learning problem database 30 is divided into grades, difficulty levels, and problem areas, and consists of skills test problems and problems submitted by the instructor every day. The learning history database 44 includes learner's learning results, that is, learning. Level evaluation and analysis data are stored and managed.

학습 관리 서버(20)는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한 각각의 회원 정보를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40)에서 읽어들여 개개인의 수학능력과 학습진도 현황에 적합한 문제를 학습문제 데이터베이스(30)에서 독출하여 학습자 단말기(10)로 전송하며,학습자와 강사간의 문제풀이 학습 서비스, 강사 커뮤니티 서비스, 학습자 커뮤니티 서비스, 학부모 커뮤니티 서비스, 모의고사 서비스, 교육정보제공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reads each member information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from the member information database 40 and reads out a problem suitable for an individual's mathematics ability and learning progress from the learning problem database 30 to learner terminals ( 10) and provides problem-solving learning services, instructor community services, learner community services, parent community services, mock test services, and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여기서, 문제풀이 학습 서비스시 제공되는 문제풀이 학습 프로그램은 각 단계별로 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강사가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컨텐츠들을 선별하여 제공할 수도 있는데, 이때 학습 관리 서버(20)는 학습자의 학습패턴 및 학습수준, 학습자의 성취도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강사에게 제공하고, 강사는 다시 이를 기반으로 하여 학습자에게 맞는 문제풀이 학습 프로그램중 해당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강사와 학습자간에 맞춤 교육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각 학습자는 실제 강사의 도움없이도 학습 관리 서버(20)에 접속하여 인터넷 통신을 통해 문제풀이 학습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한 일대일 혹은 일대다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는 사이버 강사에 의한 문제풀이 학습 프로그램의 강의를 염두해 둔 것이다.Here, the problem solving learning program provided in the problem solving learning service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selected by the learner in each step. However, the instructor may select and provide contents suitable for the learner's level, wherei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scientifically analyzes the learner's learning pattern and learning level, the learner's achievement, and provides the instructor again. Based on this, it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customized education service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by providing the corresponding contents of the problem solving learning program suitable for the learner. In addition, each learner may be provided with a one-to-one or one-to-many education service based on a problem-solving learning program through internet communication by accessing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without the help of an actual instructor. This is in mind the lecture of problem solving learning program by cyber instructor.

상기 문제풀이 학습 프로그램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problem solving learning program in more detail as follows.

문제풀이 학습 프로그램은 유아부터 고등 학생들에게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층에게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각 수준별로 나눠진 다양한 학습 능력 개발 프로그램 등을 모두 활용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풀이 학습 프로그램은 신세대 학습자들이 기존의 책을 이용한 딱딱한 학습 습관에서 벗어나 학습자들이 좋아하는 컴퓨터 게임처럼 공부를 즐겁고 재미난 형태의 학습으로 변환시켜 지루함을 덜어줄 뿐만 아니라, 속독, 속산, 논리, 집중, 기억, 추리 향상을 통한 학습자들의 능력개발에 놀라울 정도로 기여할 것이다.The problem-solving learning program can be applied to all age groups, from young children to high school students. To this end, the program will utilize various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programs divided by each level. This problem-solving learning program will not only relieve boredom by transforming the study into a fun and entertaining form of learning like a computer game that the new generation learners are free from the traditional learning habits of books. It will also contribute surprisingly to the development of learners' skills through improved memory, memory, and reasoning.

학습 관리 서버(20)에서 학습문제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문제를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제공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우선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인터넷 등을 통해 문제풀이 학습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한 학습자와 강사간의 일대일 교육 서비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method of providing the problem stored in the learning problem database 30 i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First, the problem solving learning program through the Internet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Explain in more detail one-to-one educational services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일대일 교육 서비스는 인터넷으로 문제풀이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교육 서비스로서, 학습자들이 인터넷 등을 통해 학습 관리 서버(20)에 접속하여 문제풀이 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지능개발 및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이때, 학습자들에게 도움을 줄 강사는 실제 내부 혹은 외부의 강사 뿐만 아니라, 인터넷상의 사이버 강사일 수도 있다.One-to-one education service is a customized education service that allows a problem solving learning program to be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The learners access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through the Internet to improve the intelligence development and learning ability through the problem solving learning program. Say the process. In this case, the instructor to help the learners may be cyber instructors on the Internet as well as actual internal or external instructors.

이러한 일대일 교육 서비스에서, 강사는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컨텐츠들을 선별하여 제공하고, 이때 학습 관리 서버(20)는 학습자의 학습패턴 및 학습수준, 학습자의 성취도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강사에 제공함으로써 강사와 학습자간에 인터넷 통신을 통한 일대일 눈높이 교육 및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In this one-to-one education service, the instructor selects and provides contents suitable for the learner's level, and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provides the instructor by scientifically analyzing the learner's learning pattern and learning level and the learner's achievement. To enable one-to-one eye level education and learning through internet communication among learners.

