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2636A - 원격 통신 관리 네트워크에서의 관리 객체 정보 일치화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통신 관리 네트워크에서의 관리 객체 정보 일치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2636A
KR20030032636A KR1020010064569A KR20010064569A KR20030032636A KR 20030032636 A KR20030032636 A KR 20030032636A KR 1020010064569 A KR1020010064569 A KR 1020010064569A KR 20010064569 A KR20010064569 A KR 20010064569A KR 20030032636 A KR20030032636 A KR 20030032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nagement agent
management
neib
m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봉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머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머큐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머큐리
Priority to KR1020010064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2636A/ko
Publication of KR20030032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63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Standardisation; Integration using relational databases for representation of network management data, e.g. managing via structured query language [SQ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통신 관리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 TMN)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관리 대행자 블록 내에 구성되는 관리 정보 베이스(Management Information Base : MIB)내에 저장되는 관리 객체(Management Object : MO) 정보와 운용 시스템 내의 MO 정보를 일치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관리 대행자는 초기 상태에서 운용 시스템 내의 MO 정보들을 수신하여 이를 관리 정보 베이스(Management Information Base : MIB) 내에 저장하며, 이 후, 관리 대행자가 재 구동할 때에는 운용 시스템으로부터 MO의 연결 정보들만을 수신하여 MIB를 갱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관리 대행자는 관리자로부터 소정 링크의 연결 명령을 운용 시스템에 제공하고, 운용 시스템이 이 명령에 따라 구동하지 않을 때에는 해당 링크의 연결 정보만을 운용 시스템으로 수신하여 MIB를 갱신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TMN의 관리 대행자는 MIB 내의 MO 정보들을 주기적으로 갱신할 필요 없이, MIB 내의 MO 정보와 교환 시스템의 MO 정보가 불일치할 우려가 있을 경우에 한하여 교환 시스템의 MO 정보를 독출하여 MIB 정보를 갱신하므로, 관리 대행자 블록과 교환 시스템간의 통신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격 통신 관리 네트워크에서의 관리 객체 정보 일치화 방법{METHOD FOR CONFORMING MANAGEMENT OBJECT STROED IN MANAGEMENT INFORMATION BASE TO MANAGEMENT OBJECT STORED IN SWITCH SYSTEM}
본 발명은 원격 통신 관리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 TMN)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 대행자의 관리 정보 베이스(Management Information Base : MIB) 내에 저장되는 관리 객체(Management Object : MO) 정보와 운용 시스템 내의 MO 정보를 일치시키는 TMN에서의 MO 일치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MN은 통신망과 서비스에 대한 관리 기능 및 이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제안된 망 관리 구조이다. TMN의 기본 개념은 다양한 종류의 운용 시스템들과 통신 장비 사이에 관리 정보의 교환을 위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TMN에서는 통신망 자원을 관리하기 위해 통신망 자원을 추상화하여 MO라는 것을 정의한다. MO는 각 망 요소 들 내에 존재하는 보드나 포트와 같이 물리적인 장치뿐만 아니라, 연결과 같은 논리적인 장치들을 시스템의 자원으로 관리하기 위해 각 자원들의 특성들을 추상화하여 표현한 것이다.