이를 위해서, 강사가 학습 관리 서버(20)에 강의하고자 하는 문제풀이 학습 프로그램의 강좌를 개설하면, 학습자는 자신의 단말기(10)로 인터넷을 통해 학스 관리 서버(20)에 접속하여 개설된 강좌중에서 원하는 강사에게 수강 신청하고 원하는 시간대에 자신의 단말기(10)를 이용하여 문제풀이 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지능개발 및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o this end, when an instructor opens a course of a problem-solving learning program that the lecturer wants to lecture o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the learner connects to the school management server 20 through the Internet through his or her terminal 10. Enroll in a lecturer of your choice and use your own terminal 10 at your desired time to improve your intelligence and learning skills through a problem-solving learning program.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강사는 실제 내부 혹은 외부의 강사, 인터넷상의 사이버 강사가 될 수 있으며, 어느 경우라도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때, 외부 강사인 경우에는 외부의 강사가 자신의 단말기(10)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자신의 이력을 학습 관리 서버(20)에 등록하며, 인터넷을 통해 자신의 현재 위치에서 개설된 문제풀이 학습 프로그램을 수강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강의내용을 교육할 수 있다.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instructor may be a real instructor inside or outside, a cyber instructor on the Internet, and in any case, it is obvious that the same effect may be achieved. At this time, in the case of an external instructor, an external instructor accesses the Internet through his terminal 10 and registers his / her history i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and a problem solving learning program opened at his current location through the Internet. You can educate the learner who wants to take the course.

만약, 강사와 학습자간에 강의시간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인터넷을 통해 강의 수강을 요구한 학습자에게 녹화된 강의내용을 전송할 수도 있다.If the lecture time does not match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the recorded lecture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learner who requested the lecture.

이러한 일대일 교육 서비스는 가상공간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교육하고 학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가상공간에서 일대일 사이버 학습시스템을 통해 강사와 학습자간에 서로 교육계약을 체결하여, 강사는 학습자의 눈높이에 맞는 문제풀이 학습 프로그램의 해당 컨텐츠를 선정하여 학습자에게 제시하고, 학습자가 강사가 선정한 문제를 풀어서 제출하면 학습 관리 서버(20)에서 답안을 채점하고 학습자의 약점(취약점 등)을 분석하여 학습내역 데이터베이스(44)에 학습자별로 저장한 후 강사에게 통보한다. 이때, 강사는 학습 관리 서버(20)가 제출한 자료를 토대로 학습자를 지도하고 학사 관리를 할 수 있다.This one-to-one education service is to enable education and learning in the virtual space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and instructs the education contract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through the one-to-one cyber learning system in the virtual space, and the instructor fits the learner's eye level. After selecting the relevant contents of the problem-solving learning program and presenting them to the learners, the learner solves the questions selected by the instructor, and submits the scores i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to analyze the learner's weaknesses (weaknesses, etc.) and analyze the learning history database ( After saving by learner in 44), notify the instructor. In this case, the instructor may guide the learner and manage the degree based on the data submitted by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이러한 일대일 교육 서비스 외에도, 일대다의 교육 서비스가 가능한데, 이는 강사들이 학습 관리 서버(20)를 통하여 교육에 필요한 강좌를 개설하면, 학습자(수강자)들이 인터넷의 접속을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강의를 원하는 시간에 신청하여 통신을 통한 원격 영상 강의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다.In addition to such one-to-one education service, one-to-many education service is possible. When instructors open courses necessary for education through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learners (students) want to take their desired lectures through the Internet. It is a way to receive a remote video lecture through communication by applying to.

여기에서는, 소그룹 단위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강사와 학습자의 화상을 직접 볼 수 있도록 하고, 사운드 카드를 통하여 강의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하여 강사와 학습자간의 대화식 강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사가 대단위 그룹의 다수의 학습자에게 한 방향으로 브로트캐스팅 방식으로 강의하며, 강의한 내용에 대해서는 우편, 전화, 메일, 팩스 등으로 질문을 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Here, it is desirable to provide an interactive lecture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by directly viewing the images of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displayed on the monitor in small groups, and outputting the lecture contents through a sound card. In addition, the instructor lectures in a single direction to a large number of learners in a large group, and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questions by mail, phone, mail, or fax.

한편, 강사 커뮤니티 서비스로는 강사들끼리의 커뮤니티를 제공하고, 같은 학습자군을 대상으로 하는 강사들끼리의 커뮤니티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structor community service provides a community of instructors, and provides a community of instructors for the same learner population.

다른 한편, 학습자 커뮤니티 서비스로는 학습자간에 수험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회원자격을 획득한 학습자는 특별한 규제없이 학습자 커뮤니티에 속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earner community service allows the exchange of examinee information between learners. Learners who qualify for membership can belong to the learner community without special restrictions.

또 다른 한편, 모의고사 서비스로는 모의고사 시스템을 통해 주기적인 일정에 따라서 혹은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모의고사를 제공하고, 전국석차 및 각 문제별 정답률, 오답경향 등을 제공해 준다.On the other hand, the mock test service provides the mock test according to the periodic schedule or the learner's demand through the mock test system, and provides the national ranking,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each problem, and the tendency of incorrect answers.