TMN 체계의 통신 망 관리를 위해 ISO/ITU-T에서는 표준 망 관리 프로토콜인 CMIP(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을 기반으로 한 TMN 권고안을 제정하고 있으며, 대규모의 종합 정보 통신망을 운용하고 있는 공중 통신망(Public Telecommunication Network)에서는 ISO/ITU-T의 TMN 체제를 기반으로 한 통신망 관리 기능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운용 시스템들 중에서 표준 망 관리 프로토콜이 아닌 비표준 망 관리 프로토콜로 관리되고 있으며, 비표준 망 관리 프로토콜에 의해 관리되는 교환 시스템 등에 TMN을 적용하기 위해서 관리 대행자를 필요로 한다. 관리 대행자는 TMN을 수행하는 관리자와 교환 시스템 사이에 구성되며, 내부에 MIB를 구비한다. MIB에는 교환 시스템의 MO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관리 대행자는 관리자와 표준 망 관리 프로토콜에 의하여 통신하며, 관리자의 MIB 내의 MO 정보에 따라 교환 시스템을 관리한다. 따라서, 관리 대행자와 교환 시스템간의 MO 정보는 일치할 것이 요구되나, 에러 발생 및 기타의 이유로 인하여 이들간의 MO 정보가 불일치할 수 있다. 이러한 불일치를 방지하기 위하여 관리 대행자 내의 MO 정보들을 주기적으로 갱신할 필요가 있다. 즉, 관리 대행자는 교환 시스템 내의 MO 정보를 새로이 취합하여 이를 MIB 내에 새로이 저장함으로써 교환 시스템의 MO정보와 MIB 내의 MO 정보를 일치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 즉, MIB내의 MO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하기 위해서는 관리 대행자와 교환 시스템과 주기적으로 통신을 행하여야 하며, 이러한 통신은 관리 대행자와 교환 시스템간의 MO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도 행하여 지므로 통신 부하가 많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 대행자와 교환 시스템간의 MO 정보를 효과적으로 일치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격 통신 관리 네트워크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 TMN)의 관리 대행자 블록 내에 구성되는관리 정보 베이스(Management Information Base : MIB)내에 저장되는 관리 객체 (Management Object : MO) 정보와 운용 시스템 내의 MO 정보를 일치시키는 상기 관리 대행자 블록 내 관리 대행자의 구동 방법으로서, 초기 구동 시에는 운용 시스템에 상기 관리 개체의 초기 정보들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부응하여 상기 운용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초기 정보들을 상기 MIB에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MIB 내에 상기 초기 정보를 저장한 상태에서 구동을 개시하면, 운용 시스템에 링크들에 대한 연결 정보를 요청하고 운용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링크들의 연결 정보로 상기 MIB 내의 정보를 갱신하는 제 2 단계와; 제 1 및 제 2 단계의 수행 후에 관리자로부터 소정 링크에 대한 연결/해제 명령이 제공되면, 상기 명령을 상기 운용 시스템에 제공하는 제 3 단계와; 운용 시스템이 상기 명령에 따라 작동되지 않으면, 상기 소정 링크에 대한 연결 정보를 상기 운용 시스템에 요청하고, 상기 운용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소정 링크의 연결 정보로 상기 MIB 내에 저장된 상기 소정 링크의 연결 정보를 갱신하는 제 4 단계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 객체 정보 일치화 방법을 행하는 원격 통신 관리 네트워크의 개략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통신 관리 네트워크에서의 관리 객체 정보 일치화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통신 관리 네트워크에서의 관리 객체 정보 일치화 방법에서 NEIB가 행하는 작동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관리자 20 ; 관리 대행자 블록
21 : 관리 대행자 23 : 데이터 베이스 인터페이스 블록
25 : 게이트 웨이 27 : 관리 정보 베이스
30 : 교환 시스템 31 : 데이터 베이스 인터페이스 블록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행하는 TMN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망 내에는 관리자(10)가 구성되며, 관리자(20)는 관리 대행자 블록(20)을 통하여 교환 시스템 (30)의 구동을 제어한다.
관리자(10)와 관리 대행자 블록(20)간에는 표준 망 관리 프로토콜인 CMIP (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을 기반으로 하여 상호 통신하며, 관리대행자(20)와 교환 시스템(30)간에는 소정의 비표준 망 관리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한다 즉, 관리 대행자 블록(20)은 교환 시스템(30)이 갖는 프로토콜에 맞추어 교환 시스템(30)과 통신하는 것이다.