커뮤니티 내부 정보는 보안시스템에 의하여 유지된다.Community internal information is maintained by the security system.

그럼, 학습 관리 서버(20)가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한 각각의 회원 정보를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40)에서 읽어들여 개개인의 수학능력과 학습진도 현황에 적합한 문제를 학습문제 데이터베이스(30)에서 독출하여 학습자 단말기(10)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아울러 경보상황 및 이에 대한 학습대책을 전달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The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reads each member information accessed through the Internet from the member information database 40 to read a problem suitable for the individual's mathematics ability and learning progress in the learning problem database 30 to learner. A process of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10 will be described, and a process of delivering an alarm situation and a learning countermeasure thereof will be described.

학습 관리 서버(20)는 사용자의 각종 성적 유형이나 결과에 따른 데이터를학습내역 데이터베이스(44)에 누적 저장하여 평균치가 산출되면 사용자의 능력에 맞는 등급(문제 출제 난이도, 적정 학습량, 부진한 과목이나 약점이 있는 문제 유형에 따른 클리닉과정, 출제 확률별 자료 제공)을 설정하고, 여기에 맞게 자동적으로 일간, 주간, 월간 단위로 학습 목표량과 학습 일정을 학습자의 단말기(10)로 제시하고, 이때 학습자가 자신에게 맞게 고칠 수도 있게 해주고, 이러한 모든 상황을 학부모의 단말기(10)로도 통보하여 원할 경우 언제든지 학습자의 상태를 알고 상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렇게 학습 일정에 맞춰 학습하는 과정에 따라 사용자의 학습 결과, 학습성향, 학습 일정 이행 충실도, 성적, 전체 등위가 자동으로 통계 처리되어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accumulates and stores data according to the user's various grade types or results in the learning history database 44, and when the average value is calculated, a grade corresponding to the user's ability (problem level of difficulty, appropriate learning amount, sluggish subject or weakness) Clinic course, the data provided by the probabilities of ques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problem) and automatically present the learning target amount and the learning schedule on a daily, weekly and monthly basis to the learner's terminal (10). It is also possible to modify it to suit their own situation, and notify all of these situations to the parent terminal 10 so that the learner's status can be known and consulted at any time if desir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learning schedule, the user's learning results, learning disposition, fidelity of the implementation schedule, grades, and overall ranking are automatically statistically processed to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그리고, 학습 관리 서버(20)는 학습자의 성적 정도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게 하거나, 학습자의 성적변화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이의 변화 추세를 분석하여, 정도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여 학습자, 학부모, 강사의 단말기(10)로 통보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의 성적변화의 주기적 연속성의 지속 횟수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여 통보할 수 있다. 즉, 학습 관리 서버(20)는 특정 횟수만큼 연속적으로 성적이 하락하거나 학습일정 목표를 일정기간, 일정 퍼센트만큼 미달하면, 경보 신호를 선택적으로 혹은 자동으로 학부모나 교사, 학습자에게 인터넷, 전화, 핸드폰, 팩스를 포함한 각종 통신기기(10)를 통해 통보한다. 또한, 학습 관리 서버(20)는 학습자의 성적변화를 절대 성적과 학습자가 속한 그룹의 수준에 따른 상대 성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이의 변화 추세를 분석하여, 하락 그래프 추세(즉, 하락 정도)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여 학습자, 학부모, 강사의 단말기(10)로 통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may change the alarm grade according to the learner's grade level, periodically check the learner's grade change, analyze the change trend thereof, and change the grade of the alarm according to the grader to learners and parents. Can be notified to the terminal 10 of the instructor.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the continuity of the cyclical continuity of the learner's grade change, the alert level can be notified differently. That is,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continuously alerts parents, teachers, or learners to the Internet, telephone, or cell phone selectively or automatically when the grade is continuously dropped by a certain number of times or when the learning schedule goal is missed by a certain period or a certain percentage. Notify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devices 10, including fax. In additio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compares the learner's grade change with the absolute grade and the relative grad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group to which the learner belongs and analyzes the change trend thereof, and alerts according to the down graph trend (that is, the degree of the drop). Different grades can be notified to the terminal 10 of the learner, parents, and instructor.

또한, 학습 관리 서버(20)는 인터넷을 통하여 숙제를 출제하거나 검사할 수 있고, 채점과 성적 처리 및 통보를 인터넷을 통해 달성한다. 또한, 학습자에 성적변화 통계 수치와 그에 따른 대책이나 상담이 학습자, 학부모, 교사, 학원이나 학교 관리자, 가상 학원이나 학교의 교사 및 관리자와 유무선 통신기기(10)를 통해 통보되고 유기적으로 관리된다.In additio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may question or test homework through the Internet, and achieve scoring and grade processing and notification through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learner's grade change statistics and the corresponding measures or counseling is notified and organically managed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with the learner, parents, teachers, academy or school administrators, virtual schools or schools teachers and administrators.

또한, 학습 관리 서버(20)는 학습자의 과목별, 단원별 성적통계를 학습내역 데이터베이스(44)에 저장하여, 반 평균 대비, 전체평균 대비 성적을 비교하고 학습자 수준대비 경보 수준을 다단계로 구분하여 학습자 수준대비 기대치 성적보다 낮은 성적이 나온 과목에 대해 단원별 경보를 제시(다단계 제시 가능)함으로써, 학습자가 일정 과목이나 단원별 학습내용이나 문제를 재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stores the learner's subject and unit statistic statistics in the learning history database 44 to compare the grades against the half average, the total average, and classify the learner's level against the alarm level in multiple stages. Unit-level alerts (multiple levels of presentation) are available for subjects with lower grades than expected grades, allowing learners to relearn a subject or unit of study or problem.

또한, 학습 관리 서버(20)는 학습자들이 문제를 푼 결과를 강사 혹은 교사에게 제공하여, 강사 혹은 교사가 수업시간이나 인터넷 강의시간에 오답률이 높은 문제를 중심으로 개념설명 및 문제풀이를 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가 오답률이 높은 문제를 중심으로 재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provides the result of the learners solved the problem to the instructor or teacher, so that the instructor or teacher to explain the concept and solve the problem mainly on the problem of high inaccuracy rate in class or internet lecture time, Allows learners to relearn around problems with high incorrect rates.

또한, 학습 관리 서버(20)는 월간별, 주간별, 일간별 학습 일정을 짜고, 그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학습 내용, 문제를 학습자의 단말기(10)로 전달하여 학습자가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학습자들은 자신들이 반드시 해야 할 학습 일정을 잊지 않고 필요한 시기에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forms a monthly, weekly, daily learning schedule, and when the time is automatically delivered to the learner's terminal 10, the learner to learn to learn. This allows learners to do what they need to when they need it without forgetting their learning schedules.

또한, 학습 관리 서버(20)는 학습을 싫어하여 아무런 계획을 세우지 않는 학습자들에 대해 강사나 학부모가 학습 일정 짜기에 개입할 수 있도록 하여, 숙제나 과제물을 부과하고 그 일정이 학습자의 일정표에 노출되어 이를 인지하고 이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allows the instructor or the parent to intervene in the learning schedule for learners who do not plan because they do not like learning, impose homework or assignments, and the schedule is exposed to the learner's schedule.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and implemented.

또한, 학습 관리 서버(20)는 학습자가 학습내용, 단어 숙어 암기, 문제풀이 등을 학습함에 있어, 틀린 단어숙어나 학습개념이나 내용, 틀린 문제 등을 주기적으로 알 때까지 반복적으로 노출시켜 암기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중요한 핵심 내용들을 잊지 않고 평생 기억하게 된다. 이 방식은 인지 심리학자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이론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는데, 그는 인간은 단락지어서 24회 반복해서 외운 것은 평생 잊어버리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단, 지능이 높고 기억력이 좋은 사람은 좀 더 반복횟수가 적더라도 잊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학습자가 일단 암기한 내용이라도 나중에 다시 잊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학습 관리 서버(20)는 학습자가 일단 암기한 학습 내용, 단어 숙어 등도 일정 기간이 지나면 다시 학습 일정에 포함시켜 문제로 노출시켜 다시 암기 여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repeatedly learns and memorizes wrong word idioms, learning concepts or contents, wrong problems, and the like in the learning contents, memorizing word idioms, problem solving, and so on. do. In this process, learners will remember important lifelong memories. This can be found in the theory of oblivion curves of cognitive psychologist Ebbinghouse, who argued that humans never forget the 24 times they memorized. However, people with high intelligence and good memory can forget even if the number of repetitions is less. In general, since the learner may forget the memorized contents later,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also includes the learning contents, the word idioms, etc., which the learner once memorized, is included in the learning schedule agai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exposed as a problem again. Allows you to check for memorization.

또한, 학습 관리 서버(20)는 학습자가 틀린 학습내용을 대표하는 핵심 개념어나 단어 숙어를 굵은 글자로 표시하거나 깜박깜박하여 학습자의 기억을 상기시키거나 주의 집중시켜, 그 학습개념이나 단어 숙어를 잊지 않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reminds or concentrates the learner's memory by displaying or blinking the key conceptual words or word idioms representing the wrong learning contents in bold letters, and forgetting the learning concept or word idioms. It can help you avoid that.