관리 대행자 블록(20) 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대행자(실질적으로는 프로세서가 될 것이다)(21)가 구성되어 있으며, 관리 대행자(21)는 망 요소 인테 페이스 블록(Network Element Interface Block : NEIB)(23)을 통하여 교환기 시스템(30)에/로부터 MO 정보를 요청/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관리 대행자 블록(20) 내에는 MIB(27)가 구성되며, 관리 대행자(21)는 교환 시스템(30)으로부터의 MO 정보들을 MIB(37)내에 저장한다. MO들에 대한 정보의 예로서는 교환 시스템의 물리 형상, 논리 형상, 연결 이중화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관리 대행자(21)는 게이트 웨이(25)를 통하여 교환 시스템(30)에 소정의 명령어를 제공하고, 교환 시스템(30)으로부터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즉, 관리 대행자(21)는 관리자(10)로부터 교환 시스템(30)의 운용에 대한 명령을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하고, 이를 게이트 웨이(25)를 통하여 교환 시스템(30)에 제공하는 것이다. 교환 시스템(30)은 관리 대행자 블록(20)으로부터의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행하고, 그 동작 결과를 관리 대행자 블록(20)에 보고한다. 관리 대행자 블록(20)은 교환 시스템(30)으로부터의 작동 결과를 관리자(10)에게 제공한다.
교환 시스템(30)내에는 교환기 구동을 위한 각종 하드웨어적 구성 및 하드웨어들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가 구성되며, 이외에 데이터 베이스 인터페이스 블록(Data Base Interface Block : DBIB)(31)을 구비한다. 교환 시스템(30)내에는 교환 시스템의 MO들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며, DBIB(31)는 NEIB(23)를 통하여 데이터 베이스내의 MO에 대한 정보의 요청이 수신되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해당 정보들을 독출하여 NEIB(23)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관리 대행자 블록(20)내의 관리 대행자(21)가 교환 시스템(30)의 MO 정보들을 독취하여 MIB내에 MO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교환 시스템(30)의 MO 정보와 일치시키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관리 대행자(21)의 작동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대행자(21)는 현재의 상태가 초기화 상태인가를 판단하고(S1), 초기화 상태이면 단계(S2)로 진행한다. 단계(S2)에서 관리 대행자(21)는 NEIB(23)에 초기화 정보가 필요함을 통지한다. NEIB(23)는 관리 대행자(21)로부터의 통지에 응답하여 교환 시스템(30)의 DBIB(31)에 MO들에 대한 초기화 정보(즉, MO에 의한 교환 시스템의 물리 형상, 논리 형상, 연결, 이중화 정보 등)의 전송을 요청한다. DBIB(31)는 NEIB(23)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교환 시스템(30)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화 정보를 독취하고 이를 DBIB(23)에 제공한다.
NEIB(23)는 DBIB(31)로부터 정보가 제공되면, 이를 파일화하여 관리 대행자 (21)에게 제공하며, 관리 대행자(21)는 단계(S2)의 수행 후 소정 시간 내에 NEIB(23)로부터 파일화된 초기화 정보가 제공되는가를 판단한다(S3). 단계(S3)에서의 판단 결과, 초기화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관리 대행자 블록(20)과 교환 시스템(30)간의 단절 또는 기타 통신을 할 수 없는 상태임을 의미하므로 관리 대행자(21)는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 그러나 단계(S3)의 판단 결과, NEIB(23)로부터 초기화 정보가 제공되면 관리 대행자(21)는 제공된 초기화 정보를 기초로 하여 MO들의 초기화 정보를 MIB(27)내에 저장한다(S4).
한편, 단계(S1)의 판단 결과, 현재의 상태가 초기화 상태가 아니나, 도 2의 과정을 새로이 시작하는 경우(이 경우는 예컨데 관리 대행자(21)가 전원 공급 중단 등의 사유로 인하여 작동 중지 상태에서 새로이 작동을 개시하는 경우가 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MO들에 대한 초기화 정보가 MIB(27)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교환 시스템(30)으로부터 별도의 초기화 정보를 요청할 필요가 없다)에는 단계(S5)로 진행한다.
단계(S5)에서 관리 대행자(21)는 MIB(27)내의 MO 정보를 이전 생태로 유지시키는 한편 NEIB(23)에 MO들의 전체 연결 정보를 요청한다(S6). 즉, 관리 대행자 (21)가 잠시 작동을 중지한 경우라도 교환 시스템(30)의 물리적 정보 즉, 물리 형상, 논리 형상, 이중화 정보 등은 변화하지 않을 것이나, 교환 시스템(30)내의 연결 정보는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 정보를 업데이트 할 필요가 있으므로, 관리 대행자(21)는 NEIB(23)에 전체 연결 정보를 요청하는 것이다.