또한, 학습 관리 서버(20)는 학습자가 시험직전 한달 전, 2주 전, 1주 전, 3일 전, 하루 전 등의 기간에 따라 그 동안의 학습 내용 중 자주 틀렸던 학습 내용이나 개념, 단어 숙어 등을 틀린 빈도에 따라 자주 틀린 내용을 주기에 맞추어 반복하여 학습하게 하거나, 시험직전일수록 자주 틀렸던 정도가 심한 내용을 배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학습자는 효과적으로 시험에 대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학습 관리 서버(20)는 기존의 시험 문제들을 분석하여 출제 빈도가 높았던 핵심 개념, 학습 내용, 문제들을 그 빈출 정도에 따라 자주 반복해서 출제하고, 시험 직전 시기에는 반드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is a learner, learning, concepts, word idioms that are frequently wrong among the learning content during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period of one month before, two weeks before, one week before, three days before, the day before the test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the wrong frequency, you can frequently learn to repeat the wrong content in cycles, or just before the test, you can arrange the content of the more severely wrong. By doing this, learners can effectively prepare for the test. In additio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may analyze the existing test questions frequently and repeatedly answer the core concepts, learning contents, and questions that have a high frequency of questions,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frequent questions, and may be exposed at the time immediately before the test.

한편, 학습의 극대화를 위하여, 학습 관리 서버(20)는 학습 문제를 맞추면 캐릭터가 즐거운 반응(언어, 행동이나 음성으로 표현가능)을 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학습 문제를 맞추면 자신의 캐릭터에 맞은 점수에 비례하여 옷이나 악세사리, 헤어스타일 등에 치장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아울러, 학습 문제를 맞추면 게임이나 퀴즈 형태, 혹은 상금이나 경품을 탈 수 있는 네트워크 게임이나 퀴즈 대회 등에 한번 또는 그 이상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aximize the learning,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may allow the character to have a pleasant reaction (expression in language, behavior or voice) if the learning problem is matched, and if the learning problem is matched, the score corresponding to his character. In proportion to clothing, accessories, and hairstyles can also be worn. In addition, when learning problems are matched, the effect of learning can be doubled by allowing one or more times to participate in a game or quiz form, a network game or a quiz competition where prizes or prizes can be w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정 관리를 통한 학습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2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learning management method through schedul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학습 관리 서버(20)는 학습자가 스스로 월간별, 주간별, 일간별 학습 일정을 수립하도록 하고 그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학습 내용, 문제를 학습자의 단말기(10)로 전달하여 학습자가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학습을 싫어하여 아무런 계획을 세우지 않는 학습자들에 대해 강사나 학부모가 학습 일정 짜기에 개입할 수 있도록 하여, 숙제나 과제물을 부과하고 그 일정이 학습자의 일정표에 노출되어 이를인지하고 이행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학습 관리 서버(20) 자체에서 학습내역 데이터베이스(44)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학습 결과(학업 성취도)에 따라 월간별, 주간별, 일간별 학습 일정을 자동으로 수립하여 그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학습 내용, 문제를 학습자의 단말기(10)로 전달할 수도 있다.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allows the learner to establish a monthly, weekly, daily learning schedule by itself, and automatically delivers the learning content and the problem to the learner's terminal 10 at that time so that the learner can learn. do. At this time, instructors or parents can intervene in learning schedules for learners who do not plan because they do not want to learn, impose homework or assignments, and the schedule is exposed to the learner's schedule to recognize and implement it. Make sure Of course, based on the learning history database 44 i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itself automatically establish a monthly, weekly, daily learning schedule according to the learner's learning results (study achievement) automatically at that time The learning content and the problem may be transmitted to the learner's terminal 10.

일정관리에 따라 혹은 이와는 무관하게 자발적으로, 학습을 제공받고자 하는 학습자는 인터넷을 통해 학습 관리 서버(20)에 접속하게 된다(201). 이때, 학습 관리 서버(20)는 접속한 학습자에게 회원여부를 묻게 된다(202). 이때, 만약 학습자가 회원의 고유코드와 패스워드를 입력한 경우에는 접속을 허용하고, 학습자가 학습 관리 서버(20)에 처음 접속하거나 또는 회원으로 가입하지 않은 경우에는 회원가입 신청양식을 전송하여 회원가입 절차를 수행하는데, 이때 학습자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이용하여 가입신청양식을 작성하여 학습 관리 서버(20)로 전송하면 해당 정보를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게 된다(203).In accordance with the schedule management or not, spontaneously, the learner who wants to receive the learning is connected to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through the Internet (201). At this time,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asks whether the learner has access to the membership (202). In this case, if the learner enters the member's unique code and password, the access is allowed, and if the learner first accesses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or does not register as a member, the member is transmitted by sending a membership application form. In this case, the learner fills out a subscription application form using a keyboard and a mous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to stor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the member information database 40 (203).

여기서,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40)에는 강사를 분류하고 강사별로 학습자를 분류하여 기록할 수 있고, 또한 학부모에게도 고유코드를 부여하여 학부모가 고유코드로 학습 관리 서버(20)에 접속해 학습자의 학습 결과(학업 성취도)를 인식할 수도 있고, 학습자에게만 고유코드를 부여하여 학습결과(학업 성취도)를 해당 학습자의 학부모, 강사에게 알리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Here, the member information database 40 can classify instructors and classify learners by instructor and record the learners, and also assign a unique code to parents so that parents access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with a unique code to learner's learning results. (Academic Achievement) can be recognized, or a unique code can be assigned only to learners to inform the learner's parents and instructors of the results.

이후, 회원으로 인정된 학습자의 정보를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40)로부터 읽어 들인다(204). 이때, 읽어 들이는 정보는 회원의 학습내역 데이터베이스(44)로부터 학습자의 학습 결과(학업 성취도) 등의 정보이다.Thereafter, the learner's information recognized as a member is read from the member information database 40 (204).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to be read is information such as learner's learning result (academic achievement) from the member's learning history database 44.

다음으로, 학습자의 학습 결과(학업 성취도)에 맞는 학습 문제를 학습문제 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읽어들여 학습자의 단말기(10)로 전송한다(205). 이때, 전송되는 문제풀이 정보에는 난이도별로 설정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학습 문제 소정 부위에 광고가 삽입될 수도 있다.Next, the learning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learner's learning result (academic achievement) is read from the learning problem database 30 and transmitted to the learner's terminal 10 (205). In this case, the transmitted problem solving information includes time information set for each difficulty level. Of course, in some cases, an advertisement may be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a learning problem.

이어서, 학습 관리 서버(20)는 학습자가 마우스 또는 키보드, 키패드 등을 통해서 입력한 답안을 수신한다(206). 이때, 학습자에게 전송된 문제풀이 정보에는 난이도별로 설정된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해당 학습 문제에 설정된 시간의 경과여부를 체크하여 무효 또는 유효처리 할 수 있다.Next,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receives an answer input by the learner through a mouse, a keyboard, a keypad, or the like (206). In this case, since the problem solv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learner may include time information set for each difficulty level, in this case, it may be invalid or valid by checking whether the time set for the corresponding learning problem has elapsed.

이후에, 해당 학습 문제에 대한 유효한 답안 정보를 채점하여 그 결과를 분석한 후 학습내역 데이터베이스(44)에 저장해 둔다(207).Subsequently, valid answer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learning problem is scored and the result is analyzed and stored in the learning history database 44 (207).

이때, 학습내역 데이터베이스(44)에 저장된 학습자의 학습 결과(학업 성취도)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게 하거나, 학습자의 성적변화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이의 변화 추세를 분석하여, 정도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여 학습자, 학부모, 강사의 단말기(10)로 통보한다. 또한, 학습자의 성적변화의 주기적 연속성의 지속 횟수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여 통보한다(208).At this time, the alarm grad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learner's learning result (academic achievement) stored in the learning history database 44, or the learner's grade change is periodically checked, and the change trend is analyzed to determine the alarm grade according to the degree. Otherwise, the terminal 10 of the learner, the parent, the instructor is notifi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continuity of the periodic continuity of the learner's grade change, the alarm level is notified differently (208).

즉, 학습 관리 서버(20)는 특정 횟수만큼 연속적으로 성적이 하락하거나 학습일정 목표를 일정기간, 일정 퍼센트만큼 미달하면, 경보 신호를 선택적으로 혹은 자동으로 학부모나 교사, 학습자에게 인터넷, 전화, 핸드폰, 팩스를 포함한 각종 통신기기(10)를 통해 통보한다. 또한, 학습 관리 서버(20)는 학습자의 성적변화를 절대 성적과 학습자가 속한 그룹의 수준에 따른 상대 성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이의변화 추세를 분석하여, 하락 그래프 추세(즉, 하락 정도)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여 학습자, 학부모, 강사의 단말기(10)로 통보한다. 또한, 학습 관리 서버(20)는 학습자의 과목별, 단원별 성적통계를 학습내역 데이터베이스(44)에 저장하여, 반 평균 대비, 전체평균 대비 성적을 비교하고 학습자 수준대비 경보 수준을 다단계로 구분하여 학습자 수준대비 기대치 성적보다 낮은 성적이 나온 과목에 대해 단원별 경보를 제시(다단계 제시 가능)한다. 또한, 학습 관리 서버(20)는 학습자들이 문제를 푼 결과를 강사 혹은 교사에게 제공하여, 강사 혹은 교사가 수업시간이나 인터넷 강의시간에 오답률이 높은 문제를 중심으로 개념설명 및 문제풀이를 하도록 한다.That is,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continuously alerts parents, teachers, or learners to the Internet, telephone, or cell phone selectively or automatically when the grade is continuously dropped by a certain number of times or when the learning schedule goal is missed by a certain period or a certain percentage. Notify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devices 10, including fax. In additio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compares the learner's grade change with the absolute grade and the relative grad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group to which the learner belongs and analyzes the change trend thereof, and alerts according to the down graph trend (that is, the degree of the drop). Notify the terminal 10 of learners, parents, and instructors by varying the grade. In additio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stores the learner's subject and unit statistic statistics in the learning history database 44 to compare the grades against the half average, the total average, and classify the learner's level against the alarm level in multiple stages. Give unit warnings (multi-level presentations) for subjects with grades below expectations. In additio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provides the instructor or the teacher with the results of the learners solve the problem, so that the instructor or teacher to explain the concept and solve the problem mainly on the problem of high inaccuracy rate in class or Internet lectur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D-ROM,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etc.).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학습자의 학습 일정을 관리하고, 학습 일정에 따라 학습한 학습자의 성적변화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학업 성취도에 따른 단계적인 경보상황을 학습자, 교사, 학부모에게 전달하고 총체적인 학습대책을 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학습 관리 및 학습 습관 유지에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the learner's learning schedule, statistically analyzes the change of the learner's learning according to the learning schedule, and delivers a step-by-step warning situation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to the learner, the teacher, and the parent, and the overall learning. By suggesting countermeasures, it is effective for effective learning management and maintaining learning habits.