NEIB(23)는 관리 대행자(21)로부터의 통지에 응답하여 교환 시스템(30)의 DBIB(31)에 MO들에 대한 전체 연결 정보를 요청한다. DBIB(31)는 NEIB(23)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교환 시스템(30)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연결 정보들을 독취하고 이를 NEIB(23)에 제공한다.
NEIB(23)는 DBIB(31)로부터 전체 연결 정보가 제공되면, 이를 파일화하여 관리 대행자(21)에게 제공하며, 관리 대행자(21)는 단계(S6)의 수행 후 소정 시간 내에 NEIB(23)로부터 파일 화 된 전체 연결 정보가 제공되는가를 판단한다(S7). 단계(S7)에서의 판단 결과, 전체 연결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관리 대행자 블록(20)과 교환 시스템(30)간의 단절 또는 기타 통신을 할 수 없는 상태임을 의미하므로 관리 대행자(21)는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 그러나 단계(S7)의 판단 결과, NEIB(23)로부터 초기화 정보가 제공되면 관리 대행자(21)는 제공된 연결 정보들과 MIB(27)내에 저장되어 있는 연결 정보들을 비교하여 상이한 연결 정보들은 교환 시스템(30)이 연결 정보로 갱신한다(S8). 즉, 관리 대행자(21)는 MIB(27)내의 연결 정보들을 최근의 연결 정보로 갱신하는 것이다.
상술한 단계(S4),(S8)들의 수행 후에 관리 대행자(21)는 대기 상태로 작동하고(S9) 관리자(10)로부터 소정의 명령 즉, 교환 시스템(30)내의 특정 링크에 대한 연결 설정 또는 연결 해제에 대한 명령이 제공되는가를 판단한다(S10). 관리자(10)로부터 연결 설정 또는 연결 해제에 대한 명령이 제공되면 관리 대행자(21)는 관리자(10)의 명령을 게이트 웨이(25)를 통하여 교환 시스템(30)에 제공한다(S11).
교환 시스템(30)은 관리 대행자(21)로부터의 명령 즉, 연결 설정, 또는 해제의 명령을 소정 시간 동안 수행하고 수행하였음을 관리 대행자(21)에게 제공하나, 명령을 수행할 수 없는 상황 즉, 해당 링크 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명령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관리 대행자(21)의 명령 즉, 특정 링크에 대한 연결 설정, 해제의 명령을 교환 시스템(30)이 수행하지 못하는 상황은 관리 대행자 블록(20)내의 연결 정보와 시스템 블록 내의 연결 상태가 상호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가 일반적일 것이다. 관리 대행자(21)는
게이트 웨이(25)로부터 교환 시스템(30)의 보고 즉, 해당 명령을 수행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제공되지 않으면(S12) 단계(S13)로 진행한다. 단계(S13)에서 관리 대행자(21)는 해당 링크에 대한 연결 정보를 NEIB(23)에 요청하며, NEIB(23)는 이 요청을 교환 시스템(30)의 DBIB(31)에게 제공한다. DBIB(31)는 특정 링크의 연결 정보 요청에 부응하여 데이터 베이스 내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링크의 연결 정보를 독취하여 이를 NEIB(23)에 제공한다. NEIB(23)는 교환 시스템(30)으로부터의 특정 링크 연결 정보를 파일화하여 관리 대행자(21)에게 제공하고, 관리 대행자(21)는 NEIB(23)로부터의 파일 정보가 제공되면(S14), 특정 링크의 연결 정보와 MIB(27) 내에 저장된 특정 링크의 연결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에는 NEIB(23)로부터의 링크 정보로 특정 링크의 연결 정보를 갱신한다. 따라서, MIB(27)내의 특정 링크 정보는 교환 시스템(30)의 특정 링크의 상태와 일치될 수 있다.