Claims (11)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 적용되는 학습 관리 방법에 있어서,In the learning management method applied to the online learning system, 학습 관리 서버가 학습자의 이전 학습결과(학업 성취도)를 바탕으로 학습자별로 학습 일정을 관리하는 제 1 단계;A first step of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managing a learning schedule for each learner based on the learner's previous learning results (academic achievement); 개별 학습 일정에 따라, 해당 학습자에게 맞는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제 2 단계;Providing a learning material suitable for the learner according to an individual learning schedule; 해당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학업 성취도를 작성하는 제 3 단계; 및A third step of statistically analyzing a learner's learning result and preparing academic achievement; And 상기 학업 성취도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여, 학습 대책과 함께 해당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제 4 단계The fourth step of presenting to the learner along with the learning measures by varying the alarm level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를 포함하는 일정 관리를 통한 학습 관리 방법.Learning management method through schedule management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3 단계 수행후에, 상기 학업 성취도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여, 학습 대책과 함께 해당 학습자 및 해당 학습자의 학부모에게 동시에 제시하는 제 4 단계After performing the third step, the fourth step of presenting to the learner and the parent of the learner at the same time with the learning measures by varying the alarm level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를 더 포함하는 일정 관리를 통한 학습 관리 방법.Learning management method through the schedule management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3 단계 수행후에, 상기 학업 성취도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여, 학습 대책과 함께 해당 학습자, 해당 학습자의 강사 및 학부모에게 동시에 제시하는 제 4 단계After performing the third step, the fourth step of presenting to the learner, the instructor and the parent of the learner at the same time with the learning measures by varying the alarm level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를 더 포함하는 일정 관리를 통한 학습 관리 방법.Learning management method through the schedule management further comprising.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경보 경급은,The alarm alert, 학습의 성적 정도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학습 관리 서버가 학습자의 성적변화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이의 변화 추세를 분석하여 정도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를 통한 학습 관리 방법.It depends on the grade of learning, learning management method through the schedule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periodically checks the grade change of the learner and analyzes the change trend thereof, the alarm grade according to the degre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경보 등급은,The alarm class is, 학습자의 성적변화의 주기적 연속성의 지속 횟수에 따라 달리하며, 상기 학습 관리 서버가 학습자의 성적변화를 절대성적과 학습자가 속한 그룹의 수준에 따른 상대성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이의 변화 추세를 분석하여, 하락 그래프 추세(하락 정도)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를 통한 학습 관리 방법.It depends on the number of times the continuity of the learners' cyclical continuity, and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compares the learner's grades with the absolute grad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group to which the learners belong, and analyzes the change trends. Learning management method through the schedule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alarm leve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graph trend (degree of fall).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학습대책에는,In the above measures, 인터넷을 통한 숙제 출제 및 검사, 채점과 각종 성적 처리 및 통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를 통한 학습 관리 방법.The method of learning management through schedule management, which includes homework assignment and inspection through the Internet, grading and various grade processing and notifica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학습대책은,The learning measures, 학습자에 성적변화 통계 수치와 그에 따른 대책이나 상담이 학습자, 학부모, 교사, 학원이나 학교 관리자, 가상 학원이나 학교의 교사 및 관리자와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통보되고 유기적으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를 통한 학습 관리 방법.Schedule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tistics change statistics and the corresponding measures or counseling to learners are notified and organically managed throug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with learners, parents, teachers, academy or school administrators, teachers and administrators of a virtual school or school How to manage learning through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학습대책은,The learning measures, 상기 학습 관리 서버가 학습자의 과목별, 단원별 성적통계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반 평균 대비, 전체 평균 대비 성적을 비교해 학습자 수준대비 경보 수준을 다단계로 구분하여 학습자 수준대비 기대치 성적보다 낮은 성적이 나온 과목에 대해, 단원별 경보를 제시(다단계 제시가능)하여 일정 과목이나 단원별 학습내용이나 문제를 재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를 통한 학습 관리 방법.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stores the learner's subject and unit grade statistics in a database, and compares the grades against the class average and the overall average to classify the alert level against the learner's level in multiple stages. The learning management method through the schedule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 showing the unit-by-unit alerts (possible to present in multiple stages) to re-learn a certain subject or unit learning content or problems. 프로세서를 구비한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In the online learning system equipped with a processor, 학습 관리 서버가 학습자의 이전 학습결과(학업 성취도)를 바탕으로 학습자별로 학습 일정을 관리하는 제 1 기능;A first function of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managing a learning schedule for each learner based on a learner's previous learning results (academic achievement); 개별 학습 일정에 따라, 해당 학습자에게 맞는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제 2 기능;A second function of providing learning material suitable for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individual learning schedule; 해당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학업 성취도를 작성하는 제 3 기능; 및A third function of statistically analyzing the learning results of the learner to create academic achievement; And 상기 학업 성취도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여, 학습 대책과 함께 해당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제 4 기능Fourth function to present to the learner along with the learning measures by varying the alarm grade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is.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 3 기능 수행후에, 상기 학업 성취도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여, 학습 대책과 함께 해당 학습자 및 해당 학습자의 학부모에게 동시에 제시하는 제 4 기능After performing the third function, the fourth function of presenting to the learner and the parent of the learner at the same time with the learning measures by varying the alarm level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for further realization.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 3 기능 수행후에, 상기 학업 성취도에 따라 경보 등급을 달리하여, 학습 대책과 함께 해당 학습자, 해당 학습자의 강사 및 학부모에게 동시에 제시하는 제 4 기능After performing the third function, the fourth function of presenting to the learner, the instructor and the parent of the learner at the same time with the learning measures by varying the alarm level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for further realization.
KR1020020063948A 2001-10-19 2002-10-18 Studying management method through schedule administration KR2003003289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64814 2001-10-19
KR1020010064814 2001-10-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895A true KR20030032895A (en) 2003-04-26

Family

ID=29565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948A KR20030032895A (en) 2001-10-19 2002-10-18 Studying management method through schedule administ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289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791B1 (en) * 2012-04-17 2014-12-23 주이스 주식회사 A Remote Education System using Push Nortifica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1583185B1 (en) * 2015-03-18 2016-01-06 주식회사 세인엔씨에스 Scholarship provides a method according to an online course delivery and course confirm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340A (en) * 2000-11-24 2001-02-05 유용현 system for educate/ability estimate by internet multimedia and thereof method
KR20020018322A (en) * 2000-09-01 2002-03-08 김문호 Analyzing method for achievement test using internet
KR20020030305A (en) * 2000-10-17 2002-04-25 김영이 The education method and equipment by individuality which makes use of internet
KR20020034378A (en) * 2000-11-01 2002-05-09 이성열 Method for education using of computer network,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recording the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322A (en) * 2000-09-01 2002-03-08 김문호 Analyzing method for achievement test using internet
KR20020030305A (en) * 2000-10-17 2002-04-25 김영이 The education method and equipment by individuality which makes use of internet
KR20020034378A (en) * 2000-11-01 2002-05-09 이성열 Method for education using of computer network,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recording the method
KR20010008340A (en) * 2000-11-24 2001-02-05 유용현 system for educate/ability estimate by internet multimedia and thereof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791B1 (en) * 2012-04-17 2014-12-23 주이스 주식회사 A Remote Education System using Push Nortifica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1583185B1 (en) * 2015-03-18 2016-01-06 주식회사 세인엔씨에스 Scholarship provides a method according to an online course delivery and course confi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vo et al. Understanding how university student perceptions of resources affect technology acceptance in online learning courses
Borup et al. The nature of teacher engagement at an online high school
Uğur et al. Students’ opinions on blended learning and its implementation in terms of their learning styles
Demirbilek Investigating attitudes of adult educators towards educational mobile media and games in eight European countries
Burnett et al. Use of the social cognitive theory to fram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cheating
Ku Extend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using perceived user resources in higher education web-based online learning courses
Marković et al. Adaptive distance learning and testing system
Cao et al. Apprais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on the teaching process by neuro fuzzy logic
Calhoun et al. Utilizing online learning communities in student affairs
Balçikanli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ing on pre-service english teachersmetacognitive awareness and teaching practice
Wang et al. Three social classroom applications to improve student attitudes
Hanif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in Iconic Mobile Learning System in English Cross-Disciplined Program.
Sachar et al. Addressing misperceptions of underprepared students: A case study at a public American university
Black Understanding how perceptions of power and identity influence student engagement and teaching in undergraduate art history survey courses
Ramsey A qualitative study: Perception of preschool teachers use of technology in preparing for school readiness
Oksana et al. Problems and Prospects of Formation of Digital Competence of Future Scientific and Pedagogical Worker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 Gamification: Opportunities Kahoot, Quizlet in the European Union.
Whiting New perspectives on open and distance learning for adult audiences
KR20030032895A (en) Studying management method through schedule administration
Soepriyanto et al. Learning computer network through webquest
Xiong et al. Design of online learning mobile APP for the elderly based on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RCS) motivation model
Jain et al. CS pathways: A culturally responsive computer science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Gill A Study of progression in science process skills during a midwestern public research university’s stem summer camps
Ibrahimi et al. Access and Use of ICTs by Albanian Natural Science Students.
Markovic et al. Web-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with adaptive testing module
Ayisi et al. Access to Digital Media and Digital Literacy among Ghanaian Youth: An Explore, Engage, Empower Model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