도 3에는 상술한 NEIB(23)의 작동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NEIB(23)는 관리 대행자(21)로부터 초기화 정보, 전체 연결 정보 또는 특정 링크의 연결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S31,S32,S33), 교환 시스템(30)의 DBIB(31)에 초기화 정보, 전체 연결 정보 또는 특정 링크의 연결 정보를 요청한다(S34,S35,S36). 이후, NEIB(23)는 교환 시스템(30)의 DBIB(31)로부터 해당 정보가 제공되는가를 판단하여(S37) 해당 정보가 제공되면, 이를 알리는 신호(OK)를 관리 대행자(21)에게 제공함과 더불어 해당 정보를 파일화하여 관리 대행자(21)에게 제공한다(S38). 그러나, 단계(S33)의 판단 결과, DBIB(31)로부터 해당 정보가 소정 시간내에 제공되지 않으면 이를 알리는 신호(NOK)를 관리 대행자에게 제공하고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S39).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TMN의 관리 대행자는 MIB 내의 MO 정보들을 주기적으로 갱신할 필요 없이, MIB 내의 MO 정보와 교환 시스템의 MO 정보가 불일치할 우려가 있을 경우에 한하여 교환 시스템의 MO 정보를 독출하여 MIB 정보를 갱신하므로, 관리 대행자 블록과 교환 시스템간의 통신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원격 통신 관리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 TMN)의 관리 대행자 블록 내에 구성되는 관리 정보 베이스(Management Information Base : MIB)내에 저장되는 관리 객체(Management Object : MO) 정보와 운용 시스템 내의 MO 정보를 일치시키는 상기 관리 대행자 블록 내 관리 대행자의 구동 방법으로서,
    초기 구동 시에는 상기 운용 시스템에 상기 관리 개체의 초기 정보들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부응하여 상기 운용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초기 정보들을 상기 MIB에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MIB내에 상기 초기 정보를 저장한 상태에서 구동을 개시하면, 상기 운용 시스템에 링크들에 대한 연결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운용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링크들의 연결 정보로 상기 MIB 내의 정보를 갱신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단계의 수행 후에 관리자로부터 소정 링크에 대한 연결/해제 명령이 제공되면, 상기 명령을 상기 운용 시스템에 제공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운용 시스템이 상기 명령에 따라 작동되지 않으면, 상기 소정 링크에 대한 연결 정보를 상기 운용 시스템에 요청하고, 상기 운용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소정 링크의 연결 정보로 상기 MIB 내에 저장된 상기 소정 링크의 연결 정보를 갱신하는 제 4 단계를 구비하는 원격 통신 관리 네트워크에서의 관리 객체 정보 일치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한 정보가 상기 운용 시스템으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제공되지 않으면 과정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통신 관리 네트워크에서의 관리 객체 정보 일치화 방법.
KR1020010064569A 2001-10-19 2001-10-19 원격 통신 관리 네트워크에서의 관리 객체 정보 일치화 방법 KR20030032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569A KR20030032636A (ko) 2001-10-19 2001-10-19 원격 통신 관리 네트워크에서의 관리 객체 정보 일치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569A KR20030032636A (ko) 2001-10-19 2001-10-19 원격 통신 관리 네트워크에서의 관리 객체 정보 일치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636A true KR20030032636A (ko) 2003-04-26

Family

ID=29565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569A KR20030032636A (ko) 2001-10-19 2001-10-19 원격 통신 관리 네트워크에서의 관리 객체 정보 일치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26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25097A1 (fr) * 2004-06-18 2005-12-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ede assurant la fiabilite d'un service dans un cadre de qualite de service de bout en bou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963B1 (ko) * 1996-12-21 1999-06-15 이계철 통신관리망 에이전트 시스템과 관리자 시스템간의 초기 관리객체데이타 공유 방법
KR100258070B1 (ko) * 1997-11-27 2000-06-01 이계철 10gbps 동기식 전송장치에서 그룹에 의한 교차연결 객체 일치성 유지방법
KR20020021518A (ko) * 2000-09-15 2002-03-21 구자홍 티엠엔 에이전트의 재초기화 방법
KR20020027777A (ko) * 2000-10-05 2002-04-15 구자홍 티엠엔 에이전트와 교환 시스템간의 연결 정보 일치 방법
KR20020047541A (ko) * 2000-12-13 2002-06-22 오길록 파장분할다중 에이전트에서의 구성관리 객체 일치성 유지방법
KR100359639B1 (ko) * 1999-12-16 2002-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엠엔 에이전트의 엠아이비 갱신 방법
KR100372522B1 (ko) * 1999-07-27 2003-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이젼트 관리 객체 정보의 공유방법
KR20030027354A (ko) *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엠엔 서버와 망 요소 간의 구성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963B1 (ko) * 1996-12-21 1999-06-15 이계철 통신관리망 에이전트 시스템과 관리자 시스템간의 초기 관리객체데이타 공유 방법
KR100258070B1 (ko) * 1997-11-27 2000-06-01 이계철 10gbps 동기식 전송장치에서 그룹에 의한 교차연결 객체 일치성 유지방법
KR100372522B1 (ko) * 1999-07-27 2003-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이젼트 관리 객체 정보의 공유방법
KR100359639B1 (ko) * 1999-12-16 2002-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엠엔 에이전트의 엠아이비 갱신 방법
KR20020021518A (ko) * 2000-09-15 2002-03-21 구자홍 티엠엔 에이전트의 재초기화 방법
KR20020027777A (ko) * 2000-10-05 2002-04-15 구자홍 티엠엔 에이전트와 교환 시스템간의 연결 정보 일치 방법
KR20020047541A (ko) * 2000-12-13 2002-06-22 오길록 파장분할다중 에이전트에서의 구성관리 객체 일치성 유지방법
KR20030027354A (ko) *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엠엔 서버와 망 요소 간의 구성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25097A1 (fr) * 2004-06-18 2005-12-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ede assurant la fiabilite d'un service dans un cadre de qualite de service de bout en bout
US7706388B2 (en) 2004-06-18 2010-04-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node equipment for guaranteeing service reliability in an end-to-end quality of service frame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6719A (en) Synchronization method applied to databases in network management system
US7039173B2 (en) Management of performance of intelligent network services
CN100479380C (zh) 网络设备管理方法、网络设备和网络设备管理系统
WO2008093307A2 (en) Change of subscriber information in a multi-chassis network access environment
KR20070068462A (ko) 관리 네트워크에서 매니저와 에이전트 사이에 데이터를매칭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
CN100550803C (zh) 一种多协议公共路由管理的装置和方法
CN101212346B (zh) 一种网元管理系统的软件版本管理方法及装置
WO2013164917A1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呼処理ノード及び通信制御方法
KR20030032636A (ko) 원격 통신 관리 네트워크에서의 관리 객체 정보 일치화 방법
KR100454179B1 (ko) 티엠엔 에이전트와 교환 시스템간의 연결 정보 일치 방법
WO1999065253A1 (en) Programming call-processing application in a switching system
JPH0622028A (ja) 通信ネットワーク内の管理方式
KR100302868B1 (ko) 브이5.2 아이에스디엔 호의 통신 경로 절체 방법
CN106161580A (zh) 一种连接状态控制方法、装置及系统
EP1391131A1 (en) Data element information management in a network environment
AU5598499A (en) Gateway between a data network and a service network
KR100258069B1 (ko) 10gbps 동기식 전송장치에서 다중화구간 절체 객체 일치성유지방법
US7860080B2 (en) Service provisioning in telecommunications system comprising call control service capability servers
CN101136845A (zh) 多协议路由配置装置及方法
FI112149B (fi) Ohjelmistosovellusten asentaminen päätelaitteeseen
KR20070081980A (ko)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과 네트워크 요소간 피엘디 동기화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320748A (ja) 交換システム
KR100281743B1 (ko)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어기로의 오퍼레이션 상태 관리방법
KR100222410B1 (ko) 교환시스템의 다중 데이터 링크 접속방법
KR100864560B1 (ko) 교환기에서의 아이피씨 경로 구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